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2.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Seoil University, Korea.)



PV module, Cover glass, Anti-pollution, Hydrophilic, Field test

1. Introduction

태양광발전은 빛에너지를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술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친환경에너지 발전기술의 움직임이 확산함에 따라 태양광발전의 시장규모가 성장될 전망이다(1,2). 태양광 모듈은 옥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미세먼지, 황사, 송진 가루, 동물의 배설물 등의 오염물질이 부착된다. 오염물질이 제대로 세정이 되지 않으면, 광투과율이 저하되고 자연적인 세정 효과가 떨어지므로 이로 인한 태양광 발전효율의 감소로 경제성이 낮아진다. 또한, 오염으로 인한 음영으로 인한 hot-spot이 발생하여 태양광 모듈의 수명이 줄어든다(3,4). 태양광 모듈은 높은 지붕에 부착되거나 옥상에 설치되고 지상에 설치된 모듈 중에서는 시가지 외에 설치되어 세정과 관리 등 유지보수에 큰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단점은 태양광 모듈용 덮개유리 위에 오염방지코팅을 하여 오염물질이 비로 쉽게 제거되면 태양광발전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5,6).

오염방지코팅의 적용은 음영으로 인한 hot-spot이 감소하여 발전효율을 증가시켜줄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유지보수에 용이하고 태양광 모듈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오염방지코팅의 내구성이 낮다면 오히려 유지보수 측면에서 오염방지코팅을 적용이 되지 않은 태양광모듈용 덮개유리보다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염방지 코팅을 적용하지 않은 유리 기판과 오염방지 코팅기술이 적용된 태양광 모듈용 덮개유리 기판을 옥외에 설치하고 한 달 동안 내구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오염방지 코팅은 유리 기판 위에 브러시코팅 방식을 적용한 후 열풍기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코팅방식과 열처리 방식의 횟수에 따른 옥외에서의 오염방지코팅을 한 시편의 광투과율과 접촉각을 통해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2. Experimental Details

2.1 실험 방법

실험에 사용될 유리 기판은 태양광 모듈과 같은 소재인 borosilicate cover glass 샘플로 제작하였다. 코팅 공정을 진행하기 전에 세정을 위해 유리 기판을 TCE (trichloroethylene), 아세톤(Acetone), 메탄올(Methanol), D.I water (Deionized water) 순서로 각각 10분 동안 초음파 세척기로 세척한 후 질소가스를 사용하여 건조했다. 오염방지 코팅에 사용된 코팅용액은 실리카(SiO${_2}$), 리튬(Lithium), 칼륨(Kalium) 등이 포함된 무기질 용액이다.

코팅방식은 유리 기판 위에 와이퍼 끝에 천을 씌운 뒤 위에서 아래로 좌에서 우로 코팅하는 브러시코팅(Brush Coating)방식을 적용하였고, 열처리는 열풍기를 200℃의 온도로 2분 동안 수행하였다. 상기 코팅 및 열처리 공정을 적용한 방법을 사용하여 5분 간격으로 2~3회를 적용했다. 내구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광투과율, 접촉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광투과율은 UV-visible spectrophotometer (S-3100, Scinco)로 측정하였고, 접촉각은 접촉각 측정기(Phoenix-HT, S.E.O)로 측정하여 옥외에서 5주 동안 매주 내구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2.2 실험 환경

태양광 모듈용 커버글라스의 내구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옥외에 설치한 기간 동안의 기상청 관측자료를 아래 표에 정리하였다.

표 1. 1주차, 2주차의 기상 관측자료; 2020년 6월 22일~2020년 6월 30일 기상자료

Table 1. Weather observation data for the 1st week and the 2nd week; Weather Data for June 22, 2020 to June 30, 2020

요소

06월

22일

06월

23일

06월

24일

06월

25일

06월

26일

06월

27일

06월

28일

06월

29일

06월

30일

평균

평균기온 (℃)

27.2

27.0

23.0

21.8

23.2

24.6

24.8

22.4

20.3

23.81

상대습도 (%)

66.1

71.4

84.0

91.8

81.5

79.3

75.0

89.9

96.9

81.77

일사 (MJ/㎡)

30.93

21.97

5.68

6.68

19.91

22.10

23.10

10.18

5.13

16.19

평균풍속 (km/h)

5

4.3

7.6

6.5

5.8

2.5

3.6

8.6

5.8

5.52

강수량 (mm)

0.0

0.0

7.3

3.9

0.1

0.0

0.0

41.5

24.5

8.59

표 2. 3주차의 기상 관측자료; 2020년 07월 01일~2020년 07월 07일 기상 자료

Table 2. Weather observation data for the 3rd week; Weather data for July 01, 2020 to July 07, 2020

요소

07월

01일

07월

02일

07월

03일

07월

04일

07월

05일

07월

06일

07월

07일

평균

평균기온 (℃)

20.9

23.5

22.0

21.7

23.5

24.3

24.7

22.94

상대습도 (%)

84.1

76.8

80.9

82.8

81.1

84.8

83.1

81.94

일사 (MJ/㎡)

12.69

23.46

9.31

17.09

17.37

19.73

14.64

16.33

평균풍속 (km/h)

4

4

6.8

5

1.8

4

4

4.23

강수량 (mm)

0.2

0.0

1.0

0.0

0.2

0.2

0.0

0.23

표 3. 4주차의 기상 관측자료; 2020년 07월 08일~2020년 07월 14일 기상자료

Table 3. Weather observation data for the 4th week; Weather data for July 08, 2020 to July 14, 2020

요소

07월

08일

07월

09일

07월

10일

07월

11일

07월

12일

07월

13일

07월

14일

평균

평균기온 (℃)

25.2

26.6

25.4

26.2

22.2

18.8

19.9

23.47

상대습도 (%)

79.9

76.1

85.5

78.9

89.3

97.0

94.8

85.93

일사 (MJ/㎡)

24.22

26.70

18.04

19.14

6.03

3.26

8.89

15.18

평균풍속 (km/h)

2.9

7.6

6.8

4

11.2

12.6

5

7.16

강수량 (mm)

0.0

9.5

11.1

0.0

43.8

117.9

6.1

26.91

표 4. 5주차의 기상 관측자료; 2020년 07월 15일~2020년 07월 21일 기상 자료

Table 4. Weather observation data for the 5th week; Weather Data for July 15, 2020 to July 21, 2020

요소

07월

15일

07월

16일

07월

17일

07월

18일

07월

19일

07월

20일

07월

21일

평균

평균기온 (℃)

21.1

23.2

25.0

25.0

25.6

24.5

25.9

24.33

상대습도 (%)

92.6

84.4

81.1

75.1

85.0

92.9

79.3

84.34

일사 (MJ/㎡)

11.67

20.78

25.94

20.07

14.26

4.44

25.87

17.58

평균풍속 (km/h)

2.2

2.2

2.9

6.1

9.4

7.6

2.2

4.66

강수량 (mm)

9.3

0.0

0.0

0.0

7.2

20.2

0.0

5.24

3. Results and Discussion

실리콘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은 태양광의 파장이 400~900nm일 때 가장 우수하므로 본 실험의 샘플에 대하여 400~900nm 파장 구간의 광투과율의 평균을 측정하였다(7). 그림 1은 1~5주차에 코팅되지 않은 유리 기판의 광투과율을 나타낸다. 광투과율은 1주차에 99.96%, 2주차에 96.60%, 3주차에 96.38%, 4주차에 96.35%, 5주차에 95.95%로 측정되었다. 1주차와 2주차의 차이가 3.36%P로 큰 변화율을 나타내었고 3주차 이후에 0.03~0.4%P의 변화율을 나타냈다.

그림 2는 1~5주차에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공정의 광투과율을 나타낸다. 광투과율은 1주차에 98.93%, 2주차에 98.42%, 3주차에 98.60%, 4주차에 98.42%, 5주차에 98.47%로 측정되었다. 1주차에서 5주차까지 0.05~0.51%P의 변화율로 코팅되지않은 샘플보다 코팅된 샘플의 경우 광투과율이 낮은 변화율을 나타냈다.

그림. 1. 코팅되지 않은 유리 기판의 광투과율; (a) 1주차, (b) 2주차, (c) 3주차, (d) 4주차, (e) 5주차

Fig. 1. Transmittance of uncoated glass substrate; (a) the 1st week, (b) the 2nd week, (c) the 3rd week, (d) the 4th week, (e) the 5th week

../../Resources/kiee/KIEEP.2020.69.4.292/fig1.png

그림. 2.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공정의 광투과율; (a) 1주차, (b) 2주차, (c) 3주차, (d) 4주차, (e) 5주차

Fig. 2. Transmittance of process employed 2 times with anti-pollution coating; (a) the 1st week, (b) the 2nd week, (c) the 3rd week, (d) the 4th week, (e) the 5th week

../../Resources/kiee/KIEEP.2020.69.4.292/fig2.png

그림 3은 1~5주차에 오염방지 코팅을 3회 적용한 공정의 광투과율을 나타낸다. 광투과율은 1주차에 98.18%, 2주차에 98.16%, 3주차에 98.38%, 4주차에 98.37%, 5주차에 98.41%로 측정되었다. 1주차에서 5주차까지 0.01~0.22%P의 변화율로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공정보다 낮은 변화율을 나타냈다.

오염방지 코팅 샘플의 접촉각은 접촉각 측정기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 위에 5μL의 탈 이온수를 한 방울 떨어뜨려 측정하였다. 그림 4는 1~5주차에 코팅되지 않은 유리 기판의 접촉각을 나타낸다. 접촉각은 1주차에 26.44°, 2주차에 51.53°, 3주차에 51.15°, 4주차에 50.84°, 5주차에 58.66°로 측정되었다. 1주차와 2주차의 차이가 25.09°로 큰 변화율을 나타냈고, 상대습도와 강수량이 높은 4주차와 5주차에 7.82°로 다음으로 큰 변화율을 나타냈다.

그림 5는 1~5주차에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공정의 접촉각을 나타낸다. 접촉각은 1주차에 9.27°, 2주차에 12.49°, 3주차에 14.9°, 4주차에 13.29°, 5주차에 20.18°로 측정되었다.

그림. 3. 오염방지 코팅을 3회 적용한 공정의 광투과율; (a) 1주차, (b) 2주차, (c) 3주차, (d) 4주차, (e) 5주차

Fig. 3. Transmittance of process employed 3 times with anti-pollution coating; (a) the 1st week, (b) the 2nd week, (c) the 3rd week, (d) the 4th week, (e) the 5th week

../../Resources/kiee/KIEEP.2020.69.4.292/fig3.png

그림. 4. 코팅되지 않은 유리 기판의 접촉각; (a) 1주차, (b) 2주차, (c) 3주차, (d) 4주차 ,(e) 5주차

Fig. 4. Contact angle of uncoated glass substrate; (a) the 1st week, (b) the 2nd week, (c) the 3rd week, (d) the 4th week, (e) the 5th week

../../Resources/kiee/KIEEP.2020.69.4.292/fig4.png

그림. 5.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공정의 접촉각; (a) 1주차 (b) 2주차 (c) 3주차 (d) 4주차 (e) 5주차

Fig. 5. Contact angle of process employed 2 times with anti-pollution coating; (a) the 1st week (b) the 2nd week (c) the 3rd week (d) the 4th week (e) the 5th week

../../Resources/kiee/KIEEP.2020.69.4.292/fig5.png

또한, 상대습도와 강수량이 높은 4주차와 5주차에 6.89°로 큰 변화율을 나타냈지만 코팅되지 않은 샘플보다 낮은 변화율을 나타냈다.

그림 6은 1~5주차에 오염방지 코팅을 3회 적용한 공정의 접촉각을 나타낸다. 접촉각은 1주차에 9.8°, 2주차에 10.65°, 3주차에 14.28°, 4주차에 11.56°, 5주차에 12.67°로 측정되었다. 1주차에서 5주차까지 0.85~3.55°의 변화율로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공정보다 낮은 변화율을 나타냈다. 또한, 상대습도와 강수량이 높은 4주차와 5주차에 1.11로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공정보다 변화율이 낮았다.

그림. 6. 오염방지 코팅을 3회 적용한 공정의 접촉각; (a) 1주차, (b) 2주차, (c) 3주차, (d) 4주차, (e) 5주차

Fig. 6. Contact angle of process employed 3 times with anti-pollution coating; (a) the 1st week, (b) the 2nd week, (c) the 3rd week, (d) the 4th week, (e) the 5th week

../../Resources/kiee/KIEEP.2020.69.4.292/fig6.png

1주차~5주차에 코팅하지 않은 유리 기판과 코팅 공정 횟수에 따른 광투과율을 그림 7의 그래프에 정리하였다. 옥외 설치 후 1주 경과된 샘플의 코팅되지 않은 유리 기판을 기준으로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유리 기판과 3회 적용한 유리 기판의 광투과율은 각각 1.03%P, 1.78%P의 차이로 낮게 측정됐다. 2주차 샘플의 광투과율은 각각 1.82%P, 1.56%P의 차이, 3주차 샘플의 광투과율은 각각 2.22%P, 2.00%P의 차이, 4주차 샘플의 광투과율은 각각 2.07%P, 1.99%P의 차이로 높게 측정됐다. 마지막으로 5주차 샘플의 광투과율은 각각 2.52%P, 2.46%P의 차이로 높게 측정됐다.

옥외 설치 후 1주 경과된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유리 기판을 기준으로 3회 적용한 공정의 광투과율은 0.75%P의 차이로 낮게 측정됐다. 2주차 샘플의 광투과율은 0.26%P의 차이, 3주차 샘플의 광투과율은 0.22%P의 차이, 4주차 샘플의 광투과율은 0.05%P의 차이로 낮게 측정됐다. 5주차 샘플의 광투과율은 0.06%P의 차이로 낮게 측정됐다. 하지만 1주차보다 그 차이가 낮음을 확인했다.

1주차~5주차에 코팅하지 않은 유리 기판과 코팅 공정 횟수에 따른 접촉각을 그림 8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옥외 설치 후 1주 경과된 샘플의 코팅되지 않은 유리 기판을 기준으로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공정과 3회 적용한 공정의 접촉각은 각각 17.17°, 16.64°의 차이로 높은 친수성을 나타냈다. 2주차 샘플의 접촉각은 각각 39.04°, 40.88°의 차이, 3주차 샘플의 접촉각은 각각 36.25°, 36.87°의 차이, 4주차 샘플의 접촉각은 각각 37.55°, 39.28°의 차이로 높은 친수성을 나타냈다. 5주차 샘플의 접촉각은 각각 38.48°, 45.99°의 차이로 높은 친수성을 나타냈다.

옥외 설치 후 1주 경과된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유리 기판을 기준으로 3회 적용한 유리 기판의 접촉각은 0.53°의 차이로 낮은 친수성을 나타냈다. 2주차 샘플의 접촉각은 1.84°의 차이, 3주차 샘플의 접촉각은 0.62°의 차이, 4주차 샘플의 접촉각은 1.73°의 차이로 높은 친수성을 나타냈다. 5주차 샘플의 접촉각은 7.51°의 차이로 높은 친수성을 나타냈다.

그림. 7. 1주차~5주차 광투과율; (a) 코팅되지 않은 유리 기판, (b) 2번 코팅, (c) 3번 코팅

Fig. 7. Week 1 to Week 5 transmittance; (a) Uncoated glass substrate, (b) 2 times coating, (c) 3 times coating

../../Resources/kiee/KIEEP.2020.69.4.292/fig7-1.png

../../Resources/kiee/KIEEP.2020.69.4.292/fig7-2.png

그림. 8. 1주차~5주차 접촉각; (a) 코팅되지 않은 유리 기판, (b) 2번 코팅, (c) 3번 코팅

Fig. 8. Week 1 to Week 5 contact angles; (a) Uncoated glass substrate, (b) 2 times coating, (c) 3 times coating

../../Resources/kiee/KIEEP.2020.69.4.292/fig8-1.png

../../Resources/kiee/KIEEP.2020.69.4.292/fig8-2.png

코팅하지 않은 유리 기판은 코팅한 유리 기판보다 친수성이 낮으므로 자연적인 세정작용이 어렵고 이에 따라 계속해서 오염제거가 어려워지면서 광투과율이 감소하여 효율이 저하되며, 광투과율과 접촉각의 변화율이 높음을 확인했다.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공정은 상대습도와 강수량이 많을수록 접촉각 특성이 낮아지고 변화율이 높음을 확인했다. 오염방지 코팅을 3회 적용한 공정은 광투과율과 접촉각 특성의 변화율이 낮음을 확인했다.

4. Conclusion

본 연구에서 오염방지 코팅을 적용하지 않은 유리 기판과 오염방지 코팅을 2회 적용한 유리 기판, 3회 적용한 유리 기판을 옥외에 설치하고 1~5주 동안 내구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옥외 설치 후 1주가 경과된 샘플에서 오염방지 코팅이 2~3회 처리된 유리 기판이 오염방지 코팅이 처리되지 않은 유리 기판보다 광투과율은 낮았지만, 접촉각이 낮아 보다 친수성임을 확인했다. 옥외 설치 후 2주 경과 이후의 샘플부터는 오염방지 코팅이 2~3회 처리된 유리 기판이 코팅기술이 처리되지 않은 유리 기판보다 광투과율과 친수성이 모두 높음을 확인했다.

1~5주차 샘플에서 오염방지 코팅기술이 3회 적용된 유리 기판이 오염방지 코팅기술이 2회 적용된 유리 기판보다 광투과율이 낮게 측정되었지만, 그 차이가 1주차 샘플보다 2~5주차 샘플에서 더 작게 측정되었다. 또한, 옥외 설치 후 1주가 경과된 샘플의 접촉각은 오염방지 코팅을 3회 적용한 유리 기판이 2회 적용한 유리 기판보다 접촉각이 높았지만, 2주가 경과된 후의 샘플부터는 접촉각이 낮아 보다 더 친수성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브러시코팅 방식 및 열풍기를 200℃의 온도로 2분 동안 수행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5분 간격으로 오염방지 코팅을 3회 적용한 유리 기판이 5주 동안 옥외에서 내구성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 그 특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내오염성 코팅을 태양광 모듈용 커버글라스에 적용할 경우 오염방지 성능 향상을 통해 태양광 모듈의 발전효율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지원하는 경제협력권산업 육성사업 (P0002143) 및 한국전력공사 전력산업기초연구개발사업 (R17XA05-01)의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연구결과입니다.

References

1 
V. V. Tyagi, Nurul A. A. Rahim, N. A. Rahim, Jeyraj A. L. Selvaraj, 2013, Progress in solar PV technology: Research and achievement,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20, pp. 443-461DOI
2 
Jeong-Eun Park, Dong-Geon Im, 2017, Photovoltaic market and technology trend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pp. 8-12Google Search
3 
Na-Ri Yoon, Tae-Hee Jung, Yong-Ki Min, Ki-Hwan Kang, Hyeung-Keun Ahn, Deuk-Young Han, 2011, Analysis of degradation by hotspot heating in amorphous silicon PV module,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1, pp. 17-22Google Search
4 
Hyunil Kang, Seung Kwon Shin, Hyungchul Kim, Yonnsik Lim, Youngsik Yoo, Yeun-Ho Joung, Junghyun Kim, Won Seok Choi, 2015, Characteristic Analysis of Functional Nanocoating Films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Annealing Ambient and Fabrication of Anti-pollution PV Modul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4, pp. 182-186DOI
5 
Younghoon Kim, Kyuseok Shim, 2013, Efficiency Com- putation and Failure Detection of Solar Power Generation Panels, Journal of KIISE: Computer Systems and Theory, Vol. 40, pp. 1-7Google Search
6 
Seung-Cheol Yoo, Wonseok Choi, 2017, Characterization of Anti-pollution film according to the Annealing Temperature for PV Module,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p, pp. 117-122DOI
7 
DaeWoo Ihm, Chang Joon Lee, SangHyuk Suh, 2013, Tex- turing Multi-crystalline Silicon for Solar Cell,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 24, pp. 31-37Google Search

저자소개

최원석(Soon-Oh Hwang)
../../Resources/kiee/KIEEP.2020.69.4.292/au1.png

2006년 성균관대 대학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06∼2007년 플라즈마 응용 표면기술연구센터 박사후연구원,

2007년∼현재 한밭대학교 정보기술대학 전기공학과 교수

Tel: 042-821-1094

Fax: 042-821-1088

E-mail: wschoi@hanbat.ac.kr

최혁주(Hyeokjoo Choi)
../../Resources/kiee/KIEEP.2020.69.4.292/au2.png

2013 ~ 현재 한밭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석사통합과정 재학 중.

Tel: 042-821-1624

E-mail: hyukju1210@hanmail.net

이석원(Seokwon Lee)
../../Resources/kiee/KIEEP.2020.69.4.292/au3.png

2019년 한밭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9~현재 한밭대학교 전기재료연구실 소속 석사과정 재학 중

Tel: 042-821-1624

E-mail: dltjrdnjs000@naver.com

황순오(Hyun Suk Hwang)
../../Resources/kiee/KIEEP.2020.69.4.292/au4.png

2021년 한밭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예정,

2019 ~ 2020 한밭대학교 전기공학과 전기재료연구실 학부연구생

Tel: 010-9506-2522

E-mail: speedly5@naver.com

황현석(Wonseok Choi)
../../Resources/kiee/KIEEP.2020.69.4.292/au5.png

2007년 성균관대 대학원 전기전자 및 컴퓨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09∼현재 서일대학교 전기공학과 부교수

Tel: 02-490-7256

E-mail: konae@seoil.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