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Smart Mobility Research Team,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IMU, IOT, BLE, Mobility handicapped

1. 서론

교통약자들은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이하 ‘교통약자법’이라 한다)[1]에서 교통약자는 행동상의 부자유함 때문에 공공 교통시설을 사용할 때 일시적 혹은 지속적인 이동의 제약이나 불편을 느끼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교통약자 인구는 전체 총 인구대비 29%에 이르며, 앞으로 5년간 예측에서 2%의 연평균 증가율로 예측된다[2]. 이처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교통약자들은 현재의 철도역사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더군다나 지하화되는 도로교통 또는 GTX 노선과 연계 환승 등이 고려되는 철도역사는 지금보다 더욱 복잡한 거대 지하 도시화 되어감에 따라, 증가하는 교통약자들은 이러한 철도역사의 이용이 더욱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교통약자들은 인지판단 능력이나 체력조건 저하 등의 요인으로 역사이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대부분 역사는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 입체적인 이동 경로를 가지고 있어서 교통약자들의 철도역사 이용 만족도가 일반인보다 매우 낮게 나오고 있다[2]. 또한, 역사 이용 중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ICT 기술 기반의 다양한 형태의 비상대피 안내정보 및 탈출시스템을 이해하고 안내에 따라 안전히 탈출하기에는 일반인과 비교 시 많은 차이를 보여 역사이용 자체를 꺼리고 있다.

이러한 교통약자의 대중교통시설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서 국내에서는 교통약자 법이 제정되어 있으며, 모두가 편리한 교통복지 사회 구현이라는 비전하에 “교통약자는 모든 교통수단에 대하여 차별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라고 제시되어 있다. 이 법령에 따른 정부에서 철도역사에 교통약자 이동 편의 실태조사 보고서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 조사 결과에서 역사는 법령에 따른 교통약자 이동 편의시설 설치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이용 만족도는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표 1에서의 설치율은 교통약자 법령에서 철도 역사에 설치하도록 제시한 이동 편의시설이 적합한 기준에 따라 설치된 비율을 의미한다.

표 1. 철도 역사 이동 시설 설치율 및 만족도

Table 1. Installation and satisfaction ratio of railway station mobility facility

Division

The end of 2017

Installation rate

Satisfaction rate

Public

Mobility handicapped

Passeng er facility

Passenger car terminal

60

64

56

Urban Railway & Train station

89

72

64

Train station

81

70

62

Airport passenger terminal

80

72

64

Passenger ship terminal

87

66

54

Bus terminal

53

64

48

표 1은 철도 역사의 이용 편의시설 설치율과 이용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로서, 설치율 대비 이용 만족도가 도시철도 및 전철 역사, 철도 역사 모두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표 1에서처럼 교통약자의 철도 역사 이용 만족도가 일반인보다 약 10 정도 더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교통약자들이 철도 역사와 같은 대중교통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일반인들에 비해 많은 불편함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철도 역사에서의 이동 편의시설 설치율 대비 이용 만족도가 낮고, 더군다나 교통약자는 일반인보다 이용 만족도가 더욱 낮게 나오고 있어 역사의 이동 편의시설 설치 이외의 소프트웨어적인 교통약자의 이용 편의성 향상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1-7]. 본 논문에서는 교통약자들의 역사 이용 만족도 향상을 통한 일반인과의 격차 해소를 위해 교통약자들의 이용만족도가 낮은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이동 편의 서비스 및 안전정보 제공을 통한 이용만족도 향상 방안 및 이를 위한 시스템 설계내용을 제시한다.

2. 교통약자 요구사항 분석

교통약자 법에 따른 교통약자는 지체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임산부, 고령자, 어린이 및 영유아 동반자 등 생활을 영위하면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자로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약자들의 철도 역사 이용 만족도 조사 결과를 분석해 보면 표 2와 같이 임산부나 고령자에 비해 장애인의 불만족도가 높으며, 특히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의 이용 만족도가 더욱 낮은 것을 알 수 있다[2].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용 만족도가 낮은 지체장애인과 시각장애인들의 불만족 사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용 만족도의 향상을 위한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표 2. 교통약자 유형별 만족도 조사 결과

Table 2. Satisfaction ratio survey results for each the mobility handicapped

Division

Sum

Extremely satisfied

Satisfied

Usually

Dissatisfaction

Extremely dissatisfaction

Do not use

Score

Physically challenged person

156

3

7

91

35

20

22

(52)

Blind

69

0

7

42

13

7

5

(54)

Hearing-impaired

63

3

3

42

12

3

9

(57)

Complex handicapped person

68

3

4

38

17

3

8

(56)

Pregnant woman

93

6

24

43

20

0

17

(63)

Elderly person

374

45

105

165

50

9

83

(67)

Public

430

68

188

160

11

3

63

(72)

철도 역사 이용 만족도는 일반인 평균이 72점으로, 일반인은 매우 만족∼보통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불만족∼매우 불만족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교통약자는 평균 63점으로 보통∼불만족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매우 만족∼만족은 낮게 나타나고 있다. 불만족∼매우 불만족 응답자를 유형별로 보면, 일반인은 1.7%지만, 지체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은 33.3%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역이용 불만족도 사유를 항목별로 보면 도시철도 및 일반철도 차량의 경우 모두 안내시설이 가장 높은 사유로 분석되었다. 즉, 교통약자들은 안내시설이 철도 역사 이용의 가장 큰 불만사항으로 분석되고 있다. 역사시설의 경우는 역사의 인프라적인 요소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수직 이용시설, 화장실 등 역사 시설물 개량이 필요한 분야가 높은 불만 불만족 사유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프라에 관련된 부분은 대규모의 비용이 소모되는 요소이고, ICT 기술을 이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 항목은 안내시설과 주변도로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분석되었다. 장애인들의 가장 큰 불만족 항목인 주변 도로 부분은 주변 도로에서 역사로 진입에 따른 계단 등의 인프라적인 요소와 역사 내에서 주변 인근 지역으로 이동 시 출구 정보 및 역사 계단 등의 시설물의 한계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이 부분도 역사 진출입 지점의 계단 등의 층간 이동 수단은 인프라적인 부분이고, 이를 제외한 현재의 역사시설을 유지한 상태에서 역 접근 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출입구 정보를 안내하거나 역사 내에서 도로교통 정보와 연계를 통한 최적의 출구정보 안내하는 방식으로 불만족 요소를 일정 부분 없앨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 1. 도시철도시설 불만족 사유 분석

Fig. 1. Analysis of reasons for dissatisfaction of urban railway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1.png

이러한 교통약자 이동 편의 실태조사 결과의 분석과 더불어 실제적인 교통약자들의 철도 역사 이용에 따르는 불만족 사항 및 요구 사항 도출을 위해 (사) 한국 시각장애인 협회 및 (사) 한국지체장애인 협회를 통한 수차례의 의견수렴 및 자문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국토부 보고서를 통해 분석된 바와 같이 실제로 역사 내에서 안내방송에 대한 불만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추가로 국토부 보고서에서는 확인되지 못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불만족 도출할 수 있었다.

-현재 위치에서 화장실 등 역사 내 편의시설을 찾기 힘들다.

-역사 내에서 비상상황 발생 시 자신의 위치를 구조대원에게 알려줄 수 있어야 한다.

-시각장애인들은 엘리베이터 이용 시 이동 동선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이용을 꺼리지만, 지체장애인은 엘리베이터를 이용을 선호한다.

-역무원을 호출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위치를 알려주기 어렵다.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이격 거리 정보가 없어 불편하다.

이러한 도출된 요구사항들은 크게 이용자 특성, 정보 전달성, 이동성, 안전성, 비상대응 측면으로 정리될 수 있으며, 이들은 그림. 2와 같이 크게 4가지 개선사항으로 수렴된다. 요구사항 중 시각장애인과 지체장애인들은 층간 이동 시 엘리베이터 이용 등에 각기 다른 경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교통약자 특성별 맞춤형의 경우 안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 와 같이 안내장치 부분이나 화장실 등 편의시설 위치 확인이 어려운 부분은 실내위치기반의 이동 편의정보 제공으로, 승강장과 차량과의 이격 거리 문제는 안전정보 제공으로, 역사이용 중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현재의 위치를 구조대원에게 알려주는 부분은 비상 대상 서비스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2. 교통약자를 위한 요구 사항 및 분석 결과 도출

Fig. 2. Derived requirements and analysis results for the handicapped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2.png

이동 편의 정보 제공은 철도 역사 외부와의 직접적인 매개시설 정보 안내(외부 엘리베이터, 외부 에스컬레이터), 역사 출입구부터 역사 승하차까지 교통약자 맞춤형으로 이동 경로 안내 서비스, 역사에서 휠체어를 이용한 환승 경로 안내 서비스, 사용자 위치에서 편의시설 경로 안내 서비스, 계단 등 이용 시 민원 요청 서비스, 맵 기반의 위치 안내 서비스 등이 필요하다. 안전정보 제공은 이용자 분류별 사고 다발지역 정보 안내 서비스,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안전거리 안내 서비스(예. 전동 휠체어 전용 탑승 구간 안내 및 유도), 역사 안내방송 알림 정보 서비스(예. 지체장애인과 관련 있는 안내방송은 별도의 알림을 추가하는 등의 맞춤 알림 서비스) 등이 필요하다. 비상 대응 정보는 비상사태 알림 서비스, 비상사태에 따른 실시간 안내 서비스, 비상사태 상황에 따른 비상대피 경로 안내 서비스, 비상사태 발생에 따른 지침 가이드 서비스, 내 위치에 따른 상황별 비상사태 대처 안내 서비스, 비상사태 지원 요청 서비스 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앞에서 분석한 교통약자들의 철도역사 이용에 따른 불만족 사항을 ICT 기술을 이용해 해결하기 위해 철도 역사 내에서 교통약자의 위치 기반 맞춤형 이동 편의성 및 안전성 지원을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3. 교통약자 지원시스템의 설계

3.1 시스템 구조

역사에서의 다양한 교통약자들은 철도 역사 내에서 언제 어디서든 안전한 경로 정보 제공과 주변 편의시설 위치정보 등 다양하고 편리한 정보들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앞 절에서 분석 결과와 같이 교통약자들이 역사 내에서 본인들이 가고자 하는 플랫폼, 환승 위치, 역사 내 화장실 등 편의시설들을 찾을 수 있게, 위치 기반 교통약자 그룹별 맞춤형의 최적화된 이동 경로 안내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교통약자들의 주요한 요구 사항 중 하나인 철도 역사 내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어서 비상시 구조대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거나 다른 기관으로부터 빠른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그림. 3은 철도 역사에서 교통약자들의 이용 만족도 향상을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통약자 지원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것으로, 교통약자 맞춤형의 이동 편의 및 안전정보 제공은 기본적으로 모바일 앱을 기반으로 제공하고, 또한 비상대응 서비스를 위해 역 구내에서 교통약자의 위치 모니터링 기능을 필요로 한다.

그림. 3. 제안된 시스템 개요

Fig. 3. Overview of proposed system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3.png

또한, 이러한 서비스들은 기본적으로 역 구내에서 위치 측위가 가능하여야 하므로 POI 기반으로 위치 측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4는 제안한 시스템의 상세한 하부장치들의 구성과 본 제안 시스템을 위한 입력되는 데이터, 출력으로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다. 즉, 먼저 교통약자들이 역사 내의 가고자 하는 목적지나 찾고자 하는 편의시설들의 위치를 안내해주고, 본인들이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해주는 모바일 앱, 그리고 경로 안내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역사 내의 맵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실내 맵 편집 및 생성 도구, 그리고 서비스 요청자들의 실시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4. 제안된 시스템 구성

Fig. 4. Configuration of proposed system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4.png

교통약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철도 역사 내의 경로 안내 등의 서비스를 요청하면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에서 이 요청에 따른 맞춤형 최적 경로를 생성해서 모바일 앱으로 피드백 해주고, 이 모바일을 통해 교통약자는 철도 역사 내 실시간 위치 기반으로 본인의 목적지로 안내를 받아가면서 찾아가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철도 역사 내 실시간의 실내위치 측위 기술이 필요하며, 이 실내위치 측위를 위해서는 비콘 센서가 삽입된 지능형 점자블록의 절대 위치 정보와 모바일의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관성측정장치) 센서를 통한 측위정보를 바탕으로 계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통약자 그룹별 맞춤형 최적 경로생성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에서는 경로생성 및 안내에 필수적인 역사 내 맵 생성 및 편집 도구, 역사 내 지능형 점자블록 등의 센서 등록 및 관리를 위한 IoT(Internet od Things, 사물인터넷) 플랫폼, 철도 역사 내 교통약자들의 실시간 위치 모니터링 및 최적 경로 생성을 위한 운용 및 모니터링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제안 시스템은 철도 역사의 교통약자들의 다양한 편의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정적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들의 입력을 필요로 한다. 우선 철도 역사 내의 각종 편의시설을 포함한 다양한 시설물들의 위치정보나 플랫폼과 차량과의 간격 정보 등과 같은 정적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정적데이터를 입력받아 철도 역사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들에게 역사 내에서의 경로 안내 및 다양한 편의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역사에서 다른 대중교통으로의 환승하는 경우를 위해 대중교통 데이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철도역사 도착 게이트에서 다른 대중교통수단으로의 환승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모달 데이터와의 연동은 다른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가 구축된 이후에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로, 본 제안 시스템에서는 단계적으로 이들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하여 통합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의 구조설계하였다.

3.2 운용 시나리오의 설계

앞에서 제시한 제안 시스템은 역사 내에서 교통약자 이동 편의 서비스 및 비상상황 발생 시 알림 등의 안전서비스 제공을 통한 교통약자의 철도 역사 이용 만족도 향상을 목표로 한다. 본 절에서는 제안한 지원 시스템을 통한 이동 편의 및 안전서비스 제공을 위한 운용 시나리오 설계 내용을 설명한다.

그림. 5는 운영 시나리오 설계를 위한 제안 시스템의 구성요소별 인터페이스 항목들을 나타낸 그림으로 크게 교통약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앱,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그리고 철도운영자로 구성된다. 스마트폰의 앱은 교통약자가 철도 역사 내의 편의 서비스 등을 신청하고 위치정보 및 경로 정보를 피드백 받게 된다.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은 신청된 서비스별로 최적 이동경로 계산 및 교통약자에게 전송, 실시간 위치 모니터링, 역사 맵 생성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에 건설된 역사들은 엘리베이터 등 교통약자 이동 편의설비들이 갖추어져 있지만, 층간 이동 수단이 계단만 있는 일부 역사들도 있다.

그림. 5. 시스템 운영 시나리오

Fig. 5. System operation scenario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5.png

이러한 역사에서 지체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층간 이동은 철도 역무원의 도움이 필요하므로 본 제안 시스템에서는 도움이 필요한 역사 내의 위치 및 도착 예정시간 등이 포함된 정보를 철도 역무원에게 제공하도록 하였다.

그림. 6은 철도 역사에서 교통약자의 서비스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그림 윗부분은 교통약자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교통약자가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한 조건들의 입력 사항들로서 교통약자의 유형, 층간 이동 수단 선택, 서비스 유형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여기에서 교통약자의 유형이 입력되면 디폴트로 이에 따른 층간 이동 수단이 제시되도록 하였지만, 교통약자 개인별 선호하는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서비스 제공이 모바일 화면으로만 할지 음성을 같이 지원할지도 개인의 선호도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서비스 신청 시 입력 조건을 바탕으로 역사 내의 대합실이나 승강장에서 교통약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림. 6. 교통약자를 위한 서비스 과정 개요

Fig. 6. Overview of service flow for the handicapped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6.png

그림. 7은 앞에서 설명한 교통약자, 모니터링 및 운영시스템, 역무원 상호 간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설계된 운영 시나리오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교통약자가 철도 역사 내부 또는 역사 근처 어디서는 서비스를 신청하게 되면 운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요청 서비스의 종류 및 목적지, 신청자의 교통약자 그룹 분류 등의 정보를 받아 서비스 준비를 하게 된다. 만약 신청자가 역사 외부에 있고 지체장애인 등 역사의 엘리베이터 이용이 필수적인 경우 해당 역사에 이용 가능 게이트 정보를 신청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게이트로 역사에 접근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신청한 교통약자가 역사에 도착하면 게이트 상단에 설치된 BLE 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은 신청자가 역사 게이트에 도착했음을 자동으로 인식되도록 하였다. 이 기능은 그림. 1에서 분석한 철도 역사의 가장 큰 불만족 사유인 주변 도로와의 인터페이스 부분을 인프라 변경 없이 개선이 가능한 부분이다.

그림. 7. 모바일 앱을 통한 편의 및 비상 서비스 시나리오

Fig. 7. Convenience and emergency service scenarios via mobile app,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7.png

신청자의 역사 도착을 인지하면 신청자의 스마트폰으로 목적지까지의 최적 이동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예정시간 및 잔여 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신청자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역사 내에서 위치 기반의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물론 제안 시스템으로 신청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신청자들이 역사 내에 어느 위치에 있는지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게 된다.

만약 목적지로의 이동 경로 중 역무원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는 역무원에게 신청자의 도움이 필요한 위치에 도착예정시간 및 도움이 필요한 내용을 전송하게 되고, 역무원이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위치에서 신청자의 도움을 위해 이동 및 대기하게 된다. 또한, 목적지로 이동 중 역사의 임의의 지점에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모니터링 및 운영시스템은 이 지점을 우회할 수 있는 경로를 재계산해서 교통약자에게 제공되고, 동시에 비상발생 안내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였다. 물론 교통약자가 최초로 목적하는 플랫폼 등으로 이동 중 화장실을 가고자 하는 등 목적지 변경의 경우도 경로를 재계산해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서비스의 종료 처리는 교통약자가 요청한 목적지에 도착하면 자동 종료될 수 있고, 또한 스마트폰에 의한 서비스 종료 입력으로 종료될 수도 있도록 하였다.

그림. 7은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 안전정보제공 및 비상 대응 서비스의 데이터 흐름을 대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며, 이중 시각장애인의 이동 편의 제공 서비스 운용 시나리오는 그림. 8과 같이 설계하였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를 신청한 시각장애인이 역사에 도착하면 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역 도착 게이트를 인식하고, 이후 시각장애인이 역 구내로 진입에 따라 이동단말을 통해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시각장애인이므로 정보의 제공은 음성으로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설계하였으며, 모바일 앱은 웹 접근성 표준을 따르도록 설계하였다.

그림. 8.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이동 편의 서비스 제공 과정표

Fig. 8. Flow chart of providing movement convenience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8.png

그림. 9는 교통약자의 비상 알림 정보 제공 서비스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역사 내에서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교통약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역 운영자나 구급대원에게 현재의 위치를 알려주어 구조대원으로 하여금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비상상황 발생 시 교통약자 유형에 따른 다양한 패턴으로 비상상황을 알려주게 되는데 시각장애인은 모바일 단말의 소리와 진동으로, 청각장애인은 진동과 화면으로 비상 알림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역사의 운용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서비스 이용 중인 교통약자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가 이 위치정보를 역 운영자 및 구조대원에게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구조대원이 교통약자에게 접근하기 전까지 비상대피 정보 또는 안전한 지역으로 교통약자가 대피할 수 있도록 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통해 안내하도록 설계하였다. 이 흐름도는 교통약자, 모바일 단말, 운용 및 제어시스템, 운영자를 기준으로 이동 편의 서비스의 흐름을 설계한다. 역사 내 비상상황 발생 시 통합관제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비상 시스템을 가동하면 사용자 핸드폰은 비상모드 체계로 전환된다.

그림. 9. 긴급 정보 제공 서비스 흐름도

Fig. 9. Flow chart of emergenc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9.png

앞에서 제시한 철도 역사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성 향상을 위한 지원 시스템의 구성 및 운용 시나리오 설계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의 일부 모듈에 대한 UI/UX 설계를 진행하였다. 그림. 10은 서비스 대상 역사의 맵을 생성하고 운용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한 화면, 역의 특정 구역의 상세정보 확인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안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역사의 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그림의 왼쪽과 같이 실도 도면을 여러 세부 구역으로 나누어 정보를 입력 및 편집을 통해 역사 맵을 생성하는 모듈이 본 논문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그림의 하단 우측은 역사 내 특정 구역에 교통약자가 위치하는 인원수, 해당 구역의 온도 등 환경정보,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IoT 센서 정보, 엘리베이터 등의 환경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UI/UX를 설계하였다.

그림. 10. 역사 지도 편집 및 정보화면 식별

Fig. 10. Editing station map and identification of information windows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10.png

그림. 11은 역사 내에서 교통약자의 위치 모니터링을 위한 윈도우의 UI/UX 설계로서, 역사의 세부 구역별 위치하는 교통약자들의 인원수를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역무원의 안내 서비스 지원 또는 비상상황 발생 긴급 구조 활동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12는 지체장애인이 ①위치에서 환승을 통해 ⑨를 목적지로 해서 가고자 할 경우의 엘리베이터를 통한 층간 이동 경로를 붉은색으로 제시하는 화면으로, 그림과 같이 교통약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교통약자 특성에 따른 맞춤형 경로를 제시해주도록 설계하였다. 만약 신청자가 층간 이동을 계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선택될 경우 그림과는 다른 경로를 제시해 줄 것이며, 또한 교통약자의 위치가 ①이 아닌 다른 위치라면 그 위치에서 최적의 경로를 제시해 주어 역사 내에서 이동 편의성 향상될 것이다.

그림. 11.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웹디자인

Fig. 11. UI/UX design for the handicapped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11.png

그림. 12. 경로 안내를 위한 예시 화면(환승경로 포함)

Fig. 12. Example window for route guidance(including transfer route)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12.png

현재는 제안 및 설계한 시스템을 바탕으로 실험실을 모의 역사로 구축하여 설계한 시스템 및 UI/UX의 적합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모의 역사에는 한 층의 역사로 간략하게 모델링 하였으며, 한 층에는 가상으로 게이트, 화장실, 고객지원실 등을 지정하여 경로를 안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13은 실험실 실험을 위해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모바일 앱 및 이를 활용한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실험실을 모의 역사로 구축함에 따라 목적지는 4가지로만 구성되어 있다. 그림의 맨 왼쪽처럼 교통약자의 특성을 입력하면, 세 번째 그림과 같이 목적지를 선택하면 현재 위치에서 해당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시하고, 이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실시간 위치 측위를 통해 경로 안내가 적절히 제시됨을 확인하였다. 그림. 14는 실험실에서 구축한 모의 역사 사진과 실제 교통약자가 실험실에서 본 논문을 통해 제작한 시작품을 통해 이동한 경로 결과를 표시한 것으로 본 논문을 통해 제안 및 설계한 시스템의 시작품 정상적으로 동작됨을 확인하였다. 프로토타입에서는 모의 역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실제 역사에서는 보다 많은 목적지가 존재하므로 맵을 통한 목적지 선택 등 UI/UX의 일부 변경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3. 모의역사 테스트를 위한 모바일 앱

Fig. 13. Mobile app. for testing at virtual station.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13.png

그림. 14. 모의역사 및 교통약자 이동 경로

Fig. 14. Virtual station and the handicapped traveled path

../../Resources/kiee/KIEEP.2019.68.1.017/fig14.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철도 역사에서의 이동 편의시설 설치율 대비 이용 만족도가 낮고, 더군다나 교통약자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이용 만족도가 더욱 낮게 나오고 있어, 교통약자들의 역사 이용 만족도 향상을 통한 일반인과의 격차 해소를 위해 교통약자들의 이용 만족도가 낮은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역사 이용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이동 편의 서비스 및 안전정보 제공을 통한 이용 만족도 향상 방안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제안 시스템에 대한 UI/UX 설계 내용 제시하였다. 현재 제안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실험실에서 검증 중에 있으며, 이 실험 후 UI/UX의 일부분 설계 변경을 통한 실제 역사 적용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실험실 시험 후 실제 철도 역사에 현장 적용시험을 함으로써 교통약자 이용 만족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철도 역사에서의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 편의 및 안전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원 시스템이 실제 철도역사에 적용될 경우 철도 역사에서의 교통약자와 일반인과의 이용 만족도 격차는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요사업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KOREAN ACT , 2014, MOBILITY ENHANCEMENT FOR THE MOBILITY HACAPPPED ACTGoogle Search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2018. 3, In year 2017,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ovement of the Traffic Handicapped, Service ReportGoogle Search
3 
En-Yong Co , et.al. , 2017, Requirements of Navigation Service for the Mobility Impaired Pers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17-12, Vol. 42, No. 12Google Search
4 
Ryu Kyeong-shin, Lee Sang-Hee, Choim Sang-Ho, 2015, The basic study for the mobility enhancement of mobility handicapped in metro, Proceeding of KSR spring conferenceGoogle Search
5 
Go Jong-Shik, et al , 2013,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using a terrestrial LiDar,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1, No. 3DOI
6 
Ge Tengqingqing, 2015, Indoor Positioning System based on BLE for Blind or Visually Impaired Users, Master’s Thesis, 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Google Search
7 
, https://www.esighteyewear.com

저자소개

황 종 규 (Jong-Gyu, Hwang)
../../Resources/kiee/KIEEP.2019.68.1.017/au1.png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94), 석사(`96)

한양대학교 전자통신전파공학과 박사(`05)

Virginia Commonwealth Univ. 방문연구원(`11~`12)

철도신호기술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95~현재)

김 경 희 (Kyung-Hee Kim)
../../Resources/kiee/KIEEP.2019.68.1.017/au2.png

전북대학교 산업공학과 학사(`96), 석사(`99), 박사(`06)

UC Riverside 공동연구원(`03~`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07~현재)

신교통혁신연구소 스마트모빌리연구팀원(‘18~현재)

안 태 기 (Tae-Ki Ahn)
../../Resources/kiee/KIEEP.2019.68.1.017/au3.png

1993년 2월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1996년 2월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석사

2011년 2월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공학박사

1996년-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관심분야] 멀티미디어 통신, 영상분석, 인공지능

이 태 형(Tae-Hyung Lee)
../../Resources/kiee/KIEEP.2019.68.1.017/au4.png

건국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과 박사(2005)

1997~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신교통혁신연구소 스마트모빌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