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angmyung University, Korea.)



Grid-connected inverter, Control Interaction, LCL filter, Virtual Impedance, Damping resistor

1. 서 론

최근 전력전자 기반 설비가 전력망에 연결되는 비중이 증가하며 기존에 발생하지 않았던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공진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1]. 기존의 동기발전기 형태의 전원은 제어 대역폭이 기준 주파수 이하이지만 인버터 기반 전력 설비는 고속 스위칭을 하는 영향으로 제어 대역폭이 넓은 상황이다[2]. 몇몇 국가에서 고조파 대역에서 발생한 공진 현상 사례가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현재의 방법인 전력계통 선로의 트립 혹은 절체를 유발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시킨다[3]. 따라서 2021년, IEEE에서는 새로운 안정도 문제를 분류하기 위해 Converter-driven stability와 Resonance stability를 추가하며 인버터 기반 설비의 계통 연계 시 영향성 분석 필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4].

기존 연구에서는 2-Level 전압형 인버터, 풍력발전기, MMC 등 다양한 인버터 설비에 대한 임피던스 모델링 및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5~6]. 또한, 인버터의 제어 성능 개선 관련 연구를 위해 내부 파라미터를 알고 있는 인버터 모델 블록 다이어그램을 통해 인버터 측 임피던스를 수식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7]. 실제 중국 Luxi HVDC 시스템에서는 고조파 대역에 상호작용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상호작용 조건 회피 연구를 수행하며 불안정 공진 현상을 해결했다[8].

하지만 국내 및 국외 문헌에서 상호작용 발생 조건 회피 과정 및 분석 내용이 상세하게 공개된 연구 결과 및 자료는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버터와 계통 간 상호작용 발생한 계통 상황에서 인버터 제어 방법 및 필터 설계를 통한 임피던스 변동 특성을 분석하고, 상호작용 조건 회피 과정 방법론을 제시하여 계통 안정성 확보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진행한 LCL 필터 파라미터 산정 연구를 기반으로 가상 임피던스 및 댐핑 저항 크기 산정 수식을 정리하였다[9]. 또한, 가상 임피던스 제어 및 댐핑 저항을 활용하였을 때의 인버터 임피던스 변동 경향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학술지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한 상황에서 상호작용 조건 회피 여부 분석을 위해 모의실험을 진행하여 불안정 공진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 및 최종 분석까지 진행하였다.

2. LCL 필터 파라미터 산정 및 활용 파라미터 소개

기존 연구에서 인버터 측 출력 고조파 저감을 위해 LCL 필터 파라미터 산정 연구를 수행하였다[9]. 기존 연구에서 정리되었던 계산식을 기반으로 먼저 LCL 필터 내 인버터 측 인덕턴스 크기($L_{1}$)를 산정하였으며 인버터 측 인덕턴스와 계통 측 인덕턴스($L_{2}$) 간 비율을 설정하였다[9]. 또한, 커패시터에 저장되는 무효전력이 1% 미만이 되도록 커패시터의 크기($C$)를 산정하였으며 전체 파라미터는 그림 1과 같은 계통에서 산정되었다[10].

그림 1. 인버터 측 출력 고조파 저감을 위해 연결된 LCL 필터의 파라미터를 산정 및 적용한 인버터 연계계통 단상 회로도

Fig. 1. Schematic diagram of an inverter connected to an LCL filter which the proposed parameters are applied.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1.png

참고문헌과 동일한 수식을 통해 LCL 필터 파라미터 산정 과정을 진행하였으나 기존 연구와 본 논문에서 활용한 인버터 조건이 다른 이유로 LCL 필터 파라미터는 다른 값으로 나타났으며 본 논문에서 산정 및 활용한 LCL 필터 및 인버터 상세 파라미터는 표 1에 명시하였다[9].

표 1 LCL 필터 및 인버터 상세 파라미터 표 [9~10]

Table 1 LCL filter and inverter detailed parameter table [9~10]

$V_{{g}}$ [kV] $V_{dc}$ [kV] $P_{n}$ [kW] $f_{0}$ [Hz] $f_{sw}$ [Hz]

0.38

1

30

60

1,980

$m_{i}$ $I_{n}$ [kA] $L_{1}$ [mH] $L_{2}$ [mH] $C$ [uF]

0.65

0.1

1.5

0.5

150

3. LCL 필터 내 댐핑 저항 추가 시의 임피던스 변동 분석

3.1 LCRL 필터 내 댐핑 저항 크기 산정 수식 연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LCRL 필터는 LCL 필터 커패시터 측에 댐핑 저항을 연결한 형태의 필터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림 2과 같이 LCRL 필터는 LCL 필터 기준으로 커패시터와 직렬 관계를 갖는 댐핑 저항이 추가된 형태이다[10].

그림 2. LCL 필터의 C 측에 댐핑 저항을 연결한 LCRL 필터를 적용한 인버 터가 연계된 계통 설명도

Fig. 2. Schematic diagram of an inverter connected to an LCRL filter with a damping resistor connected to the C side of the LCL filter.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2.png
(1)
$f_{LCL,\: res}=\dfrac{1}{2\pi}\sqrt{\dfrac{L_{1}+L_{2}}{L_{1}L_{2}C}}$
(2)
$w_{LCL,\: res}=\sqrt{\dfrac{L_{1}+L_{2}}{L_{1}L_{2}C}}$
(3)
$R_{d}=\dfrac{1}{3w_{LCL,\: res}C}$

본 학술지에서는 LCL 필터의 커패시터 측에 댐핑 저항을 추가한 LCRL 필터 내 댐핑 저항 크기 산정 수식을 정리하였다. LCL 필터에서 $L_{1}$은 인버터 측 인덕턴스, $L_{2}$는 계통 측 인덕턴스, $C$는 커패시터를 의미한다. 식 (1)과 같이 조정 목표 주파수는 LCL 필터의 공진주파수($f_{LCL,\: res}$)를 의미하며 각주파수($w_{LCL,\: res}$)로 표현하면 식 (2)과 같다. 참고문헌에 따르면 댐핑 저항의 크기($R_{d}$)는 공진주파수에서 LCL 필터 커패시터의 임피던스 크기 대비 3배 작은 값을 갖도록 산정할 수 있으며 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10].

본 논문의 표 1에 명시한 LCL 필터의 커패시터 크기를 활용하여 댐핑 저항의 크기를 산정했으며 LCRL 필터 내 전체 파라미터는 표 2와 같다[10].

표 2 LCRL 필터 산정 상세 파라미터 표 [9~10]

Table 2 LCRL filter detailed parameter table [9~10]

$L_{1}$ [mH] $L_{2}$ [mH]

$C$ [uF]

$f_{LCL,\: res}$ [Hz]

$w_{LCL,\: res}$ [rad/sec]

$R_{d}$ [Ω]

1.5

0.5

150

671

4,216

0.52

3.2 LCL 필터 내 댐핑 저항 추가 시 임피던스 변동분석

본 연구에서는 기존 LCL 필터의 커패시터에 댐핑 저항을 연결하여 불안정 공진 발생 조건 회피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인버터 임피던스에 대한 전달함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LCL 필터 및 LCRL 필터를 적용한 각 인버터 임피던스에 대한 전달함수를 추정하기 위해 그림 3과 같은 내부 제어 및 필터 내부 전압-전류 관계식을 고려한 인버터 블록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였다[11].

그림 3. 내부 제어 및 필터 내부 전압-전류 관계식을 고려한 인버터 블록 다이어그램 [11]

Fig. 3. Inverter block diagram considering internal control and filter internal voltage-current relationships [11]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3.png

그림 3의 $G_{P I}(s)$는 전류 제어용 PI 제어기를 의미하며 식 (4)와 같고, $G_{PWM}(s)$는 PWM 제어 시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고려한 전달함수로 식 (5)와 같다[12]. 본 논문에서 설정한 Point of Common Coupling (PCC, 공통접속점)는 인버터와 계통 임피던스 사이의 지점이며 전압 Feed Forward 제어는 PCC 전압 측정값을 PWM 제어 전에 적용하는 형태로 해당 제어 부분은 위 그림 3에서 고려되었다.

(4)
$G_{P I}(s)=K_{p}+\dfrac{K_{i}}{s}$
(5)
$G_{PWM}(s)\approx e^{-1.5s T_{s}}\approx\dfrac{1}{1.5s T_{s}+1}$

그림 3에서 커패시터 측에 걸리는 전압은 식 (6)과 같이 라플라스 변환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커패시터의 임피던스는 전압과 전류 간 관계식 및 라플라스 연산자 s를 활용하여 표현하면 식 (7)과 같다.

(6)
$$ v_c(t)=\frac{1}{C} \int i_c(t) d t \underset{\mathcal{L}^{-1}}{\stackrel{\mathcal{L}}{\rightleftarrows}} V_c(s)=\frac{1}{s C} \cdot I_c(s) $$
(7)
$\left. V_{c}(s)=\dfrac{1}{s C}ㆍI_{c}(s)\right.→\dfrac{V_{c}(s)}{I_{c}(s)}=Z_{LCL}(s)=\dfrac{1}{s C}$

LCL 필터를 적용한 인버터의 경우, 커패시터 측 임피던스는 식 (8)과 같으며 제안하는 LCRL 필터의 경우는 LCL 필터의 커패시터 측에 댐핑 저항을 추가하였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식 (9)와 같이 나타내었다.

(8)
$Z_{LCL}(s)=\dfrac{1}{s C}$
(9)
$Z_{LCRL}(s)=\dfrac{1}{s C}+R_{d}=\dfrac{s CR_{d}+1}{s C}$

그림 3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인버터 전달함수를 도출하기 위해 그림 4과 같이 단순화를 진행하였다. 수식화를 진행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정리하여 나타낸 전달함수 중 $G_{cont}(s)$는 내부 제어기의 영향성이 큰 부분을, $G_{e\le c}(s)$는 필터에 의한 영향성이 큰 부분의 전달함수를 나타낸다.

그림 4. 전달함수 도출을 위해 단순화가 진행된 인버터 블록 다이어그램

Fig. 4. Inverter block diagram simplified to derive transfer function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4.png
(10)
$G_{cont}(s)=\dfrac{V_{c}(s)}{I_{g,\: ref}(s)}=\dfrac{G_{P I}(s)ㆍG_{PWM}(s)+Z_{LCL}}{s L_{1}+Z_{LCL}}$
(11)
$G_{e\le c}(s)=\dfrac{I_{g}(s)}{V_{L_{2}}(s)}=\dfrac{s L_{1}+Z_{LCL}}{s^{2}L_{1}L_{2}+s(L_{1}+L_{2})ㆍZ_{LCL}}$

그림 4에서 입력이 PCC 전압 ($V_{PCC}(s)$)이며 출력이 계통 전류 ($I_{g}(s)$)인 경로에 해당하는 전달함수는 인버터의 어드미턴스를 나타내며 해당 전달함수에 대해 역수를 취하면 식 (12)과 같이 LCL 필터를 고려한 인버터 전달함수 ($G_{LCL}(s)$)를 도출할 수 있다[11]. 이를 활용하여 LCL 필터 커패시터 측에 댐핑 저항을 연결한 LCRL 필터를 고려한 인버터 전달함수 ($G_{LCRL}(s)$)는 식 (13)과 같다.

(12)
$G_{LCL}(s)=\dfrac{V_{PCC}(s)}{I_{g}(s)}= -\dfrac{s^{2}L_{1}L_{2}+s(L_{1}+L_{2})Z_{LCL}+G_{P I}(s)G_{PWM}(s)}{G_{PWM}(s)Z_{LCL}-s L_{1}-Z_{LCL}}$
(13)
$G_{LCRL}(s)=\dfrac{V_{PCC}(s)}{I_{g}(s)}= -\dfrac{s^{2}L_{1}L_{2}+s(L_{1}+L_{2})Z_{LCRL}+G_{P I}(s)G_{PWM}(s)}{G_{PWM}(s)Z_{LCRL}-s L_{1}-Z_{LCRL}}$

본 논문에서는 앞서 명시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 기반 안정도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임피던스 기반 안정도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분석한다면 인버터와 계통 간 임피던스 크기가 같은 주파수를 공진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공진모드 중 위상 차이가 180도 이상인 주파수는 불안정 공진점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인버터와 계통 간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2, 8, 13].

앞서 제시된 식 (12), (13)을 활용하여 도출한 LCL 필터 및 LCRL 필터 적용 인버터에 대한 임피던스 크기 및 위상을 보드선도를 통해 표현하면 그림 5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계통 임피던스 크기를 1.2 [mH]라 가정했을 때, LCL 필터 적용 인버터 임피던스 크기 동일 주파수(약 390 [Hz])에서 위상 차이 180도 이상 발생한 것을 그림 아래 5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 LCL 필터 측 커패시터에 댕핑 저항을 추가한 LCRL 필터 적용 시 인버터 임피던스 최저 크기 증가 및 위상 특성 변동 설명 보드선도

Fig. 5. Board diagram for explaining the minimum size increase and phase change of inverter impedance when applying LCL and LCRL filter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5.png

LCL 필터의 커패시터에 댐핑 저항을 추가한 LCRL 필터 적용 인버터 임피던스는 계통 임피던스와 크기가 동일한 주파수에서 위상 차이가 약 172도로 나타나며 댐핑 저항을 통해 위상 여유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댐핑 저항만을 통해 불안정 공진 발생 조건을 회피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4. 인버터 내 가상 임피던스 제어 활용 연구

4.1 인버터 내 가상 임피던스 제어 활용 방안 연구

그림 6은 가상 임피던스 적용 전 인버터 연계계통을 단상 회로도에서 나타낸 그림이다. 제시된 위 그림 3과 같이 입력이 PCC 전압($V_{PCC}(s)$), 출력은 계통 전류($I_{g}(s)$)인 전달함수는 인버터 임피던스($Z_{i nv}(s)$)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달함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계통 전압 및 임피던스를 제외하며 인버터 전달함수 상 입력을 의미하는 PCC 전압을 기준으로 분리하면 그림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6. 가상 임피던스 적용 전 인버터 연계계통 단상 회로도

Fig. 6. Single-phase circuit diagram of inverter connection system before applying virtual impedance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6.png

그림 7. 가상 임피던스 적용 전 인버터 측 단상 회로도

Fig. 7. Single-phase circuit diagram of inverter before applying virtual impedance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7.png

그림 7은 가상 임피던스 적용 전 인버터 측 테브난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입력이 PCC 전압($V_{PCC}(s)$), 출력이 계통 전류($I_{g}(s)$)인 전달함수는 인버터 임피던스($Z_{i nv}(s)$)로 식 (14)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인버터 임피던스는 LCL 필터 적용 시에 식 (12)과 동일하며 LCRL 필터 적용 시에는 식 (13)과 동일한 전달함수이다.

(14)
$V_{PCC}(s)=Z_{i nv}(s)ㆍI_{g}(s)$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가상 임피던스는 계통 측 리액턴스가 인버터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덕턴스 형태로 제안하였다. 만약 그림 7에서 가상 임피던스의 입력이 계통 전류이며 PCC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경로로 투입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아래 식 (15)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해당 수식은 다시 그림 8과 같이 표현된다. 그림 8은 가상 임피던스 적용 후 인버터 측 테브난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가상 임피던스는 입력이 계통 전류이며 출력은 PCC 전압을 감소시키는 경로로 활용했기에 그림 9과 같이 나타내어진다[14].

(15)
$V_{PCC}(s)=Z_{i nv}(s)ㆍI_{g}- s L_{vir}(s)ㆍI_{g}$

그림 8. 가상 임피던스 적용 후 인버터 측 단상 회로도

Fig. 8. Single-phase circuit diagram of inverter after applying virtual impedance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8.png

그림 9. 가상 임피던스 제어 및 필터 내부 전압-전류 관계식을 고려한 인버터 블록 다이어그램 [11]

Fig. 9. Inverter block diagram considering virtual impedance control and filter internal voltage-current relationships [11]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9.png

4.2 인버터 내 가상 임피던스 적용 크기 산정 연구

앞서 진행한 바와 같이 가상 임피던스 및 LCL 필터를 고려한 인버터 전달함수를 도출하면 식 (16)과 같다[11].

(16)

$G_{LCL+virtual Z}(s)=\dfrac{V_{PCC}(s)}{I_{g}(s)}$

$= -\dfrac{s^{2}L_{1}L_{2}+s(L_{1}+L_{2}+L_{vir})Z_{LCL}+G_{P I}(s)G_{PWM}(s)}{G_{PWM}(s)Z_{LCL}-s L_{1}-Z_{LCL}}$

가상 임피던스($L_{vir}$) 크기는 LCL 필터의 인버터 측 인덕턴스 ($L_{1}$), 계통 측 인덕턴스 ($L_{2}$)의 산정 범위 내에서의 여유분을 활용하였으며 인덕턴스 크기 여유분을 고려한 가상 임피던스 크기 산정 범위는 식 (17)과 같다[9].

(17)

$L_{1}+L_{2}= L_{1}+\dfrac{1}{3}L_{1}\le\dfrac{4}{3}ㆍ\dfrac{\sqrt{3}}{12}ㆍ\dfrac{V_{dc}}{0.3ㆍI_{rated}ㆍf_{sw}}ㆍm_{i}$

$\therefore L_{vir}\le\dfrac{4}{3}ㆍ\dfrac{\sqrt{3}}{12}ㆍ\dfrac{V_{dc}}{0.3ㆍI_{rated}ㆍf_{sw}}ㆍm_{i}-(L_{1}+L_{2})$

(17)을 통한 인덕턴스의 여유분 계산 결과, 본 연구에서 산정된 가상 임피던스의 최대 크기는 약 3.3 [mH]로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표 3과 같이 가상 임피던스 크기를 변화시키며 인버터 임피던스 변동분석을 진행하였다.

표 3 Case 별 가상 임피던스($L_{vir}$) 적용 크기 [9~10]

Table 3 Virtual impedance($L_{vir}$) application size table by case [9~10]

Case A

Case B

Case C

Case D

Case E

0

[mH]

0.8

[mH]

0.16

[mH]

0.24

[mH]

0.32

[mH]

그림 10은 가상 임피던스 크기 증가에 따른 인버터 임피던스 변동 특성 분석을 위한 인버터 임피던스 크기 및 위상 보드선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해당 보드선도는 표 3에서 제시한 가상 임피던스 ($L_{vir}$) 적용 크기를 Case 별로 적용한 경우, 각각의 인버터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가상 임피던스 적용 크기가 가장 큰 Case E의 임피던스도 계통과 크기가 동일한 주파수에서 위상 차이가 180도 이상 발생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가상 임피던스 제어만을 활용하여 계통과의 상호작용 발생 조건 회피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진행한 LCL 필터의 커패시터 측에 댐핑 저항을 추가한 LCRL 필터를 활용하면 상호작용 발생 조건 회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여 추가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림 10. 가상 임피던스 적용 크기 Case (A ~ E: 0.8 [mH] 간격)에 따른 인버터 임피던스 크기 및 위상 변동 보드선도 분석: 가상 임피던스 적용 크기 증가에 따른 인버터 임피던스 변동을 통한 인버터와 계통 간 공진모드 변화 및 상호작용 발생 조건 회피 가능성 분석

Fig. 10. Board diagram for describing inverter impedance size and phase fluctuations according to virtual impedance application size case (A to E: 0.8 [mH] interval): 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avoiding resonance mode changes and interaction conditions between the inverter and the system through changes in inverter impedance as the virtual impedance application size increases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10.png

4.3 제안 제어법 및 필터 적용 인버터 임피던스 변동분석

그림 10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활용한 가상 임피던스 ($L_{vir}$)의 크기가 커질수록 LCL 필터의 공진주파수가 고주파수 대역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식 (2)에서 나타낸 공진주파수($w_{LCL,\: res}$)가 가상 임피던스로 인해 변동된 공진주파수($w_{LCL+VZ,\: res}$)로 변화하는 부분을 고려한다면 식 (14)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식 (3)에서 나타낸 댐핑 저항의 크기 또한 공진주파수 변동분을 고려하여 식 (15)과 같이 나타내었다.

(18)
$w_{LCL+VZ,\: res}=\sqrt{\dfrac{L_{1}+L_{2}+L_{vir}}{L_{1}L_{2}C}}$
(19)
$R_{d}=\dfrac{1}{3w_{LCL+VZ,\: res}C}$

그림 11은 가장 큰 가상 임피던스 크기를 적용한 Case E에서 댐핑 저항을 추가한 경우의 인버터 임피던스 변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보드 선도이다. 계통 측 임피던스(분홍)를 1.2 [mH]라고 가정하였을 때, Case A 가상 임피던스 및 LCL 필터 적용 인버터 임피던스(빨강)와 크기가 동일한 주파수 (약 390 [Hz])에서 위상 차이가 180도 이상 발생한 것을 그림 11을 통해 확인하였다. 하지만 Case E 가상 임피던스 및 LCRL 필터 적용 인버터 임피던스(검정)는 계통 임피던스와의 크기 동일 주파수에서 위상 차이가 약 150도로 위상 여유는 약 30도 이상 증가하며 LCL 필터 적용 인버터 임피던스(빨강) 대비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림 11. 가상 임피던스 (Case E) 및 LCL 필터 내 댐핑 저항 추가에 따른 인버터 임피던스 변동 및 상호작용 회피 여부 분석을 위한 보드선도: 인버터와 계통 간 공진모드 및 위상 특성 변화를 통한 상호작용 저감 가능 분석 결과

Fig. 11. Board diagram to analysis the variation of inverter impedance and interaction avoidance due to the addition of damping resistance in virtual impedance (Case E) and LCL filters: Analysis results showing the possibility of reducing interaction through changes in resonance mode and phas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inverter and the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11.png

따라서 본 학술지에서 제안하는 파라미터를 활용한 가상 임피던스 제어 및 LCRL 필터를 적용한 인버터가 연계된 계통에서는 상호작용 발생 조건을 회피하며 안정성을 향상시켰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해 검증을 진행하였다.

5. PSCAD 기반 시뮬레이션 결과

본 연구에서는 그림 12과 같이 계통과 인버터가 직렬로 연결된 계통에서 상호작용 발생 가능 임피던스 투입 이전을 without grid impedance 케이스로 설정하였다. 또한, 0.5초에 상호작용 발생 가능 크기의 임피던스를 투입하며 0.5초 이후의 계통 상황을 with grid impedance 케이스로 설정하였다. 해당 상황에서 LCL 필터 적용 인버터와 제안하는 필터 및 제어 방법을 적용한 인버터를 비교하며 상호작용 발생 여부 분석을 진행하였다.

표 4 상호작용 발생 여부 분석을 위한 상호작용 발생 계통 임피던스 투입 전/후 모의실험 설명표

Table 4 Grid impedance parameter table by case

분류

계통 임피던스 투입 시간

[sec]

계통 임피던스 크기 ($L_{grid}$)

[mH]

without grid impedance

0 ~ 0.5

0

with grid impedance

0.5 ~ 1

1.2

그림 12. 인버터와 계통 간 상호작용 발생 및 회피 여부 분석을 위한 모의실험 내 계통 임피던스 크기 및 투입 시간 개략도

Fig. 12. System impedance size and input time schematic diagram for analysis of the occurrence and avoidance of interaction between inverter and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12.png

5.1 LCL 필터 인버터 활용 시 불안정 공진 발생 여부 분석

LCL 필터 적용 인버터 연계계통 내 불안정 공진 발생 크기 계통 임피던스를 0.5초에 투입한 경우의 PCC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한 결과 그림 13과 같이 나타났다. 0.5초 이전인 without grid impedance 케이스에서 전압 및 전류 모두 안정적인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상호작용 발생 계통 임피던스를 투입한 이후인 with grid impedance 케이스에서는 상호작용으로 인한 불안정 공진 현상이 발생하였고 측정된 전압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 고속 퓨리에 변환) 분석을 진행하며 모의실험 내 진동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여 임피던스 기반 안정도 분석 방법과의 일치 여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림 13. LCL 필터 적용 및 가상 임피던스 미적용 인버터, 상호작용 발생 크기 계통 임피던스 투입 이후 상호작용 발생 결과 그래프 (계통 임피던스: $L_{grid}$ = 1.2 [mH] 투입 (t: 0.5 [sec]))

Fig. 13. LCL filter applied inverter, Voltage and current graph when Unstable resonance occurrence size System impedance input (System impedance = 1.2 [mH] from 0.5 [sec])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13.png

LCL 필터 적용 인버터 연계계통 내 불안정 공진 발생 크기 계통 임피던스 투입 후 FFT 분석 결과 시 약 382 [Hz] 대역 고조파 성분이 정격 전압의 약 0.34 [pu]로 나타난 것을 그림 1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에서 나타냈던 불안정 공진 발생 가능 주파수(약 390 [Hz]) 대역과 같은 주파수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그림 14. LCL 필터 적용 및 가상 임피던스 미적용 인버터, 상호작용 발생 계통 임피던스 투입 시 약 381 [Hz] 대역 상호작용 발생 결과 FFT 그래프

Fig. 14. Inverter with LCL filter and without virtual impedance applied, FFT result graph for analysis of interaction occurrence frequency band after inputting interaction generation system impedance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14.png

5.2 가상 임피던스 Case E 및 LCRL 필터 적용 인버터 활용 시 불안정 공진 발생 여부 분석

가상 임피던스가 가장 큰 Case E 및 LCRL 필터 적용 인버터 연계계통 내 불안정 공진 발생 크기 계통 임피던스를 0.5초에 투입한 경우의 PCC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한 결과 그림 16와 같이 나타났다. 그리고 그림 16을 통해 with grid impedance 케이스에서도 상호작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호작용으로 인한 불안정 공진 발생 조건을 회피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가상 임피던스가 가장 큰 Case E 및 LCRL 필터 적용 인버터 연계계통 내 불안정 공진 발생 크기 계통 임피던스 투입 후 측정된 전압에 대한 FFT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장 큰 고조파 성분은 스위칭 주파수 (1,980 [Hz]) 대역이며 이는 정격 전압 대비 약 0.072 [pu]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학술지에서 제안하는 인버터 내 가상 임피던스 제어 및 댐핑 저항을 추가한 필터를 모두 적용한 인버터의 경우, 계통과의 상호작용 발생 조건을 성공적으로 회피하며 불안정 공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림 15. 가상 임피던스 (Case E) 및 LCRL 필터 적용 인버터, 상호작용 발생 크기 계통 임피던스 투입 이후 상호작용 미발생 결과 그래프 (계통 임피던스: $L_{grid}$ = 1.2 [mH] 투입 (t: 0.5 [sec]))

Fig. 15. Inverter with virtual impedance (Case E) and LCRL filter, Voltage and current graph when Unstable resonance occurrence size System impedance input (System impedance = 1.2 [mH] from 0.5 [sec])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15.png

그림 16. 가상 임피던스 (Case E) 및 LCRL 필터 적용 인버터, 상호작용 발생 계통 임피던스 투입 시 상호작용 저감 결과 FFT 그래프

Fig. 16. Virtual impedance(Case E) and LCRL filter applied inverter, FFT result graph for analysis of harmonic frequency band generated after input of interaction generation system impedance

../../Resources/kiee/KIEE.2024.73.9.1499/fig16.png

6.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계통과 인버터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 공진 발생 조건 회피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LCL 필터의 커패시터에 댐핑 저항을 추가한 LCRL 필터 및 가상 임피던스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LCL 필터 파라미터 산정 수식을 통해 LCRL 필터 파라미터를 산정하였으며 인덕턴스 크기 여유분을 통해 인덕턴스 형태의 가상 임피던스 크기 범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파라미터를 활용하여 인버터 전달함수 분석 및 임피던스 변동분석을 진행하며 불안정 공진 발생 조건 회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PSCAD/EMTDC 환경에서 모의실험을 진행하며 LCRL 필터 및 가상 임피던스 최대 크기를 적용한 인버터의 경우에는 불안정 공진 발생 조건 회피가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LCL 필터에 댐핑 저항을 추가한다면 특정 고조파 대역에서 임피던스 크기가 증가하며 고조파 전류가 감소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본 학술지에서 소개한 형태의 가상 임피던스를 적용한 인버터 설비가 Weak grid 내 계통 임피던스로 인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RS-2024-00421642).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RS-2022-00142791) funded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MSS, Korea)

References

1 
Y. Cheng, L. Fan, J. Rose, S. H. Huang, J. Schmall, X. Wang, X. Xie, J. Shair, J.R. Ramamurthy, N. Modi, and C. Li, “Real-World Subsynchronous Oscillation Events in Power Grids With High Penetrations of Inverter-Based Resourc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8, no. 1, pp. 316-330, Jan. 2023.DOI
2 
X. Wang, and F. Blaabjerg, “Harmonic Stability in Power Electronic-Based Power Systems: Concept, Modeling, and Analysi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0, no. 3, pp. 2858-2870, May. 2019.DOI
3 
Cigre, “AC side harmonics and appropriate harmonic limits for VSC HVDC - Reference: 754,” eCIGRE, Jan. 2019.URL
4 
N. Hatziargyriou, J. Milanovic, C. Rahmann, V. Ajjarapu, C. Canizares, I. Erlich, D. Hill, I. Hiskens, I. Kamwa, B. Pal, and P. Pourbeik,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Power System Stability – Revisited & Extended,"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6, no. 4, pp. 3271-3281, July 2021.DOI
5 
M. Cespedes, and J. Sun, “Impedance Modeling and Analysis of Grid-Connected Voltage-Source Converte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9, no. 3, pp. 1254-1261, Mar. 2014.DOI
6 
S. Shah, and L. Parsa, “Impedance Modeling of Three- Phase Voltage Source Converters in DQ, Sequence, and Phasor Domains,” IEEE Transactions on Energy Conversion, vol. 32, no. 3, pp. 1139-1150, Sept. 2017.DOI
7 
D. Yang, X. Ruan, and H. Wu, “Impedance Shaping of the Grid-Connected Inverter with LCL Filter to Improve Its Adaptability to the Weak Grid Conditio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9, no. 11, pp. 5795-5805, Nov. 2014.DOI
8 
C. Zou, H. Rao, S. Xu, Y. Li, W. Li, J. Chen, X. Zhao, Y. Yang, and B. Lei, “Analysis of Resonance Between a VSC-HVDC Converter and the AC Grid,”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3, no. 12, pp. 10157-10168, Dec. 2018.DOI
9 
H. J. Yoon, S. J. Kim, H. G. Kwak, S. H. Cho, J. W. Shim, “A Study on LCL Filter Calculation for Harmonic Reduction of Grid-Connected Inverter,” KIEE Summer Conference 2023, vol. 1, no. 1, pp. 589-590, July 2023.URL
10 
A. Kouchaki, and M. Nymand, “Analytical Design of Passive LCL Filter for Three-Phase Two-Level Power Factor Correction Rectifie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3, no. 4, pp. 3012-3022, April 2018.DOI
11 
Y. Han, M. Yang, H. Li, P. Yang, L. Xu, E. A. A. Coelho, and J. M. Guerrero, “Modeling and Stability Analysis of LCL - Type Grid-Connected Inverters: A Comprehensive Overview,” IEEE Access, vol. 7, pp. 114975-115001, August 2019.DOI
12 
J. L. Agorreta, M. Borrega, J. Lopez, and L. Marroyo, “Modeling and Control of N-Paralleled Grid-Connected Inverters With LCL Filter Coupled Due to Grid Impedance in PV Plant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6, no. 3, pp. 770-785, Mar. 2011.DOI
13 
J. Sun, “Impedance-Based Stability Criterion for Grid-Connected Inverte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6, no. 11, pp. 3075-3078, Nov. 2011.DOI
14 
D. Yang, X. Ruan, and H. Wu, “Using virtual impedance network to improve the control performances of LCL-type grid-connected inverter under the weak grid condition,” 2014 APEC, pp. 3048-3054, 2014.DOI

저자소개

곽효근 (Hyo-Geun Kwak)
../../Resources/kiee/KIEE.2024.73.9.1499/au1.png

Hyo-Geun Kwak received the Bachelor degree major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angmyung University, South Korea, in 2021. He is currently pursuing Master degree in Department of Energy Grid Engineering, Sangmyung University, South Korea.

이효 (Hyo Lee)
../../Resources/kiee/KIEE.2024.73.9.1499/au2.png

Hyo Lee is currently a undergraduate student in the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angmyung University, South Korea.

심재웅 (Jaewoong Shim)
../../Resources/kiee/KIEE.2024.73.9.1499/au3.png

Jae Woong Shim received the joint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and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NSW, Australia, in 2016. He was a senior researcher in HVDC Research Center, LS Electric from 2016 to 2017. He worked at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Inje University, South Korea, between 2017 and 2021. He has been with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Sangmyu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since 2021, where he is currently leading Power System Control & Stability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