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 평가에 활용한 평가 장비는 약 120kW급 의 연료전지 스택 단품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고 시스템 단위의 평가도 가능하게 구비하였다.
또한, 평가 장비가 동작할 때 시험실 내부의 환경 변수와 평가 장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설비와 평가 장비 내부 압력까지 측정하도록 계측기를
구성하였으며, 평가 장비의 동작은 제어값과 실제 측정된 값이 측정되도록 계측기를 구축하였다. 해당 평가 장비를 이용해 약 100kW급의 PEMFC
스택을 평가하였으며, 정격 출력과 같은 일반적인 운전을 약 20회 가량 수행하여 계측기의 데이터를 기록하였다.
3.1 측정 변수 분석
측정된 변수의 관계 분석을 수행하기 전 데이터의 정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평가 장비 운전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관찰하였다. 첫 번째로 운전된 전체 시간을
기반으로 시각화를 수행하기 위해 단일 실험에서 시간별 측정 변수의 변화를 선 그래프로 나타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변화 형태를 관측하여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스케일이 작은 측정 변수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표준화(Standard Scaling)를 진행한 선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림 2에는 주요한 측정 변수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측정된 대부분의 운전 구간에서 뚜렷한 정규화 패턴을 보이고 있다. 다만, 마지막 구간에서의 보여지는 특정
왜곡 현상은 전체 상관 구조를 왜곡할 수 있다. 따라서, IQR로 제거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림 3에서는 시험실 환경 변수와 평가 장비의 환경 요소를 측정한 변수에 대해 선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해당 선 그래프에서도 특정하게 왜곡을 일으키는 구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지속적인 상승, 하강 선형 특성을 나타내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심화를 통해 세부적인 변화를 보이도록 변환시켜 좀 더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전처리를 고려할 수 있다. 표준화된 선 그래프를 확인했을 때 마지막 구간에서의 특정 왜곡에 대해 전처리가 필요함을 보이며, 선형과 비선형성의
특징을 보인다. 이에 앞서 설명한 선형/비선형의 관계 분석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함을 보인다.
그림 2. 주요 측정 변수 표준화 선 그래프
Fig. 2. Standardized Line Graph of Key Measured Variables
그림 3. 환경 측정 변수 표준화 선 그래프
Fig. 3. Standardized Line Graph of Environmental Measured Variables
두 번째로는 히스토그램을 통해 모든 실험에서 측정 변수 데이터의 분포와 이상치 등을 파악하였다. 선 그래프와 동일하게 주요 측정 변수, 환경 측정
변수 대표로 진행하였고, 주요 측정 변수의 히스토그램은 그림 4에 나타내었다. 주요 측정 변수에서는 Current, H2 Flow, Air Flow와 Flow Set 변수에서 다중 분포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Flow에 대한 변수는 제어 값과 실측값에서 거의 동일한 데이터 분포를 보이고 있어 전처리 또는 관계 분석 시 동일한 요소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양쪽 끝단과 중앙치에서 이상치로 판단되는 구간이 있어, 이상치 제거를 수행해야 한다. 환경 측정 변수의 히스토그램은
그림 5에 도식화하였고, Test Room Hum, Staion Inside Pre와 Chil inT는 다봉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Test RoomT같은
변수는 준 정규 분포를 가지면서 약간의 이상치를 보이고 있다. 또한, Cool Stack OutT는 우측 편향적인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4. 주요 측정 변수 히스토그램
Fig. 4. Histogram of Key Measured Variables
그림 5. 환경 측정 변수 히스토그램
Fig. 5. Histogram of Environmental Measured Variables
3.2 측정 변수 관계 분석
앞서 설명한 선 그래프, 히스토그램으로 파악된 내용을 기반으로 전처리가 진행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Pearson, Kendall Tau, Spearman
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론 2.2와 표 3에서 설명한 총 29개의 변수의 3개 그룹에 대해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고, 모든 실험에 대한 관계 평균으로 시각화한 히트맵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연료전지 평가의 결과는 I-V 커브인 전류와 전압에 대한 특성 곡선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에, 전류와 전압을 기준으로 삼아 공통을 포함시켜
진행하였다. 그림 6은 A 그룹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의 히트이다. 전류 변수를 기준으로 H2 Flow set, Air Flow set은 Pearson($r$) -0.90
수준의 매우 강한 음의 상관이므로 전류의 부하 변동에 있어 수소와 공기의 유량 변화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또한, H2 Flow
set, Air Flow set과 H2 Flow, Air Flow 실제 유량 값과 유량 설정값에서 $r$은 0.79, Spearman($ρ$) ,Kendall
Tau-b($τ_{b}$)는 0.52~0.62로 설정값과 실제 유량의 제어가 정확하게 제어되고 측정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연료전지
평가에 중요한 연료, 공기의 공급과 제어가 신뢰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H2 Flow, Air Flow의 변수들은 $r$, $ρ$, $τ_{b}$
모두에서 0.998에 근접하는 매우 높은 동조성을 보이므로, 연료와 공기의 화학 양론적 비율을 잘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 그룹에서 상관관계에
대해 특성을 추론해보면, $|\gamma | > |\tau | > |\rho |$의 형태 쌍이 많아 측정 변수가 전반적으로 선형성의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ρ$보다 $τ_{b}$의 감소 폭이 작음을 통해 측정 변수의 동조가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7는 B 그룹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이다. 전류와의 관계를 먼저 살펴보면, $r$ 기준으로 H2 Sup Pre, Air Sup Pre은 각각 약
0.46과 0.43의 양(+) 상관을 기록하여, 스택이 요구하는 전류를 충당하기 위해 연료와 공기의 공급 압력이 즉각적으로 증대됨을 보여준다. 반대로
Ca Stack In Pre와 Cool Stack OutT는 전류와 –0.44, –0.35 수준의 음(–) 상관을 보였는데, 이는 부하 증가에 따라
내부 압력 손실(ΔP)이 커지고, 열 관리가 적극적으로 작동해 출구 온도가 하강하는 동역학을 시사한다. $ρ$와 $τ_{b}$ 에서도 부호와 순위가
완전히 일치해, 이러한 경향이 선형성을 넘어 단조적 비선형 영역에서도 일관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전압과의 관계를 보면, H2 Sup Pre가 $r$
0.72, $ρ$ 0.60, $τ_{b}$ 0.47에 이르는 강한 양의 상관을 형성한다. 이는 스택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어기가 연료
공급 압력을 적극적으로 상승시키는 피드백 구조가 잘 구현돼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Cool Stack OutT는 약 –0.45의 음의 선형 관계를
보이는데, 이는 전압이 높을수록 발열이 감소하거나 냉각 효율이 개선되어 열 배출이 원활해지는 계통 특성을 반영한다. 이러한 패턴은 세 계수 모두에서
부호가 일치해, 전압 기반 열·유체 제어가 이상치나 비선형 영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함을 방증한다.
내부 변수들 간 상호 관계도 살펴보면, 냉각 루프의 경우 Cool Stack InletT–OutT와 InPre–OutletPre쌍이 $r$ 0.75,
$ρ$ 0.68 내외로 수렴하였고, 스택 압력 역시 An Stack InPre–Ca Stack InPre가 $r$ 0.72 수준의 양(+) 상관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높은 결합도는 압력·온도 센서 간 편차가 극히 적어 열·유체 분배가 균일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동시에 부하 변화에 따라 온도
손실과 압력 손실이 선형에 가깝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더불어 $ρ$이 $r$보다 약간 더 큰 절댓값을 보이는 일부 쌍은 전형적인 단조 비선형
특성을 내포하고 있어, 후속 예측 모델에서는 선형 회귀와 함께 다항 항이나 스플라인을 병행할 때 설명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6. A 그룹 상관관계 분석
Fig. 6. A Group Correlation Analysis
그림 7. B 그룹 상관관계 분석
Fig. 7. B Group Correlation Analysis
그림 8은 C 그룹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이다. 먼저 Current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Chill InT, Chill SupT의 $r$이 약 –0.39
수준의 강한 음(–)적 상관을 나타냈다. $ρ$과 $τ_{b}$ 역시 –0.32~–0.26 범위에 수렴해, 부하가 증가할수록 원활한 열관리를 위해
장비의 냉각시스템에 더욱 많은 공급을 위해 시설의 칠러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Out Air Sup Pre은 $r$이 0.42, $ρ$과
$τ_{b}$은 0.34~0.28의 양(+) 상관을 기록하였다. Pearson 값이 순위 계수보다 0.1 이상 높다는 점은, 저부하 영역보다 고부하
영역에서 압력-전류 민감도가 가파르게 커지는 부분적 비선형성을 시사한다. Voltage와의 관계를 보면, Test Room Hum가 $r$ 0.54,
$ρ$ 0.48, $τ_{b}$ 0.36으로 강한 양의 상관을 보였다. 이는 막 수분 함량이 충분할수록 전도성이 향상되어 전압 유지가 쉬워진다는 전형적
메커니즘을 확인시켜 준다. 반대로 시험실 온도 Test RoomT는 $r$ –0.59, $ρ$ –0.56, Kendall $τ_{b}$ –0.43으로
강한 음적 상관을 형성해, 온도 상승 시 ohmic loss가 급격히 증가함을 나타낸다. Station Inside Pre 또한 전압과 $r$ 0.50의
양(+) 상관을 보여, 외기 조건 변화가 스택 수분 밸런스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내부 변수 간 동조성도 뚜렷하다. 장비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Chill InT–Chill SupT 쌍은 $r$이 0.96, $ρ$와 $τ_{b}$가
0.86~0.93으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여 냉각수 센서 교정 오차가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실 변수에서는 Test Room Hum–Test RoomT가
$r$ –0.76으로 강한 반비례 관계를 보여,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습도가 충분히 유지되지 못함을 정량적으로 뒷받침한다. 이는 시험품(연료전지)이
위치한 습도와 온도를 의미하는데 평가를 진행하면서 시험품의 발열로 인한 환경 변화 있음을 나타낸다. 즉, 연료전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용량의
항온 항습 장치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세 계수 간 감소 폭이 평균 0.05 이내로 작아, 측정 변수들이 선형성에 가까운 단조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 파일럿 공압–전류 쌍처럼 Pearson 대비 순위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다항 항이나 스플라인을 추가한 예측 모델이
설명력을 높일 것으로 예상한다.
그림 8. C 그룹 상관관계 분석
Fig. 8. C Group Correlation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