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LIG Nex1, Korea.)



Acoustic Head, Battery, Guidance and control, Propulsion, Torpedo, Warhead

1. Introduction

어뢰(Torpedo)는 물속에서 적함이나 적의 잠수함을 요격하여 파괴하는 수중유도무기이다. Torpedo의 어원은 스페인어로 전기가오리를 뜻하며 어형수뢰의 약칭이다. 수상함이나 잠수함, 초계기 및 대잠헬기로부터 투하된 후 자체 추진력으로 항주하여 적을 무력화 시키는 가장 효과적이고 파괴력 높은 공격용 무기이다. 1860년대 영국인 Robert Whitehead에 의해 오스트리아에서 개발된 Whitehead 어뢰 이후에 제1차, 2차 세계대전을 통하여 어뢰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전후 미국, 영국, 러시아, 독일 등 선진 군사대국에서 경쟁적으로 어뢰의 개발과 성능 향상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어뢰는 중량, 공격대상 및 유도방식에 따라 구분하는데, 현대 어뢰는 중량에 따른 구분방식이 가장 일반적이다. 국내에서 대표되는 중어뢰인 백상어는 무게 1,100kg의 비교적 무거운 어뢰이다. 길이 6m, 지름 483mm, 사정거리 약 30km, 속도 35knot(시속 63km)이고, 잠수함에 탑재되어 적함이나 적의 잠수함을 공격한다. 경어뢰인 청상어는 무게 280kg의 비교적 가벼운 어뢰이다. 길이 2.7m, 지름 324mm, 사정거리 약 10km, 속도 45knot(84km)이고 해상작전헬기나 대잠초계기에 탑재하여 표적이 탐지되면 목표지점에 직접 투하하거나 수상함에 장착하였다가 수상함 소나로 표적을 탐지하여 공격한다. 대부분의 경어뢰는 입수 시 충격 완화와 낙하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낙하산을 펴고 비행 하게 된다(1-11).

유도방식으로 어뢰를 분류하게 되면 직주(Straight Running)어뢰, 음향유도(Acoustic Homing)어뢰, 유선유도(Wire Guided)어뢰로 나눌 수 있다. 직주어뢰는 사전에 어뢰에 입력된 자료대로 주행하며 표적의 침로와 속도를 고려하여 앞지름 각을 맞춰 쏘면 곧바로 표적으로 직진 주행한다. 음향유도어뢰는 음향으로 표적을 추적하는 어뢰로 표적의 소음을 따라가는 수동형, 어뢰에서 음파를 발사하여 추적하는 능동형, 그리고 능동/수동 혼합형이 있다. 유선유도 어뢰는 잠수함과 어뢰가 선으로 연결되어 표적에 명중될 때까지 유도하는 어뢰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뢰의 각각 구성부의 역할과 특징에 관하여 서술하였다(12-26).

2. 어뢰 체계 구성

2.1 어뢰의 구성부

대부분의 어뢰는 선수가 유선형으로 원기둥 모양을 띠고 있다. 발사관 또한 당연히 어뢰를 탑재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있다. 어뢰의 형상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만들어진다. 저항을 최소로 하는 구조를 가져야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추진계통을 최적화 하여 빠른 속도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뢰는 능동 및 수동으로 표적 위치를 식별하는 음향 탐지부, 표적에 충돌하거나 근접 시 폭발하는 탄두부, 식별된 표적위치로 어뢰가 주행되도록 제어하는 유도제어부, 어뢰의 수중추진을 담담 하는 추진 장치부로 구성된다. 이중 음향 탐지부는 표적을 탐지하고 탐지된 표적 정보를 유도 제어부에 전달하여 수상함 및 잠수함 표적을 공격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다음 그림에서와 같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어뢰는 중어뢰 백상어와 경어뢰 청상어가 있다. 크기와 발사 플랫폼에 따라 구분하지만, 전체적인 구성이나 형상은 동일하다. 역시 표적을 탐지하는 방법도 두 가지 모드로 동일한데, 표적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향신호를 분석하는 수동모드와 어뢰에서 송신된 음향신호가 표적으로부터 방향 되는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능동 모드로 구분된다.

운용목적에 따라 탄부부의 교체로 연습어뢰와 전투어뢰로 구분 가능하다. 두 어뢰 모두 각 구성품 이 독특한 고유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밀 및 정비 유지의 용이성을 위하여 음향탐지부, 전투 탄두부, 유도제어부, 추진전지부, 동력 장치부 등 크게 5가지로 구성 된다(27-40).

그림. 1. 어뢰 체계 형상과 구성부 (1)

Fig. 1. Torpedo system shape and section (1)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png

그림. 2. 경어뢰 발사장면_수상함 (1)

Fig. 2. Light torpedo launch scene_warship (1)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2.png

그림. 3. 중어뢰 발사장면_잠수함 (1)

Fig. 3. Heavy torpedo launch scene_submarine (1)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3.png

2.2 음향탐지부

그림. 4. 어뢰의 표적 탐지 기술 (1)

Fig. 4. Torpedo target detection (1)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4.png

음향탐지부는 음향전환장치와 신호처리장치로 구성되며, 유도제어부에서 정해진 음향탐지부 운용 정보에 따라 송신 빔을 방사하고, 방사한 송신빔의 반사파인 수중 표적신호나 표적방사소음을 수신/증폭/처리하여 얻은 표적정보를 유도제어부로 전송하여 표적 공격을 가능하게 한다(41-44).

그림. 5. 어뢰음향 탐지기술 (4)

Fig. 5. Torpedo sound detection technology (4)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5.png

어뢰음향탐지부의 성능을 좌우하는 주요 특성은 빔 폭, 해상도, 그리고 지향성 이득이다. 최대속도, 항주거리, 운용심도와 함께 표적 탐지거리와 탐지 각은 어뢰운용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초기의 어뢰는 자이로를 사용하여 직진 또는 정해진 기동 패턴을 가진 직진 어뢰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소나의 발달과 함께 어뢰에도 음향소나를 부착하여 함정에서 방사되는 소리를 추적하거나 항적 탐색기를 장착하여 표적함의 항적을 추적하는 호밍 어뢰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45-47).

그림. 6. 소나 탐지 방식 (4)

Fig. 6. Sonar detection method (4)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6.png

소나(SOund Navigation And Ranging)를 이용해 표적을 탐지하면 표적의 거리와 방위, 크기와 속도, 표적의 형상까지 측정가능하다. 소나 탐지방식은 수동방식(Passive)과 능동방식(Activ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수상함과 같이 표적의 추진계통 등에서 방사되는 소음이 큰 경우 주로 수동탐지방식을 사용하고 잠수함과 같이 방사소음이 적은 경우 음향탐지기에서 음향신호를 송신해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는 능동방식을 사용한다. 능동방식의 경우 송신기 주파수가 낮을수록 탐지거리가 길어지고, 정확도가 높지만 해상도가 저하된다. 어뢰는 제한된 공간에 소나를 장착해야하기 때문에 저주파 음향탐지기는 크기가 커서 장착할 수 없다(48-52).

2.2.1 음향전환장치

그림. 7. 압전 세라믹 소자를 이용한 수중 트랜스듀서 (5)

Fig. 7. Underwater transducer using piezo-electric ceramic element (5)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7.png

음향전환장치는 신호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송신 출력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수중으로 송신 빔을 방사하는 송신기능과 송신 빔에 의한 표적발사신호 또는 표적에서 발생되는 표적방사소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하여 수신 신호를 신호처리장치로 출력하는 수신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나뉜다.

어뢰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고, 신호변환(전기신호 ↔ 음향신호)을 위한 여러 개의 음향 센서(압전형진동소자)로 구성되어있다. 압전 세라믹 소자의 원리는 압전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세라믹에 인가된 전류의 세기를 일정한 주파수로 변화시켜 진동하면 동일한 주파수의 음파를 만들어 낸다. 압전 세라믹 소자를 이용한 트랜스듀서는 해군 수중무기체계의 음향탐지 및 유도제어의 핵심 센서로서 수상함, 잠수함 등에 사용하는 어뢰, 기만기, 예인배열소나시스템에 장착되는 중요 부품이다.

여러개의 음향센서를 배열로 구성해 빔을 형성하면 송수신 전압을 높일 수 있고, 송신시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빔을 조향할 수 있다. 음향센서를 배열할 때 일반적으로 그림 8과 같이 평면 배열을 이용하면 시제 구현과 빔 형성 및 빔 조향 등이 용이하다. 반면 그림 9와 같이 곡면배열일 경우 빔폭이 넓어 탐지각이 매우 큰 장점이 있으며 주행 시 전면부가곡면이기 때문에 저항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53-54).

그림. 8. 평면배열, 러시아 UGST (9)

Fig. 8. Planar array, Russia UGST (9)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8.png

그림. 9. 곡면배열, 독일 DM2A4 (10)

Fig. 9. Conformal array, Germany DM2A4 (10)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9.png

2.2.2 신호처리장치

신호처리장치는 어뢰 송신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반과 음향신호 처리를 위한 신호처리조립체로 구성된다. 유도제어부에서 수신된 음향 운용정보와 자체 표적탐지 알고리즘에 따라 전력증폭반에서 송신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음향전환장치에서 송신 빔을 방사케 하고, 음향전환장치로 부터 입력되는 수신신호를 증폭, 수집, 처리 하여 표적 공격에 필요한 표적 정보를 추출한 후 유도조종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55-57).

2.3 탄두부

어뢰에 장착된 탄두에 따라 폭발 방식은 Direct Damage, Bubble Jet Effect, Shaking Effect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Direct Damage 방식은 직접 타격을 가하는 공격방식이며 어뢰가 표적에 충돌하면 타격을 당한 부위에 관통이 되거나 움푹 들어가게 된다. 어뢰와 표적의 충돌 시 탄체 및 충격신관에 순간적으로 큰 가속도가 가해진다. 이러한 가속도가 설정한 조건이상으로 가해질 경우 기폭관에 에너지가 인가되어 탄두를 폭발 시키게 된다. 경어뢰의 경우 구조상 작은 사이즈 때문에 탄약량의 증대가 어렵고 폭발력이 떨어진다. 그래서 화약의 형태를 가운데가 오목한 깔대기 모양으로 변형시켜서 폭발 위력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될 수 있는 성형작약(Shaped Charge)을 사용함으로서 지향성 에너지에 의해 선체 관통 능력을 증대 시키고 있다.

Bubble Jet Effect 방식은 간접 공격방식이며 어뢰가 표적과의 일정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주위의 자기장 변화에 의해 근접신관이 작동한다. 신관에 의한 어뢰의 수중 폭발 시 발생하는 충격파가 수중으로 전파되고, 이어서 고온, 고압의 폭발 가스로 인해 버블이 형성된다. 이때의 충격으로 적함의 선체는 두 조각으로 된다. 중어뢰의 경우 크기의 증대로 폭약량이 많아짐에 따라 주로 이 방식을 사용한다.

Shaking Effect는 강력한 충격파로 선체를 흔드는 방식이다. 이때 선체에는 수백에서 수천 개의 작은 균열이 발생하고 각종 장치 및 파이프 등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승조원의 경우 충격파로 인해 신체에 심각한 부상 및 사망에 이를 수 있다(58-59).

그림. 10. 중어뢰에 의한 선체폭발 장면

Fig. 10. Warship explosion scene by heavy torpedo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0.png

탄두부의 구성으로는 전투탄두와 신관으로 구성된다. 전투탄두부는 원통형의 알루미늄 탄체에 주조형복합화약(PBX: Plastic Bonded Explosive)이 충전되어있고, 주장약, 전폭관조립체, 케이블조립체로 구성 되어있다. 전폭관조립체는 전자식안전장치내의 기폭관이 기폭하면 이어서 전투탄두내의 주장약을 기폭 시키는 역할을 한다.

신관은 어뢰의 저장, 취급 또는 운용 시 안전을 보장하고, 어뢰가 표적에 충돌할 때 또는 접근할 때 탄두를 기폭 시키는 장치로서 기계식 안전장치, 전자식 안전장치로 구성되고, 폭발 방식에 따라 근접 신관(Proximate Fuze)과 충격신관(Contact Fuze)으로 분류할 수 있다(60-61).

2.4 유도제어부

유도제어부는 유도조종장치(GCU : Guidance Control Unit)와 관성측정장치(IMU : Inertial Measurement Unit)로 구성되며, 어뢰가 표적에 명중되기까지 자세, 방향 및 운용 특성 등을 제어하며 최적의 유도 궤적을 생성하도록 모든 데이터를 내부에서 계산하여 어뢰를 표적에 명중하도록 작동기를 제어한다.

그림. 11. 수중운동체 유도, 제어, 항법구조 개념도 (4)

Fig. 11. Concept map of underwater vehicle movement guidance, control, navigation structur (4)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1.png

어뢰의 경우 목표물에 도달하기 위한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주행에 요구되는 명령을 계산하고 유도명령에 따라 어뢰가 운동하도록 조종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유도, 제어, 항법 기술이 필요하다. 어뢰의 자세, 속도, 위치는 항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되는데, 항법장치는 자이로와 가속도계로 구성된 관성측정장치와 항법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항법컴퓨터로 구성된다. 무기체계의 기능에 따라서 자세만 제공하는 AHRS(Attitude & Heading Reference System)와 자세제어용인 자이로 또는 관성측정장치, 그리고 위치까지 계산하는 항법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관성측정장치는 3개의 자이로(Gyro)와 3개의 가속도계(Accelerameter)로 이루어진 코어로 구성이 된다. 관성측정장치의 코어는 어뢰의 자동조종에 필요한 각속도와 가속도를 측정하여 어뢰의 항법값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유도제어부의 역할은 발사 전/후 두 단계로 나누어 수행이 된다. 발사 전 과정은 함 내의 사격통제장치로부터 사전 입력 값을 받아 유도 로직을 수행할 준비를 하며, 어뢰의 정상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발사 후 과정은 음향탐지부에서 입력되는 표적 정보와 관성측정장치, 속도계, 심도계 센서에서 입력되는 자세, 속도, 위치 정보 등을 타각 정보로 산출하게 된다. 산출된 타각 정보는 추진부에 있는 상하 방향타와 좌우 승강타를 제어하여 어뢰가 표적에 도달할 수 있게 해준다(62-77).

2.5 전지부

그림. 12. 어뢰 SUT의 전투용 전지 (6)

Fig. 12. Torpedo SUT combat battery (6)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2.png

그림. 13. 어뢰 SUT의 연습용 전지 셀 (6)

Fig. 13. Torpedo SUT exercise battery (6)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3.png

전지부는 어뢰의 추진에 필요한 추진전원 및 전자장비전원의 공급을 담당한다. 초기의 증기기관에 의한 추진 방식은 배출 가스에 의해 주행 항적이 노출되고, 어뢰 제어용 전원의 필요성 때문에 전기 추진식으로 발전되었다. 전기 추진 방식은 열에너지 추진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낮고 추진원의 수명으로 인한 비용 문제가 있으나, 소음이 적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많이 선호하고 있다(78).

그림. 14. 중 어뢰 전투용 전지 형상 (6)

Fig. 14. Heavy torpedo combat battery shape (6)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4.png

그림. 15. 경 어뢰 해수 전지 형상 (6)

Fig. 15. Light torpedo seawater battery shape (6)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5.png

초기의 에너지원으로 축전지를 사용했으나 무겁고 에너지 손실이 많아 고효율 에너지원으로 적합하지 못했다. 1960년대에 들어서 보다 빠르고, 긴 항주거리에 대한 요구로 아연산화은(AgO-Zn) 알칼리 전지 개발이 이루어져 지금까지도 중 어뢰의 대표적인 동력원으로 쓰이고 있다. 지속적인 에너지 밀도가 큰 전지의 개발이 이루어져 마그네슘염화은(Mg-AgCl) 해수전지, 알루미늄산화은(AgO-Al) 해수전지가 개발되었으며, 또한 강제 순환 방식 등을 채택하여 열에너지 추진의 에너지 밀도에 근접해 가고 있다(79).

최근에는 안전성 및 에너지효율 면에서 우수한 리튬폴리머, 리튬이온 전지가 사용된다. 리튬폴리머 전지는 타 2차전지의 에너지밀도 비교 시 납축전지의 4배, 니켈금속합금전지의 2배 이상의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소형화 경량화의 장점이 있다(80-93).

그림 14는 백상어의 대표적인 전투용 전지이다. 특징으로는 발사 신호 전 비활성화 상태이고, 전해액 누액 센서가 내장되어있다. 안전밸브를 이용한 불의의 활성화 방지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고, 저온 성능향상을 위한 히팅 시스템이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그림 15는 청상어의 전지이다. 특징으로는 운송/보관 시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의 압력변화에 무난한 Hull 구조를 자기고 있다. 전해액 순환시스템에 의한 가스분리 및 배출이 가능하고, 중 어뢰용 전지와 마찬가지로 저온 성능 향상을 위한 히팅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다.

표 1. 중어뢰, 백상어 전지와 경어뢰, 청상어 전지 제원

Table 1. Heavy torpedo white shark battery and light torpedo blue shark battery specifications

전지 종류

산화은-아연

1차전지

(중어뢰_백상어)

산화은-알루미늄

1차전지

(경어뢰_청상어)

길이(L)[mm]

2,107

1,002

폭(W)[mm]

369

-

높이(H)[mm]

403

-

직경(Φ)[mm]

-

324

출력[kW]

100

100

중량[kg]

340

100

전지제어장치는 발사 전 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어뢰 전체 시스템으로 공급해 주는 경로를 제공하며 발사신호와 동시에 보조전지를 발화시키고, 어뢰 전원체계의 연속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발사 전 및 운행 중에 있는 추진전지부에 대한 감시정보를 발사대 및 다른 장치로 송출하며, 음탐으로부터 발생된 송신전압 요구 신호에 동기 하여 핑 전원을 음향탐지부로 송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94-99).

2.6 추진부

추진부는 어뢰가 설정목표경로로 이동할 수 있는 추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유도제어부로부터 속도 명령 및 타각 명령을 지령 받으면 목표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추력을 발생시키고, 승강타와 방향타를 구동하여 자세제어를 한다. 추진부의 구성으로는 추진전동기, 회전축, 구동타, 로터, 덕트, 작동기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2.6.1 추진전동기

그림. 16. 중어뢰용 직류직권 전동기 (3)

Fig. 16. DC series motor for Heavy torpedo (3)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6.png

그림. 17. 경어뢰용 BLDC전동기 (3)

Fig. 17. BLDC motor for light torpedo (3)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7.png

추진전동기는 전지부로부터 전원을 받아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속도로 추진하는 동력원이다. 군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동기는 많은 것이 고려되지만 그 중 가장 기본적인 설계 개념이 경량화와 고출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의 내연기관 추진방식 대신 전기식 추진방식으로 대체 되는 추세이다. 추진전동기는 직류전동기 중심으로 단일 방향 및 반전방향 전동기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고, 중어뢰용은 반전 전동기 형태로 내 외부 전기자 및 계자세트가 서로 반전하는 직류직권 전동기로서 어뢰의 프로펠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Rolling Moment를 없애 명중률을 높이는 특징이 있다. 경어뢰용은 고속 단일 전동기로 사용하고 있다(100-103).

현재는 기존의 직류 전동기에서 고효율, 고 출력, 고 토크, 제어 용이성 및 낮은 고장율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영구 자석형 BLDC (Brushless DC) 전동기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BLDC 전동기는 회전자에 부착된 영구자석에 의해 계자가 발생되고 고정자에는 전기자 전류가 입력되어 서로 직교하는 힘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 시키는 전동기로써 기본적으로는 DC 전동기의 원리와 같으나, 회전자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방식에서는 큰 차이가 있다. 일반적인 DC전동기는 브러쉬를 이용한 기계적인 제어방식이나, BLDC전동기는 전력소자(제어반, 스위칭 소자, 속도/위치 검출기 등)를 이용한 전기적인 제어방식이다. 청상어는 7상 6극의 다상 BLDC 전동기를 채용하여 운용 중에 있다(104-108).

2.6.2 작동기

작동기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출력으로 변환시켜 상, 하 방향타와 좌, 우 승강타의 각도를 제어하며 DC모터, 감속기어, 위치센서인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로 구성되어 있다. DC 고전압을 사용하여 높은 속도의 회전운동을 발생하며 감속기어를 사용하여 방향타 및 승강타의 큰 회전 토크를 얻는다. 이때 움직이는 방향타와 승강타의 위치는 작동기 내부에 있는 포텐셔미터를 이용하여 감지한다.

2.6.3 로터와 덕트

그림. 18. 중어뢰 백상어 추진부 (8)

Fig. 18. Heavy torpedo white shark propulsion section (8)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8.png

그림. 19. 중어뢰 백상어의 로터와 덕트 (11)

Fig. 19. Heavy torpedo white shark of rotors and ducts (11)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19.png

어뢰의 추진기는 저소음과, 유연한 회전, 높은 회전 효율등의 이유로 펌프제트(Pump Jet) 방식을 사용한다. 펌프제트는 많은 날개를 가지고 회전하는 로터(Rotor), 회전하지 않는 스테이터(Stator) 및 로터를 둘러싸는 덕트(Duct)로 구성되어 있다. 펌프제트 추진기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와 회전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쇄하기 위한 스테이터로 구성된 방식,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각각 1개씩 적용한 이중반전 추진방식으로 구분된다. 이중반전 추진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진전동기도 추진기에 힘을 전달하는 내축과 외축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야한다(109-112).

그림. 20. 어뢰의 펌프제트 방식 추진기 (1)

Fig. 20. Torpedo pump jet propeller (1)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20.png

펌프제트는 로터와 스테이터의 위치에 따라 전류 스테이터 펌프제트(Pre-swirl pumpjet), 후류 스테이터 펌프제트(Post-swirl pumpjet) 및 반전 로터 펌프제트(Contra-rotating pumpjet)로 구분하고 있다. 전류 스테이터 펌프제트는 대부분 잠수함에 적용되고 있으며, 후류 스테이터 펌트제트와 반전 로터 펌프제트는 어뢰의 추진기로 채택되고 있다.

전류 스테이터 펌프제트는 전류 스테이터에 의한 유입 유동의 정류로 비정상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정상성에 의한 유입 유동의 입사각의 변화로 야기되는 캐비테이션 발생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테이터의 항력 발생으로 추진 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어뢰에서 필요로 하는 토오크 균형을 유지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후류 스테이터 펌프제트는 스테이터에 의한 추력 분담으로 효율 및 캐비테이션 성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후류 스테이터에 의해 후류 회전 모멘트를 제거함으로써 토오크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어뢰의 추진장치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반전 로터 펌프제트에 비하여 비설계점에서는 토오크 불균형이 증가할 수 있다. 반전 로터 펌프제트는 두 개의 로터에 의한 추력 분담으로 추진 효율 및 캐비테이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계점 및 비설계점에서 토오크 균형의 유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두 개의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기계적으로 복잡한 축계 구조를 필요로 한다(113-116).

2.6.4 회전축 및 구동타

회전축은 추진전동기에서 전달된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로터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구동타와 가동타는 작동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어뢰의 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 21. 어뢰 추진부의 구동타 및 가동타 (7)

Fig. 21. Drive and movable rudders of torpedo propulsion section

../../Resources/kiee/KIEEP.2020.69.2.111/fig21.png

3. Conclusion

어뢰는 적함 및 적의 잠수함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수중무기이다. 바다로 둘러싸인 국내의 환경을 생각할 때 해상전력의 핵심요소이기 때문에 향후 지속적인 성능개량과 혁신적인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적함 및 적의 잠수함의 정밀 타격을 위한 유도기술과 음향탐지 기술, 더 멀리 더 빠르게 항주할 수 있게 하는 어뢰의 추진기술은 앞으로의 큰 과제로 남아 있다. 이 글에서 서술한 어뢰의 특성 및 적용된 기술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개발될 어뢰의 기본 개념이 되므로, 어뢰 또는 수중유도 무기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금오공과대학교 학술연구비로 지원되었음. (2018-104-073)

References

1 
www.add.re.krGoogle Search
2 
http://kokam.comGoogle Search
3 
www.hyosungheavyindustries.comGoogle Search
4 
LIG NEX1 webzine geunduun.comGoogle Search
5 
http://www.istec.co.krGoogle Search
6 
http://www.ksbatteries.comGoogle Search
7 
https://sunshine10000.tistory.comGoogle Search
8 
http://bemil.chosun.comGoogle Search
9 
http://survincity.comGoogle Search
10 
http://www.spsnavalforces.comGoogle Search
11 
http://m.blog.naver.com/itsley/221588315617Google Search
12 
Sahoo Avilash, K. Santosha Dwivedy, P. S. Robi, June 2019, Advancements in the field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Ocean Engineering, Vol. 181, pp. 145-160DOI
13 
Tang Minqiang, ZHang Zhiqiang, Xing Yuqing, 2011, Analysis of New Developments and Key Technologies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in Marine Survey,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 and Information Application Technology, Vol. 10, pp. 1992-1997DOI
14 
Russell B. Wynn, Veerle A. I. Huvenne, Timothy P. Le Bas, Bramley J. Murton, Douglas P. Connely, Brian J. Bett, Henry A. Ruhl, Kirsy J. Morris, Jeffery Peakall, Daniel R. Parsons, Esther J. Summer, Stephen E. Darby, Rober M. Dorrell, Jmes E. Hunt, June 2014,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AUVs):Their past, present and future contributions to the advancement of marine geoscience, Marine Geology, Vol. 352, pp. 451-468DOI
15 
Salimzhan A. Gafurov, Evgeniy V. KlochKov, September 2015, Autonomous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development tendencies, Dynamics and vibroacoustics of Machines, Vol. 106, pp. 141-148DOI
16 
J. Gelli, A. Meschini, N. monni, M. pagliai, A. Ridolfi, L. Marini, B. Allotta, September 2018, Development and Design of a Compact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Zeno AUV, IFACPapersOnLine, Vol. 51, No. 29, pp. 20-25DOI
17 
Espen Hagen Per, Stokersen Nils, Erik Marthinsen Bjorn, Sten Geir, January 2007, Rapid environmental assessment with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Examples from HuGIN operations, Journal of Marine Systems, Vol. 69, No. 1-2, pp. 137-145DOI
18 
Yamamoto Ikuo, 2015, Research on next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for longer distance cruising, IFACPapersONLine, Vol. 48, No. 2, pp. 173-176DOI
19 
Joong lak Choi, Chan-gi Kim, Du gi Kim, February 2012, Development Trends of Military Unmanned Submersible UUV, Defense & Technology, Vol. 396, pp. 52-69Google Search
20 
Hyeong Sik Choi, Jun Yeong Kim, September 2012, Research & Development Status and Prospect of Unmanned Submersible,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49, No. 3, pp. 25-30Google Search
21 
Joong Lak Choi, September 2013, Underwater Robot Development Trend and Core Technology,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 19, No. 3, pp. 29-41Google Search
22 
So Nam Yun, March 2017, Trends of Deep Sea Research Manned / Unmanned Submersible, The Korea Fluid Power Systems Society, Vol. 14, No. 1, pp. 42-47Google Search
23 
Ju No Seo, Joong lak Choi, July 2011, Level of Autonomous Technology and Development Trend of Autonomous Unmanned Sumersible,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38, No. 7, pp. 20-29Google Search
24 
Seol Lim, Seung hwan Cho, Yoon gon Kim, December 2016, Overview of Supercavitating Weapon Systems and Their Development Trends,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pp. 629-632Google Search
25 
Jun tae Song, September 2019, Naval and Naval Weapons Research & Development Story(3),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56, No. 3, pp. 46-53Google Search
26 
Chan Ki Kim, May 2000, Approximation Method to Estimate Water Entry Impact Forces Acting on Light Weight Torpedo,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37, No. 2, pp. 77-87Google Search
27 
R. Conti, F. Fanelli, E. Meli, A. Ridolfi, R. Costanzi, January 2017, A free floating manipulation strategy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Vol. 87, pp. 133-146DOI
28 
Zeng Zheng, lian Lian, Sammut Karl, He Fangpo, Tang Youhogn, Lammas Andrew, December 2015, A survey on path planning for persistent autonomy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Ocean Engineering, Vol. 110, pp. 303-313DOI
29 
Alam Khairul, Ray Tapabrata, G. Anavatti SreenaTha, October 2014, Design and Construction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Neurocomputing, Vol. 142, pp. 16-29DOI
30 
Chen Xu, Wang Peng, Zhang Daiyu, Dong Huachao, November 2018, Gradient based multidisciplinary design optimization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pplied Ocean Research, Vol. 80, pp. 101-111DOI
31 
A. Alvarez, V. Bertram, L. Gualdesi, January 2009, Hull hydrodynamic optimization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operating at snorkeling depth, Ocean Engineering, Vol. 36, No. 1, pp. 105-112DOI
32 
J. L. D. Dantas, E. A. de Barros, August 2013, Numerical analysis of control surface effects on AUVmanoeuvrability, Applied Ocean Research, Vol. 42, pp. 168-181DOI
33 
Llanez C. Ignacio, Ramirez R. Victor, Del Rio R. Francisco, Antonio Pascoal, September 2019, Optimized design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for exploration in the Caribbean Sea, Ocean Engineering, Vol. 187, pp. 106-184DOI
34 
Zhang Tiedong, Zhou Heng, Wang Jian, Liu Zihao, Xin Jian, Pang Yongjie, July 2019, Optimum design of a small intelligent ocean exploration underwater vehicle, Ocean Engineering, Vol. 184, pp. 40-58DOI
35 
Sivcev Satja, Coleman Joseph, Omerdic Edin, Dooly Gerard, Toal Daniel, September 2018, Underwater manipulators A review, Ocean Engineering, Vol. 63, pp. 431-450DOI
36 
Chung Fang Ming, En Chang Fei, Hong Luo Jhih, October 2006, Wave effects on ascending and descending motions of the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Ocean Engineering, Vol. 33, pp. 1972-1999DOI
37 
Tae kyoo Kim, June 2014, System Operational Performance Analysis for Wire-Guided Torpedo,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Vol. 23, No. 2, pp. 7-15DOI
38 
J. C. Song, J. K. Kim, M. S. Shin, C. W. Park, H. S. Ahn, November 2011, Resistance and Propulsion Test of Underwater Vehicle with Pre-twist Angle of Fin,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 2075-2079Google Search
39 
Myung sub Shin, Jae kang Song, Jeong hoon Park, Jong soo Lim, Jong soon Kim, October 2012, Numerical Investigation for Design of Underwater Vehicl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pp. 685-686Google Search
40 
Kyoung joo Kim, Yoon ho Choi, Jin bae Park, July 2010, Path tracking control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with ocean current influence,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742-1743Google Search
41 
Il Sung, December 1993, Torpedo Defense system status and trend, Korea Defense industry Association, Vol. 178, pp. 28-37Google Search
42 
Christian Woithe Hans, Kremer Ulrich, March 2015, Feature based adaptive energy management of sensors o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Ocean Engineering, Vol. 97, pp. 21-29DOI
43 
Tae won Kim, Ju no Seo, Wang gyun Jeong, Yang han Kim, Won kyu Mun, November 2007, Autonomous Navigation Technology of Unmanned Submersible,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47, No. 11, pp. 50-55Google Search
44 
Dong soo Lee, Sang min Lee, Sung joon Park, March 2014, DSP Based Micro Modem for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s, Korea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Vol. 39, No. 3, pp. 275-281DOI
45 
Yong woo Choi, Jun hyeok Hwang, Dong chan Park, Suk chan Kim, March 2015, A study on a low power underwater communication modem for implementation of underwater sensor networks,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9, No. 3, pp. 268-273DOI
46 
Hee hoon Kang, November 2018, A hierarchical routing technique in an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 tion Engineers, Vol. 55, No. 11, pp. 120-125Google Search
47 
Dong hwan Kim, Sun myeng Kim, June 2018, MAC protocol for fairness improvement in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p. 479-480Google Search
48 
Hee won Kim, Ho shin Cho, January 2018, A cooperative MAC protocol in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Korea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pp. 257-257Google Search
49 
Ki hyun Kim, Sun myeng Kim, June 2018, A cooperative ARQ scheme for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p. 477-478DOI
50 
Sung Joon Park, Soo Hyyn Park, Sang Kyung Kim, Chang Hwa Kim, July 2010, Underwatr communication and marine sensor network technology,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38, No. 7Google Search
51 
Jong kil Lee, November 2015, Experimental study of underwater receiving performance of the conformal underwater acoustic sensor array, The Korea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 2811-2812Google Search
52 
J. K. Lee, May 2015, Beam pattern shape study of conformal sensor array,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pp. 658-658Google Search
53 
Chong moo Lee, Ki hun Kim, Sung hoon Byun, August 2018, Analysis and tests of the behavior of an underwater acoustic horizontal array platform, The Korean Society Of Ocean Engineers, Vol. 32, No. 4, pp. 222-227DOI
54 
Jun hwa Choi, Jae hwan Kim, Chee young Joh, November 2003, Development of software for dynamic analysis of piezoelectric underwater transducers,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pp. 1053-1058Google Search
55 
Dong hyun Kim, Hyoung gwan Woo, Hyun suk Hwang, Hong bum Jin, Joon tae Song, July 2000, A study o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of ultrasonic transduce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658-1660Google Search
56 
Hyu sang Kwon, Seong choi Park, Hee seon Seo, Gu kyun Shin, Ghee young Joh, October 2009, Beam analysis of underwater conformal array by using cylindrical acoustic holography,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 Engineering, pp. 987-995DOI
57 
Jun ho Jeon, Moo kwang Byeon, Sung joon Park, June 2009, Implementation of acoustic modem using an ultrasonic sensor for underwater communications, Korea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pp. 1875-1876Google Search
58 
Dae hyun Ryu, Won mo Shin, Se in Oh, December 2016, Compare of penetration performance for the application of shaped charge warhead of plural explosives,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pp. 1331-1333Google Search
59 
Seok bong Kim, Moon ho Lee, Yo han Yoo, April 2012, Deformation behavior of STS cup for EFI detonator in high velocity impact, The Korean of Mechanical EngineersDOI
60 
Jon hyun Jo, Young shin Lee, January 2011, Simulation of penetration fracture for shapes of bullet, Society for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pp. 1196-1201Google Search
61 
Kwang sik Kim, Jang hyun Lee, June 2012, Vulnerability assessment procedure for the warship including the effect of shotline and penetration of fragments,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49, No. 3, pp. 254-263DOI
62 
Hyeong Sik Choi, Jun Yeong Kim, September 2012, Research & Development Status and Prospect of Unmanned Submersible,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49, No. 3, pp. 25-30Google Search
63 
Shalab Heshmati Alamdari, Charalampos P. Bechlioulis, George C. Karras, Alexandros Nkou, Dimos V. Dimarogonas, Kostas J. Kyriakopoulos, 2018, A robust interaction control approach for underwater vehicle manipulator systems, Annual Reviews in control, Vol. 46, pp. 315-325DOI
64 
LiU Xing, Reng Yao and, May 2018, Adaptive fault tolerant control and thruster fault reconstruction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Ocean Engineering, Vol. 155, pp. 10-23DOI
65 
Cui Rongxin, Zhang Xiin, Cui Dong, September 2016, Adaptive slidingmode attitude control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with input nonlinearities, Ocean Engineering, Vol. 123, pp. 45-54DOI
66 
Herman Przenyslaw, May 2019, Application of nonlinear controller for dynamics evaluation of underwater vehicles, Ocean Engineering, Vol. vol, No. 179, pp. 59-66DOI
67 
Scaradozzi David, Palmieri Giacomo, Costa Daniele, Pinelli Antonio, January 2017, BCF swimming locomotion for autonomous underwater robots-a review and a novel solution to improve control and efficiency, Ocean Engineering, Vol. 130, pp. 437-453DOI
68 
Mohamed Majeed, Su Rong, July 2017, Contraction Based Tracking Control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IFAC Papers OnLine, Vol. 50, No. 1, pp. 2665-2670DOI
69 
Luis Rosendo Juan, Monnet Dominique, Clement Benoit, Garelli Fabricio, Ninin Jordan, September 2018, Control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subject to robustness constraints, IFAC Papers OnLine, Vol. 51, No. 25, pp. 322-327DOI
70 
Santhakumar Mohan, Jinwhan Kim, August 2015, Coordinated motion control in task space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manipulator system, Ocean Engineering, Vol. 104, pp. 155-167DOI
71 
Chen Baozhi, Pompili Dario, November 2015, Modeling position uncertainty of networke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AD Hoc Networks, Vol. 34, pp. 184-195DOI
72 
Elhaki Omid, Shojaei Khoshnam, November 2018, Neural network based target tracking control of underactuate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with a prescribed performance, Ocean Engineering, Vol. 167, pp. 239-256DOI
73 
Li Bo, Chow Su Tsung, October 2016, Nonlinear heading control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with internal actuators, Ocean Engineering, Vol. 125, pp. 103-112DOI
74 
Mansour Karkoub, Hsiu Ming Wu, Chih Lyang Hwang, November 2017, Nonlinear trajectory tracking control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Ocean Engineering, Vol. 145, pp. 188-198DOI
75 
Habib ChouKri Lamraoui, Zhu Qidan, May 2019, Path following control of fully actuate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in presence of fast-varying disturbances, Applied Ocean Research, Vol. 86, pp. 40-46DOI
76 
Taha Elmokadem, Mohamed Zribi, Kamal Youcef Toumi, January 2017, Terminal sliding mode control for the trajectory tracking of underactuate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Ocean Engineering, Vol. 129, pp. 613-625DOI
77 
J. H. Han, W. K. Chung, October 2009, Autonomous Flight Control Technology for Underwater Unmanned Submersibles, Korea robotics society review, Vol. 6, No. 4, pp. 27-34Google Search
78 
Moon sub Kim, May 2011, Underwater guided weapon development trend, Korea Defense Industry Association, Vol. 56, No. 67, pp. 56-67Google Search
79 
Jae Myung Lee, February 2005,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aritime Weapons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Future Battlefield Environment Change, Korea Defense Industry Association, Vol. 312, pp. 36-51Google Search
80 
Q. Cai, D. J. L. Brett, D. Browning, N. P. Brandon, October 2010, A sizing design methodology for hybrid fuel cell power systems and its application to a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95, No. 19, pp. 6559-6569DOI
81 
Rafael d `Amore Domenech, Miguel A. Raso, Antonio Villalba Herreros, Oscar Santiago, Emilio Navarro, Teresa J. Leo, April 2018,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powered by fuel cells Design guidelines, Ocean Engineering, Vol. 153, pp. 387-398DOI
82 
In Su Han, Back Kyun Kho, Sung Baek Cho, February 2016, Development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stack for an underwater vehicle,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304, pp. 244-254DOI
83 
A. Srinivas Kumar, T. V. S. L. Satyavani, M. Senthil- kumar, May 2016, Effect of temperature and charge stand on performance of lithium-ion polymer pouch cell, Journal of Energy Storage, Vol. 6, pp. 239-247DOI
84 
Hasvold Oistein, Storkersen Nils, June 2001, Electrochemical power sources for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used in deep sea survey operation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96, No. 1, pp. 252-258DOI
85 
E. Kelasidi, K. Y. Pettersen, J. T. Gravdahl, 2015, Energy efficiency of underwater robots, IFAC Papers OnLine, Vol. 48, No. 16, pp. 152-159DOI
86 
Young pil Kim, Chul hyung Choi, Seok cheol Ko, Si kyung Kim, April 2017, Flyback Converter Active Balancing BMS Application Time Analysis of Li-Polymer Secondary Battery,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5, pp. 786-791Google Search
87 
Vayrynen Antti, Salminen Justin, March 2012, Lithium ion battery production, J.Chem.Thermodynamics, Vol. 46, pp. 80-85DOI
88 
Chien hsing Lee, Jian ting Yang, April 2011, Modeling of the Ballard-Mark-V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ith power converters for applications i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96, No. 8, pp. 3810-3823DOI
89 
Liu Guijie, Yang Tingting, Leng Dingxin, Tian Xiaojie, Xie YingChun, Mu Weilei, November 2018, Optimization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structure shap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wer flow distribution, Marine Structures, Vol. 62, pp. 77-89DOI
90 
Yan Feng Wang, Jiang Tao Wu, January 2019,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rmal management system of lithium ion battery module on purely electric AUV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46, pp. 74-84DOI
91 
Oistein Hasvold, Nils J. Storkersen, Sissel Forseth, Torlief Lian, November 2006, Power sources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62, No. 2, pp. 935-942DOI
92 
Wang Xiaoming, Shang Jianzhong, Luo Zirong, Tang Li, Zhang Xiangpo, Li Juan, May 2012, Reviews of power systems and environmental energy conversion for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6, pp. no.4 1958-1970DOI
93 
Cheng Siong Chin, Junbo Jia, Joel Hay King Chiew, Wei Da Toh, Zuchang Gao, Caizhi Zhang, John MCC An, February 2019, System design of underwater battery power system for marine and offshore industry, Journal of Energy Storage, Vol. 21, pp. 724-740DOI
94 
A. B. Philips, M. Haroutunian, A. J. Murphy, S. W. Boyd, J. I. R. Blake, G. Griffiths, March 2017, Understanding the power requirements of autonomous underwater systems, PartⅠ:An analytical model for optimum swimming speeds and cost of transport, Ocean Engineering, Vol. 133, pp. 271-279DOI
95 
Sang Bo Sim, Chun Ha Lee, Si Kuk Kim, April 2016, Study on the Explosion and Fire Risks of Lithium Batterie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Short Circuit Current, Korea Fire Safety Association, Vol. 30, No. 2, pp. 114-122DOI
96 
Jae Eon Kim, Dae Seok Rho, 2007, Charging / Discharging Modeling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 Estimating Cycle Characteristic, Korean Academic Industrial Society, Vol. 8, No. 6, pp. 1343-1354Google Search
97 
Min Ki Jang, July 2019, A Study on Improvement of Storage Safety through Quality improvement of Torpedo Propulsion Battery,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7, pp. 291-298DOI
98 
Y. J. Yang, S. Y. Jung, D. Y. Seo, June 2014, A study on the safety of Lithium polymer battery for rolling stock,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Urban Railway, Vol. 2, No. 2, pp. 185-190Google Search
99 
Y. K. Kong, May 1994, The state of the art on propulsion system for Torpe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18, No. 2, pp. 142-148Google Search
100 
Hee Jang Moon, pp76-86, Electric Propul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12, pp. -Google Search
101 
T. Y. Jeong, S. K. Jeong, pp27-33, Efficiency Comparison according to Power Conversion Method and Performance Estimation for Battery Source BLDC Motor Propulsion System of Small Ships,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Vol. 14, No. 1, pp. 27-33Google Search
102 
Myung jun Jeon, Hye on Kyu Yoon, Jun ho Hwang, Hyeon Jin Cho, February 2018, Analysis of the dynamic characteristics for the change of design parameters of an underwater vehicle using sensitivity anal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Vol. 10, pp. 508-519DOI
103 
Emanuel P. Vega, Olivier Chocron, Mohamed Benbouzid, October 2014, AUV Propulsion Systems Modeling Analysis, International Review on Modelling and Simulations, Vol. 7, No. 5, pp. 827-837Google Search
104 
Chong moo Lee, Hyun taek Choi, Il sung moon, Pan Mook Lee, August 2009, An Estimation Technique for the Thrust Performance of AUVs,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23, No. vo. 4, pp. 47-51Google Search
105 
Jagadeesh Kadiyam, Santhakumar Mohan, June 2019, Conceptual design of a hybrid propulsion underwater robotic vehicle with different propulsion systems for ocean observations, Ocean Engineering, Vol. 182, pp. 112-125DOI
106 
Sang hoon Song, Yong ho Yoon, Byoung kuk Lee, Chung yuen Won, 2014, Modeling and Analysis of 7-Phase BLDC motor Drive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4, pp. 575-582DOI
107 
G. da Silva Costa, A. Ruiz, M. A. Reis, A. T. da Cunha Lima, M. P. de Almeida, I. C. da Cunha Lima, November 2017, Numerical analysis of stability and manoeuvrability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AUV) with fishtail shape, Ocean Engineering, Vol. 144, pp. 320-326DOI
108 
Luca Pugi, Benedetto Allotta, Marco Pagliai, January 2018, Redundant and reconfigurable propulsion systems to improve motion capability of underwater vehicles, Ocean Engineering, Vol. 148, pp. 376-385DOI
109 
Tae hwan Joung, Karl Sammut, Fangpo He, Seung keon Lee, July 2016, Shape optimization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wite a ducted propeller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pp. 839-840DOI
110 
Jeong hoon Park, Myung sub Shin, Jae yeop Choi, Jong hyun Hwang Young hun Shin, Yeon gyu Kim, August 2016, An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Angle of Attack on Elevator Control Force for Underwater Vehicle with Searate Fixed Fins,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30, No. 4, pp. 243-252DOI
111 
M. S. Shin, J. C. Song, J. K. Kim, J. W. Moon, October 2011, The Maneuverability Test of Underwater Vehicle with Pre-twist Angle of Fin,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pp. 831-832Google Search
112 
J. T. Park, K. J. Lee, S. Y. Jang, K. J. Lee, J. K. Kim, S. J. Cho, July 2007, A trend of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Electric Propulsion Systems for Ship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ners, pp. 958-960Google Search
113 
M. S. Shin, J. H. Park, J. K. Kim, May 2015, Numerical investigation for form drag of underwater vehicle by shape of fins,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pp. 1259-1260Google Search
114 
T. Y. Kim, D. Y. Gwon, Y. B. kim, B. K. Lee, January 2007, Simulation Program for the analysis of 7-phase BLDC motors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6, No. 1, pp. 42-44Google Search
115 
Y. K. Kong, September 1994, Submarine and Torpedo Propulsion Systems(2),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43, No. 9, pp. 24-30Google Search
116 
D. H. Koo, May 2009, Electric Propulsion ship technology trend,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8, No. 5, pp. 36-43Google Search

저자소개

임진우(Jin-Woo Lim)
../../Resources/kiee/KIEEP.2020.69.2.111/au1.png

2011년 금오공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졸업(학사).

2018년 동 대학교 산업대학원 전자 및 전기 공학과 졸업(석사).

2020년 동 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자과 수료(박사).

2001년~현재 LIGNEX1 Production team engineer

이희진(Hee-Jin Lee)
../../Resources/kiee/KIEEP.2020.69.2.111/au2.png

2008년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졸업.

2013년 동 대학원 졸업(박사).

2013~2015년 현대중공업 선임연구원.

2015년~현재 국립 금오공과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