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artment of Innovation Laboratory, KOGAS Research Institute, Ansan, Korea)



Compressed natural gas, impact on power system, reactive power compensation, turbo expander generator, voltage control

1. 서 론

본 논문에서는 TEG 발전 실증사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그 원리와 특징을 면밀히 살펴보고, 이를 전력계통에 연계하는데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계 제한 조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전력계통에 연계하여 원하는 수준의 전력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고 또한 이를 적절히 송전할 수 있도록 수행되어야 하는 제어 요소들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1.5MW급의 TEG 발전이 계통에 문제없이 연결되기 위하여 과전압 및 저전압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는 무효전력 보상 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보기로 한다.

2. TEG 발전기 특징

고압의 가스가 팽창기를 통하여 회전운동을 하고 이 회전운동을 일로 변화시키는 공정은 실제 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냉열을 얻기 위한 극저온 공정이다. 높은 압력이 일로 전환되는 등 엔트로피 과정에서 온도가 크게 강하되기 때문에 공기를 액화시켜 질소, 산소 등을 분리하는 ASU공정(공기액화분리공정), 메탄을 액화시키는 NCC공정(에틸렌제조 공정), 천연가스를 액화시키는 LNG 액화공정 등에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이를 냉열로만 쓰지 않고, 고압의 가스 팽창시 발생하는 회전운동을 발전기와 연결함으로써 에너지를 전기로 회수하는 방식이 TEG 발전 방식이다.

2.1 TEG의 원리

TEG의 구조 및 작동원리는 그림1과 같다. Radial 방향에서 유입되는 고압의 가스는 터빈을 통과하면서 터빈을 회전시킴으로써 일을 얻게 되며, 고압의 가스는 감압이 이루어지며 축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터빈 입구의 VGN(Variable geometry nozzle)은 각도를 조절하여 유입량을 조정함으로써 TEG 후단의 압력을 조정한다. 즉, TEG는 정압과 전력생산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그림. 1. TEG의 원리

Fig. 1. Principle of a TEG

../../Resources/kiee/KIEEP.2020.69.4.207/fig1.png

2.2 천연가스 감압과정의 열역학

고압 P1에서 저압 P2로 감압되는 과정에서 정압밸브를 통과하는 기존 관리소의 감압과정은 그림2의 H-S 선도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등엔탈피 과정이지만 TEG를 통과하는 유동은 그림2의 H-S 선도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등엔트로피 과정이된다. P1에서 정압밸브를 통과하여 감압된 유체와 TEG를 통과하여 감압된 유체는 등압선 P2 상에 위치할 지라도 서로 온도는 다르다. 정압밸브(PCV)에 의한 정압과정은 교축과정(Throttle process)으로 등엔탈피 과정이며, 등엔탈피 과정에서는 줄-톰슨 효과로 정압기 후단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반면 TEG에 의한 정압과정은 등엔트로피 과정이며, 유체의 온도는 정압밸브의 줄-톰슨 효과에 의한 온도강하보다 많은 온도가 강하가 발생된다. 천연가스 감압과정의 경우 성분과 상태에 따라 등엔탈피 과정인 정압밸브 교축감압 과정에서는 대략 10bar 감압시 4.5 ~ 6°C 내려가게 되고 등엔트로피 과정인 터보팽창기 감압과정에서는 10bar 감압 시 15 ~ 20°C 내려가게 된다(3).

2.3 TEG 시스템의 구성

TEG 설치는 아래 그림 3과 같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정압기 중 하나를 TEG로 대체하여, TEG와 정압기를 병렬로 구성한다. 천연가스는 우선적으로 TEG로 흐르게 하고 TEG 기저부하 초과 시 정압기 쪽으로 흐를 수 있게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기저부하의 천연가스 유량은 TEG로 정압을 수행하면서 전력을 생산하고 TEG에서 처리하지 않는 천연가스는 병렬 연결된 정압기로 by-pass되어 정압밸브(PCV)를 통해 정압하는 개념으로 운영된다. 또한 TEG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TEG 부의 차단밸브가 닫히고 병렬 연결된 정압기가 작동하는 안정적인 시스템이다.

그림. 3. TEG 시스템 구성

Fig. 3. Configuration of TEG system

../../Resources/kiee/KIEEP.2020.69.4.207/fig3.png

정압기와 마찬가지로 TEG도 천연가스 송출시 가스의 온도를 0°C 이상으로 수요처에 공급해야하며 이를 위해 히터를 설치하게 되는데 히터의 위치는 TEG 전단에 설치한다. 이 때 예열에 소요되는 연료의 열량은 아래식과 같이 계산된다.

(1)
$\dot Q=\dot m\triangle h=\dot m c_{p}\triangle T$

Q:예열에 필요한 열량

$\dot m$:연료의 질량

h:엔탈피

Cp:연료의 열용량

T:온도

3. TEG 시스템 구성 및 시범운영

한국가스공사는 공급관리소의 운영 경제성 향상과 TEG의 정압밸브(PCV) 대체 가능성 확인을 위해 2012년 경남의 한 공급관리소에 TEG 도입하여 시범운영을 진행하고 있다. 공급관리소에 설치된 TEG의 최대 전력 생산량은 300kW이며, 65bar로 송출된 천연가스의 압력은 정압밸브를 통해 25bar로 1차 감압되고 이후 TEG를 통해 8.5bar로 2차 감압되어 도시가스사로 공급되고 있다. 약 7년간의 시범운영을 통해 실제로 발전한 생산량은 평균 260kW이며, 연간 전력생산량은 2,286MWh에 달한다. 기존의 버려지는 압력에너지를 이용하여 연평균 약 100가구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4. 1.5MW TEG 계통연계

시범사업을 통하여 TEG 운영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1.5MW급의 TEG를 설치하는 실증사업을 2019년에 시작하여 진행 중이다. 1.5MW TEG 발전기는 동기발전기가 아닌 유도발전기 형태인데, 유도발전기가 가지는 동기발전기 대비 특징은 표2에 나타냈다.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유도발전기의 특성상, 전압과 주파수 조정을 할 수 없으며 또한 전원으로부터 여자전류를 받아오기 때문에 역률이 나쁘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역률 개선용 콘덴서가 반드시 필요 하며, 이는 무효전력을 보상해야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유도발전기의 역률은 발전기 제작시 제조사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값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다고 했을 때 역률 0.8정도로 동작한다고 가정 할 수 있다. 1.5MW 크기의 정격 출력을 가지기 때문에 이때 필요한 무효전력 값은 다음 수식으로 계산 할 수 있다.

(2)
$Q_{req}=\sqrt{\left(\dfrac{1}{\cos^{2}\Phi}-1\right)p^{2}}$

(3)
$Q_{req}=P\bullet\tan\Phi$

이에 따라 tanΦ는 0.75의 값을 가지게 되고, 1.5MW 용량의 유도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1.125MVar의 무효전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는 생각보다 많은 양의 무효전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통 연계 시, 접속지점의 전압저하로 계통연계에 불리하게 작용 할 수 있다. 전압이 떨어지는 양은 접속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해당 연계 지점에서 본 특성을 반영하여 시뮬레이션 하고 이에 대한 대책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4.1 TEG의 한전 계통 연계

실증사업을 통해 TEG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예상 설치시점은 2021년이고 본격적인 가동은 2022년에 시행되게 된다. 따라서 본 분석에 활용한 데이터는 한전 계통 2022년 DB를 사용하였다. 또한 정안사업소는 위치상 154kV 화성변전소와 연계되게 되므로 화성변전소에 TEG 발전기를 연계하여 계통의 영향을 살펴보도록 한다.

표 1. 유도발전기와 동기발전기의 특징 비교

Table 1. Comparison of an induction generator and a synchronous generator

비교항목

유도 발전기 (IG)

동기 발전기 (SG)

회전자의 구조

구조적으로는 농형3상 전동기와 동일하지만 회전자의 구조는 단순하고 절연할 필요도 없이 견고함

동기 발전기의 회전자계형에는 돌극형과 원통형이 있으며 모두 여자권선을 가지고 있으므로 회전에 대한 강도와 권선의 절연 등이 필요함

여자장치

상용전원으로부터 여자 전류를 공급받으므로 필요 없음

발전하기 위하여 여자 장치가 필요함

운전상의 제약

상용 전원에 접속하여 여자전류를 공급받지 못하면 운전이 불가능함. 비상용 발전기로는 사용이 불가능 함.

상용전원 등 다른 전력계통과 병렬운전은 물론 단독운전도 가능함

발전 출력

총 부하가 발전기의 출력에 비하여 큰 경우에는 언제나 100%의 부하에서 효율이 좋은 운전을 할 수 있음.

계통연계 운전 시에는 총 부하가 발전기 출력에 비하여 큰 경우에는 100%의 부하에서 효율이 좋은 운전을 할 수 있고, 단독 운전 시에는 부하의 용량에 따라서 출력이 결정됨

역률

다른 전원으로부터 여자전류를 받으므로 역률이 나쁨. 역률 개선용 콘덴서가 필요함.

진상, 지상 역률이 가능함

전압, 주파수의 조정

조정을 할 수 없으므로 계통의 전압, 주파수에 따름

단독운전에서는 임의로 조정이 가능함

병렬 운전

조정기는 필요없으나 여자돌입전류가 흘러서 계통전압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음

조정기로 동기투입을 시킬 필요가 있음

보호 회로 (전기사업법에 근거한 보호장치는 필요)

송전력 계전기 및 전력회사가 요구하는 계전기가 필요함

계통연계 운전 시에는 송전력 계전기 및 전력회사가 요구하는 계전기가 필요하지만 단독운전 시에는 필요 없음

상용 정전 시에 상용으로의 역전류

가능성 없음(상용전원이 정전되면 출력전압이 없어짐)

계통연계 운전 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호회로가 필요하지만 단독운전 시에는 필요 없음

단락사고의 경우

단락전류의 감쇄가 빠르고 지속단락전류는 흐르지 않음

복권식 자동전압 조정기의 경우는 지속전류가 흐름

발전기

SG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소경량 및 가격이 저렴함

보통

보수성

SG에 비하여 약간 쉬움

보통

잘 알려져 있는 대로, 화성변전소는 345kV에서 154kV로 변압하는 변전소이며, 아산 변전소로부터 상당히 많은 양의 조류가 집중되는 변전소로써 전력계통에서는 취약 모선에 해당한다. 따라서 전압 불안정에 대한 가능성도 높은 편이며, TEG가 무효전력을 추가로 소모하는 형태이므로 계통연계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실증사업에 사용되는 TEG는 앞서 언급한대로 유도 발전기이고, 무효전력을 소비하는 형태이며 전압 제어능력과 주파수 제어 능력이 없기 때문에 계통해석을 위해서는 발전기로 모델링 하는 것보다는 부하로 모델링을 하여 유효전력 부하값은 음수로, 무효전력 부하값은 양수로 하여 유도 발전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한전 계통 DB에는 154kV 변전소 까지만 계통에 구성되어 있고, 22.9kV 배전선로에 대해서는 모델링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TEG가 연계되는 22.9kV 배전선로에 대한 모델링도 필요하다. 본 해석에서는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기 위하여, TEG가 설치되는 위치가 배전선로 말단에 위치하여 배전계통 송전전압보다 약 10% 감소한 지점에서 연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림. 4. TEG 시스템 구성

Fig. 4. Configuration of TEG system

../../Resources/kiee/KIEEP.2020.69.4.207/fig4.png

4.2 전압제어 방안

분산전원 연계 기술기준에 의하면 발전기를 배전선로에 연계하게 될 때 상시 전압변동률은 3% 이하로 가져가야한다. 이는 배전계통에 어떠한 발전기가 갑자기 투입되거나 갑자기 탈락하게 되더라도 전력계통에 주는 영향이 작아야 한다는 의미로써 상승 3%, 하강 3%를 모두 만족해야 한다. TEG 발전기는 유도형 발전기이고 발전할 때 무효전력을 생성하는 것이 아닌 소비하는 형태이므로, 투입시에는 무효전력 소비로 인한 전압 강하가 예상되며, 탈락시에는 전압

그림. 5. TEG 시스템 구성

Fig. 5. Equivalent circuit of STATCOM

../../Resources/kiee/KIEEP.2020.69.4.207/fig6.png

상승이 예상된다. 이와 같은 모든 상황에서 전압변동은 3% 이하로 되어야 하며, 계통의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무효전력 보상이 필요할지 아닐지가 결정되게 된다.

전압강하와 상승을 모두 고려하는 보상장치를 생각하여, STATCOM 설치하는 방안을 가정해 보고자 한다. 실제로 TEG 실증사업에서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무엇으로 할 것 인지는 결정되지 않았지만, 계통의 전압을 변동시키지 않는 효과적인 보상방안으로 캐패시터와 리액터 성분을 모두 지니고 있는 STATCOM으로 전압을 제어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도록 한다. 기본적인 STATCOM 회로는 아래 그림과 같다(5).

그림. 6. STATCOM 제어 블락 다이어그램

Fig. 6. STATCOM control block diagram

../../Resources/kiee/KIEEP.2020.69.4.207/fig5.png

(4)
$L_{s}\dfrac{di_{as}}{dt}=-R_{s}i_{as}+V_{as}-V_{al}$

(5)
$L_{s}\dfrac{di_{bs}}{dt}=-R_{s}i_{bs}+V_{bs}-V_{bl}$

(6)
$L_{s}\dfrac{di_{cs}}{dt}=-R_{s}i_{cs}+V_{cs}-V_{cl}$

(7)
$\dfrac{d}{dl}\left(\dfrac{1}{2}CV_{dc}^{2}(t)\right)=-[V_{as}i_{as}+V_{bs}i_{bs}+V_{cs}i_{cs}]$

(8)
\begin{align*} \dfrac{d}{dl}\left[\begin{aligned}\begin{aligned}i_{ds}\\i_{qs}\end{aligned}\\V_{dc}\end{aligned}\right]= \end{align*} $ \begin{bmatrix}-\dfrac{R_{s}}{L_{s}}\omega \dfrac{K}{L_{s}}\cos\alpha \\-\omega -\dfrac{R_{s}}{L_{s}}\dfrac{K}{L_{s}}\sin\alpha \\-\dfrac{3K}{2C}\cos\alpha -\dfrac{3K}{2C}\sin\alpha -\dfrac{1}{R_{c}C}\end{bmatrix}\left[\begin{aligned}\begin{aligned}i_{ds}\\i_{qs}\end{aligned}\\V_{dc}\end{aligned}\right]-\dfrac{1}{L_{s}}\left[\begin{aligned}\begin{aligned}i_{ds}\\i_{qs}\end{aligned}\\0\end{aligned}\right]$

(9)
$p_{l}=\dfrac{3}{2}V_{dl}i_{ds}$

(10)
$q_{l}=\dfrac{3}{2}V_{dl}i_{qs}$

4.3 전압제어 효과 및 계통 연계 영향

설치를 계획 중인 TEG는 무효전력을 소비하는 형태의 유도발전기이지만 용량이 1.5MW에 불과하기 때문에 사실상 계통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EG를 계통에 연계한 상태에서 갑자기 탈락을 시키는 해석을 수행한 결과 나타나는 전압 변동은 약 0.1%이하로 순시전압 변동률 3%보다 크게 작은 수치이다. 따라서 TEG가 계통에 연계되더라도 전압 문제로 인한 계통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연계된 배전선로의 갑작스런 부하 변동 등 외부 요인에 의한 변동이 발생하였을 때, 특히 밤늦은 시간 경부하 또는 한낮의 중부하 시간대에는 전압 변동의 요소가 다소 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약간의 전압제어 장치 또는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설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EG가 소비하는 최대 무효전력 소비량이 1.125MVar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양을 설치한다면 전혀 문제가 없겠지만, 위 값은 역률을 0.8로 가져가는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값이므로 이보다는 다소 작게 가져가더라도 전혀 문제가 없을 것이다. 또한 계통에서 제공되는 무효전력 값도 충분하므로 무효전력 보상은 다소 작아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 2. TEG 설치 전후 화성 변전소의 전압 변화

Table 2. Voltage change of Hwaseong bus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the TEG

Bus Name

Voltage (p.u)

Before installation of the TEG

After installation of the TEG

Hwaseong 154kV

1.0458

1.0448

그림 7에는 TEG가 갑자기 고장으로 트립되었을 때 무효전력 보상량 변화에 따른 위상 변동에 대한 그래프이다. 표4는 무효전력 보상량 변화에 따른 화성 모선의 전압변화를 보여준다. 그림7표4에 따르면 무효전력 보상이 전압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무효전력 보상량이 더 많이 투입 될수록 전압개선의 효과는 더 좋아지고 있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무효전력 보상의 투입량을 늘리는 것이 그 효과대비 유리하다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서 실제 필요한 용량을 적절히 산정하고 이에 따라 무효전력 보상량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그림. 7. 보상량 변화에 따른 TEG 고장 시 위상 변동

Fig. 7. Angle spread comparison with variable compensations

../../Resources/kiee/KIEEP.2020.69.4.207/fig7.png

표 3. 무효전력 보상에 따른 화성 모선의 전압 변화

Table 3. Voltage of bus with variable reactive power compensation

Capacity of compensation

Voltage of Bus (p.u)

No compensation

1.0448

0.281MVar

1.0451

0.562MVar

1.0453

0.843Mvar

1.0455

1.125Mvar

1.0458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천연가스 감압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TEG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실제 적용 완료한 시범사업과 현재 진행 중인 실증사업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히 TEG를 계통에 연계할 때 필요한 전제조건을 정리하였으며, TEG가 계통에 연계 될 때 영향을 분석하고, 전압제어를 위한 무효전력 보상방안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순시 전압 영향은 0.1%정도로 매우 미미 하여 TEG가 계통에 연계되더라도 전압 측면에서 악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특별한 무효전력 보상이 없더라도 운영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갑작스런 부하 변화 등에 대해서는 향후 무효전력 보상에 대한 필요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실제 운영될 때 면밀히 분석하여 보상량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TEG는 전기를 생산하는 도중에 온실가스 배출이 없고, 연료를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로 보아도 무방한 고품질 에너지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에 국내에 소재하는 가스 공급관리소에 확대 설치된다면 우리나라의 에너지 시장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under Grant 20193510100040.

References

1 
Seong Ho Hong, Kyung Chun Kim, Hyun Seok You, Jong Man Ha, 2012, Research Articles : Turbo Expander Power Generation Using Pressure Drop at Valve Station in Natural Gas Transportation Pipelin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for GAS, Vol. 16, No. , pp. 1-7DOI
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Dec 2012,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ation PlanGoogle Search
3 
KOGAS Research Institute, Oct 2015, Localization of TEG Technical plan (plan) serviceGoogle Search
4 
H Kim, H You, K Choi, 2020, A Study on Inter- connecting to the Power Grid of New Energy Using the Natural Gas Pressure, J. Electr. Eng. Technol., Vol. 15, pp. 307-314DOI
5 
Muthyala Madhuri, Babita Nanda, 2 Aug 2015, Voltage Regulation of Statcom by using fuzzy logic controller, International Journal of Professional Engineering Studies, Vol. 5DOI

저자소개

김형태 (Hyoungtae Kim)
../../Resources/kiee/KIEEP.2020.69.4.207/au1.png

2016년 공주대학교 대학원 산업시스템공학과 박사 졸업. 2013년~현재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수소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유현석 (Hyunsuk Yoo)
../../Resources/kiee/KIEEP.2020.69.4.207/au2.png

1992년 인하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석사 졸업. 1992년~현재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수소기술연구소 소장.

최경식 (Hyunsuk Yoo)
../../Resources/kiee/KIEEP.2020.69.4.207/au3.png

2002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석사 졸업. 2002년~현재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수소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김진욱 (Jinwook Kim)
../../Resources/kiee/KIEEP.2020.69.4.207/au4.png

2009년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졸업. 2011년 동 대학원 기계공학과 석사 졸업. 2013년~현재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수소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강일오 (Il-oh Kang)
../../Resources/kiee/KIEEP.2020.69.4.207/au5.png

2012년 동아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졸업. 2013년~현재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수소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박소진 (Sojin Park)
../../Resources/kiee/KIEEP.2020.69.4.207/au6.png

2012년 경북대학교 화학공학과 학부 졸업. 2014년 동 대학원 화학공학과 석사 졸업. 2016년~현재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선임연구원.

한상욱 (Sangwook Han)
../../Resources/kiee/KIEEP.2020.69.4.207/au7.png

2004년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전파공학부 졸업. 2006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석사 졸업. 2012년 동 대학원 전자전기공학과 박사 졸업. 2012년~2016년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선임연구원, 2016년~현재 동서울대학교 전기정보제어공학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