•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enior researcher Seoul National University Future Innovation Institute, South Korea E-mail:mcag9@snu.ac.kr)



Over current protector, Breaking capacity, DC power supply, Inrush current, Post arcing

1. 서 론

EV 및 ESS의 전기에너지 저장 장치로 사용되고 있는 고용량 리튬이온 베터리는 단위 질량과 부피당 높은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며 대전류의 공급이 가능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 중 가장 주목받고 있다[1]. 하지만 리튬이온 계열의 이차전지는 운영 중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충전과 방전 동작의 반복으로 예측할 수 없는 원인의 과전류, 과전압, 과부하 등과 같은 고장 상황이 지속 될 수 있으며, 이는 화재와 폭발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2]. 특히 최근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에서 EV의 이차전지를 이용하여 계통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V2G(Vehicle-to-Grid) 관련 기능의 도입에 따라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방전 속도와 충방전 횟수를 증가[3]시키는 방향으로 기술 발전이 진행되었고, 이는 전기자동차 대용량 이차전지의 내구성과 수명,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동작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화재 및 폭발 요인인 그림 1과 같은 이차전지 내부 일정 영역으로의 급격한 비정상 전기영동(Electrophoresis process) 현상에 의한 높은 과전류의 발생은 통전 전류가 이차전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정격전류의 10배 이상 돌입 전류가 발생한다[4]. 이와 같은 돌입전류성 전기영동에 의한 베터리의 사고 및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통전전류의 상승 시 동작하여 돌입전류 유입을 차단하는 퓨즈와 차단기 등의 과전류 보호소자의 동작 속도가 중요하며, 이때 과전류 보호소자의 차단용량이 낮은 등급의 소자를 적용한 시스템에서는 보호소자가 돌입전류로 인해 폭발 하여 화재가 시작된다.

그림 1.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비정상 전기영동 돌입전류 발생 원리 (a) 정상 충방전, (b) 전기영동

Fig. 1. Electrophoresis process inrush current generation principl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normal charge and discharge, (b)Electrophoresis process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1.png

퓨즈 차단용량은 전기기기의 회로와 시스템의 전체 저항이 0Ω이 되는 완전 단락상황에서 유입되는 정격전류의 10배 이상, 최대 250배에 이르는 돌입전류에 대한 폭발 거동 성능을 측정하여 결정되고, 이때 IEC 60127 초소형 퓨즈 기준 차단용량의 한계 성능에 따라 돌입전류 35A 이하의 낮은 차단용량, 돌입전류 50A~100A 수준의 중간 차단용량, 돌입전류 1500A 이상의 높은 차단용량으로 등급을 분류 할 수 있다.

과전류 보호소자의 차단용량을 결정하는 시험의 기준은 IEC 60127과 60269 규격에 명시된 완전 단락에 의한 돌입전류 폭발 외에도 잔류 아크에 의한 폭발 상황에 대한 실험도 포함된다[5~6]. 이는 과전류 보호소자의 동작 후 발생하는 아크가 전압에 대하여 영구아크 및 점화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시험으로 이때 영구 아크의 발생은 과전류 보호소자의 폭발로 이어진다[7]. 때문에 과전류 보호소자의 동작 후 아크에 대한 적합한 차단용량 시험을 위해서는 과전류 보호소자 동작 후 최대 무한대에 이르는 저항이 발생하는 소자 양단에 그림 2와 같이 전압이 이동 인가 되는 단계에서 직류 잔류 아크에 의한 폭발 확인이 필요하다.

그림 2. 과전류 보호소자 동작에 따른 전압 작용 위치 이동

Fig. 2. Change of the voltage position according to the acting of the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2.png

즉, 그림 3과 같이 잔류 아크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과전류 보호소자 양단의 전압 상승은 과전류 보호소자의 가용체에서 전압에 의한 양단 아크 통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동작은 높은 열과 폭발 거동 등이 동반된다. 이로 인하여 대용량 이차전지의 충방전 동작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시스템에서의 과전류 보호소자는 차단용량에 대한 안정성 시험과 폭발 사고 화재 시험이 인증 된 제품만이 이차전지에 적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차전지용 DC 과전류 보호소자의 차단용량 시험을 위해 구성하는 높은 용량의 DC 파워서플라이 시험 시스템은 최소 1,500V, 8,000A 이상의 높은 용량 직류 전원이 필요하여, 설비 구성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과전류 보호소자의 국내 중소기업 접근이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C 차단용량 상황에서 과전류 보호소자 폭발의 원인이 되는 돌입전류 차단용량 시험과 퓨즈 용단 후 잔류 아크 상황에서의 전압에 의한 영구아크 폭발을 시험할 수 있도록 저전압 고전류 DC 전력원에 저전류 고전압 전원장치를 스위칭 인가하는 동작을 설계하여 낮은 용량의 직류 전원 설비에서도 높은 차단용량 시험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작 제시하였다.

그림 3. 잔류 아크에 의한 퓨즈 폭발

Fig. 3. Fuse explosion at post-arcing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3.png

2. 본 론

2.1 차단용량 설비의 구성

대용량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과전류 보호소자의 차단용량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퓨즈의 용단 후 발생하는 잔류 아크가 전압에 대하여 영구아크 및 점화로 이어지는지의 여부 판단이 중요 하며, 이때 영구 아크의 발생은 보호소자의 폭발로 이어진다. 때문에 용단 후 아크에 대한 적합한 차단용량 시험을 위해서는 그림 4와 같이 보호소자 용단 후 직류 전원에 입력한 정격 전압이 보호소자 양단에 인가되는 회복 전압 단계에서 시스템 전압을 연속적으로 인가하여 잔류 아크 폭발을 확인하는 시스템 구성이 필요하다.

그림 4. 잔류 아크 폭발 시험을 위한 차단용량 시험 동작

Fig. 4. Breaking capacity test operation for post-arcing explosion test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4.png

이를 위해서 일반적인 차단용량 시험의 최대 전류 전압인 1,500V 8,000A 용량으로 DC 파워 서플라이를 구성 할 시, 설비의 전력 용량은 12MW로 높은 시스템 구성비용뿐만 아니라 운영을 위한 변압기 설치 용량, 전력 사용량에 따른 유지 보수비용 등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시험 접근이 어렵게 된다. 때문에 순차적으로 차단용량 시험과 포스트 아킹 시험에서 인가되는 전력을 분석하여 제어를 통해 회로상에서 나타나는 용단 후 전압의 이동 동작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시스템을 제작 하였다. 잔류 아크 확인 시험과 최대 전력 차단 용량 시험의 전력 운영 도해를 분석하면 그림 5의 플로우 차트와 같고, 인가 과정과 같이 적용 과전류 보호소자의 저항을 기반으로 최대 전류 인가를 위한 출력 검사를 시작으로 최종 잔류 아크에 대한 폭발동작에 이르는 시험간 설비의 운전과정을 나타내었다.

그림 5. 회복 전압 인가형 직류 차단용량 시험 플로우 차트

Fig. 5. Flow chart of operation recovery voltage injected type DC breaking capacity test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5.png

이와 같은 과전류 보호소자 차단용량 시험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대전류 저전압 직류 파워 서플라이 334A, 25V 설비 24대와 고전압 저전류 직류 파워 서플라이 50A, 1,500V 설비를 통합하여 주제어기와 출력 전압 측정기, 전류 DAQ를 실시간 캔 통신으로 정보와 제어 체계를 구성 하였다.

그리고 고속 대전류 출력 동작에 대비한 센싱 회로의 2.5 kV 내전압 절연 회로를 구성하고, 16Bit ADC 소자(분해능 65,535 Level)를 적용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회로를 그림 6과 같이 구성 하였다.

그림 6. 고속 데이터 전송 임베디드 회로 구성

Fig. 6. High-speed data transmission embedded circuit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6.png

또한 통신에서 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이더넷(Ethernet) 기반의 고속 통신을 사용하여 전압 인가 제어 및 영구아크 측정을 위한 통신 단자와 연동하였다. 구성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는 그림 7과 같다.

그림 7. 회복 전압 인가형 직류 차단용량 시험 설비 구조

Fig. 7. Recovery voltage application type DC breaking capacity test equipment structure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7.png

2.2 회복 전압 인가형 차단용량 설비의 적합성 시험

설계와 같이 제작된 회복 전압 인가형 차단용량 및 잔류 아크 폭발 시험 설비를 사용하여 IEC60127 초소형 퓨즈와 ISO 8820-8 전기 자동차용 퓨즈에서 정의한 차단용량 시험을 수행 하였다. 시험은 IEC 60127-2 sheet 3에 정의된 지연 동작형 낮은 차단 용량 유리관 퓨즈와 IEC 8820-8 400V 차단용량 6KA 퓨즈를 대상으로 동작과 차단에서 제작 설비의 적합성을 실험 하였다[8]. 이때 제작설비의 성능 유의미한 차이 확인을 위하여 1,500V, 8,000A 전체 부하를 사용하는 DC 파워 시스템과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고 모든 측정 결과는 표준 션트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실험을 위한 각 퓨즈 군은 정격전류에 따라 최소 20개~30의 예비 시료를 제작하였고 모든 퓨즈의 전기저항을 측정하고 저항 값을 시료에 표시하였다. 이후 DC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I-T 특성시험을 진행하였고, 인가전류에 따라 퓨즈가 동작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시험결과를 도출하였다. 동작 실험에 사용된 전원공급장치 전류는 ICE60127-1에 명시된 직류 정전류에서 최대 전압이 1,500V 이내가 되도록 유지하였다. 실험을 위한 파워서플라이는 BOB社 SGI 8,000/1,500, 측정에 사용된 오실로스코프 Tektronix社 DPO 3022, 저저항계측기는 Hiyoki社 3227 mΩ Hitester를 사용하였다. 시험 설비 형상과 제작 하여 시험한 고정구는 그림 8과 같다.

그림 8. 시험 설비 및 지그

Fig. 8. Test equipment structure and test jig.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8.png

2.3 시험 결과

시험을 위한 과전류 보호소자 샘플은 IEC 60127-1 초소형 퓨즈 시험 규정에 의해 모든 시료의 전압 강하 값을 기록하고 가장 높은 전압강하 값을 보유한 샘플이 1번 가장 낮은 전압 강하 값을 보유한 샘플이 마지막 번호로 하여 샘플을 정리하였다.

그림 9의 전압강하 측정 결과로부터 시험에 사용되는 유리관 퓨즈와 EV 퓨즈는 모두 정격 전류에 대하여 100mV 이하의 전압 강하 값을 보유하여 “퓨즈는 회로 설계의 영향이 없이 단지 보호의 역할만을 수행”해야 하는 과전류 보호소자 원칙에 만족하며, 또한 최대 전압강하 샘플과 최소 전압강하 샘플의 차이가 각각 유리관 퓨즈의 경우 최대 전압강하 값이 60.88mV, 최소 전압 강하 값이 58.19mV로 최대와 최소 전압강하 차이가 4.418%로 퓨즈 표준에 따른 15% 이내를 만족 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EV 퓨즈 또한 1.285% 차이를 나타내어 시험을 진행하기 적합한 퓨즈로 판단할 수 있다.

설비의 차단용량 시험의 활용성뿐만 아니라 동작특성에서 기존 직류 파워 서플라이와의 유의미한 차이 확인을 위하여 설정 전류 전압에 대한 전력 출력 일정성과 보호소자의 동작 특성 시험에 중요한 변수 요인으로 작용하는 전류 상승시간(Rising time)과 전압 상승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림 9. 시험 퓨즈 전압 강하 기본 특성 확인

Fig. 9. Fuse voltage drop basic characteristics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9.png

그림 10의 측정 결과로부터 회복 전압 인가형 차단용량 시험 설비의 경우 인가 전류가 상승함에 따라 설비의 전류 상승 시간이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지만, 과전류 보호소자 중 빠른 동작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설비의 전류상승 시간 기준인 4ms 이내의 전류 상승 시간을 보유하여 시험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기존 설비는 100A 이하 낮은 전류 인가에 대한 전류 상승 시간은 만족한 반면, 100A 이상의 높은 전류 인가에 대해 전류 상승 시간이 증가하여 빠른 동작 특성의 과전류 보호소자를 시험 할 수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일반적인 DC 파워 서플라이의 경우 인가 전류 상승시간의 기준이 20ms 이하로 빠른 동작 특성의 과전류 보호소자를 제외한 기기와 부품에 대하여 사용가능하다[9].

그림 10. 시험 설비 인가 전류 상승 시간 비교 결과

Fig. 10. Test equipment applied current rising time comparison result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10.png

그림 11은 보호소자의 용단 후 보호소자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 상승 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과전류 보호소자 동작에 의해 인가되는 회복 전압의 경우 전기적 부하에 의한 보호소자의 저항 상승으로 인하여 미소한 전압 상승이 발생한 후 용단에 이르며, 급격히 시스템 전체의 전압이 보호소자 양단에 인가되게 된다. 하지만 그림 11의 결과에서도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보호소자의 용단 형상과 가용체의 완전 용단 불완전 용단 등의 상태에 따라 회복 전압이 인가되는 시점과 인가전압 상승 시간이 일정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1. 기존 시험 설비 회복 전압 상승 시간 분석

Fig. 11. Analysis of recovery voltage rise time of typical test equipment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11.png

즉, 결과로부터 설비의 성능이 아닌 과전류에 대한 보호소자의 동작 형상과 속도에 따라 전압 상승 시간이 결정됨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인가 회복 전압상승 시간은 시스템에서 조정 결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정 하였다. 이상과 같은 고용량 파워 서플라이와 동일한 전류 전압 인가 동작을 구현하여 최대 250배 에너지에 이르는 차단용량 시험을 각 시스템을 통해 수행 하여 회복 전압 인가형 차단용량 시험 설비의 성능을 검증 하였다.

표 1 차단용량 시험의 인가 전류 전압

Table 1 Applied current voltage for breaking capacity test

Sample

Recovery voltage(V)

Applied current(A)

EV fuse

300A

Breaking capacity voltage 60 V

Post-arcing voltage 472 V

600A~5,000 A

6,000 A

7,000 A

8,000 A

9,000 A

Cartridge fuse 10A

Breaking capacity voltage 60 V

Post-arcing voltage 262 V

16~100 A

110 A

120 A

130 A

140 A

시험은 최대 동일 제품의 동일 일시, 공정, 위치에서 생산된 퓨즈 제품에 대하여 차단용량 시험과 잔류 아크 폭발 시험을 실시하여 결과의 차이를 확인 하는 방법으로 성능을 검증하였다. 표 1에 시험 시료의 종류와 정격 전류전압 그리고 차단 용량 시험을 위해 인가한 전류 전압을 정리하였다.

퓨즈의 동작 특성을 정의하는 정격전류의 160%~1,000% 동작 속도에 대한 기존 설비와의 비교를 위해 각 샘플의 용단 시험 수행 후 I-T 커브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는 제작된 전류원의 동작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함이고 파워서플라이의 용단 시험간 인가전류의 일정성과 입력 전류까지의 상승 시간, 돌입전류 발생 및 이에 따른 영향 등을 판단하는 방법이다.

그림 12. 설비 전류 일정성 비교를 위한 용단 시험

Fig. 12. I-T test for equipment current constancy comparison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12.png

그림 12의 저전류 10A 퓨즈와 대저류 300A 퓨즈의 I-T 커브 비교 시험 결과로부터 일반적인 DC 파워 서플라이와 회복 전압 인가형 차단용량 시험 설비의 용단 시험 성능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퓨즈의 동작 특성 구간에 해당하는 정격전류의 1.6배~10배 전류인가 시 기존 설비와 개발 설비간의 동작 시간이 최대 5% 이내에서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제품의 오차 범위인 15% 이내의 값으로 시험 설비의 차이로 판단 할 수 없는 수치이다.

그림 13. 돌입전류 인가에 따른 퓨즈 폭발 전류

Fig. 13. Fuse explosion current according to inrush current application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13.png

그림 13은 퓨즈 차단 용량 이상의 돌입 전류 인가에 따른 보호소자의 폭발 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동일 로트(lot)의 동일 제품에 대한 회복 전압 인가형 차단용량 시험 설비의 인가 전류 전압이 시험에 적합한 것인가를 기존 직류 전원 인가 장치와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로부터 IEC 8820 EV 퓨즈 300A 표준 시료와 IEC 60127 카트리지 퓨즈 10A 표준시료에서 각각 EV 퓨즈는 7,900A 전류와 카트리지 퓨즈는 138A 전류에서 최대 차단용량 전류가 나타났다. 그리고 기존 파워 서플라이와 회복 전압 인가형 파워 서플라이에서 유의미한 차단용량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시험에 적합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림 14. 회복 전압 속도에 다른 잔류 아크 폭발 전류

Fig. 14. Post arcing explosion current according to recovery voltage rising time

../../Resources/kiee/KIEE.2024.73.8.1487/fig14.png

그림 14는 잔류 아크에 의한 퓨즈 차단 용량을 시험한 결과로 기존 파워 서플라이의 회복전압 상승 시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회복 전압 상승 시간 인가, 동일한 회복전압 상승 시간 인가, 느린 회복 전압 상승 시간 인가에 따른 차단 용량의 변화를 측정 하였다. 시험 샘플 중 300A EV 퓨즈의 경우 모든 전류 전압 조건에서 잔류아크 폭발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어 시험 결과는 10A 카트리지 퓨즈를 대상으로 정리 하였고, 회복 전압은 IEC 60127과 60269에 따른 정격 전압의 1.02배~1.05배에 이르는 전압으로 표 1에 표기 하였다. 시험 결과로부터 기존의 일반적인 대전력 파워 서플라이의 회복 전압 인가 속도인 1.5ms 일 때 17A~29A 범위에서 잔류아크 폭발이 발생 하였고, 회복 전압 인가 방식 설비에서 동일한 회복 전압 속도 인가 시 동일한 과전류 범위에서 잔류아크 폭발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더 빠른 회복전압 인가 속도인 1ms 라이징 타임에서는 17A~35A 과전류 범위에서 잔류아크 폭발이 발생하였고, 상대적으로 느린 회복전압 인가 속도 2ms 라이징 타임에서는 19A~24A 과전류범위에서 잔류아크 폭발이 발생함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의 결과로부터 돌입 전류 차단 용량 시험과 잔류아크 차단용량 시험에서 회복 전압 인가형 차단용량 시험 설비를 사용한 차단용량 시험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고, 전류 전압 인가 속도에 대한 조정이 가능한 특성은 가혹 조건과 특수 조건의 시험도 가능하여, 낮은 용량의 직류 전원 설비에서도 높은 차단용량 시험이 가능한 시스템 설계 방법으로 판단된다.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이차전지의 전기영동 고장으로 발생하는 돌입전류 폭발 현상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과전류 보호 소자에서 잔류 아크에 의해 발생하는 폭발 화재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현재 이차전지용 DC 과전류 보호소자의 차단용량 시험을 위해 구성하는 높은 용량의 DC 파워 서플라이 시험 시스템은 최소 1,500V, 8,000A 이상의 높은 용량 직류 전원이 필요하여, 설비 구성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고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전압 고전류 DC 전력원에 저전류 고전압 전원장치를 스위칭 인가하는 동작을 설계하여 낮은 용량의 직류 전원 설비에서도 높은 차단용량 시험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작하여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과전류 보호소자의 돌입전류 폭발 사고는 비이상적 전기영동 등의 고장에 의해 보호 소자에 인가되는 통전전류의 최대 250배에 이르는 과전류 폭발과, 보호소자의 동작 후 양단에 인가되는 시스템 정격전압에 의한 잔류 아크 폭발로 구분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전력 형태를 만들기 위해 저전압 고전류 시스템(25V at 8000A)과 고전압 저전류(1500V at 50A) 시스템을 함께 적용하여 구성 할 수 있다.

제작 시스템과 기존 대전력 DC 파워 서플라이를 이용한 성능 비교 시험 결과로부터 전류 인가 속도와, 전압인가 속도, 전류 전압 일정성 등의 성능이 유사함을 확인하였고, IEC 60127-2 표준 sheet 2 카트리지 퓨즈와 ISO 8820-8 저전압 EV 퓨즈 샘플의 I-T 커브, 돌입전류 차단용량, 잔류아크 폭발 차단용량 한계 시험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회복전압 인가형 차단용량 시스템에 인가 전류 상승 속도와 인가 전압 상승 속도를 조정 할 수 있도록 제어 구성하여, 가혹 조건과 특수 조건의 시험도 수행 가능하도록 설계가 이루어졌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와 같이 낮은 용량의 직류 전원에서도 전류 인가 전원과 전압 인가 전원을 분리 제어하여 돌입전류 차단용량 시험과 잔류 아크 폭발 시험이 가능함을 확인 하였고 과전류 보소소자의 고전력 파워 서플라이와의 차단용량 비교시험 결과로부터 시험의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2년도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업기술개발사업(시장대응형) 지원에 의한 연구입니다. (S3294833), SRND[0690-20240018]

References

1 
D. H. Lee, D. Y. Yoon, “Evaluation Modeling Heat Generation Behavior for Lithium-ion Battery Using FEMLAB,” Clean Technology, Vol. 18, No. 3, pp. 320-324, 2012.DOI
2 
S. H. Park, J. G. Kang, W. U. Kim, H. W. Lim, “A Study on Thermal Runaway Suppression Technology in Abnormal State for Energy Storage System(ESS) Us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KIIEE), Vol. 36, No. 6, pp. 26-35, 2022.URL
3 
Abdullah Dik, Sidding Omer, Rabah Boukhanout, “Electric Vehicles: V2G for Rapid, Safe, and Green EV Penetration,” Energies, vol. 15, No. 3, pp. 803-805, 2022.DOI
4 
C. Y. Kang, E. M. Kim, “Design of Fuse Elements of Current Sensing Type Protection Device for Portable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System,” Trans. Korean. Inst. Elect. Eng., vol. 67, no. 12, pp. 1619-1625, 2018.URL
5 
K. S. Shin, O. H. Kwon, G. I. Kim, “KS C IEC 60127-1, Miniature fuse-Part 1 : Definitions for miniature fuses and general requirements for miniature fuse-links,” Korea standard, pp. 10-11, 2015.URL
6 
K. S. Shin, O. H. Kwon, G. I. Kim, “KS C IEC 60269-1, Low-voltage fuse-Part 1 : general requirements,” Korea standard, pp. 47-48, 2014.URL
7 
Vytenis Babrauskas, “Electric arc explosions,” pp. 1283-1296 in Interflam 2010—Proc. 12th Intl. Conf. Interscience Communications Ltd, London 2010.URL
8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8820-8 : Road vehicles-Fuse links- Part 8 : Fuse-links with bolt in contacts(type H and J) with rated voltage of 450V,” International Standard, pp. 4~8, 2019.URL
9 
Abdelrahman T. Elshafiey, Payman Zarkesh-Ha, Joshua Trujillo, “The Effect of Power Supply Ramp Time on SRAM PUFs,” Institu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60th International Midwest Symposium on Circuits and Systems (MWSCAS), pp. 946-949, August, 2017.DOI

저자소개

김은민(Eun-Min Kim)
../../Resources/kiee/KIEE.2024.73.8.1487/au1.png

He received the Ph.D degree in the major of metallurgical engineering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2019. Since 2016, He is currently an senior researcher at Future Innovation Institute,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Research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노성여(Seong-Yeo Noh)
../../Resources/kiee/KIEE.2024.73.8.1487/au2.png

Professor, Dept. of Start-up Business Tongmyong University, South Korea

2023.11 An Analysis of the Technology for Diagnosing the Phas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Cable and AC-Applied Voltage

2023.07 Busan Techno Park [Low-cost parallel modular alkaline fuel cell research for small-scale hydrogen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in the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