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Republic of Korea.)



Electric Railway, Stem-insulator, Insulation distance, Polymer insulator, Leakage distance

1. 서 론

교류 25kV AT방식 전차선로 애자는 현수애자, 장간애자, 지지애자로 분류되고 총 17종의 애자가 있으며, 애자의 재질은 Glass, Ceramic, Polymer가 사용되고 있다.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에는 정격전압 27.5kV계통 절연등급 46kV급 유리재 장간애자 등이 설치되었다. 경부고속철도 2단계 및 호남고속철도 전차선로에는 새로 개발된 고분자재 애자로 모두 변경되었다. 특히 가동브래킷용 장간애자는 유리재 애자의 demension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기적 성능을 향상시킨 Polymer재 장간애자(T-mx)가 설치 되었다.

경부고속철도 1단계 전차선로 보호방식은 기존 운영중인 일반철도와 다른 매설접지선에 의한 통합접지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이는 일반철도에 설치된 애자와 전기적 공간거리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고속철도 1단계 구간에 설치된 유리재 애자의 국내 수급 어려움 등의 단점을 보완하고 전기적 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새로운 애자 개발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후 경부고속철도 2단계 및 호남고속, 수도권 고속철도에 적용되었다. 또한 준고속형 전차선로(Cako250 : Catenary of Korean 250km/h) 가동브래킷 장간애자는 기존 일반철도 장간애자에 있는 지락도선부를 제외한 애자(T-ms)를 적용하였다[1]. 그로인하여 기존 장간애자 보다 절연거리가 짧아진 형태의 장간애자에서 섬락사례가 더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고속철도용 장간애자(T-mx)의 경우 철도현장에서 전기적 절연성능 향상 요구가 계속되고 있는 상항이다[1-2]. 본 논문에서는 교류 전차선로 장간애자의 종류별 형식별 명칭의 배경을 알아보고 고속철도용 고분자 장간애자(T-mx, T-ms) 절연성능 향상 요구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격 절연등급에 대한 절연거리(섬락거리 및 연면거리)에 대하여 설계 적합성을 분석하고, 전계분포 상태를 확인하여 보았다.

2. 본 론

2.1 장간애자 종류별 형식별 명칭

교류 25㎸전차선로에는 현주애자, 지지애자 등 다향한 형식의 애자가 있으나, 여기서는 장간애자만 형식별 명칭을 표 1에 나열하였다[3].

전차선로 장간애자는 T-a, T-b, T-c, T-m 등 형식이 있으며,

표 1 AC 25kV 전차선로용 장간애자 형식별 명칭

Table 1 Type-Mark of Stem-insulators for AC 25㎸ Catenary

Insulator

Type

English-Mark

Material(purpose)

Stem Insulator

Ø 254×4

Glass Stem Insulator

Glass Ø 49 Movable BK(High-speed Line)

T-m

Type-Metro Stem Insulator

Porcelain,Composite

(Conventional Line)

T-mx

Type-Metro eXpress

Stem Insulator

Composite

(High-speed Line)

T-ms

Type-Metro Small

Stem Insulator

Composite

(Cako 250, LET BK)

T-a

Type-a

Stem Insulator

Porcelain

(Movable BKTensile)

T-b

Type-b

Stem Insulator

Porcelain(Movable BKCompression)

T-c

Type-c

Stem Insulator

Porcelain

(Anchoring-Tensile)

T-d

Type-d

Stem Insulator

Porcelain

(Sectioning Device)

N-a

Type New-a

Stem Insulator

Composite

(Anchoring-Tensile)

N-b

Type New-b

Stem Insulator

Composite

(Compression)

본 논문에서는 고분자 장간애자(T-m, T-ms, T-mx)에 대해서만 다루고자 한다. T-m형 장간애자는 1970년 6월 직통운전을 위한 수도권 전철화 계획이 확정되면서 상부가 파이프형태인 새로운 규격의 가동브래킷이 설계 되면서 수도권형으로서 명칭도 Metropolitan의 Metro에서 “m”이 사용된 T-m형으로 명명 되었다[3].

고속철도용 고분자 장간애자의 설치는 그림 1과 같다. 형식별 명칭 T-mx에서 “x”는 고속(eXpress)을 의미하며, 구조도는 그림 2와 같다. 또한 준고속 전차선로 Cako 250km/h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같이 제시된 고분자 장간애자 T-ms는 그림 3과 같으며, 그림 4에 있는 지락도선 설치부(C-D구간)가 제외된 것으로 그만큼 작아진 형태의 애자로서 “s”는 Small (작은)을 의미한 것이다[1,3].

그림 1. 고속철도 가동브래킷 유리재 장간애자(1단계)

Fig. 1. Glass stem Insulator(High-Speed Line First phase)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1.png

그림 2. 고속철도용 고분자 장간애자(T-mx) 구조도

Fig. 2. Stem Insulator(T-mx) structural assembly for High-speed Railway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2.png

그림 3. Cako250가동브래킷 장간애자(T-ms) 외형도

Fig. 3. Cako250 Movable bracket stem insulator(T-ms) demensions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3.png

그림 4. 일반철도용 장간애자(T-m)(지락도선 설치부) 외형도

Fig. 4. Ground wire device unit stem insulator(T-m) dimensions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4.png

고분자 장간애자인 N-a 및 N-b는 각각 인장용과 항압용으로 가동브래킷트의 T-a 및 T-b에 각각 교체 적용이 가능한 사양이다. N-a의 경우는 현재도 일반 및 고속철도의 인류개소에 많이 사용되는 애자 형(type)이다[3].

2.2 애자의 절연거리 설계 및 계산

2.2.1 25kV 전차선로 절연협조

애자의 설계는 전차선로에 사용되는 전기설비와의 상호 절연협조와 뇌 임펄스 절연레벨(BIL : Basic lightning Impulse Insulation Level)을 고려하여야 한다. 교류 25㎸ 전차선로의 설비별 절연강도 비교는 그림 5와 같으며 피뢰기의 충격 제한전압이 140㎸, 변압기 등 변전기기의 절연강도는 200㎸, 전차선로의 250mm 현수애자는 중오손 지역을 고려한 설계에 따른 50%충격 섬락전압은 355kV이며 장간애자의 경우 380kV이다. 전기철도 시스템은 수전으로부터 부하 말단의 전기차까지 절연강도는 전기차의 변압기를 최저 레벨로 하고 다음으로 변전 및 전력기기, 이어서 가장 많은 설비인 애자의 절연강도를 크게 하여 전체 절연 설계가 수행된다[4] .

그림 5. 25㎸ 교류 전철설비의 절연협조

Fig. 5. Insulation coordination of ac 25kV catenary facilities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5.png

애자의 설계는 섬락특성을 고려한 섬락거리(Clearance) 산정과 공해 및 염해지역의 오손특성을 고려한 연면거리(Creepage distance) 산정이 있으며, 이 개념은 서로 절연되어야 할 부분의 상호간 거리를 말한다. 그림 6에서와 같이 섬락거리는 두 도전체 간의 공간에서 최단거리(점선)이며, 연면거리는 두 도전체 간에 절연성 재료 표면의 최단거리를 말한다[5].

그림 6. 애자의 섬락거리 및 연면거리 산출 방법

Fig. 6. Clearance and creepage distance of insulators calculated method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6.png

섬락거리는 뇌 임펄스 절연레벨(BIL)에서 적합한 섬락 전압치를 만족하는 거리를 산정하며, 표면 연면거리는 KS C IEC TS 60815-3에서 권고하는 설계기준 및 고려사항에 따라 설계하고 계산한다. 교류 25kV 전차선로 대지간 회로 연속 최고전압 27.5[kV]의 경우 BIL은 외부 또는 내부회로에서 피뢰기로 보호되는 조건(OV3)에서 250[kV]이며, 애자의 절연등급은 IEEE 48에 의하면 46[kV]이다[6-7]. 애자의 섬락거리 및 연면거리 표시는 그림 7의 구조도와 같다.

그림 7. 애자의 섬락거리 및 연면거리 표시

Fig. 7. Clearance of insulator and creepage distances show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7.png

2.2.2 고분자 애자의 섬락특성 절연 설계

애자의 섬락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유효 절연거리, 섬락거리, 금구의 선단부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실험에 의한 자료에 의하면 단위 섬락거리 당 뇌충격 섬락전압은 0.63㎸/㎜, 상용주파 건조 섬락전압은 0.41㎸/㎜로 얻어졌으며, 대략 8%의 오차를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AC 25㎸ 장간애자의 소요섬락거리 계산값은 표 2에서와 같다[3,8].

표 2 장간애자의 뇌임펄스 레벨과 소요 섬락거리

Table 2 Stem Insulator flashover distance calculation takes

항 목

절연등급(애자)

뇌임펄스 절연레벨(㎸)

(BIL 건조파고값)

소요섬락거리

(㎜)

비고

46㎸(장간애자)

250 이상

429 이상

46㎸(지지애자)

250 이상

429 이상

위 와 같이 절연등급 레벨에 의한 대한 최소 섬락거리(㎜)는 다음 식 (1)과 같이 계산된다[8].

(1)
$F_{l}=\dfrac{BIL[k V]}{0.63[k V/mm]}\times 1.08(허용오차)$

여기서, $F_{l}: 최소 섬락거리[mm]$

$BIL : 뇌 임펄스 절연레벨[k V]$

즉, 절연등급 46㎸급 장간애자 소요 섬락거리는 250㎸/0.63 [㎸/㎜]×1.08=429㎜이상으로 계산된다. 이 값은 한국철도표준규격(KRS PW 0055)에서는 385mm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9], 고속철도에 적용된 장간애자(T-mx)는 국내 제작사별로 차이가 있으나 최소값은 442mm 이상이다.

2.2.3 고분자 애자의 오손특성 절연 설계

애자의 오손 섬락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형상에 관련된 항목으로 갓 간의 최소거리, 갓 간 거리와 갓 돌출부의 비, 누설거리와 경간의 비, 갓 상단부의 기울기, 그리고 전체 형상에 영향을 주는 연면거리 계수(C.F : creepage factor)와 형상계수(P.F : Profile Factor) 등이 있다. 즉, 애자의 표면이 어느 정도의 발수성을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애자 표면의 표면 도전도 또는 등가염분 부착밀도(ESDD :Equivalent Salt Deposit Density), 애자의 섬락거리 및 연면거리, 갓의 직경과 형상 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KS C IEC 60815-3 에서는 전술한 요소에 대하여 권고하는 입장이며, 각 오손 등급에 대하여 연면거리계수나 상당 연면거리를 정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따라 형상을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교류 25㎸ 전차선로 장간애자에 대하여 연면거리를 계산해 보았다. 여기서 연면거리 계수가 오손 등급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오손도(SPS Class)가 a일 때 C.F.는 3.5이하, e일 때 C.F.는 4.0이하이다. 최소 공칭 연면거리(㎜)는 다음 식 (2)와 같이 계산된다[3].

(2)
$C_{f}= C_{l}\times K_{v}\times K_{d}$

여기서, $C_{f}: 애자 연면거리[mm]$

$C_{l}: 규정 연면거리(SCD)[mm/k V]$

$K_{v}: 상간최대전압(절연등급,\: I nsulation class)[k V]$

$K_{ad}: 애자 지름에 대한 보정계수$

$․ 애자의 평균직경(Dm)이 300mm > Dm : 1.0$

$300mm\le Dm\le 500mm : 1.1$

$500mm < Dm : 1.2$

고분자 장간애자(T-mx)의 설계된 규정 연면거리(SCD)를 산출해 보면, 1,410㎜ / (46㎸ × 1.0) = 30.65㎜/㎸ 이다. T-mx애자의 평균 직경 Dm은 (큰 갓지름+ 작은갓 지름 + 심재지름×2)/4이므로 (155+125+52×2)/4 = 96mm이다. 또한 AC 25kV 전차선로의 공칭 선간전압은 대지전압과 동일하다.

즉, 산출된 SCD 값을 KS C IEC TS 60815-1:2008(부속서J)에 의하여 비교하면 오손등급은 오손 심함(d-Heavey) 및 규정 연면거리(SCD) 25mm/kV 이상으로 “매우심함(very heavy)”에 근접하는 설계라 할 수 있다[3,10]

2.3 설계 결과 적합성 검토

고분자 장간애자(T-mx)에 대하여 교대 갓(Shed)의 높이(돌출)의 비, 갓 간 연면거리 대 이격거리(섬락거리) 비, 교대 갓 및 돌출의 비, 갓간 최소거리, 연면거리 계수 등을 KS C IEC TS 60815-3에 의하여 검토하였다.

2.3.1 shed 간극에 대한 Shed 높이(돌출) 의 비

장간애자(T-mx)의 갓 간격 대 갓 돌출은 지름이 동일한 연속한 갓에서 유사한 두 지점간 수직거리(갓 간격)와 최대 갓 돌출의 비(rate)이다. 이 변수는 갓간 최소거리, 연면거리 여유 및 연면지수에 기술된 변수는 갓 간 간격과 관련이 있으며, 갓 간 아크로 의해 교락된 연면거리 “단락(shorting out)”을 방지한다[10].

그림 8의 T-mx의 몸체 지름은 49±1mm이며 갓 간 거리는 60mm, 갓의 높이는 51.5[mm]이다. 갓 하부에 주름이 없는 형상으로 애자의 갓의 돌출 비율(s/p)은 60/51.5 = 1.165로 계산되며 0.75보다 크므로 표 3에서와 같이 만족(None)함을 알수 있다.

표 3표 4에서 Major은 중대한 이탈, Minor은 미미한 이탈, None는 정상범위를 각각 나타낸다.

그림 8. 갓 간극에 대한 갓 높이(돌출) 의 비(p : s)

Fig. 8. Ratio of shed height(overhang) to shed clearance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8.png

표 3 갓 간극에 대한 갓 높이(돌출) 의 비

Table 3 Ratio of shed height(overhang) to Shed clearance

Deviation for s/p

Insulators with shank diameter ≤ 110mm

Shed with under ribs

Major

Minor

None

Shed without

under ribs

Major

Minor

None

s/p

0.4

0.5

0.6

0.7

↑ 0.8

0.9

1

2.3.2 섬락거리 대 연면거리의 비

그림 9에서 $d$는 절연 부분의 두 지점 사이 또는 절연 부분의 한 지점과 금속 부분의 다른 지점간 직선 거리이며 $l$은 위 두 지점 사이에서 측정된 연면거리의 일부이다. 이때 $l/d$는 모든 단면에 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이다[10].

연면거리 대 이격거리는 건조대 또는 불균일한 발수성이 발생할 때 아크에 의한 교락 위험도를 더 국지적인 확인이다. 또한 이는 형상이 깊고 좁은 단면에서 오손물이 국부적으로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중요하다. 표 4에서과 같이 연면거리대 이격거리의 편차($l/d$)를 계산해 보면$(l_{1}+l_{2})/(d_{1}+d_{2})= 3.3$으로 4.5보다 작으므로 정상범위 임을 알수 있다.

그림 9. 연면거리 대 갓 간 이격거리

Fig. 9. Creepage vs. Shed Separation Distance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9.png

표 4 연면거리 대 갓 간 이격거리 편차

Table 4 Creepage vs. Shed Separation Distance Deviation

Deviation for

All profiles

None

Minor

Major

l/d

0

2

3 4

5

6

7

2.3.3 교대 갓 돌출의 비, 갓간 최소거리 연면거리 계수

T-mx의 교대 갓(shed) 돌출의 비, 갓간 최소 거리, 연면거리계수(CF)에 대한 검토 결과는 표 5와 같으며 모두 검토기준에 만족하였다.

표 5 장간애자(T-mx)의 항목별 검토 결과

Table 5 Review results of Stem insulator(T-mx)

항목

검토기준[10]

검토결과

비고

교대갓 돌출의 비

(갓 직경 200mm이하)

$p_{1}-p_{2}\ge 0.18 p_{1}$

51.5-36.5>0.18×51.5

15 > 9.27mm

None

갓간 최소거리(C)

None 40mm이상

40 < 56

None

연면거리계수(CF)

CF =$I /A$

= 4.5 이하

1430 / 460 = 3.1

None

* 장간애자(T-mx) : 큰 갓 길이 51.5mm, 작은 갓 길이 36.5mm, 큰갓간 거리 56mm , 연면거리(I) 1,430mm, 섬락거리(A) 460mm

2.4 고분자 장간애자의 전계 분포

2.4.1 전계 분포 해석 지배방정식

애자에 대한 전계 분포 해석은 절연재료가 갖고 있는 전기적인 특성의 이해와 제품에 대한 구조설계가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

애자는 축을 둘러싼 원형 형태의 대칭 절연체이므로 전기 포텐셜의 정전계 시뮬레이션을 풀기 위해서는 축대칭 정전계를 표현하는 수식으로부터 문제를 해석해야 한다. 이는 가우스의 법칙과 페러데이 법칙으로부터 유도하여 이끌어 낼수 있다. 애자는 정전계 문제이므로 다음과 같은 멕스웰방정식으로부터 지배방정식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페러데이법칙과 가우스법칙으로부터 각각 식 (3), 식 (4)과 같다. 가우스 법칙에서 식 (4)는 닫혀진 곡면에 대하서 그 곡면을 지나는 전기력선의 수(전기장)와 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의 전하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물리 법칙이다[11-12].

(3)
$\nabla\times\vec{E}= 0$
(4)
$\nabla\times\vec{D}=\rho$

여기서, $\vec{E}$는 전기장의 세기, $\vec{D}$는 전속밀도, ρ는 전하 밀도이다. 이때 전속밀도와 전계의 세기 상관관계는 이들 사이의 유전율 ε을 이용하여 식 (5)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vec{D}=\epsilon\vec{E}$

또한 식 (3)과 식 (4)를 동시에 풀기 위하여 전기스칼라포텐셜(Electric Scalar Potential) φ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식 (5)로 부터$\nabla\times(-\nabla\phi)= 0$이므로 전기장의 세기는 식 (6)로 나타낼수 있다.

(6)
$\vec{E}= -\nabla\phi$

위 식들을 정리하면 애자를 해석하기 위한 정전계에서 전자기 지배방정식은 식 (7)와 같이 된다.

(7)
$\nabla ·(\epsilon\nabla\phi)= -\rho \\\\\nabla ·(\epsilon_{\gamma}\epsilon_{0}\nabla\phi(x,\: y))= -\rho(x,\: y)$

여기에서 : $ \phi(x,\: y)= 전기스칼라포텐셜 $

$ \epsilon_{\gamma}= 비유전율(유전상수,\: 상대유전율) $

$ \epsilon_{0}= 진공에서 유전율(8.8854\times 10^{-12}F/m) $

$\rho(x,\: y)= 전하밀도$

위 식은 포아슨방정식(Poisson’s Equation) 형태의 편미분방정식이다. 애자의 형태에 있어서 축대칭 3차원 문제로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축대칭 정전계를 표형하는 수식으로 고려할 수 있다. 축대칭 원통 좌표계에서 전기스칼라 포텐셜 ∅는 $\hat{\phi}$ 방향성분만 존재하므로 2차원(r,z)좌표에만 고려하면 식 (8)과 같다.

(8)
$\dfrac{1}{\gamma}\dfrac{\delta}{\delta\gamma}(\gamma\epsilon\dfrac{\delta\phi}{\delta\gamma})+\dfrac{\delta}{\delta z}(\epsilon\dfrac{\delta\phi}{\delta z})= -\rho_{s}$

위 식 (8)에 유한요소법을 적용하면 식 (9)과 같은 전기스칼라포텐셜 $\phi$ 에 대한 대행행렬방정식이 얻어진다.

(9)
$[K][\phi]=[Q]$

한 요소내 임의의 점에서 요소행렬, 요소 전기스칼라포텐셜, 요소 구동항 $[\phi]^{e}$, $[K]^{e}$, $[Q]^{e}$는 식 (10), 식 (11), 식 (12)와 같이 얻어진다.

(10)
$\phi =\sum_{i=1}^{n_{e}}\phi_{i}^{a}N_{i}(r,\: z)$

(10)에서 $N_{i}(r,\: z)$는 요소내 I번째 절점에서 정의된 형상함수, $\phi_{i}$는 요소내 I번째 절점에서의 전기스칼라포텐셜이다.

(11)
$K_{ij}^{e}=\int_{Q_{e}}\epsilon(\dfrac{\delta N_{i}}{\delta r}\dfrac{\delta N_{j}}{\delta r}+\dfrac{\delta N_{i}}{\delta z}\dfrac{\delta N_{j}}{\delta z})2\pi rd rdz$
(12)
$Q_{i}^{e}=\int_{Q_{e}}\begin{aligned}\rho_{s}N_{i}2\pi r d rd z\end{aligned}$

$여기서,\: n_{e}: 한 요소에 정의된 절점 갯수$

$\phi_{i}^{e}: i 절점에서의 전기스칼라 포텐셜$

$N_{i}: i절점에서 정의된 형상 함수$

이제 유한요소망으로부터 식 (11)의 행렬과 식 (12)의 벡터를 구하고 모든 요소에 대하여 식 (9)의 대형행렬방정식을 구하여 계산하면 각 절점에서 전기스칼라포텐셜을 구할 수 있다[11-12].

2.4.2 장간애자 MESH분할 및 해석 조건

본 논문에서는 장간애자의 전계 분포에 대하여 T-mx와 갓(Shed)의 배치가 유사한 준고속형 CaKo250 가동브래킷 장간애자(T-ms)에 대하여 P기술연구소에 의뢰하여 검토해 보았다. 전차선로 가동브래킷용 장간애자 전계 분포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계프로그램 FEMM 4.2를 이용하였으며, 유전체 분석조건은 표 6과 같다. 절연체의 유전율은 전압 인가시 전하를 유기할 수 있는 정도를 정량화한 수치를 말하는데 재질별 유전율은 FRP가 가장 높다. 진공의 유전율은 $\epsilon_{0}= 8.855\times 10^{-12}F/m$ 이다. 유전체의 유전율과 진공유전율의 비 $\epsilon /\epsilon_{0}=\epsilon_{r}$로 표시되는 것을 비유전율이라 한다. 대상 장간애자의 모델링 및 Mesh분할은 DXF 파일을 이용하여 해석 모델을 입력하였으며, 유한요소법을 이용하기 위해 Auto Mesh Generator로 삼각요소를 나누었다.

표 6 유전체 요소 분석 조건 및 Node수

Table 6 Dielectric constant Analysis Condition and Nomber of Nods

Characteristic

Value

Applied Voltage

25kV/50kV

Permittivity

SILICON

3.2

FRP

4.0

AIR

1.0

Node(ea)

23,970

2.4.3 애자의 전계강도 측정위치 및 기준

EPRI report #1015917의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표 7에서와 같이 폴리머 애자의 Wet corona Type의 Sheath부 최대 전계강도는 0.42kV/mm 이하로 권고하며, 금구부 최대 전계강도 참고치는 0.35kV/mm를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애자에서 측정 위치는 그림 10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금구부에 대한 최대 전계강도는 적절한 전계 값에 대하여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참고치라 표기 하였다.

표 7 EPRI의 고분자 애자의 전계 제한값 권고사항

Table 7 In summary the EPRI** recommendations on Electric field limits for Polymer Insulator

Type

Insulator component

E-Field limit[kV/mm]

Testing

Calculation

A

Dry corons

End fittings corona Rings

1.7-2.1*

Yes

Yes

B

Wet corona

Sheath

0.42 for more than 10 mm

No

Yes

End Fitting seal

0.35*

No

Yes

* Note : At present there are not yet consensus on an appropriate value and they are therefore still under review.

**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미국전력연구소

그림 10. EPRI report 권고 Sheath부와 금구부 전계강도 측정위치

Fig. 10. Field strength measurement position of the sheath and metal (EPRI Report)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10.png

2.4.4 전계 분포 해석

전차선로 장간애자를 샘플로 전계 분포를 보면 충전 가압부가 전계가 가장 높게 분담되고 지지점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나타난다. 장간애자 Sheath부와 금구부에 공칭전압 25kV 및 최대 50kV인가시 전계 분포에 대하여 ETRI에서 지정한 시험 위치(금구부와 절연체 Sheds 접속부)에서 전계 강도값을 검토하였다.

먼저Sheath부에 25kV인가시 최대 전계강도는 그림 11에서와 같이0.17kV/mm (1.700×105×0.000001 kV/mm, 그래프 좌 우측 상단값)로 나타났으며, 계통의 절연등급(46kV) 이상의 전압 50kV인가시에는 그림 12에서와 같이 0.40kV/mm로 측정되어 EPRI 권고치인 0.42kV/mm이하로서 설계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장간애자 금구부에서 전계 분포는 그림 13, 그림 14와 같으며 공칭전압 25kV인가시 최대 전계강도는 0.18kV/mm 로서 0.35kV/mm*이하로 분석되었고 계통 절연등급(46kV)이상인 50kV로 인가시는 금구부의 전계 집중으로 0.47kV/mm 로 측정되었으나 RTRI에서는 금구부에 대한 제한값은 참고치로 표 7에 Note되어 있다.

그림 11. 장간애자 25k인가시 Sheath부의 전계강도 분포

Fig. 11. Electric field intensity of sterm insulator sheath 25kV applied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11.png

그림 12. 장간애자 50k인가시 Sheath부의 전계강도 분포

Fig. 12. Electric field intensity of sterm insulator sheath 50kV applied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12.png

그림 13. 장간애자 25kV인가 시 금구부의 전계강도 분포

Fig. 13. Electric field intensity of sterm insulator Metal 25kV applied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13.png

그림 14. 장간애자 50kV인가 시 금구부의 전계강도 분포

Fig. 14. Electric field intensity of sterm insulator Metal 50kV applied

../../Resources/kiee/KIEE.2025.74.4.705/fig14.png

3. 결 론

교류 25kV 전차선로용 장간애자의 다양한 형식별 명칭의 배경을 이해할 수 있으며, 경부고속철도 300km/h급 전차선로 설계프로그램(Lexcat)에 따라 경부고속철도 1단계에 적용된 외산(外産) 유리제 애자와 동일한 demension으로 개발한 고분자 장간애자(T-mx)의 애자의 섬락거리 및 오손특성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연면거리 대 갓 간 이격거리, 연면거리 계수 등 모든 기준에 만족한 값으로 설계 되었음을 재 확인 하였다.

또한 준고속형(CaKo250) 장간애자(T-ms)의 전계 분포의 검토에서도 시험전압 25kV 및 50kV에서 Wet corona Type의 Sheath 및 금구부 최대 전계강도를 확인한 결과 RTRI권고치에 만족하였으며 T-mx에서도 유사한 전계 분포가 예상되며 교류 25kV 전차선로시스템에 전기적 성능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일부 문헌에는 한국과 유럽에서 적용하는 BIL과 중국 및 일본에서 적용하는 BIL이 일부 상이한 점을 들고 있는데 국내 철도운영기관의 요구에 대하여 철도선로 전차선 애자의 전기적 절연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대안 애자 절연설계 모델을 마련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KNR, Development of Catenary System CaKo 250km, Final Report, The first Volume, pp. 171~173, 2008.URL
2 
KORAIL, Report of Technical Advisory on Current Issues of Insulator for Electric Railways, pp. 3, 2015.URL
3 
Hae-Won Lee, “A Study on the High-Seed Catenary System Polymer Insulat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la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sis of Master's degree, pp. 14~27, pp. 47, 2010.URL
4 
I. K. Kang, “Electric Railway System Engineering,” Sungandang, pp. 322~329, 2002.URL
5 
EN 50124-1, Railway applications-Insulation coordination Part 1 : Basic requirements-Clearances and creepage distances for all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pp. 32~34, 2005.URL
6 
IEEE 48, Test Procedures and Requirements for AlternatingꠓCurrent Cable Terminations Used on Shielded Cables Having Laminated Insulation Rated 2.5 kV through 765 kV or Extruded Insulation Rated 2.5 kV through 500 kV, pp. 19~21, 2020.URL
7 
KS C IEC 62497-1, Railway application-Insulation coordination -Part 1: Basic requirement-Clearances and creepage distances for all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pp. 8, pp. 20, 2013.URL
8 
KNR, Final Report on Research Service on Countermeasures to Minimize Lightning damage on Catenary, pp. 511, 2021.URL
9 
KRS PW 0055-09, Polymeric composite stem insulator for cantilever/HSL, pp. 3, 2009.URL
10 
KS C IEC TS 60815-3, Selection and Dimensioning of High-Voltage insulators intended for use in polluted condition, pp. 13~20, 2008.URL
11 
M. K. An, E. H. Jeong, K. H. Jeon, D. J. Kim, J. N. Kim, “Electric Field Analysis on Porcelain Insulator using FEM,” KIEE Autumn Conference Collected Paper, p. 1, 2012.URL
12 
H. B. Lee, I. H. Park, S. Y. Han, “Shape Optimum Design of Ceramic Insulator using FEM,” KIEE, vol. 47, no. 9, pp. 1~2, 1998.URL

저자소개

이해원 (Hae-Won Lee)
../../Resources/kiee/KIEE.2025.74.4.705/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the Wonkwang University, in 1994. Obtained an electric railway professional engineer(PE) in 2003. M.S., Completed of doctoral studies,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2010, 2013.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Visiting professor, Dept. of Railway Electrical, Woosong College

Tel : 042-629-6367.

E-mail : Lhw312@wsi.ac.kr

최장영 (Jang-Young Choi)
../../Resources/kiee/KIEE.2025.74.4.705/au2.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 from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03, 2005, and 2009, respectively. From Jan. 2009 to Aug. 2009. He was a senior researcher in Halla Climate Control Corp.

From 2019 to 2020, he was visiting scholar at Portland State University, Portland, OR. He is currently professor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el : 042-821-7610

Email : choi_jy@c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