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Republic of Korea.)



Artificial Bee Colony, High Renewable Energy Penetration, Multi-Terminal DC, Optimization, Voltage Stability

1. 서 론

본 논문에서는 재생에너지가 높은 비율로 사용되는 전력망에서 multi-terminal DC (MTDC) 시스템의 최적 연계 위치와 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TDC는 여러 개의 전력 전자 장치가 하나의 DC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중 지점 간 전력을 상호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된 재생에너지로 인한 지역 간 전력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MTDC의 최적 배치 방법을 제안한다. MTDC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Artificial Bee Colony (ABC)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MTDC의 배치 방안을 최적화함으로써 전압 변동률과 선로 손실을 줄이고 경제적인 MTDC 용량 산정을 목표로 한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논의가 확산됨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1,2]. 2023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에서는 130개국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용량을 3배로 늘리고, 에너지 효율성을 두 배로 향상시키는 목표에 대해 공동으로 서약하였다[3]. 이러한 국제적인 약속을 바탕으로 2023년 전 세계 재생에너지 설치 용량은 전년 대비 36% 증가하여 473 GW에 도달했다. 대한민국 역시 2034년까지 재생에너지 설치 용량을 전체 설비 용량의 22.2%에 해당하는 80.8 GW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4].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전환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5.9% 감축하는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할 계획을 추진 중이다[5].

그러나,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가속화는 전력 계통의 안정적인 운영, 잉여 전력의 타 지역 수송, 전력망 보강, 그리고 계통의 유연성 확보와 관련된 여러 도전 과제를 야기한다. 이는 재생에너지가 석탄화력 발전과 달리 높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관성으로 인해 전력망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의 경우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의 입지에 대한 제약이 크다. 수도권은 전력 부하가 집중되어 있지만, 추가적인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건설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서해안 지역은 대규모 설비 설치가 가능하나, 전력 수요가 낮아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에너지 전환의 가속화로 인해, 전력 공급 지역과 소비 지역 간의 불균형이 커지며, 이로 인한 송전 손실, 전압 변동성, 그리고 잉여 전력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수송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DC 송전은 장거리 대용량 전력 전송에 매우 효율적이며,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로 제안되고 있다[6]. 초기에는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point-to-point (P2P) 방식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 전력 전자 장치의 성능 향상과 더불어 DC 계통의 안정적이고 유연한 제어를 위해 MTDC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MTDC 시스템이 P2P 방식보다 더 효율적이고 유리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7]. 현재, 독일의 Heide, 영국의 Caithness Moray, 덴마크의 Bornholm Energy Island, 이탈리아의 Hypergrid 해상 프로젝트와 같은 다양한 MTDC 프로젝트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이다[8].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 계통에서 MTDC 시스템 적용을 위해 다양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한국에서의 호남 지역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재생에너지 발전력을 효율적으로 수송하기 위한 MTDC의 운전점 s산정 방법이 제안되었다[9]. 재생에너지 비율 증가로 인한 지역 간 전력 불균형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MTDC를 활용하여 지역 간 전력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제어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10]. 또한, AC 계통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규모 재생에너지를 연계하는 MTDC 시스템에서 전압 드룹 제어 방법이 제시되었으며[11], MTDC의 PI 매개변수와 같은 제어기 파라미터 선정을 위한 ACO (Ant Colony Optimization) 기반 최적화 방법이 제안되었다[12]. MTDC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신호 동역학 모델링 및 최적 제어 파라미터 선정 방법도 제안되었다[13]. MTDC 시스템에서 고장 발생 시 보호 동작의 신뢰도와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국부 측정 신호의 변화율을 활용한 보호 알고리즘이 제안되었으며[14], MTDC의 정류 실패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부분적 디블로킹 기반의 고장 차단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15]. MTDC 시스템의 주파수 제어를 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졌으며[16], MTDC를 통해 여러 해상풍력단지를 연계하고, 주파수 안정화를 위한 분산 협력 제어 기법을 적용하는 연구도 수행되었다[17]. 더불어, AC/DC 통합 계통에서 MTDC가 연계된 상황을 고려한 전력 조류 해석에 관한 연구[18], 하이브리드 MTDC 연계 계통에서의 최적 주파수 제어 방법에 관한 연구[19], 그리고 MTDC 시스템의 고장 분석을 위한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HILS) 연구가 수행되었다[20]. MTDC 시스템과 보조 설비를 통합하여 대규모 재생에너지 설비의 융통 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도 진행되었다[21,23].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주로 MTDC의 전압 및 주파수 제어 전략과 제어 파라미터 최적화를 통한 제어 성능 개선 및 안정성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계통 계획을 위한 MTDC의 최적 연계 위치와 용량을 결정하여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운영하는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논문의 주요 기여는 다음과 같다:

• 본 논문은 높은 비율의 재생에너지가 연계된 전력망에서 MTDC의 최적 위치와 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ABC 알고리즘을 활용한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여,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최적의 MTDC 용량과 위치를 도출한다.

• 본 논문에서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조의 MTDC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에서 마스터 컨버터는 DC 전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고, 슬레이브 컨버터는 전력 제어를 통해 MTDC를 통한 전력 송전이 유연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 본 논문은 다목적 함수를 고려한 MTDC의 최적 연계 방안을 제안한다. 전압 변동률, 선로 손실, 그리고 설치 용량에 대한 가격으로 구성된 다중 목적 함수를 기반으로, 경제적인 MTDC 용량을 산정하고 전압 변동률 및 선로 손실을 줄여 전력 계통의 운영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2. Multi-Terminal DC Systems

2.1 Multi-Terminal DC 시스템 구성

MTDC의 구성도는 그림 1에 나타내었다. MTDC는 여러 개의 DC 컨버터가 하나의 DC 계통을 통해 상호 연결된 구조로, 다중 지점 간 전력 전송이 가능하다[7]. MTDC는 고압 직류 송전 (HVDC, High-Voltage DC)의 확장된 형태로, 특히 재생에너지 자원이 분산된 지역과 여러 부하 지역 간의 전력 불균형을 하나의 통합된 DC 계통으로 연결하여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MTDC의 주요 장점은 높은 효율성과 유연성에 있으며, 여러 개의 컨버터 간 동시 전력 송전이 가능하므로 전력 흐름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AC 계통과의 상호 연결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지원하며, 전력 손실이 적어 장거리 송전에서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 MTDC의 운전 특성으로는 DC 전압 제어와 전력 흐름 제어가 주로 이루어지며, DC 그리드 내의 전압 안정성을 유지하고 각 변전소 간의 유효 전력 분배를 조정하는 것이 핵심이다[23].

그림 1. Multi-Terminal DC 구성도

Fig. 1. Configuration of multi-terminal DC systems

../../Resources/kiee/KIEE.2025.74.8.1281/fig1.png

2.2 Multi-Terminal DC 시스템 전압 제어

본 논문은 중앙 집중식 마스터-슬레이브 제어 방법을 적용한 MTDC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마스터-슬레이브 제어는 하나의 마스터 컨버터를 선택하여 DC 계통의 전압을 제어하고, 다른 슬레이브 컨버터의 유효 전력을 위한 DC 전압 프로파일을 제공한다[24].

마스터 컨버터의 DC 전압 제어 다이어그램은 그림 2에 제시되어 있으며, MTDC의 DC 전압 편차에 대한 제어는 식 (1),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25,26].

(1)
$V_{DC}=\dfrac{3\sqrt{2}}{k\pi}\overline{V}_{AC}\cos\beta +d_{x}I_{DC}$
(2)
$\triangle V_{DC}=\dfrac{3\sqrt{2}}{k\pi}\overline{V}_{AC}\sin\beta\dfrac{d}{dt}\beta$

여기서 $V_{DC}$, $\triangle V_{DC}$는 DC 전압과 편차를 의미한다. $\overline{V}_{AC}$는 AC 측 선간 전압 실효값을 의미하며, $k$, $\beta$는 각각 1차 측 컨버터 변압기의 턴 수, extinction angle을 의미한다. $d_{x}$는 commutation reactance를 나타낸다.

(2)에서 $\beta$는 일반적으로 90$^{\circ}$미만으로 제한되며, 변화 폭이 크지 않으므로 $\sin\beta$는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26]. 따라서 DC 전압 제어는 PI 제어를 통해 생성되는 $\beta$를 통해 컨버터 제어 신호 ($\alpha$, firing angle)를 생성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림 2. 마스터 컨버터 DC 전압 제어 다이어그램

Fig. 2. DC voltage control diagram of master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25.74.8.1281/fig2.png

2.3 Multi-Terminal DC 시스템 유효전력 제어

슬레이브 컨버터의 유효전력 제어 다이어그램은 그림 3에 나타내었다. 그림 3에서 $p^{*}$는 슬레이브 컨버터의 유효전력 레퍼런스로, 슬레이브 컨버터가 송전해야 하는 유효전력을 의미한다. 슬레이브 컨버터는 마스터 컨버터에서 제어되는 DC 전압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유효전력 제어와 전압 의존형 전류 제한기 (VDCOL, Voltage Dependant Current Order Limiter)를 통해 전류 레퍼런스를 생성한다. 이 신호는 슬레이브 컨버터의 현재 전류와 비교되어 PI 제어기를 거쳐 최종적으로 컨버터 제어 신호 ($\alpha$)를 생성하여 유효전력을 제어한다. 본 논문에서 슬레이브 컨버터는 역률이 1로 운전되도록 유효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림 3. 슬레이브 컨버터 전력 제어 다이어그램

Fig. 3. Power control diagram of slave converter

../../Resources/kiee/KIEE.2025.74.8.1281/fig3.png

2.4 AC/DC 통합 계통 전력 조류 계산

MTDC 시스템이 연계된 AC 전력 계통에서, 각 모선에서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은 식 (3), 식 (4)로 계산되는 전력 조류 방정식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MTDC를 통해 구성된 DC 계통의 전력 조류는 식 (5)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3)-(5)를 이용하여 MTDC가 결합된 AC/DC 통합 전력 계통에서 전력 조류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25].

(3)
$p_{i}^{G}-p_{i}^{L}-p_{i}=V_{i}\sum_{j=1}^{N_{bus}}V_{j}\left(G_{ij}\cos\delta_{ij}+B_{ij}\sin\delta_{ij}\right)$
(4)
$q_{i}^{G}-q_{i}^{L}-q_{i}=V_{i}\sum_{j=1}^{N_{bus}}V_{j}\left(G_{ij}\sin\delta_{ij}-B_{ij}\cos\delta_{ij}\right)$
(5)
$p_{i}=V_{DC,\: i}\sum_{j=1}^{N_{i n v}}V_{DC,\: j}Y_{ij}$

여기서 $p_{i}^{G}$, $q_{i}^{G}$는 버스에 주입되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p_{i}^{L}$, $q_{i}^{L}$는 버스에서 소비되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의미한다. $G_{ij}$, $B_{ij}$는 AC 계통의 컨덕턴스와 서셉턴스를, $Y_{ij}$는 DC 계통의 컨덕턴스를 의미한다. $V_{i}$는 AC 계통 전압, $V_{DC,\: i}$는 DC 계통 전압을 의미하며 $\delta_{ij}$는 위상각을 나타낸다. $N_{bus}$, $N_{i n v}$는 모선 개수, MTDC 컨버터 개수를 의미한다. $p_{i}$, $q_{i}$는 MTDC 연계 지점에서 컨버터의 유효전력, 무효전력을 의미하며 MTDC가 연계되지 않은 지점에서는 0으로 정의할 수 있다.

3. Multi-Terminal DC 시스템 배치 최적화

3.1 목적함수

본 논문은 MTDC를 연계하여 전력 계통의 전압 변동률을 개선하고, 송전 전력 손실을 줄임과 동시에 MTDC의 경제적인 용량을 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다목적 함수에서 고려되는 인덱스는 전압 변동률 인덱스 (VDPI, Voltage Deviation Profile Index), 전력 손실 인덱스 (LPLI, Line Power Loss Index), 용량 패널티 인덱스 (CPI, Capacity Penalty Index)이며, 각각 (6)-(8)로 정의할 수 있다.

(6)
$VD\Pi =\sum_{i=1}^{N_{bus}}\sqrt{\left(V_{rated}-V_{i}\right)^{2}}$
(7)
$LPLI=\sum_{ij\in\sigma(l)}I_{ij}^{2}\left(G_{ij}+B_{ij}+Y_{ij}\right)$
(8)
$C\Pi =\sum_{k=1}^{N_{i n v}}\chi S_{k}$

여기서 $V_{rated}$는 정격 전압을 의미한다. $\sigma(l)$은 계통 선로 집합을 의미한다. $\chi$는 인버터 가격을 의미하며 $S_{k}$는 인버터 용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덱스는 p.u., MVA, KRW의 다양한 단위로 계산되며, 값의 크기 또한 $10^{-2}-10^{8}$으로 매우 상이하다. 이로 인해 특정 인덱스가 다목적 함수에서 지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최적화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식 (9)와 같이 min-max scaler를 사용하여 각 인덱스를 0과 1 사이의 값으로 정규화 하였다[27]. 정규화된 인덱스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다중 목적함수는 식 (10)와 같이 정의된다.

(9)
$\hat{y}=\dfrac{x_{i}-\min(X)}{\max(X)-\min(X)}$ for $\forall i$, $x_{i}\in X$
(10)
$f(\Lambda ,\: \rho)=\hat{VD\Pi}+\hat{LPLI}+\hat{C\Pi}$
여기서 $\Lambda$는 MTDC 연계 위치 집합, $\rho$는 MTDC 용량을 의미한다.

3.2 제약함수

최적의 목적함수를 구하기 위해 MTDC의 연계 위치 및 용량을 산정할 때, 여러 제약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먼저, 식 (11)과 같이 연계되는 모선의 수는 전체 모선 개수를 초과할 수 없으며, 각 인버터의 송전 전력 합은 식 (12)를 만족하여 MTDC 선로의 용량을 넘지 않아야 한다. 또한, MTDC의 송전 전력과 수전 전력 사이에는 식 (13)으로 표현되는 전력 균형을 만족해야 하며, 전력은 식 (14)와 같이 각 MTDC 컨버터의 용량을 초과할 수 없다.

(11)
$\Lambda\subset[1,\: 2,\: \cdots ,\: N_{bus}]$
(12)
$\Sigma_{k=1}^{N_{i n v}}p_{k}\le\rho$ where $p_{k}> 0$ for $\forall k$
(13)
$p_{1}+p_{2}+\cdots +p_{N_{i n v}}=0$
(14)
$\left | p_{k}\right |\le S_{k}\le S_{\max}$ for $\forall k$

여기서 $p_{k}$는 MTDC 컨버터의 송전 전력을 의미하며 $S_{\max}$는 컨버터의 최대 용량을 의미한다.

3.3 Artificial Bee Colony 알고리즘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목적함수와 복잡한 제약함수로 구성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타휴리스틱 기반의 artificial bee colony (ABC)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ABC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해, 최적화 대상이 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food sources를 식 (15)와 같이 초기화한다.

(15)
$\psi_{ij}=\psi_{j,\: \min}+\theta_{0}\left(\psi_{j,\: \max}-\psi_{j,\: \min}\right)$
여기서 $\psi_{ij}$는 food sources를 의미하며 $\psi_{j,\: \max}$, $\psi_{j,\: \min}$은 food sources의 최대, 최소 탐색 공간을 의미한다. $\theta_{0}$는 0과 1 사이의 난수를 의미한다.

Employed bee phase에서는 employed bee가 각 food source를 기준으로 식 (16)과 같이 neighbor source를 탐색한다. 이 단계에서는 food source의 주변 영역을 조사하고 식 (17)을 기반으로 목적함수에 대한 적합도를 판단한다. 탐색한 neighbor source가 기존 food source보다 적합도가 높을 경우, 식 (18)에 따라 해당 food source를 neighbor source로 업데이트한다. 이 과정을 통해 ABC 알고리즘은 food source를 개선하여 더 나은 해를 탐색한다.

(16)
$\phi_{ik}=\psi_{ik}+\theta_{1}\left(\psi_{ik}-\psi_{jk}\right)$
(17)
$f_{i}=\dfrac{1}{f\left(\psi_{i}\right)}$
(18)
$\psi_{i}=\phi_{i}$ if $fit_{\phi_{i}}>fit_{\psi_{i}}$

여기서 $\phi_{ik}$는 neighbor sources를 의미하며 $\theta_{1}$은 -1과 1사이의 난수를 의미한다. $fit_{i}$는 적합도를 의미한다.

Onlooker bee phase에서는 employed bee가 탐색한 food source의 적합도를 기반으로 식 (19)를 통해 확률분포를 생성한다. Onlooker bee는 이 확률에 따라 임의의 food source에 배정되어 (16)-(18)을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onlooker bee는 확률적으로 더 높은 적합도를 가진 탐색 공간에서 더 많은 neighbor source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최적해로 수렴하게 된다.

(19)
$p_{i}=\dfrac{fit_{i}}{\sum_{n=1}^{SN}fit_{n}}$

여기서 $p_{i}$는 food source의 배정 확률을 의미하며, SN은 벌의 수를 의미한다.

Scout bee phase는 탐색 과정에서 다양성을 유지하고, 알고리즘이 지역 최적해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onlooker bee가 개선할 수 없다고 판단한 food source를 포기하고, 식 (15)를 통해 새로운 탐색 공간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scout bee는 알고리즘이 새로운 탐색 영역에서 해를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전역 최적해를 찾을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한다.

그림 4. Multi-Terminal DC 배치 최적화 플로우차트

Fig. 4. Optimal allocation method flowchart for multi- terminal DC

../../Resources/kiee/KIEE.2025.74.8.1281/fig4.png

3.4 MTDC 최적 위치 및 용량 산정 알고리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MTDC 최적 배치를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 플로우차트는 그림 4에 나타내었다. 알고리즘의 초기 단계에서는 MTDC의 최적 연계 위치와 용량을 포함하는 food source가 식 (15)를 통해 임의의 해 공간에서 초기화된다. 이후, 초기화된 위치와 용량을 바탕으로 MTDC가 전력 계통에 연계되며, 식 (3)~(5)를 이용하여 MTDC가 포함된 AC/DC 통합 전력 계통의 전력조류가 계산된다.

MTDC의 최적 배치를 위한 ABC 최적화 알고리즘의 employed bee phase에서는, 식 (10)으로 정의된 목적함수를 기준으로 식 (16)을 통해 현재 MTDC의 위치와 용량에 대한 최적해보다 더 나은 적합도를 갖는 이웃해를 탐색한다. 식 (17)을 기준으로 현재의 최적해와 이웃해의 적합도를 비교하고, 이웃해의 적합도가 더 높을 경우 식 (18)과 같이 기존 MTDC의 최적 위치와 용량을 이웃해로 대체한다.

Employed bee phase를 통해 탐색된 현재의 최적해는 onlooker bee phase에서 식 (19)로 정의된 확률 분포를 기반으로 적합도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식 (16)~(18)의 과정을 통해 이웃해 탐색을 다시 수행한다. 또한, 여러 차례 개선되지 않는 해에 대해서는 scout bee phase를 적용하여 최적의 MTDC 위치 및 용량을 탐색함으로써 최적 해를 도출한다.

ABC 알고리즘을 활용한 MTDC의 최적 위치 및 용량 탐색 과정은 반복 횟수를 만족할 때까지 더 나은 목적함수를 충족하는 최적의 MTDC 용량 및 연계 위치를 탐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ABC 알고리즘은 전압 안정화, 선로 손실,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최적의 MTDC 연계 위치 및 용량을 산정한다. 최적해 도출을 위한 최적화 과정은 식 (20)으로 표현된다.

(20)
$\arg\min_{\Lambda, P} \; f(\Lambda, P) \\ \text{s.t. } (11) - (14)$

4. 실험 결과

4.1 시뮬레이션 설계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IEEE-30 버스 테스트 계통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림 5에 나타내었다. IEEE-30 버스 테스트 계통의 발전기 파라미터는 표 1에, 부하 파라미터는 표 2에 정리되었다. IEEE-30 버스 테스트 계통의 총 유효전력 부하는 283.4 MW이며, 이 중 150 MW는 재생에너지에서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테스트 계통은 전체 전력의 53%가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공급되는 높은 재생에너지 비율로 운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MTDC 모델은 3-terminal로 구성되어 있으며, MTDC 모델, 최적화를 위한 목적함수와 제약함수, ABC 알고리즘에 사용된 파라미터는 표 3에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MTDC 모델링과 AC/DC 전력망의 조류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PSS/E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그림 5. IEEE-30 버스 테스트 계통

Fig. 5. IEEE-30 bus test grid

../../Resources/kiee/KIEE.2025.74.8.1281/fig5.png

표 1 IEEE-30 버스 테스트 계통 발전기 파라미터

Table 1 Generator parameters of IEEE-30 bus test grid

Bus

$V_{set}$

Unit

$P^{G}$

$Q_{\min}^{G}$/$Q_{\max}^{G}$

1

1.060 pu

SG1

97.5 MW

-100/150 Mvar

2

1.045 pu

SG2

40.0 MW

-40/50 Mvar

5

1.010 pu

PV1

95.0 MW

PF=1

8

1.010 pu

SC1

-

-10/40 Mvar

11

1.082 pu

PV2

55.0 MW

PF=1

13

1.071 pu

SC2

-

-6/24 Mvar

* SG : Synchronous Generator, SC: Synchronous Compensator, PV: Photovoltaic

표 2 IEEE-30 버스 테스트 계통 부하 파라미터

Table 2 Load parameters of IEEE-30 bus test grid

Bus

$V$ $P^{L}$ $Q^{L}$

1

132 kV

-

-

2

132 kV

21.7 MW

12.7 Mvar

3

132 kV

2.4 MW

1.2 Mvar

4

132 kV

7.6 MW

1.6 Mvar

5

132 kV

94.2 MW

19.0 Mvar

6

132 kV

-

-

7

132 kV

22.8 MW

10.9 Mvar

8

132 kV

30.0 MW

30..0 Mvar

9

1 kV

-

-

10

33 kV

5.8 MW

2.0 Mvar

11

11 kV

-

-

12

33 kV

11.2 MW

7.5 Mvar

13

11 kV

-

-

14

33 kV

6.2 MW

1.6 Mvar

15

33 kV

8.2 MW

2.5 Mvar

16

33 kV

3.5 MW

1.8 Mvar

17

33 kV

9.0 MW

5.8 Mvar

18

33 kV

3.2 MW

0.9 Mvar

19

33 kV

9.5 MW

3.4 Mvar

20

33 kV

2.2 MW

0.7 Mvar

21

33 kV

17.5 MW

11.2 Mvar

22

33 kV

-

-

23

33 kV

3.2 MW

1.6 Mvar

24

33 kV

8.7 MW

6.7 Mvar

25

33 kV

-

-

26

33 kV

3.5 MW

2.3 Mvar

27

33 kV

-

-

28

132 kV

-

-

29

33 kV

2.4 MW

0.9 Mvar

30

33 kV

10.6 MW

1.9 Mvar

표 3 시스템 파라미터 [26]

Table 3 System parameters [26]

Parameter

Value

Parameter

Value

$V_{DC}$

150 kV

$V_{rated}$

1.02 p.u.

$R_{DC}$

0.434 Ω

$SN$

30

$L_{DC}$

0.008 H

Max. iter.

100

Length

10 km

$\chi$

400e3 KRW/kVA

$N_{i n v}$

3

$S_{\max}$

50 MVA

$N_{b u s}$

30

$N_{l i n e}$

37

4.2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최적화 방법을 통해 산출된 MTDC의 최적 위치 및 용량은 그림 6에 나타냈다. 최적화 결과, 30번 모선에 DC 전압 제어용 컨버터가 연계되었으며, 11번 모선과 26번 모선에는 전력 제어용 컨버터가 연계되었다. 또한, MTDC의 용량은 비용과 계통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18MW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11번 모선의 컨버터는 18MW의 전력을 송전하는 rectifier로 동작하며, 26번 모선과 30번 모선의 컨버터는 각각 6MW와 12MW의 전력을 수전하는 inverter로 동작한다. 30번 모선에 연결된 DC 전압 제어 컨버터는 150.08kV의 DC 전압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MTDC 전압을 제어하고 있다.

그림 6. Multi-Terminal DC 최적 연계 위치 및 최적 용량

Fig. 6. Optimal location and capacity of multi-terminal DC

../../Resources/kiee/KIEE.2025.74.8.1281/fig6.png

기존 높은 비율의 재생에너지 기반 테스트 계통과 MTDC가 최적 위치 및 용량으로 연계된 테스트 계통의 전압 변동률 인덱스 (VDPI), 선로 손실 인덱스 (LPLI)를 비교한 결과는 그림 7에 제시되어 있다. 기존 계통에서는 VDPI가 0.45 p.u., LPLI가 26.50 MVA로 나타났으나, MTDC가 연계된 후에는 VDPI가 0.33 p.u., LPLI는 21.47 MVA로 개선되었다. 이를 통해 전압 변동률과 선로 손실이 각각 26.7%, 19.0%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7. 전압 변동률 인덱스와 선로 손실 인덱스 비교

Fig. 7. Comparison of VDPI and LPLI

../../Resources/kiee/KIEE.2025.74.8.1281/fig7.png

모든 모선에서의 전압 프로파일을 비교한 결과는 그림 8에 나타냈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MTDC를 연계한 후의 전압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빨간색 선은 기존 재생에너지 기반 테스트 계통의 전압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파란색 선보다 $V_{rated}$ 근처에서 더 고르게 분포하며, 전체 계통에서의 전압 변동률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5번-30번 모선에서 나타나던 계통의 최저 전압이 0.983 p.u.에서 0.997 p.u.로 개선되었으며 제안하는 방법이 최저 전압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을 통한 MTDC 설치가 높은 비율의 재생에너지 기반 계통에서 전압 안정성과 선로 손실 절감을 통해 운영 효율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8. 전압 프로파일 비교

Fig. 8. Comparison of voltage profiles

../../Resources/kiee/KIEE.2025.74.8.1281/fig8.png

그림 9는 재생에너지 용량 증가에 따른 MTDC 연계 여부에 따른 전압 변동률 인넥스와 선로 손실 인덱스의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RE Case의 경우, 재생에너지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전압 변동률 지수가 0.45 p.u.에서 최대 0.93 p.u.까지 증가하는 반면, MTDC Case에서는 최대 0.38 p.u.로 유지되어 전압 변동률 지수를 최대 59.14% 개선되었다. 또한, 선로 손실 지수의 경우 RE Case에서는 재생에너지의 비율 증가에 따라 손실이 170.43 MVA까지 증가하였으나, MTDC 연계 계통에서는 133.83 MVA까지 증가하며, 최적의 MTDC 용량 및 배치를 통해 선로 손실 지수를 21.48% 개선하였다.

그림 9. 재생에너지 비율에 따른 MTDC 연계의 전압 변동률 및 선로 손실 지수 비교

Fig. 9. Comparison of VDPI and LPLI with MTDC integration under renewable energy penetration

../../Resources/kiee/KIEE.2025.74.8.1281/fig9.png

5. 결 론

본 논문은 재생에너지 침투율이 높은 전력망에서 MTDC 시스템의 최적 연계 위치와 용량 배치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ABC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해 전압 변동률과 선로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비용을 고려한 최적의 MTDC 위치와 용량을 산정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연계된 MTDC는 DC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전력을 송전하고, AC 계통에서 발생하는 전압 변동률과 선로 손실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30번 모선에 연계된 MTDC의 DC 전압 제어 컨버터를 통해 DC 계통 전압을 150.08 kV로 안정적으로 유지했으며, 11번과 26번 모선에 연계된 MTDC의 전력 제어 컨버터를 통해 11번 모선에서 송전된 18 MW의 전력이 26번과 30번 모선에 각각 6 MW와 12 MW로 배분되어, 지역 간 전력 불균형이 해소되도록 운영되었다. 또한, MTDC의 용량을 경제성을 고려해 최적화한 결과, 송전에 필요한 18 MW의 최적 MTDC 용량이 도출되었으며, MTDC 시스템을 설치한 후 전체 계통의 VDPI는 26.7% 개선되었고, LPLI는 19.0% 개선되었다. 또한, 전체 계통의 최소 전압도 0.983 p.u.에서 0.997 p.u.로 향상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재생에너지 비율 증가 시, 제안된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산정된 MTDC의 최적 용량과 위치를 적용한 결과, 기존 교류 계통 대비 전압 변동률이 최대 59.14% 감소하고 선로 손실이 21.48% 감소하며, 특히 재생에너지 침투율이 증가할수록 MTDC의 안정화 효과가 더욱 확대되었다. 따라서, 재생에너지 침투율이 높은 전력망에서 MTDC 시스템은 전압 안정성, 송전 관리를 통한 선로 손실 개선, 잉여 전력의 지역 간 수송을 통한 전력 수급 균형에 매우 효과적임을 입증했으며, MTDC 연계 위치와 용량이 전력 계통의 효율적인 운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선로 길이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반영하지 않았으며, LCC 기반 MTDC를 대상으로 하여 무효전력 고려에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계통의 지리적 조건에 따른 MTDC의 선로 비용, 무효전력 영향을 반영하여 VSC 기반 MTDC의 최적 위치와 용량을 산정하는 보다 실용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재원으로 “신안 및 서남권 해상풍력의 계통 수용성 및 수송능력 향상을 위한 GW급 전압형 DC 연계 기술 개발 (R22TA12)” 과제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S. Jeon and S. Bae, “Integrated Active/Reactive Power Control Energy Management System in Power-Gas Sector Coupling Microgrids,” 2024 KIEE Summer Conf., pp. 471-472, July. 2024.URL
2 
S. Jeon and S. Bae, “Balance Control of Micro-Grid Operating Cost and ESS Life Stability Using Lyapunov Optimization-Based Energy Balancing EMS Algorithm,” Trans. Korean Inst. Elec. Eng., vol. 73, no. 4, pp. 662-670, Apr. 2024. DOI:10.5370/KIEE.2024.73.4.662DOI
3 
Renewable Energy Policy Network for the 21st Century (REN21), “Renewables 2024 Global Status Report: Global Overview,” 2024.URL
4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The 10th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Basic Plan (2022-203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2023URL
5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st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Framework Plan for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April. 2023.URL
6 
L. Liu, A. Lekić and M. Popov, “Robust traveling wave-based protection scheme for multi terminal dc grids,” IEEE Trans. Power Deliv., vol. 38, no. 5, pp. 3117-3129, April. 2023. DOI:10.1109/TPWRD.2023.3265748DOI
7 
G. Shafique, J. Boukhenfouf, F. Gruson, S. Samimi, F. Colas and X. Cuillaud, “Small signal analysis of DC voltage control based on a virtual resistance of DC/DC converter integrated in a multiterminal DC grid,” IET Gener. Transm. Distrb., Sep. 2024. DOI:https://doi.org/10.1049/gtd2.13262DOI
8 
J. C. Ramos, M. Moritz, N. Klötzl, C. Nieuwenhout, W. L. Garcia, I. Jahn, D. Kolichev and A. Monti, “Getting Ready for Multi-Vendor and Multi-Terminal HVDC Technology,” Energies, vol. 17, no. 10, May. 2024. DOI:https://doi.org/10.3390/en17102388DOI
9 
H. Woo, S. Kim, J. Kwak and S. Choi, “A Framework for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Operating Point of Multi-Terminal DC for Transfering Surplus Power in Honam Area,” 2024 KIEE Summer Conf., pp. 660-661, July. 2024.URL
10 
O. E. Oni and O. M. Longe, “Analysis of Secondary Controller on MTDC Link with Solar PV Integration for Inter-Area Power Oscillation Damping,” Energies, vol. 16, no. 17, pp. 6295, Aug. 2023. https://doi.org/10.3390/en16176295DOI
11 
G. Lee, D. Kwon and S. Moon, “DC Current and Voltage Droop Control Method of Hybrid HVDC Systems for an Offshore Wind Farm Connection to Enhance AC Voltage Stability,” IEEE Trans. Energy Convers., vol. 36, no. 1, pp. 468-479, Mar. 2021. DOI:10.1109/TEC.2020.3005777DOI
12 
A. Ahmad, S. A. R. Kashif, A. Nasir, A. Rasool, S. Liaquat and S. Padmanaban, “Controller Parameters Optimization for Multi-Terminal DC Power SYstem Using Ant Colony Optimization,” IEEE Access, vol. 9, pp. 59910-59919, Apr. 2021. DOI:10.1109/ACCESS.2021.3073491DOI
13 
C. Guo, P. Cui and C. Zhao, “Optimization and Configuration of Control Parameters to Enhance Small-signal Stability of Hybrid LCC-MMC HVDC System,” J. Mod. Power Syst. Clean Energy, vol. 10, no. 1, pp. 213-221, Feb. 2021. DOI:10.35833/MPCE.2020.000354DOI
14 
K. Liu, X. Yang, Y. Li and J. Wang, “Study of protection for serial multi-terminal DC grids,” J. Int. Counc. Electr. Eng., vol. 8, no. 1, pp. 71-78, May. 2018. DOI: https://doi.org/10.1080/22348972.2018.1466560DOI
15 
O. E. Oni, A. G. Swanson, and R. Sarma, “Line Commutated Converter Response during Total and Partial De-Blocking of a Bipolar MTDC System,” Int. J. Eng. Res. Afr., vol. 52, pp. 49-61, Jan. 2021. https://doi.org/10.4028/www.scientific.net/JERA.52.49DOI
16 
G. Lee, D. Kwon, Y. Kim and S. Mon, “A New Communication-Free Grid Frequency and AC Voltage Control of Hybrid LCC-VSC-HVDC Systems for Offshore Wind Farm Integration,” IEEE Trans. Power Syst., vol. 38, no. 2, pp. 1309-1321, Mar. 2023. DOI:10.1109/TPWRS.2022.3171964DOI
17 
Y. Xiong, W. Yao, Y. Yao, J. Fang, X. Ai and J. Wen, “Distributed Cooperative Control of Offshore Wind Farms Integrated via MTDC System for Fast Frequency Support,” IEEE Trans. Ind. Electron., vol. 70, no. 5, pp. 4693-4704, May. 2023. DOI:10.1109/TIE.2022.3183355DOI
18 
J. Seo, G. Lee, Y. Kim and S. Moon, “Study on National Grid Simulation with PSS/E-Linked Python MTDC Grid Model,” 2021 KIEE Fall conf. Power Syst. Res. Comm., pp. 237-238, Apr. 2021.URL
19 
J. Kim and Y. Kim, “Optimal Frequency Control of Hybrid MTDC-linked Grids,” 2022 KIEE Summer Conf., pp. 519-520, July. 2022.URL
20 
T. Park, S. Park, D. Lee and R. Kim, “Development and Control of a VSC-HVDC Analysis Model for the West Coast and Fault Characteristic Analysis,” 2024 KIEE Summer Conf., pp. 492-493, July. 2024.URL
21 
D. Kim, J. Lim, S. Bae and J. Kwak, “A Study on Enhancement Available Transfer Capability Using HVDC and FACTS in the Integration Large-Scale Offshore Wind Farm,” 2023 KIEE Summer Conf., pp. 433-434, July. 2023.URL
22 
D. Lee, D. Kim, S. Jeon and S. Bae, “A Study on the Algorithm for Optimal Location and Capacity Determination of BESS to Enhance Hosting Capacity for Large-Scale Wind Farms Integration,” 2024 KIEE Summer Conf., pp. 511-512, July. 2024.URL
23 
L. Zhang, Y. Zou, J. Yu, J. Qin, V. Vital, G. G. Karady, D. Shi and Z. Wang, “Modeling, Control, and Protection of Modular Multilevel Converter-based Multi-terminal HVDC Systems: A Review,” CESS. J. Power Energy Syst., vol. 3, no. 4, pp. 340-352, Dec. 2017. DOI:10.17775/CSEEJPES.2017.00440DOI
24 
K. Rouzbehi, A. Miranian, J. I. Candela, A. Luna and P. Rodriguez, “A Generalized Voltage Droop Strategy for Control of Multiterminal DC Grids,” IEEE Trans. Ind. Appl., vol. 51, no. 1, pp. 607-618, Jan./Feb. 2015. DOI:10.1109/TIA.2014.2332814DOI
25 
M. Baradar, M. R. Hesamzadeh and M. Chandhari, “Modelling of Multi-Terminal HVDC Systems in Optimal Power Flow Formulation,” 2012 IEEE Electr. Power Energy Conf., London, ON, Canada, Oct. 2012.DOI
26 
P. Zhan, C. Li, J. Wen, Y. Hua, M. Yao and N. Li, “Research on hybrid multi-terminal high-voltage DC technology for offshore wind farm integration,” J. Mod. Power. Syst. Clean Energy., vol. 1, no. 1, pp. 34-41, June. 2013. DOI:10.1007/s40565-013-0011-5DOI
27 
S. Jeon and S. Bae, “Data-Driven Electrolyzer Modeling: Adaptive Model Considering Operating Conditions using K-means Clustering,” 2023 11th Int. Conf. Power Electron. and ECCE Asia (ICPE-ECCE Asia)., pp. 2455-2460, Jeju, South Korea, May. 2023. DOI:10.23919/ICPE2023-ECCEAsia54778.2023.10213623DOI

저자소개

전승찬(Seungchan Jeon)
../../Resources/kiee/KIEE.2025.74.8.1281/au1.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Electrical Engineering, in 2020.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Ph.D. degree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renewable energy sources, hydrogen system, and AI applications to control systems.

장문석(Munseok Chang)
../../Resources/kiee/KIEE.2025.74.8.1281/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Energy Engineering, in 2017.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Ph.D. degree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energy management systems, renewable energy, and hydrogen systems in microgrid applications.

배성우(Sungwoo Bae)
../../Resources/kiee/KIEE.2025.74.8.1281/au3.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and his M.S.E.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USA, in 2006, 2009, and 2011, respectively. From 2012 to 2013, he was a Senior Research Engineer at the Power Center,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Since 2017, he has been a Professor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박성준(Seongjun Park)
../../Resources/kiee/KIEE.2025.74.8.1281/au4.png

He received his B.S., M.S degree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aegu Catholic University, South Korea, in 2017 and 2019, respectively. He is presently an researcher in KEPCO Resear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