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환
(Yunhwan Lee)
1iD
한상욱
(Sangwook Han)
†iD
-
(
Dept. of Electrical and Information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Gap Criterion, Generator Tripping, Rate of Change of Active Power, Special Protection Scheme, Transient Stability
1. 서론
국내 계통은 발전공급지와 부하 수요지의 불균형으로 인한 구조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력 수요는 수도권과 영남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충남
서해안 지역의 당진・태안・보령 화력발전단지, 동해안 지역의 울진 원자력 발전단지를 연계하는 초고압 송전선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 특히, 대용량
발전단지가 밀집해 있는 서해안 지역의 발전단지에서 765kV 송전선로를 통해 전력을 수도권으로 인출 하고 있는데, 해당 송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발전 전력과 송전용량 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전력시스템의 과도 불안정을 야기 할 수 있으므로, 해당 고장 발생 시
일부 발전기를 차단하는 발전기 차단용 고장파급방지장치(Special Protection Scheme)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1-3).
대규모 발전단지에 신규 대용량 발전기가 추가로 건설되고 있지만, 인근의 송전설비는 확충되지 못하는 상황은 발전기 SPS에서 요구되는 송전선로 고장
시 발전기 탈락 대수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전력 수급 불균형에 의한 계통 주파수의 하락으로 저주파수 계전기(Under Frequency Relay)가
동작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의 지장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4-6). 따라서 국내 발전기 SPS의 운영에 있어서는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 확보와 함께 과도상태에서의 주파수도 UFR의 동작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해당 발전단지 내 발전기들의 출력을 사전에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는 발전제약을 적용해 오고 있으나 이는 결국 전력계통 운영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된다(7,8). 이와 같이 심각한 고장 발생에 의해 시스템에 동기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비상 상황이 발생 할 경우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과도안정성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과도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발전기 탈락, 고속 밸브 작동, 신속한 고장 제거, 부하차단 등의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해당 방안들 중에서 발전기 탈락 방안이 가장 효과적인 접근 방법으로 고려 될 수 있다(9,10).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발전기 위상각을 검토하여 심각한 고장 발생 시의 위험발전기군을 선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과도안정도 확보를 위한 발전기 탈락 방안을
제안한다. 대규모 발전단지 인출점의 초고압 송전선로 탈락 시 발전단지 연계점에서 발전 전력과 송전용량 간의 불균형을 발전기들의 기계적 입력과 전기적
출력간의 차이로 나타나는 운동(가속)에너지의 변화율과 해당 발전기들의 유효전력 변화율을 검토하여 탈락 발전기를 선정한다. 선정된 탈락 발전기를 적용한
과도안정도 해석을 위해 서해안 화력발전단지의 발전기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실제 한전 계통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안 방안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2. 과도안정도 해석 기반 발전기 탈락 방안
과도안정도 해석은 계통에 사고가 발생 했을 경우 과도적인 상태에서의 전력-상차각 특성의 시간적인 요소를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 운전 상태에서는
발전기의 입력과 출력이 같으며 상차각은 송전전력과 계통 임피던스에 의해 정해진 값을 유지하면서 운전되지만, 송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하면 계통의 평형
상태가 깨어져 발전기의 입력과 출력의 차이에 비례해서 회전자가 가속 또는 감속하게 된다. 그 결과 운전상태는 변화가 일어나기 전의 평형상태로부터 변화
후의 새로운 평형상태로 이동하면서 안정하게 된다. 하지만, 실제 각각의 발전기는 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평형점으로 이동하는 순간 즉각적으로
해당 지점에서 안정화되지 않으며 일정시간 동안 평형점을 중심으로 상차각이 동요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차각의 크기가 과도 안정 극한 전력 이상의
불안정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탈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과도안정도 평가를 위해 위험 발전기군을 선정해야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발전기 위상각 차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한다(11,12).
2.1 위험발전기 선정 방안
과도안정도 해석 기반의 발전기 탈락 방안 수립을 위해 우선적으로 계통의 모든 발전기를 특정 상정고장에 대하여 위험 및 나머지발전기 군으로 분류하는
발전기 그룹핑을 수행한다. 위험발전기란 상정고장의 영향을 크게 받아 계통불안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의미하고 나머지 발전기는 상정고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한 발전기를 의미한다. 발전기 그룹핑 방안은 두가지 발전기 군으로 구분하기 위해 시간 모의 중 발견되는 위상각 차(Angle Gap)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발전기 위상각 변화 지수(Angle Variation Index)를 이용하는데 다음 수식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t_{obs}$: 관찰시간
$\triangle t$ : 시간 모의에서의 스텝 크기
AVI 지수는 관찰시간 동안의 발전기 위상각의 변위량의 합에 의해 표현된다. 동적 시간 모의 시 대표발전기의 중심 위상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COA(Center of Angle)개념을 적용한다.
여기서, $\delta_{i}$: 각 발전기의 위상각
$M_{k}$ : 각 발전기의 관성 정수
COA를 활용하면 계통에 연계되어 발전하고 있는 모든 발전기들과의 위상각 차이를 통해 안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운영 중인 발전기들의 관성정수를
반영하며 회전자 위상각과 출력을 고려한다. 이와 같은 개념을 적용해 발전기 그룹핑을 수행하는데 시간모의를 진행하면서 각 시간 간격마다의 발전기 위상각
크기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가장 큰 위상각 차를 도출하게 된다. 그리고 그룹핑 시점을 정하여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상위에 있는 발전기들이 위험발전기
후보 군으로 고려된다. 여기서 가장 먼저 불안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발전기를 위험발전기 분으로 정의한다. 발전기 그룹핑 방안의 개념은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1. 발전기 그룹핑 방안의 개념
Fig. 1. Concept of Generator Grouping
발전기 그룹핑 방안을 적용 할 경우 불안정한 상정사고의 시간 모의를 전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 모의를 진행하며 지속적으로 발전기 사이의 위상각을
계산하여 200°이상 벌어질 때까지 모의하여 위험발전기 그룹을 결정한다.
2.2 발전기 운동에너지 변화율
전력시스템 내의 발전기는 일반적으로 터빈에 의해 동기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자의 자속이 권선과 쇄교하여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회전질량을 가진
회전체로 동기화되어 운전하여 시스템에 관성을 제공한다. 시스템의 관성은 개별 발전기에서 제공하는 운동에너지가 주파수 변화(Frequency Deviation)에
대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많은 수의 발전기를 보유하고 있는 시스템의 관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별 발전기에 저장된 운동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발전기는 전력시스템의 주파수인 60Hz로 동기화하여 회전하여 일정한 관성을 제공한다. 발전기의 관성정수(H)는 다음식과 같이 동기속도로 회전할
때 회전체가 가지는 에너지를 정격용량으로 나누어 표준화한 값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J$ : 관성 모멘트
$\omega_{0}$ : 동기 회전 속도
$S_{B A S E}$: 발전기 정젹 용량
관성은 발전기의 용량 및 형식에 따라 다양하지만 통상적으로 1 ~ 10[sec] 사이의 값을 가진다. 관성정수 H는 발전기기의 고유 특성으로 발전기의
동기화된 발전기의 관성에너지의 크기를 결정하는 값이다. 계통의 발전기들이 동기화되어 계통에 연계되고 전력을 공급하게 되면 계통의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관성에너지를 갖게 되는데 이 때 각 발전기들의 관성에너지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관성정수다. 계통의 관성정수는 계통의 주파수 변동이 발생하였을 때
주파수 변화율도 결정하게 된다. 만약 계통에 발전량 부족이 발생한 경우 부족한 발전량은 관성에너지에서 공급되고 이로 인해 회전속도가 느려지면서 주파수가
감소하게 된다. 이때 계통의 관성정수가 큰 경우 계통에서 가지고 있는 관성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제공되는 계통의 주파수가 떨어지는 비율이 낮으며 관성정수가
작으면 관성에너지의 크기가 작아져 주파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심각한 고장 발생 시 탈조를 경험하는 발전기군 중에 회전 운동에너지가 클수록 발전
탈락 시 에너지 저감효과가 크게 된다. 계통 동요시 불안정한 상태로 발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가속에너지를 파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위험발전기군의
초기 운동에너지 대비 증가한 운동에너지의 변화비율을 다음과 같은 수식을 통해 검토한다.
여기서, $KE$ : 운동에너지(Kenetic Energy)
$\omega$ : 계통 동요 후의 회전 속도
$\omega_{0}$ : 동기 회전 속도
그림. 2. 매우 불안전한 사고의 전력-상차각 곡선
Fig. 2. Power-angle curve of Most Severe Contingency
△KE가 1을 기준으로 했을 때 1을 넘었다는 것은 초기운동에너지에 비해 계통동요시 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가속에너지의 비율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과도안정도는
전력-상차각 곡선의 가속영역과 감속영역의 관계로 결정되는데, 가속영역이 감속영역에 비해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면 계통은 불안정하며 매우 심각한 고장이
발생한 상태임을 의미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림에서 사고 제거 후에도 기계적 에너지가 전기적에너지 보다 크게 되어 위험발전기 군이 지속적으로 가속되고 있어 계통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2.3 발전기 유효전력 변화율
발전단 인근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가 없어 발전기에 투입되는 기계적인 에너지에 비하여 방출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현저히 적게 되어 발전기의 회전을 가속하는 에너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속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기계적 입력을 줄이는
발전기의 탈락이다. 이와 같이 몇 개의 발전기를 탈락시키게 되면 계통에 연결된 다른 발전기는 점차 동기속도를 찾아가게 되어 안정화 된다.
일반적으로 과도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계통의 운전상태, 발전기의 출력수준, 계통 고장의 위치, 고장 제거시간 등이다. 이중에서 계통의 사고가
발생 할 경우 사고 위치와 인접한 발전기군이 가장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위험 발전기 그룹의 각각의 발전기를 한 대씩 탈락시켰을 때
송전선로에 흐르는 조류 변화율을 관찰하여 발전기의 영향 정도를 검토하였다. 발전기의 유효전력 변화율을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triangle P_{ij}$ : i번째 발전기 탈락 시 유효전력
$\triangle P_{G}$ : 건전상태에서의 유효전력
상정사고 적용 후 개별 발전기 탈락에 따른 유효전력 변화율이 높은 발전기가 계통에 미치는 영향이 큰 발전기로 볼 수 있으므로 도출된 결과를 운동에너지의
결과와 비교하여 탈락 발전기로 고려한다.
3. 사례연구
본 논문에서는 실제 한전 계통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사례연구에 사용된 계통에서의 총 발전기
대수는 320여 기이며, 상정사고 시나리오는 신안성-신서산 765kV 선로 사고를 고려하였다.
먼저 시간 모의를 통해 사고 후의 발전기의 동요 곡선을 계산하여 위험 발전기 군을 결정하였다. 위험발전기 그룹 선정을 위한 시간 영역 모의 결과는
다음 그림과 같다.
위험발전기 군으로 선정된 발전기들을 살펴보면, 주로 충남지역의 당진, 태안, 보령 발전 단지가 선정되었으며, 경기지역의 안양 발전기가 선정되었다.
다음표는 발전기 그룹핑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3. 발전기 그룹핑 결과
Fig. 3. Results of Generator Grouping
표 1. 발전기 그룹핑 결과(위험 발전기 군)
Table 1. Results of Generator Grouping(Critical Group)
Gen. No.
|
Area Name
|
Number
|
24621~24624
|
Gyeonggi
|
4
|
24626, 24627
|
Gyeonggi
|
2
|
26101~26110
|
Chungnam
|
10
|
26151~26158
|
Chungnam
|
8
|
26201~26210
|
Chungnam
|
10
|
26161, 26162, 26165,
26166, 26167, 26169,
|
Chungnam
|
6
|
26181, 26182
|
Chungnam
|
2
|
26831~26834
|
Chungnam
|
4
|
26951, 26952, 26971,
26972, 26953, 26973
|
Chungnam
|
6
|
Total
|
52
|
다음으로 계통 동요시의 발전기 운동에너지를 검토하였다. 선로 고장 발생 등의 계통 동요 시 발전기의 전기적 에너지가 흘러갈 수 없어서 발전기의 회전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후 과도 불안정의 경우 발전기의 기계적 에너지와 전기적 에너지 사이의 격차가 급격하게 증가할 경우 발생한다.
발전기 운동에너지 변화율을 살펴보면 주로 발전기 용량이 큰 태안, 당진, 보령 발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회전체의 크기가 큰 발전기가
기계적 에너지의 입력에 의한 전기적인 에너지 출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용량이 작은 발전기를 다수 차단하는 것에 비해 용량이 큰 발전기를 우선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계통 운영측면에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효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은 발전기의 유효전력 변화율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발전기 유효전력 변화율을 살펴보면 주로 당진 발전단지의 변화율이 높은 결과를 보인다. 이는 해당 고장의 위치와 연관성이 있으며, 선로에 흐르는 전력의
구성과 발전기 전기적 에너지 변화의 상호관계에 의해 선로조류의 변화가 과도불안정 현상을 야기하는 위험발전기 군 간의 연관성이 있는 결과로 판단된다.
표 2. 발전기 운동에너지 변화율 결과
Table 2. Results of Generator Kinetic Energy
Ranking
|
Gen. No.
|
Mbase (MW)
|
△KE
|
1
|
26109
|
1254
|
506.71
|
2
|
26110
|
1254
|
503.49
|
3
|
26209
|
1205
|
400.82
|
4
|
26210
|
1205
|
390.20
|
5
|
26157
|
636.5
|
340.75
|
6
|
26158
|
636.5
|
337.82
|
7
|
26106
|
612
|
336.98
|
8
|
26105
|
612
|
330.18
|
9
|
26207
|
612
|
285.54
|
10
|
26206
|
612
|
279.72
|
표 3. 발전기 유효전력 변화율 결과
Table 3. Results of Rate of Change of Active Power
Ranking
|
Gen. No.
|
P MAx (MW)
|
△Active Power
|
1
|
26209
|
1020
|
8.4635
|
2
|
26210
|
1020
|
8.4635
|
3
|
26109
|
1050
|
6.2039
|
4
|
26110
|
1050
|
6.2039
|
5
|
26201
|
500
|
4.7831
|
6
|
26202
|
500
|
4.7831
|
7
|
26204
|
500
|
4.2336
|
8
|
26203
|
500
|
4.2299
|
9
|
26205
|
500
|
4.2299
|
10
|
26206
|
500
|
4.2299
|
신안성-신서산 765kV 선로사고 시에 운영 중인 현행 SPS는 당진 발전기 5대를 차단하고 있으며, 차단 용량은 2,500MW에 달하고 있다. △KE와
△Active Power의 결과의 순위를 기반으로 하여 탈락 발전기를 선정하여 과도안정도 개선을 위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우선순위로 도출된 26109,
26110, 26209, 26210 발전기를 탈락 발전기로 고려되었으며, 당진 발전단지의 발전기와 태안 발전단지의 발전기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다음 표는 현행 방안과 제안 방안의 발전기 탈락 적용 시나리오를 보인다.
표 4. 발전기 탈락 적용 시나리오
Table 4. Scenario of Generator Tripping Scheme
Scheme
|
Tripped Generator
|
Notes
|
Scheme 1
|
-
|
Not Applied
|
Scheme 2
|
26203, 26204, 26205, 20206, 26207
|
Existing
|
Scheme 3
|
26109, 26110
|
Proposal
|
Scheme 4
|
26209, 26210
|
Proposal
|
발전기 탈락 시나리오 적용을 위해 과도안정도 시간 모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0.5초에 사고 발생, 0.5833초에 사고 제거, 0.65초에 발전기
탈락을 적용하고 총 5초간 모의를 수행한다. 다음은 발전기 탈락 방안을 적용한 결과를 보인다.
그림. 4. 발전기 탈락 방안 적용 결과
Fig. 4. Simlation results of Generator Tripping Scheme
위의 그림에서 발전기 탈락을 적용하지 않은 Scheme 1은 발전기가 동기 탈조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Scheme 2, 3, 4는 발전기 탈락을
적용하여 발전기의 위상각이 안정화 되는 모습을 보이므로 계통이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표는 발전기 탈락 방안별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표 5. 발전기 탈락 방안 비교 결과
Table 5. Differnetial results of Generator Tripping Scheme
Scheme
|
Tripped Capacity (MW)
|
Stability
|
Scheme 1
|
0
|
Unstable
|
Scheme 2
|
2500
|
Stable
|
Scheme 3
|
2040
|
Stable
|
Scheme 4
|
2100
|
Stable
|
발전기 탈락 방안을 비교한 결과를 보면 Scheme 3, 4의 제안 방안이 현행 방안에 비해 차단 용량을 저감시켰으며, 발전기 탈락 대수가 감소되었다.
Scheme 3, 4 중에서 Scheme 3의 차단 용량이 더 적으며, 해당 고장과 인접한 발전기를 차단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발전기 탈락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최종 도출된 방안을 적용하여 계통안정화를 달성하였으며, 과도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결과를 통해 제안 방안의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계통에 심각한 고장 시 발전기를 탈락시켜 계통의 과도안정도를 확보하는 제어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 발전기군을 분류하여, 해당 발전기들의 운동에너지와 유효전력 변화율을 검토하였다. 제안한 방안을 현행 방안과 비교하여 과도안정도를 개선시키는
결과를 얻었으며, 발전기 차단 용량, 대수가 감소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계통의 운용조건을 고려하여 발전기 탈락의 대수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과도안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발전제약을 적용한 발전력 재분배를 통해 안정 조건을 만족하는 수정 및 예방제어
방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7R1D1A1B03034460]
and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Grant number: R18XA06-65].
References
Tiangang Huang, 2019, Adaptive algorithm for rapidly optimising the generator-tripping
control., The Journal of Engineering, Vol. 2019, No. 16, pp. 3039-3045
Seung Chan Oh, 2018, A novel SIME configuration scheme correlating generator tripping
for transient stability assessment.,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13, No. 5, pp. 1798-1806
Guoxiao Gan, 2018, An Efficient Parallel Sequential Approach for Transient Stability
Emergency Control of Large-Scale Power System.,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3, No. 6, pp. 5854-5864
p. F. Le Roux, R. C. Bansal, 2018, Transient Stability by means of Generator Tripping,
Under Frequency Load Shed- ding and a Hybrid Control Scheme.,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Electric Power Systems, Vol. 19, No. 1
Guoxiao Gan, 2018, An Efficient Parallel Sequential Approach for Transient Stability
Emergency Control of Large-Scale Power System.,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3, No. 6, pp. 5854-5864
D. E. Echeverria, 2012, Improved method for real-time transient stability assessment
of power systems., 2012 IEEE Power and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IEEE
Janath Geeganage, 2015, Application of energy-based power system features for dynamic
security assessment., IEEE Tran- 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0, No. 4, pp. 1957-1965
L. Mariotto, 2010, Power systems transient stability indices: an algorithm based on
equivalent clusters of coherent gener- ators., IET generation. transmission & distribution,
Vol. 4, No. 11, pp. 1223-1235
Han Na Gwon, 2014, A Study on Setting SPS for Gener- ator Tripping Action considering
Operating Conditions of Power System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1, pp. 411-417
Mostafa Eidiani, 2011 , Transient Stability Improvement Using an Efficient Generator
Tripping Scheme., Canadian Journa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Vol. 2,
No. 7, pp. 313-319
Jong-Seok Lee, 2002, Preventive Control Using Generation Rescheduling for Transient
Stability.,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 Vol.
51, No. 6, pp. 262-268
Daniel Ruiz-Vega, 1998, Transient stability-constrained generation rescheduling.,
Proceedings of IREP Symposium- Bulk Power System Dynamics and Control-IV
저자소개
He received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in 2010 and 2014,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Information Engi- neer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mail : yunan2@naver.com
He received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in 2006 and 2012,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Information Control at Dongseoul University.
Tel : 031-720-2064
E-mail : hswrain@d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