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환
(Jin-Hwan Lee)
1iD
윤한준
(Han-Joon Yoon)
2iD
김용재
(Yong-Jae Kim)
3iD
정상용
(Sang-Yong Jung)
†iD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ey words
Overhang, Shaft voltage, Wound-field rotor synchronous motor
1. 서 론
최근 국제적인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대한 보급이 꾸준히 관심을 받고 있다[1,2]. 하지만, 국제적인 무역제재와 보조금 지급 등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전기자동차의 견인 전동기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에 대한 대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핵심 부품인 영구자석은 많은 양의 공급을 특정 국가에서 담당을 하고 있으며,
가격 또한 쉽게 영향을 받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공급망에 대한 대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최근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은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를
대체하여 계자권선형 전동기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양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3,4].
과거 계자권선형 전동기가 전기자동차용 견인 전동기로 사용되었던 시점은 현재 자동차의 시스템 전압 대비 약 절반정도의 수준으로 축전압에 대한 문제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다. 하지만 최근 전기자동차의 시스템 전압은 고속 충전과 고효율화를 위해 과거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전압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축전압의
문제로부터 자유롭기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5].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용 계자권선형 전동기의 축전압의 분석과 더불어 회전자 오버행(Overhang)에 따른 축전압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형태의 전동기는 회전자의 오버행을 통해 모터의 성능을 다소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제한된 공간 안에 탑재가
되어야 하는 전기자동차용 견인전동기는 높은 토크밀도와 출력밀도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해 회전자 오버행을 적용하여 전체적인 모터의 성능을
높일 수 있지만 이러한 구조는 회전자와 고정자 엔드부 권선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축 전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이 되어있다. 먼저 전기자동차용 계자권선형 모터에 대한 설계를 수행한다. 전체적인 목표사양을 설정하여
해당 목표사양을 만족하는 전동기를 설계하고 성능을 검증한다. 두 번째로 설계된 전동기의 회전자 오버행 적용에 따른 축 전압에 대한 검토를 수행한다.
2. 본 론
2.1 전기자동차용 계자권선형 전동기의 설계
앞서 서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동차용 계자권선형 전동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델을 2가지로 구분하여 모델 1은 회전자의 오버행이
적용되지 않은 모델로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모델 2는 회전자의 오버행을 모델 1 대비 10mm 적용하여 설계를 수행하였다. 각 모델의 설계 제원 및
형상을 각각 표 1과 그림 1에 나타내었다.
표 1 전기자동차용 전동기 설계 제원
Table 1 Specifications of traction motor for electric vehicle
항목
|
단위
|
모델 1
|
모델 2
|
비고
|
목표 토크
|
Nm
|
340
|
←
|
|
목표 출력
|
kW
|
150
|
←
|
|
입력 전압
|
Vdc
|
700
|
←
|
|
전류 제한
|
Apk
|
350
|
←
|
|
극/슬롯 수
|
-
|
8 / 48
|
←
|
|
고정자 외경
|
mm
|
220
|
←
|
|
회전자 내경
|
mm
|
50
|
←
|
|
고정자 적층 길이
|
mm
|
150
|
135
|
|
회전자 적층 길이
|
mm
|
150
|
155
|
|
공극 길이
|
mm
|
0.7
|
←
|
|
고정자 전류밀도
|
Arms/mm2
|
22.7
|
←
|
|
회전자 전류밀도
|
Arms/mm2
|
15
|
←
|
|
고정자 도체 점적률
|
%
|
65
|
←
|
헤어핀 권선
|
회전자 도체 점적률
|
%
|
60
|
←
|
치 집중권(그림 1 면적 대비)
|
고정자 턴 수
|
Turns
|
8
|
←
|
병렬회로 구성 (2병렬)
|
회전자 턴 수
|
Turns
|
86
|
←
|
|
강판 사양
|
-
|
25PNX1250F
|
←
|
차량용 양산 전기강판 사양
|
출력밀도
|
kW/kg
|
4.37
|
4.59
|
Active Part 기준
|
그림 1. 설계 모델 형상 및 오버행
Fig. 1. Topology of designed model
그림 2.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토크 해석 결과 비교
Fig. 2. Torque comparison Using FEA
설계 모델의 성능 검증을 위해 부하 해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였으며, 해석을 수행한 운전점은 목표토크 340Nm를 만족시키며 목표 최대 출력을 만족시키는
기저속도에서의 해석을 수행하였다. 부하 해석의 성능 비교를 위해 토크 파형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해석 결과를 아래 그림 2에 나타내었다.
부하 해석을 비교해본 결과 두 모델의 평균토크는 모델 1과 모델 2 모두 340.7Nm의 수준으로 목표사양을 만족하는 토크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보였다.
토크 리플은 모델 1 대비 모델 2에서 다소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며, 그 결과는 각각 7.5%와 11.5%로 모델 1 대비 모델 2에서 약 4%가량의
토크리플의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두 모델의 전류 위상각은 q축을 0° 기준으로 할 때 각각 11°와 12°로 1사분면이 아닌 2사분면에 운전점이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두 모델의 자속밀도 분포도를 각각 그림 3에 나타내었다.
그림 3. 모델 1과 2의 자속밀도 분포도 비교
Fig. 3. Comparison of magnetic flux density
일반적으로 계자권선형 전동기는 아래의 수식에 따라 2사분면에서 운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6].
여기서, P는 극수를, Φf는 계자 전류에 의해 생성된 회전자의 자속을 의미한다. id와 iq는 각각 3상 상전류는 d-q변환을 통해 d축과 q축의
전류로 변환한 전류를 의미하며 Ld와 Lq는 각각 d축과 q축의 인덕턴스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계자권선형 전동기는 계자의 자속이 나오는 d축의 인덕턴스가 전기강판으로 구성되어있어 전기각 90° 차이가 나며 공기로 구성되어있는 q축
대비 d축 인덕턴스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식 (1)을 통해 토크를 계산한다면 Ld - Lq를 양수로 만들어야 자기저항토크를 양수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결과적으로 d축 전류가 음수가
아닌 양수로 인가되어야 하나 위의 해석 모델의 경우 고포화 구간에서의 동작특성으로 인해 음수의 d축 전류를 인가할 때 최대토크가 발생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회전자 강판의 고포화로 인해 q축 인덕턴스 대비 d축의 인덕턴스가 더 작은 값을 가지게 되는 이례적인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2 계자권선형 전동기의 기생커패시턴스 모델링
축전압이란 전동기의 고정자와 회전자에 생성되는 기생커패시턴스에 축적된 전하가 인버터의 공통모드에 의해 영향을 받아 회전자의 축에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을
인가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축전압은 회전자의 축과 연결되어있는 베어링에 순간적인 고전압을 인가하여 베어링 내부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데,
때에 따라 이러한 전류에 의해 베어링 내부의 윤활유와 볼의 절연이 파괴되면 윤활유가 증발하여 베어링의 소착을 발생시켜 모터가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없게 만드는 현상이다.
모터는 권선, 회전자, 고정자와 같은 도전율을 갖는 파트들이 공극, 절연지와 같은 절연물질로 인해 분리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모터
내 커패시턴스가 발생되고 이를 기생 커패시턴스라 한다. 각 파트 사이에 존재하는 기생 커패시턴스는 그림 4(a)에 나타나있으며 이를 통해 기생 커패시턴스 기반 모터 등가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해당 등가회로는 그림 4(b)와 같다[7].
그림 4. 전계적 모터 해석 단면도 및 등가회로
Fig. 4. Motor section and equivalent circuit
기생 커패시턴스 기반 등가회로를 통해 축 전압을 수식화 할 수 있고 이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VSH와 VCM는 각각 축전압과 공통모드 전압을 의미힌다. BVR(Bearing voltage ratio)은 모터 내 존재하는 기생 커패시턴스의
비율이며 이는
그림 4(b)를 통해 식
(3)으로 정리된다. BVR은 베어링에 인가되는 전압의 수준을 대표할 수 있으며 이를 낮추어 베어링의 내구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CWR, CSR 그리고 CB는 각각 권선-회전자 기생 커패시턴스, 고정자-회전자 커패시턴스, 베어링 커패시턴스를 의미한다.
CWR는 액티브 파트 권선-회전자 기생 커패시턴스 (CAWR)와 엔드 파트 권선-회전자 기생 커패시턴스 (CEWR)의 합으로 구성된다. 이 때, S는
고정자 슬롯 수, $\varepsilon_{0}$은 진공 유전율, DWR은 권선과 회전자 사이의 거리, Wso는 슬롯오프닝 너비, Lstk는 적층길이,
Le는 회전자-엔드부 권선 길이, Rs는 고정자 내경, Rw는 원점-권선 거리, Rr은 회전자 외경을 의미한다.
CSR의 경우, 회전자와 고정자라는 원통형 도체 사이의 커패시턴스로 가정하여 구할 수 있으며 슬롯 오프닝의 고려한 수식이다. 식 (3)을 통해 CWR가 감소할수록, CSR 및 CB가 증가할수록 BVR이 감소하여 축 전압을 저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축 전압 저감을 위해선 Wso을 줄이고, DWR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고정자-권선 기생 커패시턴스(CWS)은 접지와 연결되어 있어
BVR 및 축 전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베어링 커패시턴스 CB는 제품에 따라 정해지므로 설계 형상변수로 고려하지 않겠다. 단, CB값은
504.8pF으로 한다[8].
2.3 계자권선형 전동기의 오버행 적용에 따른 기생 커패시턴스의 특성 분석
앞서 기생 커패시턴스를 기반으로 1절에서 설계한 모델 1과 모델 2에 대한 축 전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엔드 파트의 전계를 고려하기위해 3D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기생 커패시턴스를 계산하였다.
표 2에서 모델별 기생 커패시턴스를 비교하였다. Model 1 대비 Model 2의 BVR 및 축전압이 91.1% 증가하였다. 이러한 축 전압 특성 악화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다. 첫 번째로 Model 2의 CWR이 Model 1 대비 67.5 % 증가한 것이다.
표 2 모델별 기생 커패시턴스 비교
Table 2 Comparison of parasitic capacitance by model
항목
|
모델 1
|
모델 2 (오버행)
|
CWR
|
9.2 pF
|
28.3 pF
|
CSR
|
414.6 pF
|
365.0 pF
|
BVR
|
0.64 %
|
7.18 %
|
축 전압
|
4.5 Vpk-pk
|
50.3 Vpk-pk
|
그림 5. 모델별 권선-회전자 전계분포
Fig. 5. Winding-rotor electric field distribution by model
두 번째 원인은 Model 2의 CSR이 Model 1 대비 13.6 % 감소된 것이다. 그림 5와 그림 6은 각각 모델별 권선-회전자 사이 전계분포, 고정자-회전자 전계분포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모델별 기생 커패시턴스 변화를 설명하겠다. 먼저, 그림 5(a)를 보면, Model 1의 경우, Model 2의 오버행 길이인 10mm가 고정자 내부에 존재한다. 해당 10mm 부분의 회전자-권선 전계는 고정자의
방해를 받게 된다. 반면, 그림 5(b)에서, Model 2는 오버행 구조로 인해 Model 1 대비 10mm만큼의 회전자가 권선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이유로 Model 1 대비, Model
2의 CWR이 증가한다. 그림 6(a)를 보면, Model 1의 경우,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 전계는 150mm의 축방향 길이를 통해 형성된다. 하지만 그림 6(b)를 보면, Model 2의 경우, 고정자가 135mm이므로 Model 1 대비,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 전계가 감소한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CSR이
감소하게 된다.
그림 6. 모델별 고정자-회전자 전계분포
Fig. 6. Stator-rotor electric field distribution by model
3. 결 론
본 논문은 WRSM의 회전자 오버행 적용 시, 전자계 및 전계 특성을 분석하여 오버행 적용에 대한 전계 측면 악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회전자 오버행은
높은 토크밀도와 출력밀도는 요구하는 전기자동차용 견인전동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전계 측면에서 보았을 때, 회전자와 권선 사이 전계분포를
높이고,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 전계 분포를 낮추기 때문에 축 전압을 증가시키고 베어링 전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버행을 적용한 모델의
축 전압이 91.1 % 증가하였다. 따라서 회전자 오버행 적용 시, 절연 베어링 및 샤프트 그라운드 링과 같은 베어링 전식 방지기술 적용검토가 필요하다.
References
G-. M. Lee, “Analysis of EV Charging Electric Load in the Carbon-free Leading Jeju
Island,” The trans. of the KIEE, vol. 72, no. 10, pp. 1190-1199, 2023.DOI:10.5370/KIEE.2023.72.10.1190
M-. S. Kwon, D-. K. Lim, and H-.U. Seo, “Design of the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for Electric Vehicles Us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The trans. of
the KIEE, vol. 71, no. 7, pp. 939-944, 2022.DOI:10.5370/KIEE.2022.71.7.939
H. Jung, T. Yu, D. Kim, S. Cho, and W. Shin, “Efficiency Optimization of e-Drive System
using WFSM for Electric Vehicle,” Korea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p. 1303-1303, 2019.
J-. H. Cho, H-. J. Yoon, S-. B. Jun, and S-. Y. Jung, “Analysis of Efficiency and
Loss Characteristics of Wound Field Synchronous Motor and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According to Operating Region,” 2022 KIEE Electric machines and
Energy Conversion Division Autumn Conference Proceedings, pp. 142-143, 2022.
Y-. K. Lee, J-. H. Im, and J. Hur, “Analysis of Common-mode Voltage and Shaft Voltage
of IPMSM According to Inverter Parameters,” The trans. of the KIEE, vol. 71, no. 1,
pp. 071-078, 2022.DOI:10.5370/KIEE.2022.71.1.071
J-. H. Cho, H-. J. Yoon, S-. B. Jun, and S-. Y. Jung, “Comparison of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Wound Field Synchronous Motor According to Pole Slot Combination,”
The trans. of the KIEE, vol. 72, no. 1, pp. 65-70, 2023.DOI:10.5370/KIEE.2023.71.1.65
J-. K. Park, T. R. Wellawatta, S-. J. Choi, and J. Hur, “Mitigation Method of the
Shaft Voltage According to Parasitic Capacitance of the IPMSM,” IEEE trans. on Industry
Application, vol. 53, no. 5, pp. 4441-4449, 2017.DOI:10.1109/TIA.2017.2717378
J-. H. Im, J-. K. Park, S-. T. Lee, C-. L. Jeong, and J. Hur, “Mitigation Method of
Shaft Voltage Based on the Variation of Parasitic Capacitance,” The trans. of the
KIEE, vol. 67, no. 4, pp. 522-530, 2018.DOI:10.5370/KIEE.2018.67.4.522
저자소개
He received the B.S. and Ph.D. degrees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University, Suwon, South Korea, in 2013, and 2018, respectively. He was
a Senior Research Engineer in the R&D Division at Hyundai-Transys.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numerical analysis and design optimization
of electric machines, development of optimization algorithm customized for electric
machines, and development on analysis precision improvement technique of electric
machines.
He received B.S degree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in 2019. He is currently pursuing a Ph.D.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esign and numerical analysis of electric machines.
He received B.S degree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in 1996 and the M.S.,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Musashi Institute of Technology, Tokyo, Japan, in 2003 and 2006, respectively. From
2006 to 2007, he was a Researcher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with the
Musashi Institute of Technology, Tokyo, Japan. He is currently an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design and analysis of electric machines.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7, 1999, and 2003, respectively. From 2003
to 2006, he was a Senior Research Engineer with the R&D Division, Hyundai Motor Company,
Korea. From 2006 to 2011, he was an Assistant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He is currently an Professor with the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numerical analysis and optimal design of
electric machines and power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