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대
(Seong-Dae Jang)
1
지평식
(Pyeong-Shik Ji)
†iD
-
(Dept. of Locomotive Eng. Kyungbuk College,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Harmonic Search, Teaching-Learning Based Optimization, Fuzzy logic controller, Renewable Power System
1. 서 론
최근 몇 년 동안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및 그로 인한 환경적 재앙에 부딪히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화석연료의 사용을 지양하고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는 발전시스템은 독립적인 발전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기존의 전력망에 연계하여 에너지 유연성 및 비용 절감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에너지 신뢰도 측면에서 거의 대부분의 응용분야에서는 하나 이상의 신재생에너지원과 저장장치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의 안정성과 우수한 전력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신재생에너지원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전력 제어기가 필수적이다(1).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및 제어를 위하여 퍼지로직 및 신경망과 같은 소프트 컴퓨팅 기술들이 많이 적용되어지고 있다.
Ludwig 등은 환경 측면을 고려한 다양한 에너지 전환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퍼지 기반 방법을 개발하였다(2). Bilodeau 등은 수소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독립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퍼지제어기를 제안했으며 신재생에너지의 잉여 전력을 이용하는 전기분해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였다(3). 참고문헌(4)에서는 태양광발전시스템(PV :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과 풍력발전 시스템에서 발생된 전력과 요구되는 부하전력의 차를
비교하여 부족분에 대해서는 연료전지가 전력을 공급하고 초과분에 대해서는 전해조에서 전력을 축적하도록 퍼지제어기를 설계하였다. Miland 등은 풍력-수소
독립형 전력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전력 운용을 위하여 퍼지제어기를 사용했으며, 잉여 전력은 연료전지를 위한 수소탱크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하도록 하였다(5). 그러나 일반적인 퍼지제어기의 경우 멤버쉽 함수 타입 및 범위 등과 같이 경험이나 실험적으로 선택하여야 하는 요소들이 많고 그에 따른 성능차이도
크다는 단점이 있어 지능형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퍼지제어기의 최적 설계 연구들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6,7).
본 논문에서는 독립형 하이브리드 전력시스템에 사용하는 최적 퍼지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하모닉탐색(HS : Harmonic Search) 알고리즘과
수업-학습 최적화(TLBO :Teaching-Learning Based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개선된 TLBO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TLBO 알고리즘은 기존의 집단기반 최적화 알고리즘인 유전자 알고리즘(GA : Genetic Algorithm), 입자군집알고리즘(PSO : Particle
Swarm Optimization) 등이 가지고 있는 제어 파리미터가 없기 때문에 반복 재현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TLBO는 최적해로의
탐색과정에서 초기 지역해 수렴의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하모닉탐색 알고리즘을 결합한 HS-TLBO 기반의 퍼지제어기를
설계하고, 개발된 퍼지제어기를 독립형 신재생 하이브리드 전력 시스템의 최적운영을 위해 적용하였다.
2. 최적화된 퍼지제어기 설계
2.1 시스템 구성도
본 논문에서 퍼지로직 제어기는 시스템의 전력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의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그림 1에서는 제안된 퍼지제어기 구성도를 나타냈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퍼지제어기의 입력으로는 배터리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SOC(State of Charge), 수소탱크 레벨(HL) 및 Dp(풍력
및 PV의 출력합과 부하전력 차)이며, 출력은 Dp의 부호가 사용된다. 여기서 Dp의 부호가 양수인 경우 잉여전력이 발생함을 의미하고, Dp의 부호가
음수인 경우 부족전력이 발생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Dp의 부호가 양수인 경우 퍼지출력은 Boost 컨버터의 출력이 되며, Dp의 부호가 음수인
경우 퍼지출력은 Buck 컨버터의 출력이 된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SOC와 탱크레벨은 각각 3개의 사다리꼴 멤버쉽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다리꼴 멤버쉽은 4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어 학습할
파라미터의 수는 SOC 12개, 탱크레벨 12개로 구성된다. 또한 Dp와 출력 멤버쉽은 2개의 사다리꼴 멤버쉽(8개 파라미터)과 3개의 삼각형 멤버쉽(9개
파라미터)을 사용하여 학습할 파라미터의 수는 총 17개임을 알 수 있다.
그림. 1. 퍼지제어기의 구성도
Fig. 1. Configuration of the proposed fuzzy controller
2.2 HS-TLBO 기반의 퍼지 멤버쉽 파라미터 최적 설정
TLBO 알고리즘에서 과목의 수는 최적화 문제의 차원이며 개별 학생들의 점수는 최적화 알고리즘에서 후보해 (유전자 알고리즘에서의 개체의 염색체 또는
PSO 알고리즘에서의 개체의 위치)에 해당한다. 초기의 교사(Teacher)는 초기 학생들의 점수 중 최적화 문제에 가장 우수한 목적함수 값을 가지는
학생이 선정된다(8).
교사와 학습자간의 지식전달 과정은 아래의 수식으로 모델링 될 수 있다.
여기서 $X_{i}$는 개별학생의 점수, $X_{teacher}$는 교사의 점수, $r$은 0에서 1사이의 랜덤변수, $X_{mean}$은 전체 학급의
평균점수,$X_{i,\:"new"}$는 $i$번째 학생의 새로운 점수를 나타낸다. $T_{f}$는 교사의 인자(Teaching factor)를 나타내며
설계자에 의해 선정되어져야 하는 유일한 설계 변수이다. $T_{f}$는 아래와 같이 계산되며 1 또는 2를 가진다.
학생과 학생간 사이의 지식전달 과정은 아래와 같이 모델링될 수 있다. 아래 식에서 $X_{ii}$는 임의의 다른 학생을 나타내며 $r$은 0에서 1사이의
랜덤변수을 의미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 의해 파라미터 최적화의 변수는 3개의 퍼지 멤버쉽을 갖는 SOC(배터리 충전상태) 입력에 대해 12개 파라미터, 3개의 퍼지 멤버쉽을
갖는 HL(수소 저장탱크 레벨) 입력에 대해 12개 파라미터, 풍력 및 PV의 출력 합과 부하전력 차를 나타내는 5개의 퍼지 멤버쉽을 갖는 Dp 입력에
대해 17개, 5개의 퍼지출력을 갖는 멤버쉽 파라미터 17개로 총 58개의 파라미터를 제안된 방법에 의하여 최적화된 값을 탐색하였다. 그림 2에서는 제안된 알고리즘의 순서도를 나타냈다.
그림 2에 나타낸 제안된 알고리즘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9).
[단계 1] 초기 Parameter 및 문제 정의 : 초기 파라미터는 학생 수를 나타내는 초기 집단크기(학생수) $P_{n}$, 지식 전달횟수를 나타내는
반복횟수 $G_{n}$, 퍼지 멤버쉽 파라미터의 최대값과 최소값인 $U_{L}$과 $L_{K}$ 및 HM을 위한 HMS, HMCR 및 PAR을 각각
설정한다.
[단계 2] 초기 집단 생성 : 제안한 알고리즘에서 초기 집단은 학급의 학생들이며 학생들의 과목당 점수들은 최적화 문제의 후보해로 취급한다.
[단계 3] 초기 집단에 대한 목적함수 계산 : 이 단계는 개별 학생들의 점수를 이용하여 목적함수를 계산
그림. 2. 제안된 HS-TLBO 알고리즘 순서도
Fig. 2. Flowchart of the proposed HS-TLBO algorithm
[단계 4] 초기 교사 선택 : 이 단계는 학생들의 순위 정리 및 가장 우수한 목적함수를 가지는 학생을 교사로 선정한다.
[단계 5] 교사-학습자간 지식전달 과정 : 이 단계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단계이며 교사에 의해 학생들은 더 좋은 점수(목적함수 값이
기존 보다 더 우수한 점수를 획득)를 획득한다. 이 지식 전달 과정은 위의 식(1)에 의해서 수행되며 모든 학생들이 이 단계를 거친 후 더 우수한 점수들을 획득하면 반의 평균이 올라가며 다음 지식전달 과정에서 더 우수한 방향으로(목적함수
값이 더 좋은 방향으로) 점수들을 획득해 나간다.
[단계 6] 하모니 탐색 단계 : [단계 5]에서 우수한 값을 갖는 교수 그룹을 HM에 저장하고, HMCR이 임의의 랜덤변수보다 크면 새로운 하모니(후보해)를
HM에서 선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랜덤하게 선택한다. 만약에 HM에서 조정된 파라미터가 선택되었다면 HM 값들의 근방 해로 업데이트하여 새로운
하모니를 생성한다. 만약 업데이트된 파라미터의 성능이 변경 전의 파라미터보다 저하될 경우 이전 값을 유지하고, 성능이 향상되었으면 최종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단계 7] 학생들 간의 학습 : 이 단계에서는 학생들 사이에서의 지식전달을 이용하여 새로운 지역적 해를 탐색하는 과정으로서 임의의 두 학생을 선택한
후 식(3)과 같이 두 학생들 사이의 편차 정보를 이용하여 한 학생의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새롭게 생성된 파라미터의 성능이 변경 전의 파라미터보다 저하될 경우
이전 값을 유지하고, 성능이 향상되었으면 최종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단계 8] 종료조건 판단 : 종료조건을 만족하면 종료하고, 종료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단계 5]부터 반복한다.
우수 교사는 가장 우수한 성능을 갖는 학생(파라미터)를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성능의 척도를 나타내는 목적함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그림 3에서는 각각의 학생들(후보 해)에 대한 성능평가 단계를 나타냈다.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Dp에 따라 전력을 충전 또는 공급이 결정되며, 배터리의 SOC(%), 수소탱크(HL) 및 Dp를 제안된 알고리즘에 의해 최적화된
퍼지제어기의 입력으로 사용하고, 퍼지제어기의 출력 지령치에 의한 연료전지 또는 전해조의 출력 전력을 계산한다. 시스템의 출력 상태(초과 또는 미만)에
따라 배터리의 SOC를 확인한 후 전력의 공급 또는 충전을 결정한다.
그림. 3. 성능 평가 과정
Fig. 3. Proces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3. 모의시험 및 결과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최적 제어를 위하여 HS-TLBO 기반의 퍼지로직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퍼지로직 제어기는 신재생에너지의 출력과
부하전력간의 전력균형을 유지하면서 운영과 유지비수 비용이 최소화되도록 설계하였다, 목적함수로는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과 LPSP (Loss of Power
Supply Probability)을 이용하였으며 두 가지 요소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하여 식(4)와 같은 목적함수를 사용하였다(2).
여기서 $w$는 가중치로서 0~1사이로 선정할 수 있으며 $C_{O M}$ 은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에서는 개별요소들의 유지보수 및 운영비용을 나타내며 $C_{OM}$은 아래의 식으로 계산된다(2).
여기서 $P_{\max_{i}}$는 최대 전력, $P_{"\ge n "_{i}}$는 생산된 전력, $C_{fi}$는 보수비용, $C_{vi}$는 운영
및 유지비용을 나타낸다.
표 1.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운영 비용
Table 1. Costs of maintenance and operation for renewable energy system.
Equipment
|
Cfi($/kW/year)
|
Cvi($/kWh)
|
Wind turbine
|
10
|
0
|
PV
|
9.52
|
0
|
FC
|
0
|
0.02
|
Electrolyzer
|
0
|
0.0045
|
Battery
|
5
|
0.05
|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풍력발전설비는 보수비용이 연간 kW당 10$, 태양광 발전설비는 보수비용이 연간 kW당 9.52$, 배터리 설비는 보수비용이
연간 kW당 5$로 나타났다.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은 연료전지가 연간 kWh당 0.02$, 전해조가 연간 kWh당 0.0045$, 배터리가 연간
kWh당 0.05$로 나타났다. 배터리인 경우에는 보수비용이 연간 kW당 5$이고,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은 간 kWh당 0.05$로 나타나 총 비용이
연료전지 및 전해조에 비하여 높은 비용이 요구된다. 배터리의 보수비용이 다른 요소에 비하여 높은 이유는 배터리의 고장이 날 경우 수리할 수 없어 전량
교체를 해야 하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이 수시로 이루어질 경우 배터리 관리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므로 운영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배터리 설비보다는 연료전지와 전해조가 발전 및 충전에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하여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16년 1년 동안의 제주도의 일사량, 온도, 풍속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부하데이터는 미국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실제 상용빌딩 데이터들을 이용해 생산된 DB(10)을 이용하였다. 퍼지 제어기 학습을 위해 2016년도 1월 한 달 동안의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1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방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림 4(a)에서는 학습에 사용된 부하 전력을 나타냈다. 그림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하전력은 0.7∼2.6 [kW]로 나타났다. 그림 4(b)에서는 제어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1년 단위 부하 전력을 나타냈다. 그림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절기의 부하전력이 다른 계절에 비하여 요구전력이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표 2. 데이터 구성
Table 2. Data configuration
Equipment
|
Type
|
Number of data
|
training
|
test
|
PV
|
Irradiation
|
719
|
8,760
|
Temperature
|
719
|
8,760
|
Power
|
719
|
8,760
|
Wind turbine
|
wind speed
|
719
|
8,760
|
power
|
719
|
8,760
|
Load
|
power
|
719
|
8,760
|
그림. 4. 부하전력
Fig. 4. Load power (a) training data, (b) testing data
요구되는 부하용량에 부합되도록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풍력발전시스템의 부하용량을 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태양광과 풍력발전시스템의 용량이
부하 요구전력에 비하여 과도하게 클 경우 시공비의 과다책정으로 인한 경제성 손실의 우려가 있으며, 이와 반대로 공급전력이 작을 경우 전력공급 중단의
치명적 손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부하전력에 전력공급 손실 없이 최적의 태양광 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연료전지, 전해조 및 배터리의
용량을 산정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태양광과 풍력 정격 전력의 범위는 3,000∼4,000 W 범위로 산정하였으며, 연료전지와 전해조는 1,500∼6,000
W, 그리고 배터리 용량은 3,000∼6,000 W 범위로 설정하였다. 또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하여 수소탱크의 레벨과 배터리의 SOC는 30%∼80%
범위를 갖도록 설정하였다. 표 3에서는 각각의 최적화 알고리즘에 의해 산정된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전해조, 배터리의 정격전력을 나타냈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전해조 및 배터리의 용량을 산정한 결과 다른 최적화 알고리즘에 비하여 정격전력이
적으면서도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수행됨을 알 수 있다.
표 4에서는 적용된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른 연간 유지보수 비용을 나타냈다. 표 4.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TLBO 알고리즘과 제안된 HS-TLBO 알고리즘에 기반의 퍼지제어기를 적용하였을 때 연간 유지보수 비용이 242$로 나타났다.
표 3. 최적화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 정격전력 [W]
Table 3. Rated power according to optimization algorithms
Equipment
|
GA
|
PSO
|
HS
|
TLBO
|
HS+
TLBO
|
PV
|
3,059.28
|
3,301.45
|
3,425.66
|
3,001.00
|
3,000.00
|
Wind
|
3,046.76
|
3,315.25
|
3,220.48
|
3,000.00
|
3,000.00
|
Fuel
|
2,073.71
|
1,867.73
|
1,903.39
|
2,096.59
|
2,095.59
|
Elect.
|
2,835.36
|
2,915.00
|
2,904.33
|
2,832.95
|
2,819.95
|
Battery
|
3,599.57
|
5,393.81
|
3,960.52
|
3,438.51
|
3,437.92
|
표 4. 적용된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른 연간 유지 비용
Table 4. Management cost per year by optimization methods
GA
|
PSO
|
HS
|
TLBO
|
HS+
TLBO
|
245.4061
|
278.8318
|
272.6900
|
242.7000
|
242.0000
|
그림 5에서는 부하 요구전력과 신재생에너지별 공급된 출력을 나타냈고, 그림 6에서는 부하전력과 제안된 퍼지제어기에 의한 시스템 출력을 나타냈다. 그림 5 및 그림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력공급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부하로 전력을 공급함을 알 수 있다.
그림. 5. 부하 요구전력과 신재생에너지별 공급된 출력
Fig. 5. Required Load power and supplied powers
그림 7에서는 1년 동안의 수소탱크 레벨과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SOC를 나타냈다. 그림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하 요구전력보다 태양광과 풍력으로 구성된 신재생에너지원이 전력이 적은 구간(0-2500h과 7000-8760h)에서는 연료전지와
배터리에서 부족 전력을 공급하여 수소탱크 레벨과 SOC 상태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신재생에너지원이 전력이 부하요구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수소탱크와 배터리로 충전이 되어 수소탱크레벨과 SOC 상태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림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신재생에너지원이 부하 요구전력보다 작은 경우 수소탱크레벨은 초기 50%에서 46%로 4% 감소하였고, SOC는 초기 60%에서
58%로 2% 감소하여 배터리보다는 연료전지에서 부하로 더 많은 전력공급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인 경우에는 수소탱크레벨은 46%에서
60%로 14% 증가하였고, SOC는 초기 58%에서 66%로 8% 증가하여 배터리보다는 전해조에 더 많은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안된 HS-TLBO 알고리즘 기반의 퍼지제어기를 적용한 경우 정격용량이 적으면서 유지보수 비용이 최소화 되도록 운영됨을
알 수 있다.
그림. 6. 부하전력과 제안된 퍼지제어기에 의한 시스템 출력
Fig. 6. Required load and system output by the proposed method
그림. 7. 수소탱크 레벨과 SOC 레벨
Fig. 7. Tank and SOC levels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최적 퍼지로직 제어기 기반 독립형 하이브리드 전력시스템의 최적 전력 제어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퍼지 제어기의 최적 설계를 위하여
하모닉 탐색 알고리즘과 수업-학습기반 최적화 알고리즘을 융합한 HL-TLBO 기반의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하는 독립형
하이브리드 전력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원으로서 풍력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고려하였으며 배터리 뱅크와 전해조 및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백업 전원으로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요구전력의 공급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다른 최적화 알고리즘에 비하여 유지비용이 가정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부하 및 실측 데이터에 대해서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References
Ranjay Singh, Ramesh C. Bansal, Arvind R. Singh, Raj Naidoo, 2018,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 Using Reformed Electric System Cascade
Analysis for Islanding and Grid Connected Modes of Operation, IEEE Access, Vol. 6,
pp. 47332-47354
B. Ludwig, 1997, On the sustainability of future energy systems,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38, pp. 1765-1775
A. Bilodeau, K. Agbossou, 2006, Control analysis of renewable energy system with hydrogen
storage for residential application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62, pp. 757-764
M. N. Eskander, T. F. El-Shatter, M. T. El-Hagry, 2006, Energy flow and management
of a hybrid wind/PV/fuel cell generation system,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47, pp. 1264-1280
H. Miland, R. Glöckner, P. Taylor, R. J. Aaberg, G. Hagen, 2006, Load control of a
wind-hydrogen stand-alone power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1, pp. 1215-1235
S. Safari, M. Ardehali, M. Sirizi, 2013, Particle swarm optimization based fuzzy logic
controller for autonomous green power energy system with hydrogen storage,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65, pp. 41-49
M. Sarvi, I. N. Avanaki, 2015, An optimized fuzzy logic controller by water cycle
algorithm for power management of stand-alone hybrid green power generation,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106, pp. 118-126
R. V. Rao, V. J. Savsani, D. Vakharia, 2012, Teaching–learning-based optimization
: An optimization method for continuous non-linear large scale problems, Information
Sciences, Vol. 183, pp. 1-15
C. Peraza, F. Valdez, O. Castillo, 2015, A Harmony Search Algorithm Comparison with
Genetic Algorithms, Fuzzy Logic Augmentation of Nature-Inspired Optimization Metaheuristics,
pp. 105-123
https://openei.org/doe-opendata/dataset/commercial-and- residential-hourly-load-profiles-for-all-tmy3-locations-in-the-united-states.
저자소개
1999년 인하대학교대학원 컴퓨터공학과 졸업(공학석사),
2019년 2월 한국교통대학교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졸업(공학박사),
2002년~현재 경북전문대학교 철도전기기관사과 부교수
E-mail : sdjang@kbc.ac.kr
1994년 충북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석사과정 졸업(공학석사),
1998년 동대학원 박사과정 졸업(공학박사),
현재, 대한전기학회 평의원 및 학술이사, 한국교통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E-mail : psji@u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