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병찬
(Byeong-Chan Oh)
1iD
서혁준
(Hyuk-Jun Seo)
2iD
강혜겸
(Hye-Kyeom Kank)
2
김성열
(Sung-Yul Kim)
2
모제스 아모아시 아쿠아
(Moses Amoasi Acquah)
†iD
-
(Dep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Kwimyung University, Korea.)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Support Vector Regression, Long Short Term Memory, Gate Recurrent Unit, Electrical Load forecasting
1. 서 론
최근 국내외 전력시장은 정부 차원에서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 에너지의 보급을 확대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중심의 청정에너지 체제로의 전환을 위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20%까지 높인다는 계획을 밝혔다.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불확실성은 전력수급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공급 예비율 감소, 계통한계가격
증가 등 전력수급계획에 차질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서는 정확한 전력수요 예측이 필수적이다.
기존 전력수요 예측은 주로 시계열 예측기반 및 전통적인 머신러닝 기반의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1). 이러한 예측 방법들은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예측하기 때문에 모델 선정, 파라미터 튜닝에 따른 성능이 크게 좌우되었으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급작스러운 기후변화에 따른 변동성을 예측결과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반의 전력수요 예측 모델이 제안되고 있다(2-3). 인공지능 기법은 전력수요와 기상요소와 같은 다양한 변수들의 복잡한 관계를 쉽게 모델링 해줄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그 중 순환신경망(Rucurrent
Neural Network, RNN)기법을 통해 시계열 데이터를 예측할 경우 정확도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RNN 같은 경우 가중치
학습 과정에서 기울기 소실 문제와 같은 학습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RNN의 단점을 보완하여 데이터의 장기의존성(Long Term Dependency)을
고려한 LSTM(Long Short-Term Memory)과 LSTM의 연산량을 감소시킨 모델인 GRU(Gate Recurrent Unit)가 제안되고
있다(4-5). LSTM, GRU는 현재 건물에 에너지 소비 예측 등과 같이 시계열 데이터 예측과 단기 전력수요 예측에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기 전력수요예측 성능 비교를 위해 기존 전력수요예측에 성능이 우수한 기계학습 기반의 SVR과 LSTM 및 GRU의 예측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전력수요예측에 사용될 모델에 대하여 서술하며 3장에서는 데이터 예측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4장에서는 사례연구 결과에
대해 서술하며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결론을 서술한다.
2. 본 론
2.1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기계학습 기법인 SVR은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일반화한 기법으로, 서포트 벡터 간의 거리 내에 최대한 많은 데이터를
포함하게 하는 최적의 초평면을 찾아 데이터를 예측하는 기법이다. SVR은 기상, 금융, 수요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6).
SVR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한 기본 모델 식은 식(1)과 같은 선형 함수를 추정한다.
여기서 $w$는 회귀계수 , $b$는 편향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외란과 과적합 방지를 위한 SVR을 구현하기 위해서 오류를 허용하는 여유변수를
추가하여 학습시키며, 가능한 편차가 $\epsilon$이내로 유지하면서 마진을 최소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xi$,$\xi^{*}$는 여유변수, $C$는 모델 튜닝을 위한 정규화(Regularization) 하이퍼파라미터 값을 의미한다. 제약조건을
고려한 목적함수를 최적화하는 식은 라그랑주 승수법을 통해 쌍대문제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으며,
식(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1. 비선형 데이터 예측을 위한 SVR모델
Fig. 1. SVR model for predicting nonlinear data
여기서$\alpha_{i},\:\alpha_{j}$ 는 라그랑주 승수를 의미한다. SVR은 기본적으로 선형예측 기법이며,
식(4)와 같은 RBF(Raidal Basis Function) 커널함수를 사용하여 비선형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여기서 $x_{i}$, $x_{j}$는 전력수요 예측 변수, $\gamma$는 RBF 커널 계수를 의미한다.
2.2 LSTM(Long Short Term Memory)
LSTM Hochreiter, Schmidhuber에 의해 제안된 순환신경망 모델이며 단기간 및 장기간에 걸친 시계열 데이터를 학습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모델이다(7). LSTM은 Fig 2와 같이 RNN이 가지고 있는 기울기 소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망각 게이트인 $f_{t}$와, 입력 게이트인 $i_{t}$ 및 $\widetilde
C$, 마지막으로 출력 게이트인 $o_{t}$ 및 $h_{t}$ 3가지 게이트를 이용하여 기울기 소실 문제를 해결한다.
LSTM의 첫 번째 단계는 망각 게이트에 해당하는 단계이며 시그모이드 레이어를 통해 과거 데이터 중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f_{t}$는 망각 게이트 출력 값, $\sigma$는 시그모이드 레이어, $h_{t-1}$은 이전 셀에서의 데이터, $x_{t}$는 새로운
데이터, $W_{f}$와 $b_{f}$는 가중치 및 편향을 의미한다. 망각 게이트는 0과 1 사이의 출력 값을 가지며 출력값이 1이면 값을 온전히
유지하고, 0이면 값을 버리게 된다.
그림. 2. LSTM 기본구조
Fig. 2. LSTM basic structure
LSTM 두 번째 단계는 입력 게이트 단계이며 시그모이드 레이어를 통해 데이터를 업데이트할지 결정하고, $tanh$ 레이어를 통해 학습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의 후보를 추가하는 역할을 한다. 식(6~7)은 입력게이트를 나타내는 수식으로, 활성화함수를 다르게 사용하여 다음 셀로 전달할 정보를 선별한다.
여기서 $W_{i},\:W_{c}$와 $b_{i},\: b_{c}$는 가중치를 의미한다. 그 후 과거 셀의 정보인 $C_{t-1}$과 현재 입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식(8)을 통해 셀 스테이트를 업데이트한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는 출력 게이트 단계이며 시그모이드 레이어($\sigma$)와 tanh 레이어를 통해 출력값인 $h_{t}$를 결정한다.
여기서 $W_{o}$와 $b_{o}$는 가중치를 의미한다. LSTM은 기존 RNN에 비하여 연산량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지만 데이터간의 연관성 보완함으로써
장기 의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3 GRU(Gate Recurrent Unit)
GRU는 2014년 Kyung Hyun Cho 등에 의해 제안된 기법이며 LSTM의 간소화된 버전으로 연산량을 감소시킨 모델이다(8).
그림. 3. GRU 기본구조
Fig. 3. GRU basic structure
GRU는
Fig 3과 같이 리셋 게이트와 업데이트 게이트로 구성되며 각 게이트 연산과 입력정보 처리, 은닉층 계산 총 네 단계를 통해 진행한다. 먼저 리셋 게이트는
현재 입력데이터 $x_{t}$와 이전 셀에서 전달된 $h_{t-1}$를 통해 과거 정보의 일부를 지우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r_{t}$,$W_{r}$, $b_{r}$는 리셋 게이트 출력 값과 가중치 및 편향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업데이트 게이트는 LSTM에서 존재하는
망각게이트와 입력게이트 두 역할을 모두 수행하며 과거 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고 현재정보를 얼마만큼 적용할지 가중치를 결정한다. 업데이트 게이트에 대한
수식은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z_{t}$,$W_{z}$, $b_{z}$는 업데이트 게이트 출력 값과 가중치 및 편향을 의미한다. 이후 현재 데이터 정보 후보군을 계산하는
단계에서는 은닉층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식(13)과 같이 리셋 게이트 결과 값을 곱하여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업데이트게이트 결과와 후보군 계산 값을 결합하여 현시점의 은닉층을 계산한다. 여기서 시그모이드 레이어를 통해 현시점의 데이터 정보와 과거
데이터 비율을 결정하게 되며
식(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LSTM과 GRU는 구조상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지만 GRU는 학습할 가중치가 LSTM보다 적기 때문에 연산속도에 이점이 존재하며 적은 데이터로도
높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3. 시스템 구성
3.1 입력변수선정
단기적으로 전력수요는 기상요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전력거래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거 전력수요데이터와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상요소를 이용하였다. 이때 생활기상지수인 불쾌지수 및 체감온도 또한 전력수요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고려하였으며 이는 기온, 풍속,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식(15)~(16)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THI는 불쾌지수, T는 온도(℃), RH는 상대습도(%)를 의미하며, $T_{w}$는 체감온도(℃), V는 풍속(m/s)을 의미한다.
특히 기상요소는 같은 시간대에서 지역별 값이 상이하며 이는 지역별 기온에 따른 전력수요 변화정도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 1과 같이 인구 밀도를 고려하여 지역별 가중치를 적용하였으며 이는 전력거래소의 기준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9).
표 1. 지역별 가중치의 적용
Table 1. Application of regional weights
지역
|
가중치
|
서울
|
0.5
|
대전
|
0.1
|
대구
|
0.12
|
광주
|
0.8
|
부산
|
0.2
|
3.2 상관관계 분석
낮은 상관성을 보여주는 인자를 입력데이터로 사용할 경우 학습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상관분석을 통해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데이터를 먼저
선정해야 한다. 여기서 전력수요와 기상요소간의 상관성은 계절에 따라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Fig 4는 각 4계절에서 특정 요일(수요일)에 대한 기온과 전력수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각 구간마다 전력수요는 기온과의 상관관계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통계적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SVR 같은 경우 전력수요와 입력 데이터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계절적 구분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림. 4. 각 계절의 수요일에 대한 24시간 부하 및 온도
Fig. 4. 24-hour load and temperature on Wednesday of each season
본 논문에서는
표 2와 같이 전력거래소에서 선정한 구간 구분 기준을 이용하여 4구간으로 나누었으며 각 구간마다 예측을 진행하기 위한 입력변수를 성정하였다. 여기서 각
구간별 전력수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식(17)과 같은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rho$는 피어슨 상관계수, a는 입력변수, b는 전력수요, N은 a, b의 데이터 개수를 의미한다.
상관계수는 +1과 –1사이의 값을 가지며 상관계수의 절대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데이터 간 상관관계가 높고, 0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없음을 의미한다.
표 2. 전력거래소 구간 구분 기준
Table 2. Standard for division of KPX
1구간
|
1월 10일 이후 첫째 월요일
|
2구간
|
5월 5일 이후 월요일~목요일에 해당하는 첫째 요일
|
3구간
|
8월 23일 이후 첫째 월요일
|
4구간
|
10월 3일 이후 첫째 월요일
|
3.3 데이터 정규화(Normalization)
전력수요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는 그 크기가 모두 다르며 모델 학습을 위해서는 입력데이터 규모를 동일하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규화
작업은 큰 범위를 가진 입력변수의 영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해주고 오버피팅을 방지하며 학습 시간을 단축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식(18)와 같이 데이터 정규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여기서 $X_{i}$는 각 데이터, $X_{max,\:i},\:X_{min,\:i}$은 데이터 내 최대값과 최소값을 의미한다.
3.4 모델 학습을 위한 하이퍼파라미터 선정
본 논문에서는 각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표 3.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정보
Table 3. Information of Hyperparameters
Model
|
Hyper Parameter Information
|
Condition
|
SVR
|
Kernel
Kernel Coefficient
Regularization
Deviation cutoff
|
RBF
$\gamma\in[0.1,\:50],\:\triangle\gamma =0.1$
$C\in[0.1,\:100],\:\triangle C=0.2$
$\varepsilon\in[0.01,\:10],\:\triangle\varepsilon =0.01$
|
LSTM
|
Epoch
Batch size
Optimizer
Layer
Units
|
$e\in[5,\:5000],\:\triangle e=10$
$b\in[7,\:256],\:\triangle b=7$
$[adam,\:rmseprop]$
$l\in[5,\:50],\:\triangle l=2$
$u\in[1,\:900],\:\triangle u=10$
|
GRU
|
Epoch
Batch size
Optimizer
Layer
Units
|
$e\in[5,\:5000],\:\triangle e=10$
$b\in[7,\:256],\:\triangle b=7$
$[adam,\: \:rmseprop]$
$l\in[5,\:50],\:\triangle l=2$
$u\in[1,\:900],\:\triangle u=10$
|
3.5 예측 성능 평가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오차함수는 RMSE (Root Mean Square Error 및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n은 테스트 데이터의 개수, $L_{forecast ,\:i}$는 i번째 전력수요의 예측 값, $L_{actual,\:i}$는 i번째 전력수요의
실제 값을 의미한다.
4. 사례연구
본 논문에서는 2019년 국내 전력수요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서 2010~2018년도 KPX 전력수요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또한 요일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예측 일자를 각각 평일 :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 주말 : 토요일, 일요일, 월요일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결과 분석을
위한 실험환경은 표 4와 같다.
표 4. 사례연구를 위한 실험환경
Table 4. system environment for case study
구성요소
|
규격
|
OS
|
Window 10
|
CPU
|
Intel(R) Core(TM) i7-9700K
|
RAM
|
32GB
|
GPU
|
GeForce RTX 2080
|
Python
|
3.6
|
입력변수 선정은 위해서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상요소인 불쾌지수, 체감온도(℃), 기온(℃), 상대습도(%), 풍속(m/s), 기압(mBar)을
이용하였으며 SVR, LSTM 및 GRU 모델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셋은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여기서 SVR같은 경우 예측성능 향상을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상관계수 절대 값이 0.4 이상인 인자들을 선정하여 입력변수로 사용하였다.
표 5는 입력변수와 전력수요 간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값이며 상관관계 분석 결과, 기온과 생활기상지수인 체감온도, 불쾌지수가 각 구간에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풍속 같은 경우 3구간에서 비교적 높은 계수를 가지며 습도는 4구간에서 비교적 높은 계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델 최적화를 위한 파라미터 튜닝을 위해 표 4와 같이 각 모델에서의 파라미터 튜닝을 통해서 최적화 작업 진행하였다. SVR은 파라미터 튜닝을 통해서 모델 최적화 결과는 아래 표 6와 같다.
표 5. 계절 구간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결과
Table 5.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according to seasonal period
|
1구간
|
2구간
|
3구간
|
4구간
|
온도
|
-0.43
|
0.72
|
0.71
|
-0.44
|
체감온도
|
-0.45
|
0.71
|
0.70
|
-0.47
|
불쾌지수
|
-0.37
|
0.67
|
0.65
|
-0.37
|
운량
|
-0.07
|
0.04
|
0.23
|
-0.09
|
풍속
|
0.17
|
0.36
|
0.49
|
0.30
|
습도
|
-0.37
|
-0.27
|
-0.27
|
-0.59
|
표 6. SVR 하이퍼파라미터 결과
Table 6. results of SVR Hyperparameters
Model
|
Parameter
|
Condition
|
SVR
|
Section
|
1구간
|
2구간
|
3구간
|
4구간
|
Kernel Coefficient
|
1.2
|
2.3
|
1.5
|
3.1
|
Regularization
|
9.8
|
39.6
|
5.2
|
10.4
|
Deviation Cutoff
|
0.1
|
0.11
|
0.11
|
0.1
|
LSTM
|
Epoch
|
300
|
Batch size
|
168
|
Optimizer
|
adam
|
Layer
|
10
|
Units
|
100
|
GRU
|
Epoch
|
250
|
Batch size
|
168
|
Optimizer
|
adam
|
Layer
|
8
|
Units
|
80
|
표 7. 전력수요 예측 오차 결과 및 비교검증 : Weekday
Table 7. Power demand prediction error result and comparative verification : Weekday
Error Value
|
SVR
|
LSTM
|
GRU
|
RMSE [MW/h]
|
1586.28
|
1700.23
|
1420.73
|
MAPE[%]
|
1.72
|
1.82
|
1.41
|
표 8. 전력수요 예측 오차 결과 및 비교 검증 : Weekend
Table 8. Power demand prediction error result and comparative verification : Weekend
Error Value
|
SVR
|
LSTM
|
GRU
|
RMSE
|
2301.49
|
1971.22
|
1934.42
|
MAPE
|
2.78
|
2.41
|
2.37
|
표 7은 주중 전력수요 예측 결과에서 MAPE 및 RMSE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GRU로 예측했을 시 SVR 및 LSTM보다 0.31[%], 0.41[%]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예측모델을 사용했을 경우 비교적 낮은 오차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주중 전력수요 같은 경우 대부분의 예측 일자에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8에서는 주말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경우 SVR의 기법의 MAPE 값은 2.78%로 분석되었으며 LSTM 및 GRU는 각각 2.41%, 2.37%로 주말
또한 GRU로 예측했을 시 SVR 및 LSTM보다 0.41[%], 0.04[%]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말 전력수요 예측 또한 GRU예측
결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그림. 5. 모델별 예측 결과
Fig. 5. Prediction Result by each model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국내 전력수요 예측을 위해 SVR, LSTM 및 GRU 기반의 예측기법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두 모델의 전력 데이터는 KPX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기상 데이터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단기 전력수요 예측을 위해 주중 및 주말로 구분하여 예측하였으며
2010~2018년도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2019년도 전력수요 데이터를 예측하였다. 각 모델별 최적화를 위해 모델을 구성하는 하이퍼 파라미터 튜닝을
진행하였으며 전력수요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해 정규화 작업 및 입력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단기 전력수요에서 기상요소간의 지역별 전력수요
변화정도를 적용하기 위해 전력거래소에서 제공하는 기상요소 민감도를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각 예측 모델별 예측오차를 분석했을 경우, 주중 및 주말 전력수요 예측에서 GRU 모델이 LSTM 및 SVR 모델보다 높은 예측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셋 구성과 학습 데이터 수, 파라미터 튜닝에 따라서 예측 모델성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모델별 정확한 예측성능 분석을
위해 데이터 셋 구성 및 파라미터 선정에 따른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
향후 기존 모델 대비 예측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력수요와 입력데이터간의 관계성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CNN기법을 이용하여 LSTM 또는 GRU와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델 개발을 통해서 전력수요 예측성능을 향상시키는 모델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20NSPS-B155067-03).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C. H. Kim, 2013, Estimating Short-Term Load Forecasting in Korea Using Multiple exponential
Smoothing, KERI
Kyeong-Hwan Kim, Rae-Jum Park, Se-Won Jo, Kyung-Bin Song, 24-Hour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Summer Weekday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1, No. 12,
pp. 113-119
Y. He, Q. Xu, J. Wan, S. Yang, Aug 2016, Short-term power load probability density
forecasting based on quantile regression neural network and triangle kernel function,
ELSEVIER Energy, Vol. 114, pp. 498-512
Si-Eun Jeong, 2020,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short-term electricity demand forecasting
model using LSTM, Depart- 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Ji-Su Kim, Oh-Eun Kwon, Hee-Jin Kwak, Seong-Hoon Lee, Jeong-Ho Jang, Si-Eun Yang,
Woong-Chan Hwang, Deok-Woo Lee, Keimyung University, K-WATER, 2019.11, LSTM based
intelligent forecasting power load and SMP,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115-117
Byeong-Chan Oh, Sung-Yul Kim, 2019, Development of SVR based Short-term Load Forecasting
Algorithm,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 Vol.
68, No. 2, pp. 95-99
Hochreiter Sepp, Schmidhuber Jurgen, 1997,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computation,
Vol. 9, No. 8, pp. 1735-1780
K. Cho, 2014, Learning phrase representations using RNN encoder-decoder for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Korea Power Exchange, 2015, Development of Real-Time Load Forecasting Technique and
A Study on On-Line Load Forecasting Scheme
저자소개
2018년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졸업.
2020년 동 대학원 전자전기공학과 졸업 현재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E-mail: obchan08@gmail.com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학부과정
E-mail: rual7654@naver.com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학부과정
E-mail: rual7654@naver.com
2007년 한양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졸업.
2012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2012년~2013년 미국 Georgia Institute of Tech- nology, PSCAL 연구원.
현재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조교수.
모제스 아모아시 아쿠아(Moses Amoasi Acquah)
2013년 University of Ghana 컴퓨터공학과 졸업(학사)
2014년 University of Ghana 컴퓨터공학과 졸업(석사)
2018년 경북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공박)
현재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