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Korea Construction Equipment Technology Institute (KOCETI), Korea.)
  2. (Shinheung Industry Company)



Underground Crop Harvester, Weight Measuring System, Sorting Algorithm, Vibration Offset, Load-Cell

1. 서 론

최근 세계적으로 4차 산업 혁명이 산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농업 분야에서도 다양한 이종 기술과의 결합을 통하여 스마트 팜(Smart Farm) 기술들과 여러 형태의 농기계 관련 신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더욱이 오늘날 국내 농촌은 급속한 노령화와 여성 비율의 증가로 인해 기존 성인 남성들이 사용하던 농기계들에 비해 편의성과 생산성이 더 향상된 장비들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논농사에 비해 기계화율이 더딘 밭농사용 농기계 및 장비들을 대상으로 자동화, 지능화 시도가 이뤄지고 있는 추세다.

현재 대표적인 밭농사용 농기계인 땅속작물 수확기를 지능화하기 위한 시도로 그림 1에서와 같이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를 연구 개발 진행 중인데 굴취, 선별, 수집, 하역의 4단계 작업을 자동화하려 한다.

그림. 1.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 외형

Fig. 1. Intelligent underground harvester appearance

../../Resources/kiee/KIEEP.2020.69.1.61/fig1.png

4가지 작업 자동화는 굴취 깊이 제어, 선별부 속도와 방향 제어, 수집부 하중 측정, 자동 박스 교체 제어로 나뉘어 사용자가 작업 환경과 수확 작물에 따라 다양한 기능들을 실시간으로 일괄 제어 또는 개별 제어 할 수 있게 만들어 줌으로써 기존 장비 대비 생산성과 작업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1)

그 중에서도 밭작물 수확 시 수확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수집부 하중 측정은 타작업 대비 매우 번거롭고 시간과 일손이 많이 드는 작업 과정이다.

기존의 기계식 땅속작물 수확기가 수확물 무게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은 수확기의 시동을 끄고 지면에 내려놓은 수집된 작물들의 박스들을 정리한 뒤 저울까지 운반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각 박스별 무게를 측정하고 다시 들어 올려 트럭까지 운반하고 있다.(2)

이에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에서는 시동을 켠 동적 환경에서도 수집부 하중 측정 시 수집되는 수확물들의 무게 값을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확인하고 측정된 무게 값을 통해 다음 단계인 하역 작업을 위한 자동 박스 교체 제어까지 가능하게 하려 한다.

그래서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의 끝단인 수집부에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인 로드셀을 설치하고 제어부와 표시부를 장착하여 밭작업 중 선별부를 거쳐 수확되는 작물들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보고, 설정된 무게 값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박스가 하역되며 교체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가 진동이 발생되는 동적 환경에서도 수확물들의 무게 값을 측정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확인하며 안정적으로 설정된 무게 값에 도달하는 강인한 무게 측정용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계 진동으로 요동하는 무게 측정 데이터를 정렬(Sorting) 기법을 통해 평활화하고 진동 오차값을 보상하여 기존 수확물의 무게 측정 작업 대비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의 무게 측정 시스템 소개

현재 밭농사에서 수확한 밭작물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은 선별, 수확, 정리, 이동, 측정, 재이동의 여러 작업 단계를 거쳐야 되므로 매우 비효율적인 방식이다.

굴취한 수확물들을 수확기 내에서 선별 벨트를 통해 이동 후 수확과 동시에 무게를 측정하게 되면 업무가 단순화되고 작업 시간과 일손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에 현재 연구 중인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의 다양한 제어 기능들 중 무게 측정 시스템도 개발하여 장착하였다.

하지만 현재 개발된 무게 측정 시스템으로 무게를 측정하고 디스플레이에서 육안으로 무게 값을 확인하게 되면 매우 불안정하게 숫자의 편차율이 커져 표시부에서 정확한 무게 값을 확인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설정된 기준 무게 값에 해당하는 오차율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왜냐하면 수확기가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여러 곳에서 발생되는 진동들이 수집부의 하역 판과 수확물들이 담기는 수집 박스를 통해 로드셀에 전달되므로 지속적인 무게 편차율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동적 환경에서도 로드셀에 전달되는 외란 요소인 진동을 저감시키는 강인한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여야 한다.

2.1 무게 측정 방식과 하드웨어 사양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가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은 감자나 양파 같은 구근류의 수확 작물들을 굴취 후 선별부를 통해 이동하여 수집부의 하역 판위에 놓인 수집 박스로 담기고 이 무게를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 무게에 도달하면 롤러를 통해 수집 박스를 측면으로 자동 하역하는 방식으로 그림 2와 같다.

그림. 2. 무게 측정 시스템을 통한 무게 측정과 자동 하역 개념도

Fig. 2. Conceptual diagram of weighing and automatic unloading by weight measur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P.2020.69.1.61/fig2.png

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로드셀이 무게 데이터 값을 측정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MCU)에서 연산하여 FND를 통해 무게 값을 표시해주는 형태의 개발보드로 설계하였다.

무게 측정 시스템의 하드웨어 스펙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무게 측정 시스템의 사양

Table 1. Specification of weight measurement system

목록 (List)

사양 (Spec)

마이크로컨트롤러(MCU)

ATMEGA128PA

입력전압

12V

동작전압

5V~12V

하중 측정 센서(로드셀)

YZC-1B

로드셀 전압 증폭용 엠프

HX711

디스플레이

FND (3자리용)

2.2 무게 측정 시스템의 세부 구성 요소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무게 측정 시스템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는데 센싱부, 제어부, 표시부로 구성되며 그림 3과 같다.

수확 작물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부인 로드셀의 장착 위치와 기구부 구조는 그림 4와 같다.

그림. 3. 무게 측정 시스템의 구성

Fig. 3. Composition of the weight measur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P.2020.69.1.61/fig3.png

그림. 4. 수집 박스 무게 측정 모습과 로드셀 장착 위치

Fig. 4. Collection box weighing and load-cell mounting position

../../Resources/kiee/KIEEP.2020.69.1.61/fig4.png

수확기의 구조적 특성 상 그림 4에 표시된 것처럼 로드셀이 수집 박스를 직접적으로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하역 판에 실린 수집 박스의 무게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로드셀에서 센싱된 무게 값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FND 모듈로 측정된 무게 값을 보여주는 표시부는 그림 5와 같다.

그림. 5. 무게 측정 제어부와 표시부의 외형

Fig. 5. Weight measurement indicator appearance

../../Resources/kiee/KIEEP.2020.69.1.61/fig5.png

그림 5의 (a)는 제어부이며, (b)는 표시부로서 그림 4의 로드셀과 함께 이 모듈들을 통합하여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의 무게 측정 시스템이라 한다.

3. 동적 환경에 강인한 무게 측정 알고리즘 설계

현재 설계된 기존 무게 측정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점은 진동에 의한 불안정한 무게 값 표시와 큰 허용 오차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진동 오차를 보상해주는 방안과 그에 해당하는 알고리즘을 해당 시스템의 제어부에 적용해야만 된다.

이에 본 장에서는 진동 오차를 보상하는 수식과 정렬(Sorting) 알고리즘에 대해 제안한다.

3.1 진동 오차 보상 수식 설계

로드셀은 외력(힘, 하중 등)에 의해 비례적으로 변하는 탄성체의 하중 변화와 이 때 발생되는 저항의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주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하중 감지 센서이다.(3-4)

물체는 힘이나 하중에 의해 이에 비례하는 변형이 발생하며, 단위길이 당 발생하는 변형량을 변형률(Strain)이라 하고 이 때 변형률은 힘이나 하중의 크기에 직선적으로 변화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3-6)

$응력(STRESS)=\dfrac{작용하중(F)}{단면적(A)}$

$변형률(STRA\in)=\dfrac{\text{하중 작용 후 변화된 길이}(L'-L)}{\text{하중 작용 전 길이}(L)}$

이 때 변형률을 측정하는 소자가 스트레인 게이지이며, 변형률이 발생되면 스트레인 게이지의 길이와 저항이 변형되며 이를 통해 로드셀은 무게가 얼마인지 알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수식으로 변환하면 식 (1)과 같다.

(1)
$$e=\dfrac{d R}{R}\times E$$

여기서 $e$는 로드셀의 출력값, $d R$은 변형된 저항값, $R$은 초기 저항값, $E$는 인가 전압이다.

기존에 로드셀을 통한 힘이나 무게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환경은 정적인 상태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확기의 시동이 ON된 상태 즉, 진동이 발생되는 동적 상태에서 로드셀에 감지되는 무게를 측정하려고 한다.

이 때 로드셀에 전달되는 변수는 외력(하중, 무게 등) 외에도 동적인 상태에서 수확기에 발생되는 진동이 추가되며 이는 식 (2)와 같다.

(2)
$$e=\dfrac{d R}{R}\times E +V(x)$$

$V(x)$는 진동에 의한 무게 오차 값으로 이로 인해 무게 측정값에 큰 편차가 생겨 정확한 무게 값을 측정하고 확인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진동을 저감시키거나 상쇄시키는 방안을 제어부에 적용하여 진동이 있는 동적 환경에서도 무게 오차가 적은 강인한 제어 시스템을 설계해야 되고,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식 (3)과 같다.

(3)
$$e=\dfrac{d R}{R}\times E+V(x)-V(y)$$

$V(y)$는 무게 보상 값으로 이 값이 초기 무게 오차 값인 $V(x)$ 값에 근접할수록 로드셀에 전달되는 진동 오차를 보상하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측정된 무게 값의 오차율이 줄어드는 강인하고 안정적인 무게 측정 시스템이 된다.

3.2 정렬(Sorting) 알고리즘

식 (2)에서 설명된 무게 오차 값인 $V(x)$ 값이 클수록 표시부에 보이는 무게 측정값의 편차가 커져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지므로, 이 $V(x)$ 값의 편차를 줄이는 방안으로 Sorting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Sorting 알고리즘은 n개의 숫자가 입력으로 주어졌을 때, 이를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에 맞게 정렬하여 출력하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Sorting 알고리즘에는 선택 정렬, 삽입 정렬, 버블 정렬, 합병 정렬, 퀵 정렬 등 크게 5가지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정렬 데이터의 숫자가 100개 미만일 때는 어떠한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해도 계산 속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7)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게 측정 데이터 값이 6초 동안 100msec의 속도로 측정된 60개의 측정값들을 사용하므로 구현이 간단하고 가장 대표적인 정렬 알고리즘인 선택 정렬 방법을 적용하여 로드셀에 입력되는 무게 측정값들을 정렬하였다.

참고로 6초를 기준으로 삼은 이유는 진폭의 한 주기가 6초에 가장 근접했기 때문이다.

기존 제어부에서는 6초 동안 측정된 60개 측정 데이터들의 모든 최대값과 최소값의 합을 더해 나누는 평균값 알고리즘만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ort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과도하게 튀는 진폭의 최대값들과 최소값들을 버리고 설정된 진폭 사이의 값만을 선택 정렬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중간값의 편차율이 줄어들게 되므로 훨씬 안정적으로 측정된 무게 값을 표시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60개의 측정값들 중 최소값 10개, 최대값 10개를 제외한 40개의 측정값들만을 가지고 평균을 내어 무게 값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진동으로 발생된 무게 오차 값을 구하여 이를 무게 보상 값인 $V(y)$에 적용한다면 동적 환경에서도 허용 오차가 줄어든 신뢰성 높은 무게 측정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4. 실험 및 고찰

기존 시스템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수식과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설계된 개선 시스템으로 나누어 무게 값 측정 실험을 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해보았다.

이 때 실험 조건으로는 두 시스템 모두 동일하게 수확기 전원이 꺼진 Off 상태, 수확기 전원이 켜진 ON 상태에서 동일 시편들로 무게 값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도출하였고, 그 외 실험 환경과 조건은 모두 동일하다.

참고로 진동을 측정한 부위는 기구적 특성 상 로드셀과 가장 근접한 곳인 로드셀이 연결된 지지대에서 진동 측정기를 통해 진동 값을 측정하였다.(8)

4.1 기존 시스템에서의 실험 결과

기존 시스템으로 정적 상태에서 측정하고 분석한 무게 값은 아래 표 2와 같다.

표 2. 정적 상태에서의 기존 시스템 무게 측정값

Table 2. Existing system weight measurements in static state

State

Measuring Method

Test

No

Vibration

(㎨)

Average Weight

(kg)

Weight Error (kg)

Static State (Power OFF)

Box

No.1

0.0

4.889

-

No.2

0.0

8.966

-

No.3

0.0

14.181

-

그리고 동일 실험 조건에서 수확기의 시동을 ON시켜 진동이 발생되는 동적 환경에서의 측정한 무게 값은 아래 표 3과 같다.

표 3. 동적 상태에서의 기존 시스템 무게 측정값

Table 3. Existing system weight measurements in dynamic state

State

Measuring Method

Test

No

Vibration

(㎨)

Average Weight

(kg)

Weight Error (kg)

Dynamic State (Power ON)

Box

No.1

3.7

3.580

1.309

No.2

3.6

7.832

1.134

No.3

3.4

11.866

2.315

표 2표 3에 나온 무게 평균값은 60개의 무게 측정 데이터 값을 평균한 값이며, 진동 발생 무게 오차 값은 정적인 상태에서의 무게 평균값에서 동적인 상태에서의 무게 평균값을 뺀 값으로 진동에 의해 발생된 무게의 오차 값을 뜻한다.

기존 시스템에서 진동 값이 발생된 동적 상태에서의 무게 측정 그래프는 아래 그림 6과 같다.

그림. 6. 동적 환경에서 측정된 기존 시스템에서의 무게 측정 그래프

Fig. 6. Weight measurement graph in dynamic environment by existing system

../../Resources/kiee/KIEEP.2020.69.1.61/fig6.png

4.2 개선 시스템에서의 실험 결과

개선 시스템에서 정적 상태에서 측정하고 분석한 무게 값은 아래 표 4와 같다.

표 4. 정적 상태에서의 개선 시스템 무게 측정값

Table 4. Improved system weight measurements in static state

State

Measuring Method

Test

No

Vibration

(㎨)

Average Weight

(kg)

Weight Error (kg)

Static State (Power OFF)

Box

No.1

0.0

4.844

-

No.2

0.0

8.991

-

No.3

0.0

14.127

-

그리고 동일 시험 조건에서 외부에서 발생된 진동이 포함된 동적 환경에서의 Sorting 알고리즘이 적용된 개선 시스템으로 측정하고 분석한 무게 값은 아래 표 5와 같다.

표 5. 동적 상태에서 Sorting 알고리즘이 적용된 개선 시스템 무게 측정값

Table 5. Improved system weight measurements with sorting algorithm in dynamic state

State

Measuring Method

Test

No

Vibration

(㎨)

Average Weight

(kg)

Weight Error (kg)

Dynamic State (Power ON)

Box

No.1

3.5

3.577

1.267

No.2

2.8

7.805

1.186

No.3

2.2

11.872

2.255

표 4표 5에 나온 무게 평균값은 도출된 수식과 Sort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나온 40개의 무게 측정 데이터 값을 평균한 값이며, 진동 발생 무게 오차 값은 정적인 상태에서의 무게 평균값에서 동적인 상태에서의 무게 평균값을 뺀 값으로 진동에 의해 발생된 무게의 오차 값을 뜻한다.

개선 시스템에서 진동 값이 발생된 동적 상태에서의 무게 측정 그래프는 아래 그림 7과 같다.

그림. 7. 동적 환경에서 측정된 개선 시스템에서의 무게 측정 그래프

Fig. 7. Weight measurement graph in dynamic environment by improv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P.2020.69.1.61/fig7.png

4.3 고찰

지금까지의 실험 내용들을 정리하면 발생된 진동의 진폭 편차가 보정 전인 기존 시스템에 대비하여 보정 후인 개선 시스템 때 그림 8의 비교 그래프에서와 같이 무게 측정 편차가 줄어들었고, 표 6의 결과를 통해 무게측정 오차율이 16.7% 개선되어 표시부에서 무게측정 값을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인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동적 환경에서의 기존 시스템과 개선 시스템의 무게 측정 비교 그래프

Fig. 8. Comparison graph of weight measurement of existing system and improvement system in dynamic environment

../../Resources/kiee/KIEEP.2020.69.1.61/fig8.png

본 실험으로 도출된 진동 발생 무게 오차 값을 통해 진동을 감소시켜주는 각 시편에 적합한 실질적인 무게 보상 값 $V(y)$를 구해볼 수 있었다.

현재 적용된 Sorting 알고리즘에 도출된 무게 보상 값까지 모두 적용하여 동적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이로써 표 6에서 나타나듯 진동 발생으로 인한 무게측정 오차 값이 줄어들며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6. 동적 상태에서 Sorting 알고리즘과 무게 보상 값이 적용된 개선 시스템 무게 측정값

Table 6. Improved system weight measurements with sorting algorithm and weight compensation value in dynamic state

State

Measuring Method

Test

No

Vibration

(㎨)

Average Weight

(kg)

Weight Error (kg)

Dynamic State (Power ON)

Box

No.1

3.5

4.589

0.255

No.2

2.8

8.634

0.357

No.3

2.2

13.739

0.388

5.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동적 환경일 때 발생되는 진동 오차 값을 보상해주는 수식과 관련 알고리즘을 설계해보았고, 이를 개선 시스템에 적용하여 기존 시스템과 실험을 하며 비교 분석을 해보았다.

그 결과, 실제로 진동이 발생되어도 안정적으로 무게를 측정하고 이를 표시해주며 무게 오차율을 줄여주는 제어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의 무게 측정 기능이 정적 환경에서만이 아닌 동적 환경에서도 구현 가능하고 자동 박스 교체 작업까지 할 수 있는 강인한 무게 측정용 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기존 밭작업 시 시간과 일손이 많이 투입되었던 비효율적인 수확물 무게 측정 작업을 지금보다 더 단순화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능형 땅속작물 수확기를 실제 필드에 적용하여 시동을 켜서 발생되는 진동 외에 지면에서 발생되는 충격까지 상쇄시키고 저감되는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 및 적용하여 실험할 예정이다.

그럼으로써 밭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강인한 필터링 기법을 연구하여 동적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한 수확 작물들의 무게 측정용 알고리즘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118021-2)

References

1 
Hoon Lim, Myoung-kook Seo, Young Hun Joo, Byong-Un Yun, Byoung-Ju Bang, 2019,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a Underground Crop Harvester, Journal of the KIEE P, Vol. 68p, No. 3, pp. 173-179Google Search
2 
Ki-Nam Lee, Yong-Jum Lee, Wooram Gil, Susan Park, Young-Jae Ryoo, 2016, Design of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Connecting Device with Weight Measuring Function, in Proc. of Conference on KIIS, Vol. 26, No. 1, pp. 73-74Google Search
3 
Chang-Young Yang, 2002, Principle of Load Cell, Automatic Control Measurement of Monthly Magazine, pp. 16-21Google Search
4 
In Ho Bae, Heung Joon Park, Chan Won Park, Nam Ki Min, 2003, Development of Digital Load Cell, in Proc. of Conference on KIEE D, pp. 726-728DOI
5 
Jin-Hyoung Jeong, Ae-Kyung Kim, Sang-Sik Lee, 2018, Study of System Using Load Cell for Real Time Weight Sensing of Artificial Incubator, Journal of KIIECT, Vol. 11, No. 2, pp. 144-149DOI
6 
Chan-Won Park, Nam-Ki Min, 1995, Development of Double- Beam Load Cells with Active Circuit Temperature Compen- sation, Journal of the KIEE, Vol. 44, No. 8, pp. 1057-1062Google Search
7 
2016, Basic Sorting Algorithm Performance Comparison, Internet: https://hsp1116.tistory.com/34?category=547783Google Search
8 
Min Kyu Kim, Won Jin Kim, 2016, Improvement Design Method for Vibration Reduction of Tractor Fender, Journal of KSNVE, Vol. 26, No. 5, pp. 584-593DOI

저자소개

임훈(Hoon Lim)
../../Resources/kiee/KIEEP.2020.69.1.61/au1.png

2007년 동의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사.

2009년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2010년 LG전자 HA제어연구소 주임연구원.

2014년∼현재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건설기계 및 농기계의 임베디드 시스템, 지능화, 자동화 관련 연구개발에 종사.

E-mail : hoon.lim@koceti.re.kr

Tel : 063-447-2578

서명국(Myoung-Kook Seo)
../../Resources/kiee/KIEEP.2020.69.1.61/au2.png

2006년 한국항공대학교 기계공학과 공학사.

2008년 광주과학기술원 기전공학과 공학석사.

2013년 광주과학기술원 기전공학과 공학박사.

2014년∼현재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건설기계의 환경인지 시스템, 영상처리, 3D 모델링&렌더링 관련 연구개발에 종사.

E-mail : seomk@koceti.re.kr

Tel : 063-447-2588

주영훈(Young-Hoon Joo)
../../Resources/kiee/KIEEP.2020.69.1.61/au3.png

1982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사.

1984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1995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박사.

1986년 삼성전자 생산기술센터 팀장.

1995년∼현재 군산대학교 IT정보제어공학과 교수.

2009년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회장.

2016년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부회장.

2016년~현재 교육부선정 중점연구소장(군산대학교 풍력기술연구센터장).

2018년~2019년 대한전기학회 회장.

E-mail : yhjoo@kunsan.ac.kr

Tel : 063-469-4706

윤병운(Byong-Un Yun)
../../Resources/kiee/KIEEP.2020.69.1.61/au4.png

1995년 아주대학교 생산자동화공학과 공학사.

1997년 아주대학교 기계공학과 공학석사.

1997년 삼성전자 자동화연구소 연구원.

2005년 신흥공업사 근무.

2017년∼현재 신흥공업사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소장.

E-mail : sh5347@gmail.com

Tel : 031-352-5347

방병주(Byoung-Ju Bang)
../../Resources/kiee/KIEEP.2020.69.1.61/au5.png

1989년 전북대학교 금속재료공학과 공학사.

1990년 수산중공업 근무.

2003년 지노무역 근무.

2017년∼현재 신흥공업사 수석연구원.

E-mail : roombj@hanmail.net

Tel : 010-7600-7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