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Huwin Co., Ltd.)



Web-based simulation environment/platform, High-speed digital system channel, TDR, TDT, Eye-diagram

1. 서 론

초고속 디지털 시스템 설계에서 표준 성능 검증을 위한 전기적 파라미터 중 주파수 영역의 표준 파라미터로서 S-파라미터(S-parameter)를 주로 사용한다. S-파라미터는 분석 소프트웨어에서 그 결과 자체를 전기적 규격에서 정하는 값과 비교하여 검증하거나, 모의시험(시뮬레이션) 연산을 통해 시간영역의 파형 응답 결과를 도출하여 표준 규격에서 정하는 시간 영역 결과인 Eye-diagram을 검증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S-파라미터를 이용한 채널의 전기적 특성 분석에는 고가의 상용 분석 소프트웨어가 반드시 필요하다(1).

많은 기업들이 개발단계에서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초고속 디지털 시스템 설계를 검증하는 과정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웨어들은 사용법이 매우 복잡하고 구입 가격이 높아 모든 개발에 적용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당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웹기반의 초고속 디지털 시스템의 표준 성능 분석 서비스 플랫폼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2).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 엔지니어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편리하고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표준 성능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웹기반 분석 서비스 플랫폼 개발에 관한 내용을 설명한다. 개발된 분석 서비스 플랫폼에서는 분석 결과를 엔지니어 간에 서로 공유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웹 기반 시뮬레이션 성능 분석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제안하는 방식은 기존 제품에서처럼 복잡한 설정이나 절차가 필요 없고, 편리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환경을 통해 엔지니어가 쉽고 빠르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분석 요청된 작업은 클라우딩 서비스 기반으로 구축된 중앙 서버를 통하여 분석되며 그 결과를 사용자의 웹 화면에 보여준다. 또한 이 결과 화면을 개발 엔지니어들과 간편하게 공유하여 의견을 교환하거나 결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2. 본 론

2.1 웹기반 성능 분석 서비스의 개요

2.1.1 고주파 신호 전달 채널의 성능평가

전자기기에서 신호는 점차 고주파 화 되고 있으며, 고주파 신호를 전달하는 채널인 PCB, 커넥터, 케이블, 부품(RLC, Filter)에 대한 성능 평가는 설계 단계에서 부터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설계하고자 하는 각 부품이나 모듈의 성능 평가지표인 S-파라미터를 저 비용으로 쉽게 확인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웹 기반 분석 서비스 플랫폼의 사례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점차 모든 디지털 기기들의 동작이 고주파 화 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신호 채널의 성능 분석 및 평가를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 상에서 수행하도록 함을 보여 준다.

2.1.2 웹기반 성능 분석 서비스의 형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웹 기반 성능 분석 서비스 플랫폼에서는 PC나 스마트폰 등의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대상 S-파라미터에 대한 다양한 성능 분석 결과들로서 주파수 영역의 삽입손실, 반사손실, 전송모드 변환손실, 크로스 토크(Cross- Talk) 노이즈와 시간 영역의 TDR(Time-Domain Reflectometry) 임피던스, 시간 영역의 TDT(Time-Domain Transmission)와 아이 다이어그램(Eye-Diagram), 비트 에러비율(BER) 등을 화면에 출력 하고, 표준 성능 목표를 규정하는 표준 규격(JEDEC standard 등)에 제시된 파라미터의 제한 선을 그래프 형태로 생성하도록 해준다. 또한 모든 분석 결과의 연산은 이미 구축된 클라우딩 연산 서버의 프로그램 화 된 연산 엔진을 통해 수행한 후, 그 결과들을 사용자의 최종 화면으로 전송하여 표현하고 전송된 결과들의 데이터 및 페이지 링크를 저장함으로써 다른 설계 엔지니어와 그 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2.2 웹기반 성능 분석 서비스

2.2.1 웹기반 성능 분석 서비스 플랫폼

웹 기반 성능 분석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가 분석을 원하는 표준 결과인 S-파라미터 파일을 업로드하고, 클라우드 연산 서버에 설치된 행렬 연산 과정을 거친 후 웹 클라이언트 페이지를 통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구축된다. 그림 1은 사용자의 웹브라우저 및 컴퓨팅 서버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들을 나타낸다.

그림. 1. 사용자 PC 웹브라우저 및 연산 서버의 구축

Fig. 1. Web browser in user’s PC and computing server

../../Resources/kiee/KIEEP.2020.69.2.99/fig1.png

웹기반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처의 클라이언트 레이어(Client Layer)에서는 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기반의 서비스를 담당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뮬레이션을 위한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구글 웹 서버(Google Web Server)를 이용하여 해당 서버를 구성하도록 한다. 서버 레이어(Server Layer)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처리와 연산 처리를 하도록 하며 이는 구글 앱 엔진(Google App Engine) 기반으로 고속의 연산처리를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웹브라우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컴퓨팅 서버의 데이터 전송 및 연산을 위한 구현은 Angular.js, Mongodb, Node.js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전송 처리와 컴퓨팅 서버의 구글 앱 엔진 및 매틀랩( MATLAB)을 이용한 연산 엔진 개발을 통해 이루어 졌다. 구현된 웹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그림 2에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다.

그림. 2.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 및 웹 브라우징(크롬) 화면 (snpview.com)

Fig. 2. User interface prototype and analysis results in web browsing(Chrome) window (snpview.com)

../../Resources/kiee/KIEEP.2020.69.2.99/fig2.png

사용자 간 성능 분석 결과는 그림 3과 같이 웹페이지의 링크를 통해 텍스트 형태로 공유할 수 있으며, 웹브라우저(크롬) 상에서 다른 설계자와 분석 결과를 쉽게 확인해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설계 과정에서 필요한 가이드 등 설계 방향을 논의할 수 있는 서비스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림. 3. 성능 분석 결과의 공유

Fig. 3. Page link sharing of performance results

../../Resources/kiee/KIEEP.2020.69.2.99/fig3.png

2.2.2 결과 연산 엔진 및 서비스

(1) 연산엔진

일반적으로 측정이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얻어지는 표준결과인 S-파라미터 파일 자체로는 시스템의 모든 성능 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추가적인 시뮬레이션 연산 처리 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웹 기반 성능 분석 서비스 플랫폼에서는 표준 결과 파일에 대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분석 및 연산 기법을 제공하도록 하였는데, 이에 대한 사용자 화면은 위 그림 2에서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다.

그림 4는 S-파라미터 데이터 변환 및 그래프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의 S-파라미터를 읽어 다양한 형식으로 변환된 결과를 그래프로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하며, S-파라미터 표준에 맞게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여 표준형식(dB/magnitude/ real-imaginary)으로 결과를 표현한다. 그림 4(a)의 데이터 분석 섹션은 S-파라미터 파일로부터 주파수 및 S-파라미터 항목을 추출하는 기능을, 그림 4(b)의 데이터 변환 섹션은 S-파라미터 항목으로부터 실제 시스템의 성능 특성을 추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그림 4(c)의 그래프 섹션에서는 사용자가 성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그래프를 제공하도록 한다.

그림. 4. S-파라미터 데이터 분석/변환/그래프 기능 (a)데이터 분석 (b)데이터 변환 (c)그래프 기능

Fig. 4. S-parameter data analysis/conversion/graph report (a)Data analysis (b)Data Conversion (c)Graph reporting

../../Resources/kiee/KIEEP.2020.69.2.99/fig4.png

다중 포트 S-파라미터의 경우 파일 업로드 시에 결과 확인을 필요로 하는 포트 별로 결과 모델을 나누어 추출하는 자동 모델 변환 과정이 구현되었다. 이때 필요한 포트 선택 및 번호 설정이 가능하며, 차동(Differential)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응답 결과로서 혼합 모드 (Mixed-mode) S-파라미터 형태로의 계산 결과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3). 변환된 데이터는 추가적인 연산을 위해 필요에 따라 미리 구축된 연산 서버로 자동으로 전송이 된다.

S-파라미터의 분리, 결합 및 디임베딩(De-embedding) 결과도 서버의 연산 과정을 거침으로써 별도의 시뮬레이션 과정을 거치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S-파라미터 결합 처리는 행렬로 표현되는 각 데이터 매트릭스 세트 (Matrix Set)의 병렬(Cascading) 연산을 통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기능을 통해 초고속 디지털 시스템 각 부분에 대한 특성 결과들을 각각 대입하여 전체 시스템의 특성을 확인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S-파라미터에 포함된 일부 측정 셋업이나 일부 구간의 특성을 제외하기 위한 디임베딩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4). 이는 커넥터나 부품 및 케이블과 같은 단품 단위의 개별 요소에 대한 정확한 성능 분석을 위해서 필요하다. 예를 들어 측정 시 포함되는 테스트 픽스쳐(Test Fixture) 또는 테스트 소켓(Test Socket)등의 특성을 제외하고 순수한 DUT의 특성을 확인하는 경우에 유용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5는 시간 영역의 추가적인 분석 결과로서 임피던스 불연속 구간을 확인하기 위한 TDR 결과 확인 기능을 나타낸다. 이는 최근의 고속 직렬 인터페이스의 검증 규격을 위해 필수적이며, 임피던스 불연속으로 인한 반사 손실을 줄이기 위한 설계를 위해 표준으로 검증되어야 하는 분석 값이다. TDR 결과는 S-파라미터의 IFT(Inverse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별도 시뮬레이션 없이도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웹 기반 서비스에 S-파라미터를 업로드 하여 TDR로 결과를 바로 확인함으로써 임피던스 불연속을 확인하게 된다.

그림. 5. 임피던스 불연속 구간 확인을 위한 TDR 기능

Fig. 5. TDR report for verifying the impedance discontinuous region

../../Resources/kiee/KIEEP.2020.69.2.99/fig5.png

S-파라미터는 주파수별 결과로서 주파수 대역이 한정된 결과이다. 따라서 S-파라미터를 이용한 연산을 통해 정확한 시간 응답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주파수 대역외의 결과에 대해 적절한 외삽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추출하여야 한다. 시간 응답 결과의 검증에는 임펄스 응답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때 임펄스 응답 특성에서 결과가 인과 법칙에 위배되는지와 적절한 파형이 추출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방법에서 제시된 외삽 방법은 정확한 결과를 추출하기 위해 매우 많은 반복 계산이 요하게 되어 WSE에 구현하기에는 효율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구현된 WSE에는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인 고속 디지털 채널 시간영역 응답특성이 얻어질 수 있도록 새로 제안된 외삽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그림 6은 기존에 제시된 외삽 방법과 새로 제안된 외삽 방법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새로 제안된 방법에서는 개발된 새 알고리즘에 의하여 반복적 방법이 아닌 직접적으로 외삽 결과를 찾도록 하여 빠른 시간 안에 대역이 제한된 S-파라미터로부터 대역이 확장된 파라미터를 구하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임펄스 응답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림. 6. 기존 방법 및 제안된 외삽 방법의 차이

Fig. 6. Difference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the proposed extrapolation methods

../../Resources/kiee/KIEEP.2020.69.2.99/fig6.png

그림. 7. 제안된 외삽 방법에 의한 결과 (a)전 대역의 외삽에 의한 주파수 응답 (b)다이렉트 IFFT 방법과 제안된 외삽 방법에 의한 시간 임펄스 응답

Fig. 7. (a)Overall extrapolated response (b)Impulse response extracted using the direct IFFT and the proposed extrapolation method

../../Resources/kiee/KIEEP.2020.69.2.99/fig7.png

그림. 8. 시간 영역의 파형 분석 기능(Worst-case EYE Diagram, Bathtub/BER)

Fig. 8. Time domain waveform analysis report (Worst-case EYE Diagram, Bathtub/ BER)

../../Resources/kiee/KIEEP.2020.69.2.99/fig8.png

(2) 동작검증 및 서비스

그림 7은 메모리 칩의 패키지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주파수 응답으로, 사양은 LPDDR4(Low Power Double Data Rate 4) 기준으로 1600~4266[Mbps]인 경우이다. 메모리 칩 패키지는 구조물 해석으로 진행되어 ANSYS HFSS 등의 Field Simulation을 통하여 결과를 얻도록 하였다. 그림 7(a)는 채널 S-파라미터 모델을 이용해 제안된 외삽 방법을 적용하여 –60dB 이하의 오차 조건으로 추출한 주파수 응답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결과를 얻는데 걸리는 시간은 0.17초로, 기존 방법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얻는 데에는 112.45초가 걸리게 된다. 또한 그림 7(b)는 다이렉트 IFFT 방법과 제안된 방법으로 추출한 모델을 이용한 임펄스 응답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제안된 방법을 적용할 때 지연 구간에서의 인과 법칙이 잘 유지되고 있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은 S-파라미터 연산을 통해 최종적 시간 영역의 파형 분석 기능인 EYE Diagram, Bathtub/BER(Bit Error Ratio) 결과를 생성하여 그래프로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이는 초고속 디지털 신호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률을 확인하기 위한 표준 방법이 된다. 복잡한 시뮬레이션 구성을 하지 않고 EYE Diagram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칩 내부의 파형 정보를 가진 모델을 결합하면 실측과 같은 표준 결과 파형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초고속 디지털 파형의 결과는 매우 많은 비트의 응답에 대한 조합으로 이를 얻기 위해 많은 측정 또는 시뮬레이션 시간을 요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빠른 시간안에 얻기 위해 기존의 분석기법 대신 최대 파형 왜곡 조건으로 가능한 범위의 비트 조합 샘플링을 통해 EYE Diagram(Worst-case EYE Diagram)을 얻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측정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지는 표준 결과 파일인 S-파라미터를 웹 상에서 쉽게 확인하고, 웹 플랫폼 서비스에 구축된 연산 처리를 통해 디지털 기기의 데이터 신호 전송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소개하였다. 웹으로 제시된 서비스이지만 정확한 연산을 위한 컴퓨팅 서버가 연결되어 있어 기존 고가의 상용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에서 복잡한 구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를 같은 정확도와 보다 빠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별도의 소프트웨어 구매나 설치의 과정 없이 간편하게 접속하여 데이터를 업로드 하고 결과 확인 및 분석 결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축된 플랫폼이며, 단순한 검증 기능들은 무료로 제공하고 복잡한 연산 처리가 필요한 분석 작업은 연산 서버 이용량만큼 비용이 발생 되도록 함으로써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과 같이 개발 비용 투자에 어려움이 있는 곳에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성능 분석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축된 서비스의 프로토타입은 크롬 브라우저 상의 www.snpview.com에서 테스트 버전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세부 기능들은 누구나 접속하여 확인해 볼 수 있다. 향후 좀 더 많은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편의 기능을 보완하고 필요로 하는 연산 기능 및 표준 리포트 자동화 기능 등을 추가해 나가면 초고속 디지털 설계 엔지니어들이 각자의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더욱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2018년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No. s2661167)의 연구수행으로 인한 결과물임을 밝힙니다.

References

1 
E. Bogatin, 2009, Signal and Power Integrity Simplified, Prentice Hall, 2nd editionGoogle Search
2 
J. H. Lee, S. H. Jang, S. I. Jeung, S. Y. Lee, December 2014, A Study on Automation Process Based on WEB for Circuit and PCB EM Analysis, Transactions of KIEE, Vol. 63, No. 12, pp. 1716-1721DOI
3 
A. Huynh, M. Karlsson, S. Gong, , Mixed-Mode S-Para- meters and Conversion Techniques, Advanced Microwave Circuits and System, Vitaliy Zhurbenko (Ed.), ISBN: 978- 953-307-087-2, InTech, Available from: http://www.intechopen.com/books/advanced-microwave-circuits-and-systems/mixedmode-s-parameters-and-conversion-techniquesGoogle Search
4 
J. Cho, B. S. Kim, J. H. Jeong, J. S. Kim, K. B. Kim, K. R. Hwang, H. S. Lee, S. I. Jeung, S. Y. Ahn, October 2017, A Two-Line Time-Domain Gating Method for Characterization of Test Fixture with Via Hole Discontinuity, IEEE Microwave and Wireless Components Letters, Vol. 27, No. 10, pp. 936-938DOI
5 
S. H Hall, 2000, High-Speed Digital System Design, John Wiley & Sons, Inc.Google Search
6 
M. Swaminathan, A. Ege Engin, 2007, Power Integrity Modeling and Design for Semiconductors and Systems, Prentice HallGoogle Search
7 
T. Granberg, 2004, Digital Techniques for High-Speed Design, Prentice HallGoogle Search

저자소개

정성일(Seungil Jeung)
../../Resources/kiee/KIEEP.2020.69.2.99/au1.png

건국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건국대학교대학원 전자공학과 석사.

건국대학교대학원 전자정보통신공학 박사.

前) ANSYS KOREA Sr. AE.

現) 휴윈 연구소.

Tel : (031) 719-5020

Fax : (031) 719-5021

E-mail : sijeung@huwin.co.kr

조재용(Jaeyong Cho)
../../Resources/kiee/KIEEP.2020.69.2.99/au2.png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학사.

성균관대학교 휴대폰학과 석사.

KAIST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박사.

前) 삼성전자 DMC연구소.

現) 휴윈 연구소.

Tel : (031) 719-5020

Fax : (031) 719-5021

E-mail : jycho@huwin.co.kr

이승요(Seung-Yo Lee)
../../Resources/kiee/KIEEP.2020.69.2.99/au3.png

건국대학교 공대 전기공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 졸업. 버지니아 공대 박사후 연구원.

Intronics, Inc.(U.S.A) Research Engineer.

삼성전자(주) DM총괄 영상 디스플레이 사업부 개발팀 책임연구원.

(주)이이시스 이사. 현재 대림대학교 전기과 부교수.

Tel : (031) 467-4862

Fax : (031) 467-4861

E-mail : sylee@daelim.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