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Power System, Interface Power Flow, HVDC, Margin, FV Analysis, DC Tap, Reactive Power

1. 서 론

전력산업의 구조 개편이후 및 국제 유가 상승 등의 이유로 인해 발전단가가 저렴한 발전기를 우선적으로 발전하여 급전하고 최대부하를 낮추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발전원에서 벗어나 분산전원 형태인 태양광, 풍력 발전기 등 새로운 발전원을 찾고 계통에 연계하기 위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 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전력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수도권 등의 집중된 부하를 낮춰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분산전원들도 결국에는 토지비용이 싼 비수도권에 집중되게 되어 발전력과 부하의 불균형은 여전히 나아지지 않고 있다. 계속하여 부하는 주로 수도권 인근에 집중되어 있고, 발전단가가 낮은 발전기들은 서해안 등 바닷가에 집중되어 분포 되어있다. 또한 최근에는 동해안에도 대규모 발전력들이 추가되고 있고, 수도권에 해당하는 인천지역의 발전기들은 곧 수명을 다해 더 이상 발전이 어렵게 될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부하는 수도권에 계속 집중되어 있고, 발전력은 수도권의 경우에는 오히려 줄고 비수도권의 발전력이 늘어나 결국은 융통선로 등을 통해 대규모 송전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1,2].

이러한 환경에서 기존의 융통선로만을 가지고는 대규모 전력을 송전하기에는 한계에 이르렀기 때문에, 추가적인 송전선로 확보가 절실하다. 한전은 이러한 상황에 맞추어 2010년 초반부터 송전선로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나, 북경남-신고리 765kV 송전선로 건설이후 지역의 집단민원으로 인하여 송전선로 건설이 매우 어려워진 상황이다. 특히 많은 지역단체들이 송전철탑이 건설되는 것을 매우 꺼려함에 따라 지중선로를 건설해달라는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규모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며 지중선로 건설에 유리한 HVDC가 육지계통에도 대규모로 건설 중에 있다[3].

한편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압/무효전력에 대한 계통의 강건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전압안정도 해석이다. 최근 국내 계통은 지속적인 부하의 증가에 따라 중부하 상태로 안정도 한계 근처에서 운용되고 있고, 수급 지역의 불균형으로 인한 송전선로의 장거리화에 따라 무효전력 손실의 증가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계통을 전압안정성 측면에서 안정도를 충분히 확보하고 적절한 운영전략 및 전압 제어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전압안정도 해석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와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4-7].

전력거래소에서는 우리나라의 전력계통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안정도 해석의 기준으로 수도권 융통조류 한계량을 활용하고 있다. 융통조류 한계량은 계통의 부하는 변화시키지 않고 수도권의 발전력은 줄이고 비수도권의 발전력은 늘려서 융통조류를 강제로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며, 이때 전압안정도 상 융통조류를 어디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 지가 융통조류 한계량 해석(FV 해석)이 된다[8]. 이렇게 해서 결정된 융통조류 한계량을 기준으로 계통을 운영하게 되며, 계산된 값에서 일부 마진(약5%)을 설정하여 그 한계 값 이하로 계통을 운영하게 된다. 따라서 이 융통한계 값을 어떻게 결정하는가 하는 것은 계통을 운영하는데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더할 나위 없이 매우 중요하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육지계통에도 HVDC가 다수 포함될 계획이며 이는 ‘17년 12월에 산업부에 발표한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이미 반영되어 8차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 상에 HVDC 선로가 다수 포함되어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육지계통에서 HVDC를 운영해 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융통조류 한계량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HVDC의 영향이 어떻게 될지 논의된 바가 없고, 또한 HVDC가 가지는 다양한 파라미터가 모델링에 따라 반영되는 정도가 다르며 이것이 융통조류 한계량 해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도 전혀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육지계통 내에서 HVDC 송전설비가 신설되었을 때, 계통의 전압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즉 융통조류 한계량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해석하기 위해 FV 해석 시, DC Tap(HVDC 변환소 내 컨버터변압기 탭) 설정에 따라서 융통조류 한계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HVDC의 다양한 파라미터 중 DC Tap 파라미터는 전압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정적해석에 해당하는 융통조류 해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다음 2장에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중 송·변전설비계획과 FV 해석에 관하여 설명하고, 3장에서 다양한 모의조건에 따른 융통조류 한계량 및 비교검토결과를 도출한다. 이후 4장에서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도록 한다.

2. 전력수급기본계획과 FV해석

2.1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송·변전설비계획

전력수요가 점점 증가됨에 따라서 국내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을 위해서는 송전선로를 신설 및 보강하여야 부하 집중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전력수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재 건설이 지연된 설비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설비 준공 지연에 따른 대안을 마련토록 하고 있다. 특히 HVDC 설비는 철탑 규모가 작고 전자파 발생이 적어 수용성이 높으며, 장거리·대용량 송전에 효율적이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HVDC 방식을 확대 적용하는 추세이다. 다음은 우리나라에서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송전선로 현황에 관한 표이다[9].

표 1. 중점 추진 중인 주요 송전선로

Table 1. Major Transmission Line in the Process

No.

변전소(변환소)명

준공시기

전압

1

신중부

‘19.06

765kV

2

북당진 C/S, 고덕 C/S

‘19.12

500kV

HVDC

3

신한울#1 C/S, 신가평 C/S

‘21.12

4

신한울#2 C/S, 수도권#2 C/S

‘22.12

5

고덕

‘18.06

345kV

위의 표와 같이 북당진 ~ 고덕간 HVDC 송전선로는 충남지역에서 발전된 전력을 수도권지역으로 인출시키 위한 공급망을 보강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신한울#1 ~ 신가평 및 신한울#2 ~ 수도권#2 HVDC 송전선로는 동해안 지역의 대규모 발전력을 계통과 연계시키기 위해서 건설되고, 북당진 - 신탕정 및 당진 T/P - 신송산 345kV 송전선로는 북당진 - 고덕간 HVDC 송전선로와 마찬가지로 충남지역 발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선로를 보강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광양 C/C - 신여수 345kV 송전선로는 여수지역 발전제약 해소 및 산업단지 전력을 공급시키기 위해서 신설되고, 고덕 - 서안성 345kV 송전선로는 수도권 융통선로 확충시키기 위함이다.

다음 표는 현재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신설 주요 변전소(변환소) 현황에 대한 표이다.

표 2. 중점 추진 중인 주요 변전소(변환소)

Table 2. Major Substation(Converter Station) in the Process

No.

변전소(변환소)명

준공시기

전압

1

신중부

‘19.06

765kV

2

북당진 C/S, 고덕 C/S

‘19.12

500kV

HVDC

3

신한울#1 C/S, 신가평 C/S

‘21.12

4

신한울#2 C/S, 수도권#2 C/S

‘22.12

5

고덕

‘18.06

345kV

위의 표와 같이 신중부 765kV 변전소는 중부지역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신설되고, 해당 지역의 전압불안정 현상을 해소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북당진 및 고덕, 신한울#1, 신한울#2, 신가평, 수도권#2 변환소는 해당지역 발전력을 수도권 지역으로 송전시키기 위해서 신설된다. 마지막으로 고덕 345kV 변전소는 경기 남서부 및 평택지역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2.2 융통선로 현황

동부 및 남부 지역에서 수도권 내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융통선로가 현재에도 다수 존재하지만, 부하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하여 지역간 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융통선로가 보강된다. 아래 그림과 표는 제 8차 전력수급계획을 반영한 국내 전력계통을 나타낸 그림과 융통선로 현황에 관한 표이다[10].

그림. 1. 국내 전력계통도

Fig. 1. Domestic Power System Diagram

../../Resources/kiee/KIEEP.2019.68.4.212/fig1.png

표 3. 융통선로 현황

Table 3. Interface Transmission Line Status

No.

융통선로(From)

융통선로(To)

회선 수

전압

1

신중부(4010)

신안성(4020)

2

765kV

2

강릉안인

신가평

2

765kV

3

아산(4400)

화성(6950)

2

345kV

4

신온양(4600)

서서울(4850)

2

345kV

5

신충주(4750)

곤지암(5750)

2

345kV

6

신진천(4300)

서안성(4800)

2

345kV

국내 전력계통에서 융통선로는 총 6개이고, 이 중 765kV 신중부-신안성 및 강릉안인-신가평 선로 2개가 운영되고 있고, 345kV는 아산-화성 및 신온양-서서울, 신충주-곤지암, 신진천-서안성 선로 4개가 운영되어 있다. 이를 통해 동해안 및 남부지역에서 발전된 전력을 부하가 집중된 수도권 지역으로 송전되고 있다.

2.3 FV 해석

하나로 이루어진 계통을 2개의 지역으로 나누어서 그 사이에 연계된 융통선로에 흐르는 조류량을 증가시켜서 안정도를 판별하는 방법이다. 아래 그림은 하나의 계통을 A와 B 지역으로 나누어서 그에 따른 융통선로의 조류를 표현한 그림이다[11].

그림. 2. FV 해석을 위한 계통 단순도

Fig. 2. Simple Power System Diagram for FV Analysis

../../Resources/kiee/KIEEP.2019.68.4.212/fig2.png

위의 그림에서 A 지역의 발전단가가 B 지역의 발전단가 보다 값이 싼 경우 경제적 계통운영을 위해서 A 지역의 발전량을 증가시키고 B 지역의 발전량을 감소시킨다. 이 때, B 지역으로의 연계선로에 흐르는 융통조류의 증가로 인해서 전압안정도 한계가 어느 지점에 발생하는 확인해야 한다.

(발전력 증가 지역 A)

$P_{GAi}=P_{GAi0}+\lambda k_{GAi}P_{GA0,\:total}$

(발전력 감소 지역 B)

$P_{GBi}=P_{GBi0}-k_{GBi}\triangle P_{GA,\:total}$

(Total)

$\triangle P_{GA,total}=\Sigma\lambda k_{GAi}P_{GA0,\:total}$

$\left(\begin{array}{c}{P_{G A(B) i 0}: A 혹은 B 지역에서 i 모선의 원래 유효전력량} \\ {P_{GA0,total}: 지역 A의 원래 전체 발전량 } \\ {\triangle P_{GA0,total}: 지역 A의 전체 발전 변화량} \\ {k_{GAi}: 지역 A의 발전모선 i의 발전력 증가 부담} \\ {k_{GBi}: 지역 B의 발전모선 i의 발전력 증가 부담}\end{array}\right.$

위의 식과 같이 발전력 증가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 내 각 모선의 원래 유효전력량에 원래 전체 발전량에 각 발전 모선의 부담해야할 발전력 지수를 곱한 값을 합하면 발전력 증가 지역에 발전모선에서 요구되는 발전량이다. 또한 발전력 감소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 내 각 모선의 원래 유효전력량에 원래 전체 발전량에 각 발전 모선의 부담해야할 발전력 지수를 곱한 값을 차감하면 발전력 감소 지역에 발전모선에서 요구되는 발전량이다. 위의 식을 기반으로 하여 그래프를 구성할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형성된다. 사고 이후의 그래프들 중 한계값이 가장작게 나오는 커브에 대하여, 그 한계점에서의 발전량을 유지하고 사고를 제거하여 사고이전 커브로 회귀하면, 회귀한 한계점과 현재 운전점의 차이가 융통조류 마진이 된다.

그림. 3. FV 커브를 통한 융통조류 마진 결정

Fig. 3. Margin of Interface flow from FV Curve

../../Resources/kiee/KIEEP.2019.68.4.212/fig3.png

2.4 DC Tap 설정

DC Tap이라고 명시된 것은 HVDC 변환소 내 변환변압기(Converter Transformer)의 탭을 말한다. 변환변압기는 HVDC 시스템 내에서 기존 AC시스템의 전압을 DC로 송전시켜주기 위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설비이다. 따라서 DC Tap은 기존 AC 시스템의 변압기 탭과 동일하게 계통상황에 따라서 탭을 절환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취한다.

DC Tap에 관한 파라미터는 아래 표와 같다[12].

표 4. DC Tap 관련 파라미터

Table 4. DC Tap parameters

No.

Parameter

북당진-고덕

HVDC

신한울-수도권

HVDC

비고

(기본값)

1

Tranfomer Raio

0.6377

0.6125

1.0

2

Normal Tap Setting

1.0

1.0

1.0

3

Max. Tap Setting

1.0

1.31

1.5

4

Min. Tap Setting

1.0

0.91

0.51

5

Tap Step

0.0125

0.0125

0.00625

Transformer Ratio는 변환변압기 1차측-2차측간 전압비를 말하고, Normal Tap Setting은 정상상태에서의 탭 설정값을 말하며, Max. Tap Setting 및 Min. Tap Setting은 최대/최소 탭 설정값, Tap Step은 변환변압기 내 Tap이 한번 절환될 때 변화되는 값을 말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해당 HVDC Branch 데이터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3. 사례 연구

본 논문에서는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반영한 실제 한전 계통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례 연구를 수행한다. 해당 검토 조건은 아래와 같다.

- 검토데이터 : 2024년 피크 계획 계통 데이터

- 해석방법 : 전압안정도 FV 해석(PSS/E 사용)

- Source : 비수도권 발전기

- Sink : 수도권 부하

- 상정사고 : 5개 융통선로(신중부-신안성, 화성-아산, 신온양-서서울, 신충주-곤지암, 신진천-서안성) 2회선 고장 가정

- 결과 비교 : 각 융통조류 여유량 비교

- 감시모선 : 서서울 모선

먼저 조류계산을 수행하는데, 조류계산의 주요 설정은 아래와 같다.

- Solution method : Full Newton-Raphson

- Tap adjustment : Lock taps

- Switched shunt adjustments : Lock all

조류계산이 수렴할 경우, 다음 과정으로 PV Analysis 탭을 실행하고, FV 해석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설정해야 한다. 나머지는 Default 설정과 같이 진행하여도 무방하다.

- Transfer dispatch method

. For study("source") system : DFAX generation

. For opposing("sink") system : DFAX generation

또한 sub 파일(source 및 sink에 관한 area 설정) 및 mon 파일(감시하고자 하는 모선), con 파일(상정사고를 수행하고자 하는 융통선로)를 설정하여 FV Analysis를 수행한다. 아래 그림은 FV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설정한 화면이다. 이를 통해 FV 해석을 진행한다.

그림. 4. FV 해석 설정화면

Fig. 4. FV Analysis Setting Screen

../../Resources/kiee/KIEEP.2019.68.4.212/fig4.png

3.1 DC Tap 조정에 따른 융통조류 여유량 모의 결과

FV해석에서 해석 파라미터 중 DC Tap 조정을 설정하고 각 융통선로 고장을 수행할 경우,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한다. 여기서 전압 감시 모선은 서서울 모선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때 FV 커브는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5. DC Tap 조정에 따른 FV 커브

Fig. 5. FV curve with DC Tap control

../../Resources/kiee/KIEEP.2019.68.4.212/fig5.png

위 그림에서는 DC Tap 설정에 따라서 5개의 융통선로 고장 시, 모의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이 때 융통선로 중 화성 - 아산이 건전 상태(Basecase)로부터 가장 낮은 융통전력 여유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신진천-서안성이 건전상태와 가장 유사하게 융통전력 여유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2 DC Tap 미조정에 따른 융통조류 여유량 모의 결과

이번에는 FV해석시에 DC Tap을 조정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하고 각 융통선로 루트 고장을 FV Analysis를 통해서 수행할 경우,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한다. 감시 모선은 위와 동일하게 서서울 모선에서 관찰했을 때, 결과 그래프는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6. DC Tap 미조정에 따른 FV 커브

Fig. 6. FV curve with non DC Tap control

../../Resources/kiee/KIEEP.2019.68.4.212/fig6.png

위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융통선로 중 신온양-서서울이 가장 낮은 융통전력 여유량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화성-아산은 신온양-서서울 보다는 여유량이 조금 높지만 전압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대로 신진천-서안성이 가장 높은 여유량을 가지고 있다.

3.3 융통조류 여유량 비교

사례연구의 결과를 분석해 보았을 때, DC Tap을 조정했을 때 보다 미조정하였을 때, 융통조류 여유량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융통선로에서 2회선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계통의 각 모선 전압이 감소되기 때문에, HVDC 변환소 모선에서는 HVDC 송전을 위한 정격전압을 맞춰주기 위해서 DC Tap 절환을 취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해당 모선의 전압을 올리기 위해서 무효전력이 추가적으로 소모되게 되어, DC Tap을 미조정했을 때에 비해 무효전력의 여유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따라 융통조류 여유량 또한 줄어들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충청지역의 대규모 발전단지에서 수도권으로 많은 전력을 송전하는데, 이중 아산-화성 선로가 감당하는 조류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 선로가 고장 났을 때, 주변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다른 융통선로 사고에 비해서 가장 적은 융통조류 여유량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DC Tap을 미조정하게 되면 계통의 전압 변화와 상관없이 HVDC가 송전되므로 무효전력을 추가로 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DC Tap을 조정했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융통조류 여유량이 모두 높게 도출된 것으로 사료된다. DC Tap의 조정 여부가 융통조류 한계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분명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앞으로 정확한 융통조류 한계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DC Tap의 효과도 적절히 반영하여 FV 해석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5. DC Tap 조정유무에 따른 융통조류 여유량 비교

Table 5. Interface power flow margin comparison by DC Tap setting on & off

No.

융통선로

융통조류 여유량

DC Tap On

DC Tap Off

1

Base Case

10,000.00

10,000.00

2

신중부-신안성

6,425.00

9,531.25

3

아산-화성

5,087.50

7,700.00

4

신온양-서서울

5,218.75

7,412.50

5

신충주-곤지암

7,681.25

9,287.50

6

신진천-서안성

9,412.50

9,993.75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육지계통에 HVDC 설비가 확대 설치됨에 따라 정확한 융통조류 여유량 산정을 위하여 DC Tap 설정에 따른 융통조류 여유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산정하기 위해서 신규 송전설비 계획과 융통선로 현황, FV 해석방안을 분석하였다. 또한 DC Tap 설정 방법과 각 파라미터의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DC Tap 조정 유무에 대한 모의를 진행하였고, 각각의 케이스를 비교해본 결과 DC Tap을 조정하는 것으로 설정하여 FV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여유량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계통을 운영할 때에는 항상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여 운영 해야하기 때문에 앞으로 DC Tap의 효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명확히 정의하여 융통조류 한계량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송변전 운영 계획 및 송전설비 건설계획을 수립할 때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HVDC 뿐만 아니라 TCSC, BTB 등 특수설비가 다수 투입되는 미래 계통에 대하여 정확한 융통조류 여유량 분석을 위해 관련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8년도 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설 연구지원센터의 지원과 한국전력공사의 2018년 선정 기초연구개발 과제 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과제번호 : R18XA06-65)

References

1 
Tae-Gyun Kim, Byong-Jun Lee, Hwa-Chang Song, Bu-Il Kang, Jong-Man Jo, July 2009, Calculation of the Optimal Load Shedding amount and location considering Interface Flow Limit, KIEE ConferenceGoogle Search
2 
Yunhwan Lee, Sangwook Han, Jun 2019, A Study on the Tripping Scheme of Generator Based on Transient Stability Analysi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P, No. 2, pp. 89-94Google Search
3 
Su-Young Han, Do-Hun Gwon, Il-Yop Chung, Jae-Bong Lim, Dec 2013, A Study on the Impact of HVDC Trans- mission System to Interconnect Large-scale Power Genera- tion Plants to Power Grid in Korea,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 12, pp. 1647-1656DOI
4 
Sungchul Hwang, Jaehyeong Lee, Pyungik Hwang, Minhan Yoon, Gilsoo Jang, July 2015, Analysis of system power flow margin on replacement of transmission line to DC line, In KIEE ConferenceGoogle Search
5 
Sung-Wook Hwang, Jung-Hoon Kim, Byung-Ha Lee, Yong-Hak Kim, Nho-Hong Kwak, November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etermining Process to Enhance Inter-Area TTC, in KIEE ConferenceGoogle Search
6 
Je-Ho Yoo, Jin Hur, Jun-Min Cha, Tae-Gyun Kim, Bu-Il Kang, Soo-Hwan Cho, 2015, Determination of Reasonable Amounts of Under-Voltage Load Shedding for 765kV T/L According to the Power System Reliability Standard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4, No. 6, pp. 845-851DOI
7 
Byoung-Ho Kim, Heeyun Jeong, Dong-Hwan Chang, Tae-Seon Eom, Hongrae Kim, July 2018, Evaluation of Impacts on the Voltage and Tie-Line Flow Changes in the Metro- politan Area Caused by New HVDC Lines, in KIEE ConferenceGoogle Search
8 
Byongjun Lee, Hwachang Song, Sae-Hyuk Kwon, Gilsoo Jang, Jun-Hwan Kim, V. Ajjarapu, Aug 2002, A study on determination of interface flow limits in the KEPCO system using modified continuation power flow (MCPF),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17, No. 3, pp. 557-564DOI
9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December 2017, The 8th Basic Plan for Power SupplyGoogle Search
10 
KPX, August 2017, Study on Improvement of Power System Voltage Control and Operation Method to Maintain Voltage Stability, Final ReportGoogle Search
11 
KPX, February 2015, Study on Seoul Metropolitan Area Power Grid Optimal Configuration Plan, Final ReportGoogle Search
12 
Siemens PTI, PSS/E 33 Operation ManualGoogle Search

저자소개

한상욱 (Sangwook Han)
../../Resources/kiee/KIEEP.2019.68.4.212/au1.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Korea in 2004, 2006 and 2012, respectively.

He worked as a senior researcher in KEPRI which is research institute of KEPCO from 2012 to 2016.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in Dong Seoul University since 2016.

Tel : 031-720-2064

E-mail : hswrain@d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