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Kukdong Electric Estech co., ltd, Korea)
  2. (Busan Cultural Center, Korea)
  3.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4.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Series capacitor compensated load resonance, Lossless capacitive snubber, Dual mode phase shifted PWM control, Zero voltage soft switching, Induction heated dual packs heater

1. 서론

최근 고주파 유도 가열(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응용 기술의 이용은 전기 밥솥, 전자기 온수기와 전기 바닥 난방 온수 보일러 및 전자 과열 증기 발생기에 의한 세정, 살균, 건조 등 새로운 응용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전자유도가열(IH : Induction Heating)응용 기기는 전력 제어용 반도체 스위칭 장치를 중심으로 한 고주파 전력 전자 요소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전원 장치에 의한 고주파 스위칭 동작에 하드 스위칭 모드를 갖는 고주파 인버터는 출력 주파수의 상승과 함께 전원 장치의 스위칭 손실의 증대, 냉각 방열 시스템의 대형화, 전자 노이즈(전도성 잡음·방사성 노이즈)수준이 증가하고 실제 응용에 해결해야 할 점이 많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고주파 인버터의 파워 디바이스를 영전압과 영전류 조건에서 고속 스위칭시킬 수 있는 소프트 스위칭 전류(轉流)에 의한 고주파 인버터 회로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소프트 스위칭 고주파 인버터 회로 토폴로지는 고주파 스위칭 작동시에도 전원 장치의 스위칭 손실의 증가가 억제되어 고효율화가 실현될 뿐만 아니라, 고성능화, 소형, 경량화의 혜택을 크게 기대할 수 있어 파워 장치의 최대 정격 특성 능력 한계 내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dv/dt에 의한 고주파 누설 전류의 억제에 따라 전도성/방사성(EMI/RFI)소음의 감소, 상용 전원측 노이즈 필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실용상의 여러 특징이 있다(1~4).

열을 이용한 기기에서도 최근의 고효율화, 에너지 절약의 중시하며 환경 보호 등 기존의 가스 연소 방식이나 전열선을 사용 시즈 와이어 가열 방식보다 고효율이며, 급속 가열, 국소 가열 수의 제어 조작성이 좋고, 피가열 물체 이외의 열 발산이 없고, CO2를 배출하지 않는 등 장점을 많이 가진 고주파 유도 가열방식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열을 이용한 기기 중에서도 온수기로 사용할 수 있는 가전 과열 증기를 발생시켜 식품의 살균, 세척, 건조 등의 산업용으로 유체 가열을 이용한 방식이 매우 많다. 열원으로 IH 방식에서 열을 이용한 장치는 효율면 및 환경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5~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워크 코일을 감은 비금속 원통형 용기내에 발포 금속을 충전한 IH 발열체를 이용하여 금속 내부에 유체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고효율 온수기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IH 열변환 부하를 구동하기 위해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를 갖는 소프트 스위칭 위상 시프트 PWM 고주파 인버터를 제안하여 그 효과를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로 증명하였다.

2. 실험에 사용한 IH 발포 금속 히터

IH 방식 유체 가열 장치는 깨끗 것은 물론, 국소적으로 집중한 보다 높은 발열 효율을 가지며, 용도 대응에 적합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온도 제어, 조작성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용기내의 IH 발열체와 유체를 내부로부터 가열하는 방식(DPH : Dual Packs Heater)의 개발이 중요해진다. 그래서 최근에는 온수기용 IH-DPH 발열체로서 발포 구조로 한 금속체를 이용한 유체 가열 부하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발포 금속은 금속을 특수 가공하여 스폰지(Sponge)처럼 구멍이 열린 상태로 가공한 포러스(Porous)모양 금속이다. Fig. 1은 실험에 사용한 발포 금속의 외관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 금속은 비교적 내열성이 있는 수지에서 스폰지 형태로 만들고, 수지 스폰지를 용융 금속에 담가 표면에 금속층을 설치하여 고온에서 수지 부분을 기화시켜 금속만을 남기는 공정으로 제작한다.

그림. 1. 발포 금속의 외관 사진

Fig. 1. Exterior photograph of porous metal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png

IH-DPH 온수기의 경우에 일반 열교환기에서는 유체와 발열체와의 열교환 면적이 작고, 고온의 온수를 얻으려고 하면 국부적으로 용해로의 금속을 유출하는 일이 생겨 위험하므로 전체적으로는 70[℃]~80[℃]밖에 할 수 없다. 그러나 발포 금속은 작은 용기내에서 대면적 전열면을 가지고 있어 IH 원리에 따라 직접 발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압 이동 유체를 IH 발포 금속 발열체내에 막접촉 통과시킴으로써 유체가 확산․분산방열에 의해 혼합 이동하고 IH-DPH 발포 금속 히터에서의 열교환을 고효율하면서도 균일하게 가열 할 수 있다. 따라서 IH-DPH 발포 금속체의 경우에 유체의 국부 비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95[℃]까지 이루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발포 금속 발열체 재료의 개발에 따라 200[℃]정도의 과열 증기(Super Heated Steamer)를 얻을 수 있다.

Fig. 2는 시제품으로 개발한 IH-DPH 발포 금속 발열체를 이용한 이동 유체 가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IH 열교환기의 실장 구조는 중심으로 반원기둥(실린더 한쪽만 닫힌 형태)의 금속 통(직경: 10.0[㎜], 높이: 94.5[㎜], 금속 두께: 1.0[㎜])을 이용하여 니켈(Ni)금속으로 제작한 원형 고리 모양의 발포 금속(높이: 5.2[㎜])을 그 금속 막대기를 통해서 17개를 겹친 동축 원통 구조로 되어있다(Fig. 3 참조). 금속 막대기를 중심으로 넣은 것은 발포 금속의 발열 분포의 균일화를 위한 것이다. IH 발포 금속 히터는 워크 코일에 근접한 표면측 부분이 발열되고, 내부의 심지에 가까워지면서 표피 효과에 의해 유도 와전류 밀도(전류 침투 깊이)가 작아져 발열량이 저하된다. 따라서 균일 가열 할 수 없게 되고, 조건에 따라서는 유체의 국부 비등이나 국부적 적열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발포 금속 발열체의 단면을 원형으로 감았다.

그림. 2. 전자유도 유체가열장치의 단면구조

Fig. 2. Cross-sectional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fluid heating device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2.png

그림. 3. 발포 금속 발열체의 형상

Fig. 3. A foamed metal inserted into a ceramic pipe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3.png

Fig. 4는 세라믹 파이프에 삽입한 발포 금속을 나타낸 것이다. Fig. 4에서와 같이 상압 이동 유체를 IH 발포 금속 발열체내에 통과시키기 위해 내열성을 갖는 내부 세라믹 파이프(직경: 19.8[mm], 외경: 25.2[mm])와 외부 세라믹 파이프(직경: 34.6[mm], 외경: 41.6[mm]), 그 외측 파이프에 고주파 자속을 발생시키는 워크 코일(직경: 2.3[mm], 권수: 45회)를 감아서 IH 발포 금속 히터를 구성하였다. Fig. 5는 실제로 이용한 유체 가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4. 세라믹 파이프에 삽입한 발포 금속

Fig. 4. Shape of foamed metal heating element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4.png

그림. 5. 전자유도 유체가열장치의 외관

Fig. 5. Appearanc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fluid heating device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5.png

Fig. 5에서 장치에 사용되는 온도 상한은 가열 전력에 한계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워크 코일 및 발포 금속 발열체의 도달 온도에 달려있다. 이것은 각 워크 코일의 냉각 조건, 발포 금속 발열체의 유체의 열전달(유속, 비열 등)특성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데, 그 온도 상한으로 워크 코일의 내열 온도 등의 워크 코일 표면에서 약 150[℃], 발포 금속 구조에서 약 200[℃]정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용된 시제품 장치는 부하에 투입 전력을 2[kW] 정도로 하였다.

3. 제안한 위상 시프트 ZVS PWM 고주파 인버터

3.1 회로의 구성 및 동작

유도 가열은 워크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 고주파 공간 자속을 발생시키고, 패러데이 전자기 유도 법칙에 의해 피가열 물체에 유도 기전력을 기반으로 소용돌이 전류를 직접 가열하는 가열 방식이다. Fig. 6은 제안한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 및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를 이용한 전압형 직렬 부하 공진 소프트 스위칭 PWM 고주파 인버터를 나타낸 것이다. 제안한 고주파 인버터의 회로 구성은 유도성 부하인 유체 가열 장치를 등가 실효 저항분 R과 등가 실효 인덕터분 L의 직렬 등가 회로(유도 가열 시스템의 워크 코일 단자에서 본 선형 등가 회로 파라미터)로 대체하였으며, 이 유도성 부하와 직렬로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를 연결한 직렬 부하 공진 회로를 기존의 풀-브리지 인버터 회로에 연결하였다. 그리고 2개의 보조 스위치 Sa1 및 Sa2, 보조 인덕터 La, 보조 커패시터 Ca로 구성된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Fig. 6과 같이 풀-브리지 중 하나에 연결 구성하였다. 또한 제안한 고주파 인버터는 고출력 전력 설정시에는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만의 ZVS PWM으로 동작하고, 저출력 모드 설정시에는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와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병용하여 도입함으로써 전체 출력 설정 영역에서 ZVS PWM 동작을 수행하는 듀얼 모드 제어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그림. 6. 제안한 위상 시프트 ZVS PWM 고주파 인버터

Fig. 6. The proposed phase shift ZVS PWM high frequency inverter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6.png

Table 1는 시뮬레이션과 실험에 사용된 회로 정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역률 보상 커패시터 C의 값은 고주파 인버터의 주 스위치를 ZVS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IH 부하와 역률 보상 커패시터로 정해지는 직렬 공진 주파수 fr가 스위칭 주파수 fs보다 낮게 되도록 선정하였다. 그리고 무손실 커패시터를 효과적으로 충·방전시키기 위해서 고주파 인버터 출력 전압 v0와 IH 부하 공진 전류 i0의 위상 관계를 지연 위상으로 하였다.

표 1. 시뮬레이션과 실험에 사용된 회로 정수

Table 1. Circuit parameters used in simulations and experiments

Item

symbol

Parameter

DC Voltage Source

E

141[V]

Switching Frequency

fs

20[kHz]

Resistance of Load

R

750[mΩ]

Inductance of Load

L

37.5[μH]

Power Compensation Capacitor

C

3.21[μF]

Auxiliary Inductor

La

35.9[μH]

Auxiliary Capacitor

Ca

0.186[μF]

Snubber Capacitor

Cs

0.1[μF]

Resonant Frequency

fr

14.5[kHz]

Auxiliary Resonant Frequency

fa

61.6[kHz]

경부하시에 제안한 고주파 인버터는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를 작동시켜 주 스위치의 소프트 스위칭 동작 영역을 확대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Fig. 7Fig. 8은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동작시켰을 경우의 동작 모드 전환 및 각 모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모드 전환 과정에 대한 회로 동작은 다음과 같다.

그림. 7. 전반주기 모드 전환과 등가 회로

Fig. 7. Mode transitions and equivalent circuits during one half cycle period.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7.png

그림. 8. 후반주기의 모드 전환과 등가 회로

Fig. 8. Mode transitions and equivalent circuits during another half cycle period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8.png

○ Mode 1 : 주 스위치 S1, S4가 동시에 도통하고, 고주파 인버터에서 IH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이때, 등가 실효 인덕턴스 L은 직렬 공진 커패시터에서 역률 보상하고 있기 때문에 고주파 전력은 등가 실효 R에 충분히 들어가도록 되어있다. 이 모드 동작에서 보조 스위치는 비도통 있기 때문에 직렬 부하 공진 전류는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에 흐르고 있지 않다.

○ Mode 2 : 주 스위치 S4를 턴-오프하는 모드이다. 이때 IH 부하의 실효 인덕터 성분 L, 실효 저항분 R, 역률 보상 캐패시터 C에 의해 직렬 부하 공진과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 CS3와 CS4 사이에 부분 공진이 일어나 DE급 동작으로 복공진(Double Resonant)모드가 된다. 이때 주 스위치 S4는 CS4의 전압이 제로이기 때문에 ZVS 턴-오프된다.

○ Mode 3 :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 CS4의 전압 VCS4가 직류 전원 전압 E에 도달하면 주 스위치 S3의 역도통 다이오드 D3가 도통 상태가 되고, 직렬 부하 진동 전류가 주 스위치 S1과 S3의 역도통 다이오드 D3를 통해 환류한다.

○ Mode 4 : 주 스위치 S1을 턴-오프 할 때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 CS1, CS2를 데드 타임 기간 내에 완전히 방전(CS1는 충전, CS2는 방전)되어 영전압 소프트 스위칭(ZVS)을 실현한다. 그리고 보조 공진 인덕터 La는 초기 공진 시작 전류를 공급하고 전자기에너지를 지정값 이상 축적하며, 보조 스위치 Sa1는 La의 효율성을 위해 ZCS 턴-온한다.

○ Mode 5 : 주 스위치 S1을 턴-오프하는 것으로, IH 부하의 실효 인덕터 성분 L, 실효 저항분 R, 역률 보상 커패시터 C에 의해 부하 공진과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 CS1과 CS2, 보조 공진 인덕터 La 사이에 부분 공진이 일어난다. 이때 주 스위치 S1은 CS1의 효과를 위해 ZVS 턴-오프한다.

○ Mode 6 : 보조 공진 인덕터 La에 흐르는 전류가 보조 스위치 Sa1 및 주 스위치 S2의 역병렬 다이오드 D2를 통해 환류한다.

○ Mode 7 : 보조 스위치 Sa1의 게이트 턴-오프 신호를 주기위해 보조 공진 인덕터 La에 흐르는 전류가 보조 스위치 Sa2의 역병렬 다이오드 Da2을 통해서 보조 공진 커패시터 Ca에 흘러 La 및 Ca에서 부분 공진이 발생한다. 이때 보조 스위치 Sa1는 Ca의 충전 효과를 위해 ZVS 턴-오프한다.

○ Mode 8 : 보조 스위치 Sa2가 비도통 상태에 있기 때문에 보조 공진 인덕터 La와 보조 공진 커패시터 Ca가 부분 공진으로 전류가 제로가 되면 종료한다. 이때 주 스위치 S2와 S3가 도통 상태이다.

○ Mode 9 : 주 스위치 S3를 턴-오프하는 것으로, IH 부하의 실효 인덕터 성분 L, 실효 저항분 R, 역률 보상 커패시터 C에 의해 부하 공진과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 CS3와 CS4 사이에 부분 공진이 일어난다. 이때 주 스위치 S3는 CS3의 충전 효과를 위해 ZVS 턴-오프한다.

○ Mode 10 :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 CS3의 전압 VCS3가 직류 전원 전압 E에 도달하면 주로 스위치 S4의 반대 도통 다이오드 D4가 자연적으로 턴온하고 IH 부하 계의 전류가 주로 스위치 S2와 다이오드 D4를 통해 환류한다.

○ Mode 11 : 보조 스위치 Sa2는 외부 신호에서 정해진 신호로 도통시킴으로써 보조 공진 인덕터 La와 보조 공진 커패시터 Ca에 의해 다시 부분 공진이 일어난다. 이때 보조 스위치 Sa2은 ZCS 턴-온된다.

○ Mode 12 : 보조 공진 커패시터 Ca의 전압이 제로가 되는 것으로, 보조 공진 인덕터 La에 흐르는 전류가 주 스위치 S2와 보조 스위치 Sa1의 역병렬 다이오드 Da1을 통해서 환류된다. 이 모드는 게이트 신호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도 안전하게 동작된다.

○ Mode 13 : 주 스위치 S2를 턴-오프하는 것으로, IH 부하의 실효 인덕터 성분 L, 실효 저항분 R, 역률 보상 캐패시터 C에 의해 부하 공진과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 CS1과 CS2, 보조 공진 인덕터 La 사이에 부분 공진이 일어난다. 이때 주 스위치 S2는 CS2의 충전 효과에 위해 ZVS 턴-오프한다.

○ Mode 14 : 보조 공진 인덕터 La에 흐르고 있는 전류는 다이오드 Da1 및 D1을 통해 직류 전압 전원 E에 전력을 회생한다.

보조 스위치 Sa1이 비도통 상태이기 때문에, 보조 공진 인덕터 La의 전류가 제로가 되면 전력 회생이 종료된다.

Fig. 9는 위상차 φ가 123°일 때의 각 스위치의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Fig. 9에서 어떤 스위치에서도 ZVS 동작 또는 ZCS 동작 이른바 소프트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9. 위상차 φ가 123°일 때의 각 스위치의 시뮬레이션 파형

Fig. 9. Simulation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of each switch under phase difference 123°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9.png

Fig. 10은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를 갖는 고주파 인버터의 주 스위치와 보조 스위치의 게이트 전압 펄스 시퀀스를 나타낸 것이다. 대각선으로 배치된 스위치(스위치 S1과 S4 또는 스위치 S2와 S3)의 온 기간이 길어지면 IH 부하에 고주파 전력이 많이 주입된다. 따라서 본 고주파 인버터는 출력 전력 제어 변수인 위상차 각도φ, 즉 위상차 시간 t가 0일 때 출력 전력이 최대가 되게 하였다. 또한 보조 스위치 Sa1, Sa2를 구동시키는 게이트 전압 펄스 신호를 Fig. 10과 같이 나타내었다. Fig. 10에서 보조 스위치 Sa1의 온 기간은 Fig. 6에 나타낸 전류 방향으로 보조 공진 인덕터의 정방향 전류 축적 모드이며, 보조 스위치 Sa2의 온 기간은 보조 공진 인덕터의 역방향 전류 축적 모드이다.

그림. 10. 각 스위치의 게이트 전압 펄스 신호 시퀀스

Fig. 10. Gate voltage pulse signal sequence of each switch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0.png

3.2 실험결과 및 고찰

Fig. 11는 하드 스위칭 동작 영역에서 위상차 φ가 120°일 때의 하드 스위칭 동작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Fig. 12는 위상차 φ가 140°일 때 제안한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동작 시켰을 때의 각 부 실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Fig. 11의 동작 파형에서 주 스위치 Q1의 S1에서는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 CS1, CS2의 전하 단락 모드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에 큰 기생 진동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Fig. 12을 보면, IH DPH 부하 전류 조건인 위상차 φ가 140°에서 제안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동작시킴으로써 모든 주 스위치와 보조 스위치가 소프트 스위칭 동작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위상차 φ를 크게 설정한 범위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동작시켜 듀얼 모드 위상 천이 방식으로 함으로써 고주파 인버터는 넓은 위상 시프트 제어에서 영전압 소프트 스위칭이 가능해져 효율의 향상 및 전자 노이즈의 저감 효과를 얻었다.

그림. 11. 하드 스위칭 동작 파형(위상차φ : 120°인 경우)

Fig. 11. Hard switching operation waveform(Phase difference φ : 120°)(a) Voltage and Current of S1 (b) Voltage and current of load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1.png

그림. 12. 제안한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의 각 부 동작 파형(위상차φ : 140°)

Fig. 12. The each part operation waveform of the proposed active-assisted resonant snubber circuit(Phase difference φ : 140°)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2.png

3.3 특성 해석

Fig. 13은 역률 보상 커패시터 C의 값과 IH 부하의 공진 주파수 fr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Fig. 13에서 fr fs의 충족시키려면 역률 보상 커패시터 C의 값은 1.7[μF] 이상이어야 한다.

그림. 13. 역률 보상 커패시터 C의 값과 부하 공진 주파수 fr의 관계

Fig. 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he power factor compensating capacitor C and the load resonance frequency fr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3.png

Fig. 14는 역률 보상 커패시터 C에 대한 고주파 인버터의 최대 출력 전력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Fig. 14에서 C의 값이 1.7[μF]보다 커지면서 IH 직렬 부하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 fr가 고주파 인버터의 스위칭 주파수 fs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고주파 인버터의 고주파 출력 전력이 IH 부하에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IH 부하에 투입하는 고주파 전력을 최대 2[kW]하기 때문에 C의 설계 값을 3.2[μF]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보조 공진 인덕터 La, 보조 공진 커패시터 Ca의 값은 2개의 회로 소자에 의한 액티브 보조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회로 소자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그림. 14. 역률 보상 커패시터 C에 대한 고주파 인버터의 최대 출력 전력의 관계

Fig. 14.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output power of high frequency inverter to power factor compensating capacitor C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4.png

주 스위치 S1과 S2가 모두 오프 기간은 1주기분의 10°/ 360°로 설정한 fs=20[kHz]를 고려하면, 데드 타임 Td식(1)과 같이 된다.

(1)
T d = 1 f s × 10 ° 360 ° = 1 . 4     [ μ s e c ]

따라서, 보조 공진 인덕터 La와 보조 공진 커패시터 Ca 등을 갖춘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의 공진 주파수 fa식(2)와 같이 된다.

(2)
f a = 1 ( 1 2 × 1 f s - T d ) × 1 2 = 21 . 18     [ k H z ]

Fig. 15는 충족 조건을 가지는 보조 공진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보조 공진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Fig. 15에서 표시된 실선 아래의 영역에서는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fa이하가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로 이용 가능하다. 이 밖에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의 스위치의 내전압과 허용 전류 등을 고려하여 보조 공진 인덕턴스 La를 35.9[μH], 보조 공진 용량 Ca을 0.186[μF]하였다. 그리고 공진 주파수는 61.59[kHz]로 하였다.

그림. 15. 보조 공진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과 보조 공진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의 관계

Fig. 1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uctance value of the auxiliary resonance inductor and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auxiliary resonance capacitor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5.png

일반적으로 기존의 전압형 풀 브리지 위상 시프트 PWM 고주파 인버터 회로의 스위치와 병렬로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가 연결된 고주파 ZVS 인버터 회로에서는 기준 위상과 제어상의 위상차가 작아 IH 부하에 전원이 일정 이상 들어있는 중부하 영역에서 제어 상측의 주 스위치는 물론 기준 상측의 주 스위치도 ZVS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주파 인버터의 입력 전력이 일정 이하가 되면 스위칭시 IH 부하의 순간 전류값이 작아지고, 데드 타임 기간 Td에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의 충·방전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기준 상측의 주 스위치는 하드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Fig. 16은 제안한 고주파 인버터의 출력 전력 제어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16에서 위상차φ를 변경하여 출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ZVS 동작을 확대하기 위해 새로운 2개의 보조 스위치, 보조 공진 인덕터, 보조 공진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기준 상측에 삽입하여 경부하에서만 작동시키는 것으로, 넓은 위상차 설정에 ZVS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Fig. 16에서 알 수 있듯이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만 사용한 소프트 스위칭 동작 영역은 위상차φ가 100°(출력 전력 800[W] 정도)가 한계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이용한 고주파 인버터 회로에서는 위상차φ가 145°(출력 전력 200[W] 정도)까지 ZVS 동작을 할 수 있다.

그림. 16. 위상차φ에 대한 출력 전력 특성

Fig. 16. Output power characteristic for phase difference φ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6.png

Fig. 17는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가 없을 때의 ZVS 동작 한계값을 나타낸 것이다. Fig. 17에서 역률 보상 커패시터 값 C가 커지고 IH 부하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 fr이 스위칭 주파수 fs에서 멀어 질수록 스위칭시의 부하 전류가 커지기 때문에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가 없을 때의 ZVS 동작을 할 수 있는 위상차 각도 φ가 커진다. 즉, ZVS 동작면에서 보면 소프트 스위칭시 IH 부하 전류가 큰 것이 유리하나 고주파 출력단에서 보면 역률이 나빠진다. Fig. 17에서 ZVS 동작 한계가 4[μF]부근에서 작아지고 있는 것은 IH 부하에 대한 출력 전력, 즉 입력 전력이 작아져, 보조 공진 인덕터의 초기 공진 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림. 17. 역률 보상 커패시턴스와 소프트 스위칭 동작 영역의 관계

Fig. 17. Relationship between power factor compensation capacitance and soft switching operating area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7.png

Fig. 18은 출력 전력의 제어 변수로 위상차φ를 변화 시켰을 때의 제안한 고주파 인버터의 실측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Fig. 18에서 제안한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에서는 하드 스위칭 동작 모드가 되는 위상차 φ=100°를 넘으면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고주파 인버터는 영전압 소프트 스위칭 동작에 의해 효율 저하의 정도가 완만하게 되었다.

그림. 18. 고주파 인버터의 효율 특성 비교

Fig. 18. Comparison of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High Frequency Inverter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8.png

Fig. 19Fig. 5에 나타낸 IH-DPH 온수기를 이용하여 상압 이동 유체의 유량을 550[ml/min]로 일정하게 했을 때 IH-DPH 가열 장치 출구의 유체 온도 응답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19에서 위상차φ가 커지면 IH-DPH 부하에 주입 전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온도의 상승도 작다. 이 결과로부터, 위상차φ을 제어함으로써 이동 유체의 온도를 연속적이고 빠르게 제어 할 수 있다.

그림. 19. 유량 550[ml/min]로 일정했을 때 유체 온도의 응답특성

Fig. 19.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luid temperature when flow rate is constant at 550[ml/min]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19.png

Fig. 20은 위상차φ와 열변환 효율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Fig. 20에서 IH 열교환기의 열변환 효율은 85~90[%]정도가 되고 있다. 기존의 가스 온수기 열변환 효율이 높아도 80[%]정도이기 때문에 제안한 IH-DPH 방식 유체 가열 장치의 열변환 효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0. 위상차φ와 열변환 효율의 관계

Fig. 2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ase difference φ and the heat conversion efficiency

../../Resources/kiee/KIEEP.2018.67.2.082/fig20.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와 액티브 보조 공진 스너버 회로를 가진 전자기 유도 유체 가열 부하(IH 열교환기)구동용 듀얼 모드 위상 시프트 ZVS PWM 제어 고주파 인버터의 제안을 하여 그 동작 원리와 특징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고주파 인버터가 대전력 설정인 높은 부하에서는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 단독 모드로, 저전력 설정인 경부하에서는 무손실 스너버 커패시터와 액티브 보조 공진 회로의 동작을 병용 모드(듀얼 모드 위상 시프트 PWM)로 도입함으로써 넓은 영전압 소프트 스위칭(ZVS) 동작 영역의 실현과 고효율 전력 변환의 실현이 가능해졌다. 또한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고주파 직렬 부하 공진 ZVS PWM 인버터 회로 방식은 영전압 소프트 스위칭(ZVS)동작 영역이 넓어 실측 전력 변환 효율이 저전력 출력 영역에서도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한 고주파 인버터 방식이 IH-DPH 온수기에 적용했을 때의 효율성과 실용성을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1 
Jang S. M., Lee S. H., Park H. C., 2001,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and Its Application, Proceedings of KIEE, Vol. 50, No. 2, pp. 22Google Search
2 
Lim Young Do, 2008, Implementataion of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Appliance with Frequency Tracking Fucntion, Journal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Vol. 6, No. 6, pp. 180-188Google Search
3 
Shin D. C., Kwon H. M., 2005, Development a High- Efficiency Induction Heating Heater using a 5[kW] Class Full-Bridge High Frequency Resonant Inverte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0, No. 5, pp. 481-487Google Search
4 
Cho H. S., 2016, The Study of Induction Heating Apparatus with High Efficiency,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ol. 9, No. 2, pp. 185-189DOI
5 
Kim Y. J., Kim K. H., Shin D. C., 2002, Electromagnetic Indirect Induction Fluid Heating System using Series Resonant PWM Inverter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7, No. 1, pp. 48-54Google Search
6 
Ho J. M., LEE M. T., 1996, A novel PWM inverter control circuitry for induction heating, IEEE International Power Electronics Congress, Vol. 10, pp. 113-119DOI
7 
Wang Shengpei, et al., 1998, Induction-heating cooking appliance using new quasi-resonant ZVS-PWM invert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IEEE Tra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34, No. 4, pp. 705-712DOI

저자소개

정상석 (Sang-Wook Lee)
../../Resources/kiee/KIEEP.2018.67.2.082/au1.png

1991년 부경대 전기공학과 졸업.

2015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18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중.

2006년~2018년 현재 (주)극동전기에스테크 근무.

유의정 (Yeoi-Joung Ryu)
../../Resources/kiee/KIEEP.2018.67.2.082/au2.png

2015년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2018년 부경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수료.

1994년∼2018년 현재 부산문화회관 근무.

우경일 (Kyung-Il Woo)
../../Resources/kiee/KIEEP.2018.67.2.082/au3.png

1969년 9월 6일생.

1995년 한양대 전기공학과 졸업(공학사).

1997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석사).

2001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02년 ~현재 부경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박한석 (Han-Seok Park)
../../Resources/kiee/KIEEP.2018.67.2.082/au4.png

1981년 중앙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83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6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졸업(박사).

1986년 3월~현재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