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재
(Hyun-Jae Lee)
1
이태봉
(Tae-Bong Lee)
1
손진근
(Jin-Geun Shon†)
†iD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BC(boost charging), CC-CV(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Charging Algorithm, C-rate, ESS(energy storage system), Li-ion Battery, MCC-CV(multistage 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PC(pulse charging).
1. 서 론
최근에 발생되는 화석 연료의 에너지 고갈 및 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전 세계적으로는 재생 에너지의 보급을 지속적으로 늘리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재생 에너지 중 태양광 및 풍력의 비중을 확대하여 전력을 점차 확대 생산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이에 대한 비중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1).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우리나라도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재생 에너지의 보급을 확대시킬 전망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용량의 대부분인 97[%]를 태양광과 풍력으로 공급하여 2030년까지 전체 전력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13.5[%]에 이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2).
하지만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는 재생 에너지 중 변동성 에너지로 분류되는데 위와 같이 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에 있어 변동성 에너지의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려감에 따라 전력 계통 안정성의 문제성이 제기되고 있다. 재생 에너지 중 태양광과 풍력은 발전할 수 있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음에 따라 미래의 예비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모생이 필요한 시점이다(3).
이에 따라 변동성 에너지의 보급률 증대에 따른 계통 운영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연성 자원의 일환으로 최근 에너지저장시스템(ESS : Energy
Storage System)의 활용이 적합한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급속하게 보급되고자 하였던 ESS의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을 초래하고 있었으며 결국 정부는 BESS의 설치를
전면 중단시키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화재의 원인 분석에 정부 및 산업체 등 각 분야에서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3,4).
이에 따라 변동성 배터리 에너지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ESS의 보급을 재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ESS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 연구 및 특성검토가 절실히 필요하다(5,6).
본 논문에서는 ESS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Li-ion 배터리를 기반으로 하여 화재 예방과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대표적인 배터리 충전 알고리즘에
대한 다양한 기법들의 특성들을 사전 검토하고 안정성 증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8,9,10,11).
ESS에 주로 사용되고 제시된 다양한 충․방전기법에 대한 본 모의실험의 수행은 최대 C-rate(충․방전률) 및 충전 도달시간과 완충 시간의 성능평가를
목표로 진행하여 그 결과 특성을 비교 제시한 것이다. 이의 모의실험 결과는 배터리 에너지의 손실과 배터리 노화의 가속화 그리고 배터리의 내상과 안전성에도
관련성(12)이 있음을 제시된 기법의 특성 고찰과 제시 알고리즘별 모의실험의 결과 분석으로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C-rate로 예상할 수 있었으며 ESS의 충전 효율을 높이고 안정성을 증대시켜 ESS의 보급을 재활 성화 시키기 위한 고려 요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 배터리의 다양한 충전 기법의 특성검토
현재까지 배터리 충전에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알고리즘이 연구되었다. 전력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알려진 ESS에 쓰이는
배터리의 최소단위를 셀(cell)로 표현되며 셀들을 모아 모듈(module)의 단위를 형성할 수 있으며, 모듈 단위를 모아 팩(pack) 단위로 형성하여
배터리를 운용할 수 있는데 셀 단위를 이용하여 충·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방법으로 CC-CV기법, MCC-CV 기법 및 BC와
PC기법의 방법과 특성을 우선 고찰한다.
2.1 CC-CV 기법
ESS 배터리 충·방전기법의 보편적 방법으로는 정전류-정전압 충전 기법인 CC-CV(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을
들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충전 초기에 설정한 전류로 전류 제어 충전을 실시하며 일정한 전압에 도달하였을 때 설정한 전압으로 전압 제어를 실시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법이다.
그림. 1. CC-CV 사용시의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
Fig. 1. Battery voltage and current when using CC-CV
그림 1은 CC-CV기법을 사용하였을 때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를 도시화한 그림이다. 충전되지 않은 초기 배터리는 충전 상태 SOC(state of charge)가
0[%]이며 이 때 전압은 배터리별 권장 방전 최소 전압인 방전 종지 전압 (Cut-off voltage)에 머물러 있다. 이 때 전압은 낮은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음에 따라 1C(C-rate : 충․방전률)보다 현저히 낮은 정전류(precharge)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이후에 설정된 전압 이후로 전압이 상승할 경우 설정한 전류의 레퍼런스 값을 높여 전류 제어를 실시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이후에 전압이 설정된
전압에 도달하게 되면 전압 제어로 제어 방식을 변환하게 되며 정전압으로 제어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이의 정전압 제어시, SOC는 100[%]에 가까워짐에 따라 전류는 지속적으로 낮아지며 이 때 전류가 설정한 전류 값에 도달하게 되면 만충이 되었다고
판단하여 충전을 멈추게 된다.
이러한 CC-CV 충전 기법은 배터리의 노화로 인해 배터리 수명 상태 SOH(state of health)가 변화할 경우 CC-CV의 기준으로 설정한
전압 및 전류 값이 주기적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SOH를 고려하지 않고 CC-CV를 사용할 경우 SOH의 감소로 발생하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증가를
반영하지 못하여 에너지 손실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다시 배터리의 노화를 가속화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2 MCC-CV 기법
다단계 정전류-정전압 충전 기법 MCC-CV(multistage 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은 배터리를 충전할 때
설정한 정 전류값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법이다.
그림. 2. MCC-CV 사용시의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
Fig. 2. Battery voltage and current when using MCC-CV
그림 2는 MCC-CV 사용 시의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를 보여준다. 배터리 충전 초기에 높은 전류 값으로 제어를 실시하여 충전을 실시하게 된다. 이후에 설정된
전압 값에 전압이 도달하였을 경우 한 단계 낮은 전류 값으로 다시 충전을 실시하게 된다. 이 때 배터리의 전압은 전류의 감소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감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해 다시 한번 설정한 전압 값까지 전류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여러 번 시도하면 배터리의 완충 전압을 넘어서지
않는 상태에서 높은 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설정된 단계의 전류 제어 충전이 끝나게 되면 CV를 사용해 배터리 충전을 하여 배터리의
내상 없이도 안전하게 SOC가 100[%] 도달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2.3 BC 기법
부스트 충전(boost charging) 기법은 배터리 충전 초기에 높은 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며 충전 후기에는 CV로 전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법이다.
그림 3은 BC 사용시의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림 3을 살펴보면 배터리 충전 초기에 높은 전류를 흘려 충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후에 설정된 전압 값에 도달하면 전류를 낮추어 충전하며 다음 설정된
전압 값에 도달하면 CV로 전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는 초기에 높은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림. 3. BC 사용시의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
Fig. 3. Battery voltage & current when using BC method
2.4 PC 기법
펄스 충전(pulse charging) 기법은 배터리에 연속적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충전하는 기법이 아닌 펄스 형태의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법이다.
그림. 4. PC 사용시의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
Fig. 4. Battery voltage and current when using PC
그림 4는 PC 기법 사용시의 배터리의 전압과 전류를 보여준다. PC 기법은 배터리 초기 때부터 전류를 펄스 형태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으로써 설정된 전압
값까지 전압이 도달할 때까지 PC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일부의 연구에 따르면 사이클 수명 개선 및 리튬 이온 배터리의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배터리 충전 알고리즘의 특성 모의실험
3.1 배터리 충전 알고리즘의 모의실험을 위한 조건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주로 제시되었던 다양한 배터리 충전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모의실험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 특성을 비교·분석한다. 모의실험을
위하여 PSIM을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사용된 배터리의 모델은 PSIM버전에서 제시된 AL34570을 사용하였다.
배터리 모델 AL34570에 사용될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표 1. 모의실험을 위한 배터리 파라미터
Table 1. Battery parameters for Simulation
Contents
|
|
Unit
|
Value
|
Nominal Voltage
|
$V_{N}$
|
$[V]$
|
3.7
|
Typical Capacity
|
$C_{T}$
|
$[Ah]$
|
5.4
|
Maximum Charge Voltage
|
$V_{MC}$
|
$[V]$
|
4.2
|
Discharge Cut-off Voltage
|
$V_{Co}$
|
$[V]$
|
2.5
|
Maximum Recommended Charge Current
|
$I_{M}$
|
$C$
|
1
|
표 1은 모의실험을 위해 설정한 배터리 모델 AL34570의 파라미터를 나열한 모습이다. 여기서 $V_{N}$은 공칭전압으로써 방전 곡선에서 보이는 그래프를
통하거나 배터리의 데이터시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C_{T}$는 정격용량으로써 배터리가 완충을 한 후에 방전 종지 전압($V_{Co}$)에
도달할 때까지 방전할 때의 용량을 나타내며 AL34570의 경우 5.4[Ah]의 용량을 갖는다. 이는 최대 충전 전압으로써 배터리가 완충되었을 때
나타나는 전압으로써 4.2[V]를 갖는다. $V_{MC}$는 충․방전 률을 의미하는데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하여 C에 대한 값을
식(1)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식(1)에 따라 1C에 해당하는 충전 전류($I_{C}$)는 5.4[Ah]로써 5.4[A]라고 계산할 수 있다. 즉 AL34570 배터리모델의 경우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최대 충전 전류($I_{M}$)은 1C로써 5.4[A]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비교·분석을 보다 정확하고 수월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동일한 조건을 통해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표 2. 모의실험을 위한 동일 설정표
Table 2. The settings value for simulation
Contents
|
Unit
|
Value
|
Measure Time
|
$[h]$
|
7
|
SOC at full charge
|
$[%]$
|
96.89
|
Standard C-rate
|
$C$
|
0.2
|
표 2는 모의실험을 위한 동일 설정표를 보여준다. 측정 시간을 7[h]이며 배터리의 특성상 완충시점을 SOC가 96.89[%]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설정하였다.
데이터시트에 의해 C-rate의 최대값이 1C이며 권장 C-rate가 0.2임에 따라 기본 C-rate를 0.2로 설정하여 약 1.1[A]가 충전
전류가 되도록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림. 5. CC-CV 사용시 모의실험 결과 파형
Fig. 5. Simulation result waveforms when using CC-CV
그림 5는 CC-CV 사용 시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전류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배터리 충전 초기부터 0.2C로 충전함에 따라 약 1.1[A]의
전류로 충전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지속적인 정전류로 진행한 후 전압이 4.2[V]에 도달하여 CV로 변경되는 시점은 4.728[h]로 나타났다.
이후에 4.2[V]의 정전압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였으며 SOC가 96.89[%]에 도달하는 시간은 6.024[h]로 나타났다.
그림 6은 MCC-CV 사용시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전류의 모의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배터리 충전 초기부터 0.2C로 충전함에 따라 약 1.1[A]의 전류로
충전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지속적인 정전류로 진행한 후 전압이 4.2[V]에 도달하여 CC2로 변경되는 시점은 CC-CV와 동일하게 4.728[h]로
나타났으며 이후에 CC3로 넘어가는 시점은 4.751[h]으로 측정되었다. CV로 변경되는 시점은 4.79[h]로 측정되었으며 이후에 4.2[V]의
정전압으로 배터리를 정상적으로 충전하였으며 SOC가 96.89[%]에 도달하는 시간은 6.04[h]로 나타났다.
그림. 6. MCC-CV 사용시 모의실험 결과 파형
Fig. 6. Simulation result waveforms when using MCC-CV
그림. 7. BC 사용시 배터리의 모의실험 결과 파형
Fig. 7. Simulation result waveforms when using BC
그림 7은 BC 사용 시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전류의 모의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배터리 충전 초기에 최대 C-rate인 1C로 충전함에 따라 5.4[A]가
배터리에 흐르게 된다. 이후에 4.2[V]에 도달한 시점은 0.457[h]로 나타났으며 0.2C인 1.1[A]로 변경되어 배터리를 정상적으로 충전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CV로 변경되는 시점은 2.95[h]로 나타났으며 SOC가 96.89[%]에 도달하는 시간은 4.234[h]로
나타났다.
그림. 8. PC 사용시 모의실험 결과 파형
Fig. 8. Simulation result waveforms when using PC
그림 8은 PC 사용시 배터리의 충전 전압 및 전류의 모의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여기서 펄스의 비율은 0.5:0.5로써 스위칭이 On되는 시간과 Off 되는
시간을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이렇게 설정할 경우 배터리에 흐르는 평균 C-rate가 0.2C로 설정하기 위하여 스위치가 On일시의 C-rate를 0.4C로
설정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배터리 충전 초기에 평균 C-rate인 0.2C로 충전함에 따라 평균 전류가 1.1[A]로 배터리에 흐르게 된다. 여기서 스위치가 off일 때 전압이
4.2[V]에 도달한 시점은 4.928[h]로 나타났으며 CV로 변경되어 나머지 용량을 충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SOC가 96.89[%]에
도달하는 시간은 5.481[h]로 나타났다.
표 3. 모의실험 결과 비교표
Table 3. The table of simulation result
|
Maximum C-rate
|
Time taken to reach CV
|
Total Charge Time
|
CC-CV
|
0.2C
|
4.728[h]
|
6.024 [h]
|
MCC-CV
|
0.2C
|
4.79[h]
|
6.04 [h]
|
BC
|
1C
|
2.95[h]
|
4.234 [h]
|
PC
|
0.4C
|
4.928[h]
|
5.481 [h]
|
표 3은 위와 같은 다양한 충전기법의 모의실험 결과를 비교한 표를 보여준다. 최대 C-rate를 살펴보았을 때 CC-CV는 0.2C, MCC-CV는 0.2C,
BC는 1C, PC는 0.4C로써 BC 기법을 사용하였을 때의 C-rate가 높게 사용되었음을 할 수 있다.
또한 CV모드에 도달하는 시간을 각각 살펴보면 CC-CV는 4.728[h], MCC-CV는 4.79[h], BC는 2.95[h], PC는 4.928[h]로써
BC 기법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빠르게 CV모드에 도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장 느리게 CV모드에 도달하는 기법은 MCC-CV 기법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완충시간을 다시 살펴보면 CC-CV는 6.024[h], MCC-CV는 6.04[h], BC는 4.234[h], PC는 5.481[h]로써 BC
기법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빠르게 배터리를 충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장 느리게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법은 MCC-CV 기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rate를 높게 설정하여 진행한 알고리즘들이 대부분 배터리를 빠르게 충전한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ESS로 사용가능한 Li-ion 배터리의 충전시 사용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의 특성을 검토 및 분석 하였다. 이에 각 충전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었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모의실험을 진행한 결과 CC-CV기법은 약 6.02[h]에서 배터리를 완충 시켰으며,
MCC-CV 기법은 6.04[h], BC 기법은 4.2[h], PC 기법은 5.48[h]에 각각 완충시켰다.
특히 BC 기법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빠르게 배터리가 완충되었다는 것을 미루어 보았을 때, 배터리의 충전 특성 요소 중 C-rate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고 판단되었다.
향후 이러한 배터리 운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온도 요소와 C-rate가 제어의 요소로써 동시에 사용된다면 배터리 노화에 의해 SOC, SOH가
변화하더라도 신뢰성과 고효율을 기반으로 한 배터리 충전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194030202290).
References
REN21, 2018, Renewables 2018 Global Status Report, pp. 43
Taegyun Yu, Jiwon Seo, 2018, Plan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for Renewable Energy
Industry, The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pp. 33-60
S. M. Cho, I. H. Cho, 2018, A study on stabilizing power system for the expansion
of variable renewable generation,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ion, pp. 18-28
Keil Peter, Jossen Andreas, 2016, Charging protocols for lithium-ion batteries and
their impact on cycle life, Journal of Energy Storag, pp. 125-141
Li Ye, Han Yehui, DECEMBER 2016, A Module-Integrated Distributed Battery Energy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1, No. 12
Moon-Young Kim, Jun-Ho Kim, Gun-Woo Moon, October 2014, Center- Cell Concentration
Structure of a Cell-to-Cell Balancing Circuit With a Reduced Number of Switches, IEEE
Tran- sact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9, No. 10
Liu Yi-Hwa, Hsieh Ching-Hsing, Luo Yi-Feng, June 2011, Search for an Optimal Five-Step
Charging Pattern for Li-Ion Batteries Using Consecutive Orthogonal Arrays, IEEE Transactions
on Energy Conversion, Vol. 26, No. 2
Savoye Francois, Venet Pascal, Millet Michael, Groot Jens, September 2012, Impact
of Periodic Current Pulses on Li-Ion Battery Performance,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59, No. 9
P. H. L. Notten, J. H. G. Op het Veld, J. R. G. van Beek, 2005, Boost charging Li-ion
batteries: A challenging new charging concept,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45,
pp. 89-94
Y. Gao, X. Zhang, Q. Cheng, B. Guo, J. Yang, April 2019, Classification and Review
of the Charging Strategies for Commercial Lithium-Ion Batteries, IEEE Access, Vol.
7
L. Patnaik, A. V. J. S. Praneeth, S. S. Williamson, February 2019, A Closed-Loop Constant-Temperature
Constant-Voltage Charging Technique to Reduce Charge Time of Lithium-Ion Batterie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6, No. 2
Hoon-Yang Park, Jin-Geun Shon, 2019, A Study of Independent Control and Equalizing
Operation Algorithms for Battery- rack in Energy Storage System, KIEE 68P, Vol. 1,
pp. 11-16
저자소개
He received his M.S.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Currently he is pursuing his Ph. D.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 Do,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sion and Power control.
E-mail : lhj501@gc.gachon.ac.kr
He received his B.S., M.S. and Ph. D, degrees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ongik University in 1986, 1989 and 1994.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the robust control and GMDH.
E-mail : tblee@gc.gachon.ac.kr
He received his B.S., M.S. and Ph. D, degrees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in 1990, 1992 and 1997.
He was Chief Researcher in Electro- Mechanical Research Institute,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Gyeonggi-do, Korea, during 1992-1995.
He was a Postdoctoral Researche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Kagoshima University, from 2002 to 2003.
He was also a Visiting Scholar in the Power Electronics Laboratory, Michigan State
University, from 2009 to 2010.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the power conversion, control and diagnosis of power utility.
E-mail : shon@gach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