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성홍
(Sung-Hong Won)
†iD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3D Printer, Magnetic Filament, Slotless Motor
1. 서 론
최근 3D프린터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여러 산업분야에서 3D프린터를 제품개발 혹은 공정개선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거나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부품의 경우는 시제품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기 때문에 개발기간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는데, 제품개발 시에
다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특성평가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소량의 구조물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3D프린터가 빠른 제품개발을 위해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1)(2).
특히 3D프린터의 소재가 초기의 PLA(Poly Lactic Acid) 혹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와 같은
플라스틱 소재에 머무르던 때와 달리 최근에는 금속재료, 목재, 세라믹, 유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고, 심지어 음식재료를 이용한 3D프린팅까지
시도되고 있는 등 매우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3D프린팅 기술의 확산이 산업 각 분야에서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모터의 개발과 시제품제작에 있어서는 모터의 구조적인 강도와 자기력을 이용한다는 특성 때문에 실질적인 모터개발에 응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일부 모터의 하우징구조 혹은 금속프린팅기술을 이용한 구조물의 시험을 위해 사용된 경우는 있으나 모터의 주요 핵심부품인 자성체로 이루어진 회전자나 고정자를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평가한 예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모터에 사용되는 회전자와 고정자는 자속이 쉽게 통과될 수 있도록 자성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데, 자성재료인 철이나 니켈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이때,
철이나 니켈의 도전률이 높아서 자속이 지나가는 방향에 수직한 경로를 따라 와전류가 발생하면 자속의 변화가 방해받기 때문에 적층을 이용하여 회전자와
고정자를 제작한다.
3D프린터를 이용하여 모터의 자성체 부분인 고정자 혹은 회전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출력된 고정자와 회전자를 다시 적층하는 방식은 매우 제작을 어렵게
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최종 출력물의 도전률을 낮게 하여 와전류 생성을 억제하고, 자성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현실적이며,
이런 측면에서 다양한 필라멘트를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대적으로 저가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방식
3D프린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FDM방식 3D프린터를 위한 필라멘트 중에는 그림 1과 같이 자성체를 함유하고 있어 출력물이 자성체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있는 재료들이 있는데, 출력물의 도전률이 낮아 별도의 적층없이도 모터의 자성체
부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 1. 자성재료를 포함하는 필라멘트(3)
Fig. 1. Magnetic material filament
본 논문에서는 3D 프린터를 모터개발 단계에서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성체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고정자와 회전자를 제작하고, 비자성 고정자 및
회전자를 사용한 경우와의 비교를 통해 어느 정도 자성체로서의 역할이 가능한지를 시험하여 보았으며, 또한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등가의 출력은 내는
재료를 찾아봄으로서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된 자성재료가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투자율을 갖는 자성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보았다.
또한 시제품 단계에서 모터의 부품으로서 사용가능한 수준의 모터를 설계하여 모터개발에서 3D프린터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2. 시험용 모터 설계 및 제작
FDM방식의 3D프린터는 필라멘트를 고온의 노즐로 녹여 쌓아가며 원하는 구조물을 완성하는 방식이므로, 자성체 필라멘트를 사용한다고 해도 실질적으로는
비자성체인 플라스틱 수지물에 일정량의 자성체분말이 섞여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철 혹은 니켈 등의 자성체 분말을 많이 섞을수록 쉽게 성형할
수 있는 가소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일정량 이상의 자성체를 섞기는 어려우며, 이는 출력된 자성체구조물의 투자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내부에 자속의 경로를 가지고 있고, 그 자속의 경로를 이루는 부품은 자성체로 제작되게 되며, 회전자의 경우는 자속변화가 크지 않기에
적층하지 않고 사용되기도 하지만, 고정자의 경우는 자속의 변화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적층을 하지 않으면 모터의 특성을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고정자코어를 적층된 전기강판을 이용하여 제작하지만, 최근에는 그림 2에서 볼 수 있듯이, 구형모터와 같이 복잡한 3차원형상에 대해 자성체분말을 결합하여 고정자를 만드는 SMC(Soft Magnetic Composite)코어를
사용하기도 한다(4).
그림. 2. SMC코어 (Somaloy 550)재질을 사용한 모터의 고정자(4)
Fig. 2. motor’s stator using SMC core (Somaloy 550)
자성체필라멘트를 이용한 모터의 고정자는 이런 SMC코어와 유사한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되지만, SMC코어에 비해 투자율이 매우 낮으며, 일반적으로
SMC코어가 1000정도의 비튜자율을 가지는데 비해 자성체 필라멘트로 제작되는 고정자는 Proto-pasta에서 공급하는 자성체 필라멘트의 데이터시트에
의하면 투자율이 약 62E-7에서 100E-7정도의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5~10정도의 비투자율을 가지기 때문에 실제 필요한 성능을 내는 모터를
제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구조의 모터를 개발하거나 아이디어구현 단계에서는 적층강판이나 SMC코어를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어가는
것을 감안하면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자성체필라멘트로 고정자 코어를 만들어 모터의 동작가능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
2.1 시제품 제작용 슬롯리스모터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시제품모터의 특성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모터를 선정하는 것이 좋으므로 제작가능한 모터 중에 자성체의 구조가
매우 간단한 슬롯리스모터를 이용하여 시제품 측정을 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슬롯리스모터는 코일이 코어에 감기는 것이 아니라 백요크는 실린더형태의 자성체를
가지는 매우 간단한 형태이고, 코일을 몰딩하거나 끼워맞출 수 있는 부품형태로 조립하여 만들기 때문에 3D프린터를 이용한 시제품제작의 가능성을 테스트하기에
적합하다(5)(6).
아래의 그림 3은 블록코일 형태의 슬롯리스모터로서,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코일블럭을 보빈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3D프린팅기술을 적용해 보기에 알맞은 모델이다.
블록코일형태의 슬롯리스모터를 실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코일을 수지물 속에 넣고 인서트 사출을 이용해서 코일블록을
그림. 3. 블록코일 슬롯리스모터의 코일구조
Fig. 3. Coil Structure of Block\coil Slotless Motor
제작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코일을 성형하기 위한 지그와 사출금형을 제작해야 하고, 제작된 금형에 코일을 넣고 사출을 시행하는 인서트사출 기술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사출금형은 상당히 고가이며 한 번 만들어진 사출금형을 수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초기 아이디어구상 단계에서 실제로 제작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금형을 제작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3D프린터를 이용하여 모터의 하우징과 고정자 및 회전자구조를 출력하여 만들어보고
실제 제작이 가능한지를 알아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지 시험해 볼 필요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모터의 특성을 어느 정도 짐작해 볼 수 있다.
실제 제작되는 슬롯리스모터는 적층강판을 이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투자율이 매우 높고 강도도 뛰어나지만,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해 보는 시제품모터는
큰 토크를 내거나, 부하시험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모터의 주요특성인 역기전력 파형을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 4와 표 1은 제작해 보고자 하는 슬롯리스모터의 유한요소해석 모델과 시제품 모터의 사양이다.
슬롯리스모터는 기본적으로 자성체 슬롯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회전자에 포함되어있는 자석으로부터 나온 자속이 코일을 쇄교하고 다시 자석으로 돌아가는
루프의 자기저항을 줄여 슬
롯리스모터는 기본적으로 자성체 슬롯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회전자에 포함되어있는 자석으로부터 나온 자속이 코일을
그림. 4. 해석대상인 슬롯리스모터 해석모델
Fig. 4. Analysis Model of Slotless Motor
표 1. 시제품 모터의 사양
Table 1. Prototype Motor Specifications
구분
|
사양
|
극수
|
4
|
코일수
|
6
|
적층길이
|
50[mm]
|
고정자외경
|
42[mm]
|
턴수
|
15[turn]
|
공극
|
1[mm]
|
정격속도
|
4000[rpm]
|
쇄교하고 다시 자석으로 돌아가는 루프의 자기저항을 줄여주기 위해 코일의 외측부에 적층철심요크를 사용한다. 따라서 실제로 적층철심이 사용되는 부분은
실린더 형태의 고정자요크부가 유일하며, 회전자에는 적층철심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실제의 슬롯리스모터는 회전자 자석을 표면부착형자석(SPM: Surface Pernament Magnet)을 사용하지만, 현단계의 초기시제품에는 제작비용을
최소화하여 모터의 특성파악을 해보기위해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막대형태의 Nd자석을 이용할 수 있는 IPM형태의 회전자를 구현하였다.
2.2 자성체 필라멘트 유효성 검증을 위한 시제품제작
자성체필라멘트를 이용하여 3D프린팅한 모터 자성부품의 효과를 비교해 보기 위하여 코일외부에서 자속궤환루프를 형성해주는 백요크와 회전자를 자성필리멘트를
이용한 부품과 일반필라멘트를 이용한 부품으로 제작하여 비교하여 보았고, 적층전기강판을 이용한 경우와의 비교를 위해 자성회전자재료에 적층강판을 사용한
모델을 같이 제작하여 3가지 모델에 대해 유한요소해석과 실제 제작 후 측정한 역기전력파형을 비교하여 보았다.
아래의 그림 5에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시제품 모터를 보였다. 자성재료필라멘트를 이용하면 일반 PLA필라멘트에 비해 약간 더 무거우며 자석에 붙는 형태로
출력이 되며, 하우징과 같은 부품은 일반 PLA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슬롯리스 블록코일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블럭코일의 형태를 가진 보빈을
만들어 출력한 뒤 턴수에 맞도록 코일을 감고 에폭시수지로 몰딩마감하였다.
2.3 유한요소해석과 측정치 비교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시제품 모터는 실제 전기적층강판과 표면자석부착형 회전자보다는 쇄교자속량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는 없지만, 블록코일형 슬롯리스모터의 동작가능성을 알아보고 유한요소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검증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용도로는 충분히
그림. 5. 3D프린터로 제작된 시제품모터
Fig. 5. Manufactured Prototype Motor using 3D Printer
사용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모터에 사용되는 자성재료인 적층강판을 사용할 때에 비해서 몇가지 해석상의 주의점이 필요하다.
회전자와 백요크에 자성재료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영구자석으로부터 나온 자속이 자성체를 통과하지 않고 코일을 쇄교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유한요소해석과는
다르게 모터의 외경으로부터 고정경계조건을 적용하는 외부경계를 충분히 멀게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자성체 백요크가 있는 경우는 대부분의 자속이 백요크를 통해 궤환되기 때문에 외부경계가 가깝거나 백요크외경에 거의 근접하다시피 설정되어도 쇄교자속량
해석결과에 큰 차이가 없으나, 자성체 백요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모터외경으로부터 충분히 먼 고정경계가 설정되지 않으면 실제보다 더 큰 쇄교자속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 나오기 때문에 모터외경의 최소한 5~10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외부경계를 설정해야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본 논문의 시뮬레이션에서는 모터외경의 5배로 외부경계의 모델을 정하고 고정경계조건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외부경계가 모터외경과 밀접하게 근접하거나
모터외경의 2배이내인 경우는 실제 측정치에 비해 약 70%정도밖에 역기전력이 나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자석으로 부터나온 자속이 코일영역을
통과하지 못하고 다시 자석으로 궤환되는 자기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을 확인해보기 위해 아래의 그림 6에서 보이는 측정장치를 이용해서 모터를 외부에서 회전시켜주고 이때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측정하여 유한요소해석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그림. 6. 역기전력 측정장치
Fig. 6. Measurement Equipments for BackEMF
아래의 그림 7에서 보이는 자속선도는 회전자와 요크에 자성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를 유한요소해석으로 해석한 결과 자속선도로서 모터의 외경 바깥쪽으로도 자속이 많이
뻗어 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 비자성 회전자 및 요크 자속선도
Fig. 7. Fluxline of Non Magnetic Rotor and Yoke
이때의 유한요소해석결과와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실제 역기전력을 그림 8에서 비교하였는데, 최대치가 약 1.2V로 유사하게 측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8. 비자성 회전자 및 요크의 측정치와 해석치 역기전력비교
Fig. 8. Comparison of Measured and Simulated BackEMFs of Non Magnetic Rotor and Yoke
또한, 고정자요크와 회전자를 자성체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출력하고 같은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반복하였는데, 그림 7과 비교하여 모터의 외부로 뻗어나간 자속이 확연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작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자성체필라멘트 회전자는 그대로 두고, 고정자 요크를 적층철심으로 변경하여 시뮬레이션과 측정을 진행해 보았다.
그림 11에서 볼 수 있듯이 고정자 외경 밖으로 뻗어나가는 자속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경우에는 유한요소해석의 외부 고정경계를 자석의
외졍과 근접하게 설정해도 해석결과 값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림. 9. 자성 회전자와 요크 자속선도
Fig. 9. Fluxline of Magnetic Rotor and Yoke
그림. 10. 자성 회전자 및 요크의 측정치와 해석치 역기전력비교
Fig. 10. Comparison of Measured and Simulated BackEMFs of Magnetic Rotor and Yoke
그림. 11. 자성 회전자 및 적층강판요크 자속선도
Fig. 11. Fluxline of Magnetic Rotor and Laminated Steel Yoke
그림. 12. 자성 회전자 및 적층강판 요크의 측정치와 해석치 역기전력비교
Fig. 12. Comparison of Measured and Simulated BackEMFs of Magnetic Rotor and Laminated
Steel Yoke
2.5 자성필라멘트 효과 비교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역기전력과 실제 제작 후 측정한 역기전력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자성체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3D프린터로 출력한 자성체부품의 경우
낮은 투자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제품모터에 사용할 경우 시뮬레이션이 가능한지를 알아보았으며, 실제 자성재료로 활용할 경우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성재료필라멘트를 요크와 회전자에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사용한 경우, 그리고 요크를 일반적인 모터에 사용하는 적층강판을 사용한 경우,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이는지를 비교하여 보았다.
비자성 요크와 비자성회전자를 사용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100%로 두고, 자성회전자와 자성요크, 자성회전자와 적층전기강판요크를 사용한 경우를
각각 비교하여 보았으며, 각각을 Model1, Model2, Model3로 표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역기전력 비교
Table 2. Comparison of BackEMFs
|
Vp, FEM[V]
|
Vp.Measured[V]
|
Err
|
역기전력비
|
Model1
|
1.2
|
1.27
|
5.83%
|
100%
|
Model2
|
1.47
|
1.54
|
4.76%
|
121%
|
Model3
|
2.08
|
2.02
|
2.89%
|
159%
|
각각의 모델은 비자성재료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약 20%, 60%정도의 역기전력 상승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기구적인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쇄교자속이
각각 20%와 60%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자성재료를 사용한 경우, 혹은 낮은 투자율을 가지는 자성체필라멘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적층강판을 사용한 경우는 쇄교자속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기 쉬우나, 슬롯리스모터의 경우는 자기적인 공극이 일반 모터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자성체회전자와 적층강판요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극적으로
쇄교자속량이 증가하지는 않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각각의 경우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비교한 것을 그림 13에 표시하였다.
그림. 13. 측정치 역기전력비교
Fig. 13. Comparison of Measured BackEMFs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최근 4차산업혁명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기술인 3D프린터를 이용하여 모터의 시제품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확인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하는 하우징과 같은 기구부분을 3D프린터로 제작하는데 그치지 않고, 모터의 액티브파트라고 부를 수 있는 요크와 회전자를 자성재료가 포함된 자성체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모터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유한요소해석과 실제 제작된 시제품을 통해 비교하여 보았다.
아직까지는 FDM방식의 3D프린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성체필라멘트는 비투자율이 5~10정도로서 본격적인 모터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크지 않지만,
모터의 간단한 동작가능성 정도를 확인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제작비용과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적층전기강판의 시제품제작은 자기적인 공극이 매우 큰 슬롯리스모터의 경우에는 기대와는 다르게 쇄교자석의 극적인
증가효과를 볼 수 없었으며 약 40% 정도의 증가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작은 예산과 빠른 시험결과를 바라는 경우 적층전기강판을 사용하지 않고
자성체 필라멘트를 이용하여도 모터의 동작가능성 정도를 예상해 보는 데는 큰 무리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의 실험결과는 자기적 공극이 큰 슬롯리스모터의 경우에만 적용되는 결과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코일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블록코일 방식의 슬롯리스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몰딩된 코일결합체를 제작하는데 큰 비용이 소요되는 일반적인 슬롯리스모터의 경우는 적층전기강판 요크와 회전자를
제작하는 비용보다 코일제작 비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시제품제작 비용의 절감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3D프린터를 모터의 시제품제작에 활용하고자 하는 엔지니어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8년도 동양미래대학교의 학술연구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로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Kyeonguk Min, Jinyong Kim, Daehun Park, C. K Song, 2015, Transmission Producted Using
3D Printer, Proceedings of the KSMPE Conference, pp. 190-190
J. S. Kim, N. G. Kim, S. H. Shin, J. I. Song, 2014, Manuf- acture and design electric
skateboard using 3D printer, Proceedings of the KSMPE Conference, pp. 172-172
2014, Iron-filled Matal Composite PLA, https://www.proto-pasta.com/products/magnetic-iron-pla
Kyung-Pyo Hong, Yong Kim, Ik-Sang Jang, Ho-Joon Lee, Dong-Woo Kang, Sung-Hong Won,
Ju Lee, 2012, Improve of Efficiency of Multi D.O.F Spherical Motor Through the Reduction
of Eddy Current Los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1, No. 1, pp. 50-56
Sunghong Won, Ju Lee, 2018, Development of Slotless Motor using New Winding Structur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579-580
Seung-Heon Lee, Sun-Hong Won, Ju Lee, 2019,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lotless Motor
Using Assembly Block Coil, Proceedings of the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877-878
저자소개
1993. 2: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95. 2: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석사
1995~ 2004 삼성전기 중앙연구소 CAE그룹
2007.2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사
2007~2008 한양대학교 BK21연구교수
2009~현재 동양미래대학교 전기공학과 부교수/ 학과장
Tel : 02-2610-5180
Fax : 02-2610-1854
E-mail : sagewide@dong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