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E-mail : janghj01998@daum.net)



Balancing Hole, Harmonic, Ripple, Vibration, WFSM

1. 서 론

환경 보호와 탄소 배출 저감 친환경 정책에 따라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구동 모터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구동용 전동기는 소수의 유도전동기를 제외하면 희토류가 적용된 PMSM(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Type의 영구자석 동기전동기가 사용되고 있다. EV의 개발 및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희토류 영구자석 사용량이 급증하는데, 희토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요소들이 환경에 오히려 악영향을 준다. 따라서, 친환경 관점에 맞는 탈희토류 계열의 구동용 전동기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탈 희토류계 구동용 전동기로 희토류 완전 배제형인 계자 권선형 동기전동기(WFSM : Wound Field Synchronous Motor)가 있다. WFSM의 계자는 돌극구조를 가지며 권선이 감겨있다. 계자 권선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한 계자자속을 이용하여 PMSM의 영구자석과 같이 전자석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WFSM은 PMSM과 달리 계자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계자 인버터가 추가로 필요하다. 이때, 제어 성능 향상을 위해 계자 인버터의 부담을 줄이는 적절한 계자 권선 턴 수 및 입력전류를 선정해야 한다. 또한, 계자 권선형 동기 전동기는 PMSM과 달리 계자에 권선이 감기는 구조로, 제작성을 고려하여 회전자 Skew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전동기 운전 안정성 및 리플 등을 개선하기 위해 Skew 효과를 볼 수 있는 형상 적용이 필요하다[1,2]. 본 논문에서는 계자 인버터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계자 권선 턴 수 및 입력 전류에 따른 전자장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계자 인버터 부담을 줄임에 따라 증가한 계자 리플을 저감 및 전동기 운전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적용한 회전자 밸런싱 홀 깊이에 따른 전자장 특성 분석을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진행한다.

2. 본 론

2.1 2차원 전자장 해석 모델

표 1은 전동기 설계사양을 나타낸다. 6극 54슬롯의 극/슬롯 조합을 가지며, 4층권의 헤어핀 권선 구조이다.그림 1은 해석을 진행한 권선계자형 동기전동기의 2차원 형상이다.

그림 1. 2차원 전자장 해석 모델

Fig. 1. 2 Dimensional Electromagnetic Field Analysis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1.png

표 1 설계 사양

Table 1 Design Specifications

극 수

6

슬롯 수

54

헤어핀 층 수

4

고정자 외경

220 [mm]

회전자 외경

159 [mm]

2.2 계자 권선 사양 따른 전자장 특성

표 2는 해석을 진행한 계자 권선 사양이다.

표 2 계자 권선 사양

Table 2 Field winding specifications

Parameter

Case1

Case2

Unit

계자 권선 턴 수

136

408

Turns

권선 직경

1.4

0.85

Φ

입력 전류

30

10

A

저항 (@25℃)

3.7

34.4

권선 인덕턴스

0.58

5.25

H

계자 동손

3.33

3.4

kW

점적률

54

53.4

%

계자 권선 사양에 따른 동일 계자 기자력 발생을 위해 NI = Φ이므로 Case 1(136*30) = Case 2(408*10) = 4080을 유지하여 동일 기자력이 발생하도록 입력 전류에 따른 턴 수를 선정하였다. 턴 수에 따른 계자 동손은 제작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권선 직경을 동등 점적률로 적용함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유사한 수치이다. 하지만, Case 2가 Case 1보다 많은 계자 권선이 감기기 때문에 큰 인덕턴스가 발생한다. 식 (1)의 인덕턴스가 커지면 회로에서 전류 변화율 di/dt이 작아지기 때문에 전류 리플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류 변화에 대한 응답 속도가 느려져 시스템의 동적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가속이나 감속 시 전류가 요구되는 만큼 빠르게 변하지 않아 발생한다. 두 경우 모두 시정수는 식 (2)에 의해서 0.15676s로 동일하다.

(1)
$V=L\dfrac{di}{dt}$
(2)
$T=\dfrac{L}{R}$

두 가지의 비교 상황에서 인덕턴스가 더 큰 경우 계자 전류 리플이 작아지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전류 변화가 적어 전류가 비교적 일정하게 흐르기 때문에 저항 손실이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손실 저감으로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용 구동 모터는 응답성이 높아야 빠른 가속 및 감속이 가능하며, 운전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빠른 응답성은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급가속이나 정밀 속도제어가 필요한 상황에서 전동기의 빠른 토크 응답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용 구동 모터는 높은 주행 성능과 효율을 위해 높은 응답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그림 2. 계자 역기전력 @1,000rpm

Fig. 2. Field back-electromotive force @1,000rpm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2.png

그림 3. 계자 역기전력 FFT

Fig. 3. Field back-electromotive force FFT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3.png

그림 2는 해석을 진행한 권선 계자형 동기전동기의 Case에 따른 계자 역기전력이며, 그림 3은 계자 역기전력 FFT를 통한 고조파 분석 결과이며 (a)는 Case 1 (b)는 Case 2이다.

인덕턴스가 높을수록 시간에 따른 전류변화량이 작다. 하지만, 전동기의 응답성을 위해 요구되는 전류 변화를 만족하기 위해 더 높은 전압을 요구한다. 따라서 그림 2와 같이 리플은 작지만, 표 3의 특성과 같이 계자 전압 및 6극의 배수인 18차수의 고조파 크기가 크게 발생했다[4].

표 3 무부하 전자장 특성 비교

Table 3 Comparison of No-Load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Parameter

Case1

Case2

Unit

Speed

1,000

rpm

계자 전압

0.50

2.41

Vrms

18차수 고조파

0.64

3.28

V

표 4 부하 전자장 특성 비교

Table 4 Comparison of Load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Parameter

Case 1

Case 2

Unit

출력

230

kW

계자 전류

30

10

Adc

Speed

5,400

rpm

고정자 전류

307

Arms

토크

406.7

Nm

토크 리플

2.77

%

계자 동손

4.24

4.38

kW

효율

89.97

89.92

%

표 4은 전동기의 부하 시 특성 비교이다. 권선 턴 수 에 따른 기자력 NI = Φ이 동일 하기 때문에 동등한 전자석 역할을 한다. 그에 따른 전자장 특성은 유사하게 나타나 그림 4와 같이 (a) Case1, (b) Case2의 자속밀도가 동일한 분포를 보인다[6].

그림 4. 2차원 전자장 Field 자속밀도 분포

Fig. 4. 2 Dimensional field 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4.png

2.3 SKEW 효과 적용을 위한 밸런싱 홀 적용

밸런싱 홀(Balancing Hole)은 전동기의 회전자 코어 표면에 구멍을 뚫어 회전 시 발생하는 불균형을 보정하는 구조이다. 회전자의 불균형은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회전자의 특성 위치에 밸런싱 홀을 적용하여 질량을 조정하고 회전축에 대한 균형을 맞춘다. 이를 통해 전동기 회전 시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키고 안정성을 향상 시킨다.

계자 권선형 동기전동기의 경우 회전자에 권선이 감기는 구조로 영구자석 전동기와 같은 SKEW를 적용하는 데 있어 구조적으로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진동,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SKEW 적용의 목적인 진동, 소음 저감을 목적으로 한 형상 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회전자 코어 표면에 밸런싱 홀을 적용하여 효과를 보고자 한다. 밸런싱 홀과 회전자 SKEW는 전동기의 진동, 소음, 토크 리플을 줄이기 위한 기법이지만, 다소 차이가 있다. 회전자 SKEW는 회전자 슬롯을 축 방향으로 비틀어 배열하는 방식으로,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토크 리플과 자기적 불균형을 감소시킨다. SKEW는 특히 고조파에 의해 발생하는 불필요한 진동과 소음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반면, 밸런싱 홀은 기계적인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자에 적용하는데, 회전자의 불균형은 전동기가 고속 운전 시 축을 중심으로 불규칙한 진동을 유발한다. 밸런싱 홀은 이러한 질량 불균형을 보정하여 전동기의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진동을 줄여 균형을 맞춰준다. 밸런싱 홀과 SKEW는 각각 기계적 보정과 전기적 보정의 차이가 있지만 두 가지 방법 모두 진동, 소음을 저감한다는 결과는 같다. 따라서 SKEW를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동등한 효과를 보기 위해 그림 6과 같이 회전자 코어 표면에 밸런싱 홀을 적용하여 진동, 소음 특성을 개선하고자 한다.

그림 5는 3차원 전자장 유한요소 해석 모델이며 해석시간 단축을 위해 1/2 모델로 해석을 진행했다.

그림 5. 3차원 전자장 해석 모델

Fig. 5. 3 Dimensional Electromagnetic Field Analysis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5.png

그림 6. 회전자 밸런싱 홀 적용 형상 예시

Fig. 6. Example of Rotor Balancing Hole Application Shape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6.png

그림 7. 회전자 밸런싱 홀 적용 Case 예시

Fig. 7. Example of Rotor Balancing Hole Application Case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7.png

그림 6는 (a) 기준 모델과 (b) 회전자 표면 밸런싱 홀 적용 모델이다. 그림 7은 회전자 표면 밸런싱홀 적용 Case 예시를 나타내며, 밸런싱 홀은 제작성을 고려하여 제작 시 무게 분포와 기계적 강성을 고려 하여 선정했다. 밸런싱 홀의 길이가 길수록 더 많은 질량을 제거할 수 있어 불균형을 보정하는 데 유리해지지만, 홀 길이가 길수록 회전자의 구조적 강성이 약해질 수 있어 고속 회전 시 변형이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Main 홀의 경우 회전자 단면의 3[mm] 위치에서 안쪽으로 회전자 단면의 절반 수준인 35[mm]를 최대로 설정하여 불균형을 보정 효과가 크면서 회전자의 강성을 충분히 유지하는 절충안으로 선정하였다. 홀의 길이가 짧으면 제거되는 질량이 적기 때문에 세밀한 질량 조정에 적합하여 Sub 홀은 미세한 불균형을 보정하기 위해 구조적 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4.34[mm]를 최대로 회전자 단면의 13[mm] 위치에서 안쪽으로 적용했다. 밸런싱 홀 적용 시 적층 강판의 절연지도 고려하여야 하는데, 절연지는 적층 코의 얇은 강판 사이에 배치가 되어있어 밸런싱 홀이 적층 코어의 옆면에 적용된다면 절연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절연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밸런싱 홀 Case는 4가지 조합으로 적용 분석 진행했으며, 그림 7과 같이 (a) Main 17.5, Sub 2.17 [mm], (b) Main 35, Sub 2.17[mm], (c) Main 17.5, Sub 4.34[mm], (d) Main 35, Sub 4.34[mm]로 적용하여 유한요소 해석을 진행했다.

2.4 밸런싱 홀 적용 전자장 특성 분석

밸런싱홀 적용에 따른 무부하, 부하 전자장 해석을 진행했다. 그림 8은 계자전류 10 [Adc] 조건의 Case별 무부하 역기전력 파형이다.

그림 8. 밸런싱 홀 Case 별 무부하 역기전력(@1,000rpm)

Fig. 8. No-load back-electromotive force by balancing hole case (@1,000rpm)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8.png
그림 9 는 밸런싱 홀 적용 Case에 따른 FFT 분석 결과이다.
$THD =\dfrac{\sqrt{V_{2}^{2}+V_{3}^{2}+V_{4}^{2}+V_{4}^{2}+······+V_{n}^{2}}}{V_{1}}\times 100\%$

이를 토대로 식 (3)과 같이 THD(Total Harmonic Distortion), 전 고조파 왜율 분석을 통해 기본 주파수 성분 대비 고조파 크기를 비교하였다. THD가 낮다는 것은 기본 주파수 대비 고조파 성분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밸런싱홀 적용 시 질량 제거가 많이 된 그림 9의 (d) 와 같이 고조파 저감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그림 9. 밸런싱 홀 Case 별 무부하 역기전력 FFT

Fig. 9. No-load back-electromotive force by balancing hole case FFT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9.png

표 5 밸런싱 홀 Case 별 무부하 전자장 특성(@1,000rpm)

Table 5 No-load Field Characteristics by Balancing Hall Case (1,000rpm)

Type

역기전력 [Vrms]

THD

[%]

코깅 토크

[pk-pk Nm]

Base

44.1238

7.49

6.5529

a

44.1208

7.60(1.47%)

6.37(△2.72%)

b

44.1260

6.79(△9.35%)

6.27(△4.24%)

c

44.1541

7.50(0.13%)

5.90(△9.89%)

d

44.1085

7.13(△4.81%)

6.35(△2.97%)

그림 10. 밸런싱 홀 Case 별 코깅 토크

Fig. 10. Cogging torque by balancing hole case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10.png

밸런싱 홀 적용에 따른 특성은 Main 홀의 길이에 따라 바뀌는 자기저항에 의해 역기전력 특성에 영향이 크다. Sub 홀의 길이에 따라 회전자 질량 정밀 조정으로 인해 코깅 토크 특성에 영향이 크다. 표 4는 밸런싱 홀 Case 별 무부하 전자장 특성 결과이며, 그림 9그림 10을 통해 밸런싱 홀 적용 시 코킹 토크 및 고조파 저감 특성을 보인다. 이는 회전자 표면에 밸런싱 홀을 적용함에 따라 회전자의 질량을 조정하여 회전 불균형을 줄이고, 진동 및 소음이 감소하는 특성이 도출된다[5,7].

그림 11. 밸런싱 홀 Case 별 부하 토크(@5,400rpm)

Fig. 11. Load torque by balancing hole case (@5,400rpm)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11.png

그림 11은 계자전류 10 [Adc] 및 고정자 전류 330 [Arms] 조건의 Case 별 부하 토크 파형이다

부하 시 전자장 해석 결과 밸런싱 홀 적용 시 회전 불균형이 줄어듦에 따라 토크 리플이 저감 되었다.

표 6 밸런싱 홀 Case 별 부하 전자장 특성(@5,400rpm)

Table 6 Load Field Characteristics by Balancing Hall Case (@5,400rpm)

Type

토크 [Nm]

토크 리플 [%]

Base

394.88

5.53

a

396.57

5.35

b

396.14

5.52

c

396.44

5.32

d

395.09

5.46

전자장 Field 해석 결과 그림 12와 같이 밸런싱 홀 적용에 따른 형상 및 특성 개선에 따라 포화가 개선되어 자속밀도가 고르게 분포되는 효과를 보인다.

그림 12. 3차원 전자장 Field 자속밀도 분포

Fig. 12. 3 Dimensional field 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fig12.png

3. 결 론

친환경을 위한 탈희토류를 목적으로 한 권선 계자형 동기전동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권선 계자형 동기전동기 설계 시 운전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인버터 관점에서 제어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인덕턴스가 큰 계자 권선 설계가 이점이 있지만, 전동기 관점에서는 원활한 구동을 위해 빠른 응답성을 요구하기에 비교적 낮은 인덕턴스의 계자 권선 설계가 필요하다. 계자 권선 설계 시 전동기와 제어 인버터의 교호작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성능을 도출하는 설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또한, 계자 권선형 전동기는 계자에 권선이 감기는 구조로 소음, 진동, 고조파 저감을 위한 회전자 SKEW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회전자 코어 표면에 밸런싱 홀을 적용하여 토크 리플 및 고조파 특성이 개선됨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SKEW 적용이 어려운 구조에서 전자기적 소음, 진동 저감 효과를 밸런싱 홀 적용을 통해 동등하게 구현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Technology Innovation Program (2022014800003, Development of WFSM drive unit technology for complete exclusion of rare earths magnet) fund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Korea)

References

1 
Jun-Kyu Kang, Hong-Sik Lim, Byoung-Wook Jo, Ki-Chan Kim, “Study on Field Current Ripple Reduction of Wound Field Synchronous Motor for EV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ctrical and Electrical Society, Gyeongnam., pp. 67-69, 2017.URL
2 
Jun-Kyu Kang, Hong-Sik Lim, Byoung-Wook Jo, Ki-Chan Kim, “Performance Improvement Desig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Wound Field Synchronous Motor for EV,”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ctrical and Electrical Society, Kangwon., pp 44-45, 2018.URL
3 
Jesuk Park, Jaeyup Hwang, Dooil Son, Geunho Lee,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Harmonic Content of the Field Current,” Autumn Conference and Exhibition of the Korea Automotive Engineers Association, Jeju., pp 995-995, 2022.URL
4 
Lee Sang-hyun, “Analysis of Characteristic according to Input Current Control of Field Winding of Wound Field Synchronous Motor,” Master's Thesis, Hanbat National Univ., 2016.URL
5 
Kyongho Kang, Hyunick Kim, Sukjin Yu, “Improvement of noise and vibration by reduction of excitation force of electric motor for EV b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ctrical and Electrical Society, Kangwon., pp 873-874, 2019.URL
6 
Park Gyu-Sung, “A Study on the High Performance Control of Winding-Type Synchronous Motor for Electric Power Vehicles,”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 2018.URL
7 
Lee Choong-hee, Kim Ki-ch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ynchronous motor harmonics of the field winding type,” Papers of the Korean Society of Electrical Society, North Gyeongsang Province., pp 1222-1223, 2022.URL

저자소개

장홍재(Hong-Jae Jnag)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au1.png

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2023) and is currently pursuing a master's degree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김기찬(Ki-Chan Kim)
../../Resources/kiee/KIEE.2024.73.12.2211/au2.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6, 1998, and 2008, respectively.

He worked at Hyundai Heavy Indystries from 1998 to 2005.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