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2. (Dept. of Mechanica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Korea)



Capacitor, Induction motor, Power factor compensation, Reactive power, Self-excitation, Voltage-drop

1. 서론

산업현장에서 회전기기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도전동기는 다른 전동기에 비해 견고하고, 가격측면에서 유리하며, 유지보수가 편리하여 회전용 기기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다[1-3]. 이 유도전동기는 유도성 부하로서 실제 기동시 초기 역률은 매우 낮으며,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여 정격속도에서는 0.8 전후가 된다[3-5].

유도전동기는 정격부하와 정격속도에서 운전하는 조건으로 전력회사에서 요구하는 역률 값을 만족하도록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를 설치하고 있지만, 같은 출력의 전동기라도 극수에 따라 역률이 다른데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전압과 출력만 고려한 커패시터 용량이 설치하도록 권고하고 있다[6]. 최근 유도전동기는 설계 제작기술의 향상과 소재의 기술개발로 효율이 점차 향상되고 있지만, 이들 전동기에 대한 역률 향상을 위한 커패시터의 선정은 기존 표준 등급을 기준으로 정해져 있다[5, 6]. 또한 실제로 현장에서는 유도전동기의 실제 정격용량보다 낮은 용량으로 운전하는 경우가 훨씬 많아 규정된 커패시터로 역률을 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부하의 증감과 극수의 차이에 따라 다른 운전 특성을 감안하여 해당 전동기에 적정한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의 선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출력의 전동기에서 극수 및 부하의 운전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역률을 고려하여 유도전동기에 가장 적합한 커패시터를 설치하여 전력회사에서 요구하는 역률을 만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유도전동기의 전력과 역률

그림. 1은 유도전동기의 에너지 변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상 등가회로도이다. 그림. 1의 등가회로도에서 저항 및 리액턴스 성분으로 구성된 지상회로이기 때문에 역률이 낮다. 그림에서 회전자계를 만드는데 필요한 자화성분은 유도성 부하로서 무효전력을 필요로 하는데 커패시터를 부하측 단자에 부착할 경우 전원측을 대신하게 되므로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Fig. 1.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induction motor

../../Resources/kiee/KIEEP.2019.68.1.001/fig1.png

그림. 1과 같이 유도전동기의 고정자에 흐르는 전류 $I_ {1}$은 식 (1)과 같다.

(1)
$I_{1}=\frac{V_{1}}{\left(r_{1}+j x_{1}\right)+\frac{1}{\frac{1}{j x_{m}}+\frac{1}{\left(\frac{r_{2}}{s}+j x_{2}\right)}}}$

여기서 $r_ {1}$, $x_ {1}$은 각각 고정자의 저항과 누설 리액턴스이고, $r_ {2}$, $x_ {2}$는 회전자의 저항과 누설리액턴스이며, $s$는 슬립 그리고 $x_ {m}$은 자화리액턴스이다.

회전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류를 흐릴 때 인가되는 전압 $E_ {1}$과 자화전류 $I_ {m}$는 각각 식 (2)식 (3)과 같다.

(2)
$E_{1}=V_{1}-I_{1}\left(r_{1}+j x_{1}\right)$

(3)
$I_{m}=\frac{E_{1}}{j x_{m}}$

유도전동기 고정자에 인가되는 전압과 흐르는 전류로부터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은 다음 식 (4)식 (5)와 같이 구할 수 있다.

(4)
$P=\operatorname{Re}\left(\frac{3}{2} \times V_{1} \times \overline{I}_{1}\right)$

(5)
$Q=\operatorname{Im}\left(\frac{3}{2} \times V_{1} \times \overline{I}_{1}\right)$

회전자계를 만드는데 필요한 무효전력은 전원측에서만 공급할 경우 역률이 낮아지므로 부하측에 커패시터를 설치하여 유도전동기에 무효전력을 제공할 경우 역률을 높일 수 있다. 부하측에 설치하는 무효전력 보상용 커패시터의 용량은 식 (6)과 같다.

(6)
$Q_{c 1}=P\left(\frac{\sqrt{1-\cos \theta_{1}^{2}}}{\cos \theta_{1}}-\frac{\sqrt{1-\cos \theta_{2}^{2}}}{\cos \theta_{2}}\right)$

여기서 $cos \theta _{1}$, $cos \theta _{2}$는 각각 보상전후의 역률이다.

식 (6)으로부터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 $I _{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7)
$I_{c}=\frac{Q_{c 1}}{\sqrt{3} V_{1}}$

유도전동기의 역률 보상을 위해 설치하는 커패시터가 적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자기여자현상의 발생으로 권선 절연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5,7]. 그래서 자기여자 현상에 의한 전압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커패시터의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적용하고 있다[5,7,8].

(8)
$Q_{c 2} \leq 0.9 \times \sqrt{3} \times V_{1} I_{0}$

식 (8)에서 $I _{o}$는 무부하 전류이다. 이 무부하 전류는 제작사의 시험데이터로 알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전부하 전류($I _{n}$)와 역률($cos \theta $)로 식 (9)와 같이 구할 수 있다[5,7].

(9)
$I_{o}=2 I_{n}\left(1-\cos \theta_{1}\right)$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 현상은 권선에 전압 스트레스를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서는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가 자화전류보다 작아야 한다[5,7,8].

(10)
$I_{c} < I_{m}$

무부하 전류는 자화전류에 풍손등 손실전류의 합이므로 실제로 무부하 전류가 자화전류보다는 약간 높은 편이다.

3. 계산 및 결과 분석

유도전동기는 같은 용량이라도 극수에 따라 역률과 효율이 서로 다르지만, 이를 고려하지 않고 전압과 용량에 따라 일정한 값의 커패시터를 선정하여 부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는 실제로 부하의 증감에 역률이 다른데도 이를 전혀 감안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부하의 운전 상황과 전동기 극수의 차이를 고려하여 자화에 필요한 무효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표 1은 제작사에서 제시한 3상 380V 7.5㎾ 유도전동기의 극수에 따른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극수에 따라 전부하 전류, 기동전류, 역률, 효율 및 토크가 각각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력회사에서 요구하는 역률을 만족하기 위해 설치하는 커패시터는 이들 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75㎌의 커패시터를 부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6,9].

Table 1. Induction motor paramet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les

Poles

2극

4극

6극

Speed[rpm]

3,510

1,770

1,180

Full load current[A]

15.3

16.2

17.4

Locked-rotor current[%]

800

680

720

Eff[%]

At 1/2 load

88.2

89.7

89.0

At 3/4 load

89.2

90.7

90.0

At full load

90.2

91.7

91.0

pf

At 1/2 load

67.5

61.5

57.0

At 3/4 load

77.5

71.5

67.0

At full load

82.5

76.5

72.0

Torque

Full load[Nm]

20.6

40.2

60.8

Locked rotor[Nm]

260

220

250

Breakdown torque[Nm]

360

270

300

본 연구에서는 같은 용량이라도 극수의 변화와 같은 극수에서도 부하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적정한 커패시터의 선정할 수 있도록 해석하였다. 유도전동기는 전원에서 부하까지 케이블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전압강하가 허용범위 이내가 되도록 케이블 규격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0]. 본 연구에서는 변압기 2차측에서 전동기까지의 거리는 30m로 하고, 케이블의 규격은 전동기 용량에 적합한 1.5㎟로 선정하였다.

그림. 2표 1의 2극 유도전동기를 대상으로 정격부하 운전조건하에서 전압강하, 커패시터 설치 전후 역률 그리고 자화전류와 커패시터 전류를 계산한 결과이다. 그림. 2(a)에서와 같이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압강하로 인해 제작사에서 제시한 정격전압보다 약간 낮은 전압이므로 전동기의 운전시 특성은 표 1에서 제시된 값과는 약간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Fig. 2. Voltage drop, power factor, magnetizing & capacitor current

../../Resources/kiee/KIEEP.2019.68.1.001/fig2.png

그림. 2(a)에서 유도전동기의 기동초기에는 매우 높은 전압강하가 발생하고, 정상속도에 도달한 이후 변압기 2차측에서의 전압(○)은 378.98V에서 전동기 단자에서의 전압(□)은 367.86V로 전압강하는 약 11V(2.93%)가 발생하게 된다. 케이블 길이가 이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전압강하 허용범위를 넘게 된다. 그림. 2(b)에서는 역률 보상을 위해 변압기 2차측 75㎌의 커패시터를 설치하고서 역률을 분석한 결과 전동기 단자에서 84.8%이든 것이 역률 보상의 결과 99.2%에 도달하는 값까지 보상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림. 2(c)는 커패시터에 의한 자기여자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화전류와 커패시터의 전류를 분석한 결과 자화전류가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보다 약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1 극수에 따른 동작 특성

표 1에서와 같이 같은 용량이라도 극수가 높은 쪽이 극수가 낮은 것보다 역률이 낮다. 극수의 변화에 따른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전동기에는 정격부하가 연결된 것으로 선정하였다. 그림. 3은 극수의 변화(2극 : ○, 4극 : □, 6극 : △)에 따라 커패시터 설치 전후의 역률을 그리고 그림. 4는 자화전류(2극 : ○, 4극 : □, 6극 : △)와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 것이다.

Fig. 3. Power factor before and after capacitor installation

../../Resources/kiee/KIEEP.2019.68.1.001/fig3.png

Fig. 4. Magnetizing current and capacitor current according to poles change

../../Resources/kiee/KIEEP.2019.68.1.001/fig4.png

그림. 3(a)에서 알 수 있듯이 극수가 증가할수록 역률은 떨어진다. 이와 같이 같은 출력이라도 역률이 다른 전동기에 같은 용량의 커패시터(75㎌)를 설치하여 역률을 높인 경우가 그림. 3(b)와 같다. 6극의 경우는 95%로 적정한 값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2극의 경우 역률이 거의 100%에 가까워질 정도로 과보상이라고 판단될 정도이다.

그림. 4는 극수의 변화에 따른 자화전류(2극 : ○, 4극 : □, 6극 : △)와 역률 보상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 것으로서 극수가 높아질수록 자화전류는 높아지고, 또한 자화전류가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보다 높기 때문에 자기여자를 일으킬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표 2는 380V 7.5㎾ 유도전동기의 극수의 변화에 따른 커패시터 설치 전후 역률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적용한 75㎌ 커패시터에 2극의 경우 설치 후 역률이 매우 높아지고, 6극의 경우 역률은 2극에 비해 높지 않은 편이다. 낮은 극수일수록 설치 후에 역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진상으로 이동할 경우 자기여자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Table 2. Power factor change before and after capacitor installation

Item

2 pole

4 pole

6 pole

Before

0.848

0.791

0.757

After

0.992

0.966

0.944

3.2 부하의 크기변동에 따른 동작 특성

표 1에서와 같이 같은 극수라도 정격보다 낮은 부하가 연결 운전될 경우 역률은 낮아진다. 이를 고려하지 않고 정격운전 조건에 맞는 커패시터를 설치할 경우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해석 대상 전동기는 4극으로 부하를 1/4부하, 1/2부하, 3/4부하 그리고 전부하로 운전하는 조건에서 역률 보상 커패시터의 설치 전후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그림. 5는 부하의 증감에 따른 자화전류(1/4 : , 1/2 : □, 3/4 : △, 전부하 : ×)와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를 분석한 결과이다.

Fig. 5. Changes in magnetization current and capacitor current according to increase/decrease in load

../../Resources/kiee/KIEEP.2019.68.1.001/fig5.png

그림. 5에서와 같이 같은 극수라도 부하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자화전류는 아주 미세하지만 줄어들고, 부하의 크기의 변화에도 자화전류는 모두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보다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림. 6은 부하의 증감에 따라 역률 보상용 커패시터의 설치 전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Fig. 6. Power factor changes according to increase/decrease in load

../../Resources/kiee/KIEEP.2019.68.1.001/fig6.png

그림. 6(a)에서와 같이 정격보다 낮은 부하의 운전시에는 역률이 전체적으로 낮아지고, 이들 낮은 역률을 보상하기 위해 커패시터를 부착하고서 동일 조건으로 운전한 결과 그림. 6(b)와 같이 역률은 전체적으로 상승하지만, 1/4부하로 운전할 경우는 전력회사에서 요구하는 역률의 달성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은 380V 4극 7.5㎾ 유도전동기에 연결되는 부하의 크기에 75㎌의 커패시터를 설치 전과 설치 후에 대한 역률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1/4부하의 경우 설치 전에 역률이 낮기 때문에 커패시터를 설치한 이후에도 역률값은 권고하는 값 이하이고, 부하의 크기가 1/2 이상으로 올릴 경우 보상된 역률은 권고하는 역률값을 충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Table 3. Power factor change before and after capacitor installation according to load size

Item

1/4 load

1/2 load

3/4 load

Full load

Before

0.40

0.59

0.71

0.79

After

0.80

0.91

0.95

0.966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같은 전압, 같은 출력의 유도전동기를 대상으로 극수가 다른 조건과 부하의 증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역률을 보상하는데 일괄적으로 권고되고 있는 커패시터를 적용할 경우 자화전류, 커패시터 전류 그리고 역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도기가 전동기로 운전할 경우 부하의 크기변화나 회전수의 변화에도 자화전류는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보다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자기여자현상을 일으킬 우려는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극수가 다를 경우 같은 출력조건에서 권고하는 커패시터를 부착할 경우 역률이 너무 높게 나타날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ences

1 
Park Minho, 1990, Induction Machines, DongmyungsaGoogle Search
2 
Wildi Theodore, 2002, Electrical Machines, Drives and Power Systems, Prentice HallGoogle Search
3 
Kim Jong-Gyeum, Park Youn-Jeen, 2008. 09, A Characteristic Study on the Power Factor Correction Application for the Induction Motor, KIIEE, Vol. 22, No. 9, pp. 25-31DOI
4 
Kim Jong-Gyeum, 2008. 12, Suitability Review for Power Correction Parameter of Induction Motor, KIIEE, Vol. 22, No. 12, pp. 101-109DOI
5 
Kim Jong-Gyeum, 2016. 7, A Study on the Optimum Selection of the Power Factor Compensation Condenser According to the Improved Efficiency of Induction Motor, KIEE, Vol. 65, No. 7, pp. 1007-1012DOI
6 
KEA , 2016, Indoor Wiring RegulationGoogle Search
7 
IEEE Std 141-1993 , Power factor and related considerationsGoogle Search
8 
Natarajan Ramasamy, 2005, Power System Capacitor, Taylor & FrancisGoogle Search
9 
KEA , 2016, Electrical Facility Technical Standards & Criteria StandardsGoogle Search
10 
IEC 60364-5-52 , 2009, Low-voltage installations- Selection & er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Wiring systems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 종 겸 (Jong-Gyeum Kim)
../../Resources/kiee/KIEEP.2019.68.1.001/au1.png

1961년 10월 3일생

1996년 충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1987.1~1988.1 KT 근무

1988.1~1996.3 K-water 근무

1996년~현재 강릉원주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2013년~2014년 위스콘신 대학교 방문교수

현재 당학회 평의원 및 B부문회 회장

E-mail : jgkim@gwnu.ac.kr

김 일 중 (Il-Jung Kim)
../../Resources/kiee/KIEEP.2019.68.1.001/au2.png

1958년 12월 10일생

1995년 충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

1992년~2005년 주성대학 전기과 교수

2006년 (주)일신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장

2007년~현재 호서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E-mail : ijkim@hoseo.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