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Republic of Korea.)
  2. (Dongwoo Electric R&D Center, Republic of Korea. E-mail : parksh@i-dongwoo.com)



Asset management, carbon neutrality, condition assessment, life extension, operational efficiency, sustainability

1. 서 론

산업혁명 이후 전력산업은 발·송·배전 설비의 확충을 통해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해왔으나, 전력 수요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기설 자산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OPEX (운영 비용, Operating Expenditure) 및 CAPEX (투자 비용, Capital Expenditure) 절감과 신뢰성 유지가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국내 전력산업은 두 가지 복합적인 과제에 직면해 있다. 첫째, CAPEX 부담 증대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급속한 경제 성장기에 집중적으로 설치된 설비들이 일제히 기준 수명에 근접하면서 교체물량 집중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불안정한 국제 정세로 인해 발전 원료 단가는 급등하였으나, 전력 판매 단가의 고착화로 인해 경영난이 심화되면서 CAPEX의 부담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둘째, 탄소중립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 및 요구 증대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절연 가스의 심냉식 정제 시스템을 설비진단처 기후변화대응센터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경제성 분석에 기반한 가스 절연 가공 개폐기의 재사용 관련 연구 또한 진행되고 있다[1,2]. 다만, GIS와 같은 대형 설비에 대해 기술적, 경제적, 환경적 측면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수명연장 가능성을 평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로 인해 현재로서는 기준 사용수명을 초과한 전력설비를 폐기물로 간주하고, 이를 재활용하여 탄소중립에 접근하고 있다[3]. 그러나, 설비의 단순 재활용은 폐기 단계만을 고려할 뿐, 설비의 생산, 운송 및 사용 즉, 생애주기 전체를 고려한 구체적인 탄소중립 이행 모델은 미흡한 실정이다.

반면, 해외에서는 수명연장을 중심으로 한 자산관리 전략을 통해 이러한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IS (Gas-Insulated Switchgear)의 부품별 열화 특성을 고려하여 GIS의 수명연장을 위한 부품별 관리 전략을 제안하며, 수명연장에 투입되는 비용과 탄소 배출 지연량을 추정하여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GIS의 현행 구매규격을 고려한 수명연장의 도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순환경제 기반 전력설비의 수명연장

2.1 순환경제의 개념

그림 1은 순환경제 모델의 개념도를 나타낸다[4]. 산업혁명 이후 경제활동은 원자재 채취, 제품 생산, 제품 소비, 제품 폐기로 이어지는 선형경제 모델에 기반하여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자원 고갈, 환경 파괴에 관한 국제 사회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순환경제 모델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순환경제 모델이란, 제품의 생애주기 동안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줄이고 재사용, 재제조, 재활용 등을 통해 자원이 순환되는 경제 시스템으로 정의된다[5]. 이는 선형경제 모델과는 대조적으로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순환형 관리 전략을 통해 경제성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 등 현재 국제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림 1. 순환경제 모델의 개념도 [5]

Fig. 1. Schematic diagram of circular economy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png

전력설비의 수명연장은 전력산업에서 순환경제 모델을 도입할 수 있는 주요한 수단으로 간주된다. 수명연장이란, 기대수명에 도달한 자산에 대해 열화의 진전이 빠른 부위를 수리하고 그 기능을 유지하는 행위를 의미한다[6]. 즉, 수명연장은 자산관리의 핵심 원칙인 ‘자산의 가치 극대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설비의 생산 단계에서 투입되는 자원, 유통 단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폐기 시 발생하는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절감함으로써 순환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포르투갈과 영국, 이탈리아를 비롯한 해외에서는 에너지 규제 기관이 자산의 수명 (감가상각 기간)을 직접 부여하고, 수명연장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메커니즘을 통해 순환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포르투갈의 에너지 규제 기관인 ERSE (Entidade Reguladora dos Serviços Energéticos)에서는 EoL (End of Life) 인센티브를 통해 전력설비의 수명연장을 유도하고 있다[7]. EoL 인센티브는 규제 기관에서 부여한 자산의 수명 (감가상각 기간)을 초과하였지만 기술적 상태가 여전히 양호한 자산을 교체하는 비효율성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된다. 이는 계통 운영에서 비용 효율성을 확보하고 전력설비의 제작, 운송, 설치 과정에서 소모되는 자원과 배출되는 탄소를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oL 인센티브의 지급 방식은 유지보수로 인해 증가한 OPEX의 일부를 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해당 방식을 통해 전력사가 효율적인 비용 지출의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규제 기관으로부터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영국의 에너지 규제 기관인 Ofgem (Office of Gas and Electricity Markets)은 자산의 제작연도를 고려하여 수명을 부여하는데, 이는 자산의 제작기술 및 수명주기 관리기술의 발전에 근거한다. 2002년 이전에 제작된 자산의 수명은 20년, 2002년 이후에 제작된 자산의 수명은 45년으로 부여한다[8]. 이탈리아의 에너지 규제 기관인 ARERA (Autorità di Regolazione per Energia Reti e Ambiente)에서는 자산의 수명 부여 시 제작연도 뿐만 아니라 전압 등급도 복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고압 자산의 경우 2007년 이전 제작된 자산은 40년, 2007년 이후 제작된 자산은 45년의 수명을 부여하며, 중·저압 자산의 경우 2007년 이전 제작된 자산은 30년, 2007년 이후 제작된 자산은 35년을 부여한다[8]. 중·저압 자산은 상대적으로 고압 자산에 비해 중요도가 낮아 안일하게 관리될 수 있는 위험성을 반영하여 더욱 보수적인 수명을 채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해외에서는 규제 기관이 자산의 수명을 직접 부여함으로써 기술적으로 양호한 자산이 강제로 교체되는 비효율성을 방지하고 신규 자산의 제작, 운송, 설치 과정에서 소모되는 자원과 배출되는 탄소의 절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반면, 국내 전력사에서는 GIS의 전략적 교체 기준연수를 해외의 절반 수준에 해당하는 22년으로 부여하고 있다. 이처럼 보수적으로 사용연수를 설정한 근거는 GIS가 처음 개발되던 당시의 설계 수명을 현재까지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고부가가치 산업의 성장에 따라 세계 최고 수준의 공급 신뢰도를 요구하는 국내 수용가의 실정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최근 20년 동안 제작 기술과 유지보수 기술을 포함한 수명주기 관리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현실과 국내 전력사의 재무적 부담으로 인한 경영난 가속화를 고려할 때, 보다 적극적이고 근본적인 혁신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전력산업이 직면한 복합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명연장 전략을 제안하며, GIS의 실증적인 상태 평가를 통한 기술적 근거 마련과 경제적, 환경적 측면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2.2 전력설비의 수명연장 전략

그림 2는 수명연장 의사결정 흐름도를 나타낸다[6].

그림 2. 수명연장 의사결정 흐름도

Fig. 2. Decision-making process for life extension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2.png

전력설비의 수명연장은 건전도 평가를 통한 기술적 평가, 부품 공급 및 기술자 현황 조사를 통한 가용성 평가, 전 생애주기 비용 분석을 통한 경제성 평가 결과로부터 결정된다. 수명연장의 타당성을 입증한 경우에는 수명연장의 구체적인 옵션을 결정한다. 수명연장의 옵션은 네 가지로 구분된다[9].

첫째, Reuse (재사용)는 양호한 상태의 자산을 대상으로 간단한 세척 등 경미한 유지보수를 거쳐 재사용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둘째, Retrofit (성능 개선)은 기존 자산에 새로운 기술이나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성능을 개선하거나 현대화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는 자산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고 새로운 규제나 운영 상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해 수행된다. Retrofit의 예시로는 배전반의 차단기를 Arc Flash 보호 기능이 추가된 차단기로 교체하는 작업 등이 있다[10].

셋째, Refurbishment (성능 복원)는 자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리하거나 교체하여 성능을 복원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는 Repair (수리)와 혼동하기 쉬운데, Repair는 경미한 이벤트에 의해 성능이 저하된 경우에 수행하며, 결함이 발생하기 직전의 성능으로 복원하기 위한 작업이다. 반면, Refurbishment는 열화된 자산의 상태를 개선함으로써 초기 성능 수준으로 복원하기 위해 수행된다. Refurbishment의 예시로는 노후 차단기를 완전히 분해하고 세척한 후 재도금하는 작업 등이 있다[11].

넷째, Remanufacturing (재제조)는 자산의 초기 성능과 동등한 수준 또는 더욱 우수한 수준으로 자산의 성능을 복원하고 이에 대한 보증이 포함되는 작업이며, RIC 001.1 (Remanufacturing Industries Council)과 같이 표준화된 작업 프로세스가 존재한다[12].

그림 3은 RIC 001.1에 도시된 재제조 수행 흐름도를 나타낸다[13]. 재제조를 통한 수명연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표준에 명시된 것과 같이 제품의 회수·공급망 구축, 재제조품 전문 시험기관 설립, 재제조품의 성능 보증 방법과 책임 소재 명확화 등 여러 제도적인 과제가 존재하므로,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논의가 요구되는 사항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정한 수명연장 기법에 한정되지 않고 거시적 관점에서 GIS의 수명 연장을 위한 부품별 관리 전략을 제공함으로써 수명연장의 실질적 구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림 3. 재제조 수행 흐름도 [12]

Fig. 3. Flowchart for remanufacturing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3.png

3. GIS의 부품별 관리 전략

GIS는 부하전류를 개폐하고 이상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변압기를 포함한 관련 부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및 인공지능 산업과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이 발전하면서 전력 시스템의 신뢰성 유지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GIS의 수명연장은 부품별 열화 메커니즘을 명확히 이해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부품별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GIS의 부품별 관리 등급은 부품별 열화 메커니즘과 27년간 옥내변전소에서 운전된 GIS의 실제 상태 평가 결과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각 부품별 세 가지 등급 중 하나를 부여하였다. 간단한 Repair 또는 청소 후 재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 부품에 1등급을 부여하였으며, Refurbishment를 통한 성능 복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 부품에는 2등급을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Refurbishment를 수행하여도 사용이 불가하여 재제조 또는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 부품에 3등급을 부여하였다.

표 1은 GIS의 자재 명세표를 나타낸다. 자재 명세표는 그림 4표 2에 나타낸 25.8kV급 GIS 샘플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부품별 특성에 따라 부여한 관리 등급으로 구성된다. 구조적으로 GIS는 외함부, 주회로부, 차단기구부, 개폐기구부, 변성기구부, 제어기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외함부의 부품으로는 탱크 및 커버류, 지지 구조물, 방압 안전장치, 접지 본딩이 있으며, 주회로부의 부품으로는 버스바, 스페이서, 케이블 플러그, 지지애자, 흡착제가 있다. 차단기구부의 부품으로는 아킹 챔버 (주 접점, 아크 접점, 절연 노즐, Puffer 실린더), 조작장치 (조작용 모터, 투입·개방 코일, 투입·개방 스프링), 구동 링크 어셈블리 (레버류, 핀류, 절연로드, 기어류, 크랭크류)가 있으며, 개폐기구부의 부품으로는 3단 개폐기 조작장치, 구동 링크 어셈블리가 있다. 변성기구부의 부품으로는 PT (Potential Transformer)와 CT (Current Transformer), 제어부의 부품으로는 단자, 보조스위치, 배선이 조합된 LCP (Local Control Panel)가 있다.

표 1 GIS의 자재 명세표

Table 1 Bill of materials for GIS

구조

부품

기능

관리 등급

외함부

탱크

및 커버류

GIS 내부 구성기기 보호

및 SF6 기밀 유지

2

지지 구조물

탱크류 지지

2

방압

안전장치

압력 상승 보호

3

접지 본딩

순환전류 배출 및 감전 방지

2

회로부

버스바

통전

2

스페이서

가압부 절연 및 지지

1

케이블 헤드

지중케이블 접속

1

지지애자

가압부 절연 및 지지

1

흡착제

분해 생성물 흡착

3

차단

기구부

아킹 챔버

아크 소멸

1

조작장치

차단기 조작력 제공

2

구동 링크

어셈블리

기계적 동력 전달

2

개폐

기구부

조작장치

3단 개폐장치 조작력 제공

2

구동 링크

어셈블리

기계적 동력 전달

2

변성

기구부

PT

고전압 변성

1

CT

대전류 변성

2

제어

기구부

LCP

GIS 운전 상태 감시/제어

3

그림 4. 25.8kV급 노후 GIS 샘플

Fig. 4. Sample of Aged 25.8kV GIS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4.png

표 2 25.8kV 노후 GIS의 사양

Table 2 Specifications of aged 25.8kV GIS

구분

사양

운전기간

1994.12-2022.06

정격전압

25.8kV

정격주파수

60Hz

정격단시간전류

25kA (rms, 1초)

정격전류

Main

2,000A

Feeder

600A

정격 SF6 가스 압력 (at 20°C)

차단부

6.5bar.g

기타

0.8bar.g

동작 횟수

Main

277회

Feeder

288회

열화 메커니즘은 GIS의 구조에 따라 부품별로 분류하였으며, 부품은 청색, 지배적인 열화 요인은 녹색, 열화의 결과는 적색으로 표기하였다. 부품별 열화 메커니즘 및 관리 등급 부여 근거는 다음과 같다[14].

그림 5는 외함부를 구성하는 탱크 및 커버류, 지지 구조물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이들은 내부 구성기기 보호와 기밀성 유지, 탱크류 지지를 목적으로 설계된다. 이들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 특정 환경 조건에서 부식에 취약할 수 있으며, 부식의 진전으로 인해 탱크의 두께 감소, 발청으로 인한 강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에는 내부에 충진된 절연 가스의 누설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지락 또는 단락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림 5. 탱크 및 커버류, 지지 구조물의 열화 메커니즘

Fig. 5. Degradation mechanism for tanks, covers, and support structures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5.png

그림 6은 27년 경년 GIS 샘플의 외함을 나타낸다. 부식은 환경적 요인에 취약한 인자인데, 해당 GIS는 옥내에서 운전되어 긴급한 조치를 요하는 수준의 부식을 나타내지 않았다. 해당 GIS 샘플의 경우만 고려하면 탱크 및 커버류, 지지 구조물의 관리 등급은 1등급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보다 포괄적인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해 최근에는 내환경성이 우수한 도료를 사용하여 외함을 도장하고 있음과 부식이 발생한 경우 제거 및 재도장을 통한 성능 회복 가능성을 고려하여 2등급을 부여하였다.

그림 6. GIS 샘플의 탱크 및 커버류, 지지 구조물

Fig. 6. Tanks, covers, and support structures in GIS sample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6.png

그림 7은 외함부를 구성하는 방압 안전장치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방압 안전장치는 내부 사고 시 과도한 가스 압력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외함의 폭발과 이로 인한 사고 파급 방지를 목적으로 설계된다[15]. 해당 부품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른 열신축이 지배적인 열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반복적인 열신축으로 인해 피로가 발생하며, 이는 균열로 이어져 기밀 누설 및 탱크 내부로의 수분 침입이 발생할 수 있다. 이후 수분이 결로되어 고체 절연물의 표면에 응축되는 경우에는 섬락으로 이어져 지락 또는 단락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림 7. 방압 안전장치의 열화 메커니즘

Fig. 7. Degradation mechanism for pressure relief devices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7.png

방압 안전장치는 옥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그림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열화가 더디게 진행되나, 안전과 사고 파급 방지 측면에서는 GIS의 수명연장 시 교체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여 방압 안전장치의 관리 등급은 3등급을 부여하였다.

그림 8. GIS 샘플의 방압 안전장치

Fig. 8. Pressure relief device in GIS sample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8.png

그림 9에 나타낸 GIS 샘플의 접지 본딩은 구리 재질로, 순환전류 배출 및 감전 방지를 위해 설계된다[16]. 주회로부를 구성하는 버스바는 통전 성능 향상을 위해 표면에 은으로 도금하여 재질 측면에서는 접지 본딩과 완전하게 동일하다고 할 수 없으나, 기능적으로 통전을 위한 부품이라는 측면에서는 동일하다. 따라서, 접지 본딩의 열화 메커니즘은 주회로부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열화 메커니즘과 동시에 다루고자 한다.

그림 9. GIS 샘플의 접지 본딩

Fig. 9. Ground bonding bars in GIS sample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9.png

그림 10은 주회로부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버스바는 우수한 기계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대전력 전송 시에 주로 사용된다. 버스바는 기계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굴곡부뿐만 아니라 직선 접속부에 또한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체결부는 부하량에 따른 열적 팽창, 수축과 주파수 특성에 의한 진동을 반복적으로 겪으면서 점차 이완될 수 있다. 또한, 은도금으로 처리된 버스바의 경우에는 은도금의 산화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버스바는 체결부 이완 및 은도금 산화에 따라 접촉저항이 증가하고 국부적인 과열로 인한 용손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방전을 초래할 수 있다. GIS에서 버스바는 절연 가스로 충진된 탱크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평상시에는 은도금의 산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내부의 개방을 요하는 정밀점검 시 우려사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림 10. 버스바의 열화 메커니즘

Fig. 10. Degradation mechanism for busbars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0.png

GIS 샘플의 상태 평가 결과, 그림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은도금의 산화는 매우 경미한 수준이며,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회로의 저항 측정치는 상간 측정치의 $\pm $20% 이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림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지 본딩 역시 체결부 이완 또는 부식은 확인할 수 없었다. 해당 GIS 샘플의 경우만 고려하면 1등급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국내에서는 6년을 주기로 내부 개방점검을 실시하고 있어 은도금 산화가 우려사항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점과 습윤 환경에서 사용되어 부식이 발생한 경우 Sandblast 공법을 통해 성능 회복이 가능한 점을 고려하여, 보다 포괄적인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해 접지 본딩 및 버스바의 관리 등급은 2등급을 부여하였다.

그림 11. GIS 샘플의 버스바

Fig. 11. Busbars in GIS sample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1.png

표 3 주회로 저항 측정 결과

Table 3 Results of measurement for contact resistance

측정 구간

단위

측정값

기준값

CB-1DS

A

μΩ

62

45.9-68.8

B

55

C

55

CB-2DS

A

65

49.3-74.0

B

60

C

60

그림 12는 주회로부를 구성하는 고체 절연물인 스페이서, 케이블 헤드, 지지애자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스페이서는 가스 봉입 구획을 분리함으로써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사고 파급 방지를 위해 설계된다.

그림 12. 스페이서, 케이블 헤드, 지지애자의 열화 메커니즘

Fig. 12. Degradation mechanism for spacers, cable heads, and support insulators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2.png

스페이서의 재질은 에폭시로 구성되며, 내·외부 충격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가스 압력 저하로 이어져 지락 또는 단락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조립과 케이블 접속 과정에서 금속 이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부분방전 발생과 절연저항 저하로 이어져 지락 또는 단락을 초래할 수 있다. 지지애자의 경우에는 절연열화로 인한 트래킹이 발생하면 부분방전 발생 및 연면 절연내력 감소로 이어져 지락 또는 단락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림 13은 GIS 샘플의 스페이서 및 지지애자를 나타낸다. 상태 평가 결과, 고체 절연물에 트래킹 흔적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표 4에 나타낸 절연저항 측정치 역시 기준치인 500MΩ을 초과하여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에는 고체 절연물의 제작 기술 부족으로 인해 기공과 관련된 품질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출하 전 X-ray 기법 등을 활용하여 고체 절연물의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그 신뢰성 또한 매우 우수하다[17]. 또한, 고체 절연물의 표면에 발생한 트래킹은 건조 섬락 전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표면에 부착된 이물은 간단한 세척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18]. 따라서, 고체 절연물의 열화 특성과 절연저항 측정 결과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스페이서, 케이블 헤드, 지지애자의 관리 등급은 1등급을 부여하였다.

그림 13. GIS 샘플의 고체 절연물

Fig. 13. Solid insulators in GIS sample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3.png

표 4 절연저항 측정 결과

Table 4 Results of measurement for insulation resistance

측정 구간

단위

측정값

기준값

상 – 상

500 이상

500 이상

상 – 대지

1차 – 2차

그림 14는 주회로부를 구성하는 흡착제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흡착제는 수분 및 분해가스 흡착을 위해 사용되며, 흡착제의 흡착 용량이 초과되는 경우에는 분해가스가 수분과 결합하여 SO2와 같은 분해 생성물이 발생한다. SO2는 절연물과 금속 등 표면에 퇴적되면 표면 열화를 유발하여 섬락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지락 또는 단락을 초래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흡착제가 30분 이상 대기에 노출된 경우, 전량 신품 교체 대상으로 판정된다. 따라서, GIS의 수명연장을 위해서는 내부 구획의 장기 개방이 불가피하므로, 흡착제의 관리 등급은 3등급을 부여하였다.

그림 14. 흡착제의 열화 메커니즘

Fig. 14. Degradation mechanism for absorbents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4.png

그림 15는 차단기구부를 구성하는 아킹 챔버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그림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아킹 챔버는 전류 통전을 위한 주 접점, 아크로부터 주 접점을 보호하기 위한 아크 접점, 아크의 원활한 소멸을 위한 절연 노즐, SF6 가스의 압축 및 방출을 위한 Puffer 실린더로 구성된다. 먼저, 주 접점과 아크 접점, 절연 노즐은 GIS의 개폐 동작과 이에 따른 진동으로 인해 피막이 마모되거나 박리가 발생한다. 이 경우 접촉저항이 증가하여 접점 용착으로 이어져 개폐 불가 상태에 이르거나, 방전으로 인한 분해가스가 발생하여 지락·단락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동작으로 인한 아크는 노즐 내부 손상, 접점 마모, 금속 이물질의 발생을 유발한다. 노즐 내부의 손상 또는 접점의 마모는 차단 성능의 저하를 유발하여 차단 불가를 초래할 수 있으며, 금속 이물질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절연성능이 저하되어 지락 또는 단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M1, M2 등급으로 구분되어 각각 2,000회, 10,000회의 무부하 개폐성능을 보증한다. 그러나, 가혹 조건에서는 경우에 따라 실린더의 변형 또는 마모에 의한 가스 분사압력 저하로 이어져 차단 성능 저하로 인한 차단 불가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림 15. 아킹 챔버의 열화 메커니즘

Fig. 15. Degradation mechanism for arching chamber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5.png

그림 16. 아킹 챔버의 구성품

Fig. 16. Sub-components in an arching chamber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6.png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GIS 샘플의 차단기는 철거 시점에서의 동작횟수가 288회로, 해당 차단기 모델의 최소 보증 수명인 7,000회의 약 4\%를 소모하였다. 이는 연간 약 10회 가량 동작하였음을 나타내며, 국내 전력계통의 매우 우수한 신뢰성을 방증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운전되는 대다수의 GIS용 차단기는 생애주기 동안 보증 수명에 도달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그림 16에 나타낸 육안점검 결과와 표 3에 나타낸 주회로 저항 측정치에 근거하여 아킹 챔버의 구성품들 모두 매우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단한 세척 또는 Grease 재도포와 같은 간단한 Repair를 통해 재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여 아킹 챔버의 관리 등급은 1등급을 부여하였다.

그림 17은 차단기구부를 구성하는 조작장치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조작장치는 차단기에 조작력을 제공하는 부품으로서 조작용 모터, 투입·개방 코일, 투입·개방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조작용 모터로는 DC모터를 사용하는데, DC모터의 브러시는 고습 환경에 노출되면 경도 저하 및 부피 팽창이 발생하며, 마모가 가속된다[19]. 이는 결국 모터 고장으로 인해 스프링을 다시 압축시키지 못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개폐 동작이 불가하게 될 수 있다. 투입·개방 코일은 접점의 반복 동작에 따라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 여자전류가 증가하게 된다[20]. 이는 절연 열화로 이어져 종국에는 개폐 불가를 초래할 수 있다. 투입·개방 스프링은 차단기의 반복 동작에 노출되는 경우 피로가 축적되며, 압축력 저하로 인한 동작속도의 저하로 이어져 결과적으로는 개폐 불가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림 17. 조작장치의 열화 메커니즘

Fig. 17. Degradation mechanism for Operating devices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7.png

GIS 샘플을 구성하는 조작장치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차단기의 동작시간과 투입·개방 코일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표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투입·개방 시간과 투입·개방 코일의 저항 모두 기준치 이내에 해당하였다. 차단기를 구성하는 조작장치의 건전성은 차단기에 부과되는 동작 책무를 만족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나, 건전성 확인을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시험과 건전성 회복을 위한 윤활 등의 유지보수 작업은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한다. 즉, 조작장치의 경년이 오래되어 해당 제품의 기술자가 부재한 경우에는 건전성 확인 및 회복이 불가할 수 있다. 그러나, 조작장치의 열화 속도는 차단기의 동작횟수에 크게 의존하는데, 전동기나 조상설비를 부하로 가지는 차단기를 제외하고 국내에서는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생애주기 동안 보증 수명까지 동작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즉, 경년에 따른 열화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므로, 대상 제품의 기술자가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조작장치의 관리 등급은 2등급을 부여하였다.

표 5 차단기 동작 시간, 투입·개방 코일 저항 측정 결과

Table 5 Results of measurement for operating time and resistance of close·open coils

평가 항목

단위

측정값

기준값

동작 시간

O

ms

55.0

60 이내

C

61.4

100 이내

O-CO

182.3

300 이내

그림 18은 구동 링크 어셈블리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구동 링크 어셈블리는 조작장치의 동작에 따라 차단기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각종 레버류, 핀류, 절연 로드, 기어류, 크랭크류로 구성된다. 이들은 차단기의 운전 환경에 따라 부식, 피로, 마모에 노출된다. 이는 마찰력 증가, 변형·마모를 유발하여 금속 이물과 오정렬을 발생시키고, 스프링 압축 불가로 이어져 종국에는 개폐 불가를 초래할 수 있다. 구동 링크 어셈블리의 열화 특성은 조작장치와 마찬가지로 차단기의 동작횟수에 의존하는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국내에서는 차단기가 보증 수명까지 운전되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므로, Grease의 재도포를 통한 윤활 성능의 회복 가능성을 고려하여 구동 링크 어셈블리의 관리 등급은 2등급을 부여하였다.

그림 18. 구동 링크 어셈블리의 열화 메커니즘

Fig. 18. Degradation mechanism for mechanical link assemblies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8.png

개폐기구부를 구성하는 조작장치와 구동 링크 어셈블리의 구성 및 열화 메커니즘은 차단기구부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이에 따라 개폐기구부를 구성하는 조작장치와 구동 링크 어셈블리의 관리 등급은 2등급을 부여하였다.

그림 19는 변성기구부를 구성하는 PT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PT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함으로써 고전압의 측정을 용이하게 한다. PT는 대전류와 과전압이 주된 열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대전류가 침입하는 경우 권선 과열에 의한 열분해가 발생한다. 이 경우 절연 부품의 절연내력이 저하되어 종국에는 절연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대전류는 전자력을 작용시켜 PT 권선의 변형·이동을 유발하며, 단선으로 이어져 종국에는 절연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PT에 과전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철심 포화로 인한 국부 과열로 이어지며, 종국에는 절연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GIS 샘플의 PT는 그림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견상 과전류 침입 및 과전압 발생에 의한 열화 흔적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유도 내전압 시험을 통해 절연물의 건전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최근에는 고체 절연물의 제작 기술이 발전하면서 PT의 자체 고장으로 인한 사고 파급 사례는 쉽게 찾아볼 수 없으므로, PT의 관리 등급은 1등급을 부여하였다.

그림 19. PT의 열화 메커니즘

Fig. 19. Degradation mechanism for PT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19.png

그림 20. GIS 샘플의 PT

Fig. 20. PTs in GIS sample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20.png

그림 21은 변성기구부를 구성하는 CT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CT는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함으로써 대전류의 측정을 용이하게 한다. CT는 피복재의 변형이나 금속 부식과 같은 현상이 주된 열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열화는 설치된 현장의 주변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피복재가 변형되는 경우에는 CT를 고정하는 부품이 떨어져 나가면서 본체가 회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2차측 배선이 손상되어 결국 내부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식이 발생하면 표면의 부식층이 벗겨지거나 구멍이 생길 수 있으며,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부분방전이 발생하고 결국 절연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림 21. CT의 열화 메커니즘

Fig. 21. Degradation mechanism for CT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21.png

GIS 샘플의 CT는 그림 2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피복재의 열화 흔적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비오차 시험을 통해 CT의 기능적 건전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CT는 PT와 다르게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며, 습윤 조건에서는 단자대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포괄적인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해 CT의 관리 등급으로는 2등급을 부여하였다. 그림 23은 제어기구부를 구성하는 LCP의 열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LCP는 배선, 단자대, 보조스위치로 구성되며, GIS는 이를 통해 원격 감시반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는다. 배선은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주된 열화 요인은 열분해이다. 열분해가 발생하면 수분 흡수로 절연 성능이 저하되고, 피복의 경화로 인해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화가 누적되면 결국 제어회로의 지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단자대는 부식과 체결부 이완이 주요 열화 요인으로 작용하며,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어회로 혼촉과 접촉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체결부가 이완되는 경우에는 접촉 불량을 유발하며, 최종적으로는 제어기기 동작의 불가를 초래할 수 있다. 보조스위치는 차단기, 단로기 또는 접지 개폐기의 투·개방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회 동작에 따른 접점 소모, 열악한 사용 환경에 따른 부식이 주요 열화 요인으로 작용된다. 접점이 소모되는 경우에는 용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접촉 불량으로 이어져 최종적으로는 제어기기의 동작 불가를 초래할 수 있다. LCP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배선이 열화되거나 단자대에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수명연장을 통해 장기간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경우, 기능적 업그레이드를 통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계전기를 디지털 보호계전기로 교체하거나, 가스 품질 감시 센서 및 열화상 카메라를 추가하는 방식이 있다[21]. 본 논문에서는 장기 사용을 전제로 한 수명연장 시나리오에서 계전기 교체 등 기능적 업그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LCP의 관리 등급은 3등급으로 판단하였다.

그림 22. GIS 샘플의 CT

Fig. 22. CTs in GIS sample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22.png

그림 23. LCP의 열화 메커니즘

Fig. 23. Degradation mechanism for LCP

../../Resources/kiee/KIEE.2025.74.9.1549/fig23.png

4. 지속 가능성 평가

지속 가능성이란, 하나의 정책, 기술 또는 운영 체계가 장기적으로 안정적이고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22]. 이는 일반적으로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측면에서 평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GIS의 수명연장 전략에 대한 지속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경제적·환경적 측면을 중심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인 GIS는 LCP 교체를 통해 10년의 수명을 추가로 확보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4.1 경제적 지속 가능성

경제적 지속 가능성은 수명연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산출한 뒤, 감가상각 비용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감가상각 비용은 각 연도마다 일정 금액을 상각하는 정액법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3년, 6년을 주기로 보통점검, 정밀점검을 실시하여 GIS를 관리하고 있으므로, 점검 비용은 고정 비용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경년에 따른 유지보수 증가 비용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여 수명연장 비용 산출 시 고려하지 않았다. 신품 25.8kV GIS의 가격은 Bay의 구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약 8,000만원으로 가정하였다.

표 6은 GIS의 수명연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산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수명연장에 소요되는 비용은 약 2,000만원으로, 신품 GIS 가격의 약 25% 수준에 해당한다. 수명연장 작업을 통해 연장되는 수명을 정량적으로 보증하는 것은 향후 심도 있는 논의가 요구되는 사항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0년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감가상각 비용을 산출하였다. 표 7은 수명연장 적용 여부에 따라 감가상각 비용을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다. 현재 국내의 교체 기준 연수인 22년에 근거한 감가상각 비용은 연간 약 360만원이며, 수명연장을 통해 10년을 추가 사용하는 경우의 감가상각 비용은 연간 약 250만원이다. 감가상각 비용은 자산을 운영하는 데 연간 투입되는 자본의 양을 의미한다. 이는 직접적인 현금 유출은 아니지만, 투자 회수량 계산의 기준이 되므로 간접적인 투자 비용 부담 지표로 활용된다. 감가상각 비용이 증가하면 자산을 통해 회수해야 할 금액도 늘어나게 되며, 이는 전기요금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23]. 즉, 수명연장을 실시하는 경우 감가상각 비용을 절감하여 GIS 운영자의 재무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으며, 향후 수명연장 기술 고도화를 통해 추가 사용 기간을 확대하는 경우에는 감가상각 비용이 더욱 절감되어 보다 효율적인 GIS의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6 GIS의 수명연장에 소요되는 비용

Table 6 Cost of life extension for GIS

항목

비용

LCP 패널

5,000,000

디지털 전력량계

1,500,000

디지털 보호계전기

4,000,000

상태 감시 센서 등 일체

6,300,000

기타 잡자재 (볼트·너트, 릴레이, 배선용 전선 등)

500,000

인건비, 시험비 등 일체

3,750,000

합계

21,050,000

표 7 내용연수에 따른 감가상각 비용

Table 7 Depreciation expense based on useful life

사용수명

감가상각 비용

22년

3,600,000

32년 (22년+10년)

2,500,000

4.2 환경적 지속 가능성

환경적 지속 가능성은 GIS 1Bay를 구성하는 재료별 무게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24]. 재료별 무게 산출 대상은 HITACHI의 ELK-04 모델이다. 해당 모델의 정격 전압은 145kV로, 본 연구 대상의 정격 전압과 상이하다. 그러나, GIS의 구성 재료별 무게에 관한 데이터 확보가 매우 어려우며, 본 연구의 목표는 탄소 배출 지연량을 대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전력설비의 수명연장이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방식을 다루고자 하므로, ELK-04 모델의 데이터를 참고하였다. 다만, 145kV급 GIS의 경우 차단부를 제외한 구획에도 3-5bar.g 정도의 SF6 가스가 충진되나, 25.8kV급 GIS의 경우에는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0.8bar.g 정도의 SF6 가스가 충진된다. 따라서, SF6 가스의 무게는 연구 대상 GIS에 SF6 가스 충진 시 소요되는 무게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탄소 배출량 산출을 위한 탄소 배출 계수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캐나다 Winnipeg 시의 공시 자료를 활용하였다[25,26].

표 8은 본 연구의 대상인 GIS를 구성하는 각 재료의 무게와 이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정리한 것이다. 한전에서는 SF6 가스 회수 공정을 통해 약 97%가량 회수하고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SF6 가스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였다[27]. 분석 결과, GIS 1Bay의 잠재적 탄소 배출량은 약 10,230kg CO2 eq로 추산되며, 수명을 연장할 경우 동일한 양의 배출을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GIS의 수명연장이 재무적 부담 경감은 물론, 탄소중립 이행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표 8 GIS의 구성 재료별 무게 및 탄소 배출량

Table 8 Weight and carbon emissions by components of GIS

재료

무게 [kg]

탄소 배출량

[kg CO2 eq]

비고

알루미늄

582.1

1,393

-

강철

277.0

490

-

구리

150.5

687

-

에폭시 수지

66.9

169

-

스테인리스 강

31.4

100

-

열가소성 플라스틱

21.5

43

-

고무

2.1

9

-

0.3

7

-

SF6 가스

10.4

7,332

회수율

97% 적용

기타

48.6

-

-

합계

1,190.8

10,230

-

5. 고 찰

본 연구에서 제시한 GIS의 수명연장이 실무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제도적 과제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선, 분석 대상 GIS의 정격전류는 600A로, 2011년 개정된 한전의 구매규격 상 정격전류인 630A를 만족하지 못한다[28]. 장기적으로 원활한 계통 계획을 위해서는 현행 구매규격을 따르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한전은 재무적 요인에 따른 경영난을 겪고 있어 CAPEX의 지출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접근 방법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정격전류 600A 사양의 GIS를 샘플링하여 630A 조건에서의 온도 상승이 구매규격 상 명시된 온도 상승 허용 한도 이하인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둘째, 해당되는 모델의 실 부하 조건 및 부하 패턴을 고려하여 600A 정격으로 충분히 운전 가능한지 검증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셋째, 전력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자금난으로 인한 설비 투자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발도상국으로의 해외 수출 판로 개척이 있을 것이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150kV급 송전선로가 구축되어 있어 170kV급 GIS의 판로 개척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명연장 설비에 대한 인증 절차, 정량적 수명 보증 기준, 잔존가치 산정 기준 등을 포함한 제도적 인프라 구축이 병행되는 경우에는 수명연장 전략이 점진적으로 도입되는 데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수명연장 전략의 실질적 구현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부품 단위의 열화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실제 27년 경년 GIS의 상태 평가를 통해 부품별 관리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명연장에 따른 경제적 효과와 CO2 배출 지연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GIS의 수명연장이 경제적,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가짐을 입증하였다. 특히, 수명연장 전략의 도입을 위해 현행 구매규격 분석, 수명연장 설비에 대한 제도적 기반 마련 등 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과 더불어 제도적 방안 및 수명연장 전략의 단계적 적용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사용연수 기반의 일률적인 교체 전략에서 벗어나, 설비의 실제 상태를 반영한 구체적인 수명연장 의사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적절한 수명연장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CAPEX 절감 및 탄소중립 이행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기반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향후 수명연장 설비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감사의 글

This work was partly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OTIE) (20217610100090, Development of remanufacturing technology through ICT/AI-based asset management for low-degradation aged GIS) and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No. 20224000000070) in 2025.

References

1 
Jeongeun Lee, Minho Cho and Wonseok Lee, “Improved Sulfur Hexafluoride (SF6) Gas Analysis Method for Quality Management of Cryogenic Refinement System,”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 8, no. 1, pp. 37-41, 2022. DOI:10.18770/KEPCO.2022.08.01.37DOI
2 
Hyeseon Lee, Byungsung Lee and Yongha Kim, “A Study on the Lifespan Calculation of Gas Insulated Load Break Switches for Overhead Line Considering Economic Feasibility,”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12, pp. 2022-2028, 2021.URL
3 
Dongcheol Kim, “Sustainability Report,”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pp. 69, 2025. DOI:10.5370/KIEE.2021.70.12.2022DOI
4 
Hongyoon Kang and Youngchun Kim, “Sustainable Growth Strategy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Remanufacturing Industry – Focusing on Automobile Industry Field,” KIC NEWS, vol. 20, no. 5, pp. 1-12, 2017.URL
5 
Yongcheol Jang, “The Role of Circular Econom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ase Studies in South Korea,” PhD Thesis, Korea University, 2023. DOI:10.23186/korea.000000277141.11009.0000124DOI
6 
Electric Technology Research Association, “Advanced Maintenance Strategies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Japan, pp. 8-22, 2014.URL
7 
Maria Cristina Portugal, “PARÂMETROS DE REGULAÇÃO PARA O PERÍODO 2018-2020,” Entidade Reguladora dos Serviços Energéticos, pp. 20, 2017.URL
8 
Remi Eriksen, “A Study for the Netherlands Authority for Consumers and Markets,” Det Norske Veritas, pp. 36-93, 2023.URL
9 
Sunday Ochella, Mahmood Shafiee and Chris Sansom, “An RUL-informed approach for life extension of high-value assets,” Computers & Industrial Engineering, vol. 171, pp. 108332, 2022. DOI:10.1016/j.cie.2022.108332DOI
10 
Peter Herweck, “Step into a New Low-Carbon and Digital Reality,” Schneider Electric, pp. 2, 2024.URL
11 
Stephen Pearce, “New Life for Old Switchgear,” ASEA Brown Boveri, pp. 31, 2011.URL
12 
Nabil Nasr and Jennifer Russell, “Redefining Value the Manufacturing Revolution,” United Nations, pp. 14, 2018.URL
13 
Remanufacturing Industries Council, “Specifications for the Process of Remanufacturing,”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pp. 4, 2017.DOI
14 
The Japan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Long-term Used Substation Equipment,” pp. 67-78, 2023.URL
15 
Sangchul Kim, “Safety Assessment of Oil Immersed Transformer Applying Fault Tree Analysis and Functional Block Diagram,” Crisisonomy, vol. 15, no. 8, pp. 107-116, 2019.DOI
16 
Taein Jang, Hungseok Park, Jiwon Kang and Kyungkyu Choi, “Enclosure Circulating Current due to Grounding and Load Unbalance in GIL (Gas Insulated Transmission Lines),”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pp. 189-190, 2008.URL
17 
Jooeon Park, Byoungwoon Min, Jeehoon Park, Taehun Song, Seungoh Yang and Byoungjin Kim, “Study on Electromagnetic Wave Application for PD Test of Solid Insulators,”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pp. 5-7, 2017.URL
18 
Hangoo Cho, “Tracking Resistance and Aging Characteristics of Epoxy Insulating Materials by the Rotating Wheel Dip Tes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21, no. 6, pp. 530-537, 2008. DOI:10.4313/JKEM.2008.21.6.530DOI
19 
Jeonghyeok Lim, Minkyung Shin and Yeongju Jeon,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Humidity Environment on DC Motor Brushes for Automobiles,”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pp. 49, 2018.URL
20 
Kisun Han, Jonggeon Lee, Hyungjun Ju and Jiwon Kang, “The Effect of Mechanical Wear on the Contact Applied to 170kV Gas Insulated Switchgear(GI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11, pp. 1668-1674, 2020. DOI:10.5370/KIEE.2020.69.11.1668DOI
21 
Paulo Ruiz, “Switchgear Modernization,” EATON, pp. 3, 2024.URL
22 
Ankur Dixit and Rajiv Chaudhary, “Sustainability: An Essential Concept for Current and Updoming Technological Practices,” IOP Conference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804, 2020. DOI:10.1088/1757-899X/804/1/012023DOI
23 
Sungsig Bang and Sangyun Park, “The Case Study of Depreciation Method for Long-Term Tangible Asset: Focusing on Nuclear Power Generation Facility,” Journal of Taxation and Accounting, vol. 21, no. 5, pp. 139-164, 2020.URL
24 
Shreya Pai and Henrik Lohrberg, “Life Cycle Assessment of Differenct Concepts of SF6-free Gas Insulated Switchgear,” Hitachi Energy, pp. 16, 2023.URL
25 
Environmental Knowledge Information Center, “Evaluation Factors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Label,”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pp. 1, 2024.URL
26 
Samuel Michael Katz, “Winnipeg Sewage Treatment Program,” City of Winnipeg, pp. 183, 2012.URL
27 
Junhyeong Park, Seohee Seo and Younsuk Son, “Cost Benefit Analysis of SF6 Decomposition Process using an Electron Bea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3, no. 4, 2017. DOI:10.5572/KOSAE.2017.33.4.370DOI
28 
Transmission and Substation Electricity Equipment Department, “Technical Standards of KEPCO: ES-6110-0001,”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pp. 2, 2017.URL

저자소개

김예찬(Yechan Kim)
../../Resources/kiee/KIEE.2025.74.9.1549/au1.png

He received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5. Currently, attending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정민경(Minkyung Jeong)
../../Resources/kiee/KIEE.2025.74.9.1549/au2.png

She received a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0. Currently, attending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er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구본혁(Bonhyuk Ku)
../../Resources/kiee/KIEE.2025.74.9.1549/au3.png

He received maste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5. Currently, attending a Ph.D. course in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김재상(Jaesang Kim)
../../Resources/kiee/KIEE.2025.74.9.1549/au4.png

He received bachel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24. He is currently a master’s course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

박성희(Sunghee Park)
../../Resources/kiee/KIEE.2025.74.9.1549/au5.png

He received Doct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07. Currently, He works at R&D Center of Dongwoo Electric.

강형구(Hyoungku Kang)
../../Resources/kiee/KIEE.2025.74.9.1549/au6.png

He received doctor’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Yonsei University in 2005.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high voltage engineering, power asset management, and applied supercon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