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준
(Jeong-Jun Lee)
1iD
강선희
(Seon-Heui Kang)
1iD
박광우
(Kwang-Woo Park)
1iD
강건민
(Geon-Min Kang)
1iD
소순열
(on-Youl So)
2iD
김창선
(Chang-Sun Kim)
†iD
-
(WP Co., Ltd Chang-Sun Kim.)
-
(Dept. of Electrical and Contro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PV Optimizer, N-Buck Converter, Solar Power Efficiency, PV panel
1. 서 론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일사량과 온도에 따라 발전 효율이 변동하게 된다. PV 어레이에 건물의 그림자나 이물질 등에 의해 부분 음영이 발생하고, PV
스트링 간에 그리고 PV 어레이 간에 부정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전체적인 태양광 발전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PV
패널의 발전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발전 효율 보상기인 PV 옵티마이저가 필요하다. PV 옵티마이저는 DC-DC 전력변환 장치로써 마이크로 컨버터 방식을
적용하여 각 모듈에서 개별적으로 MPPT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N-벅 컨버터를 이용하여 PV 모듈과 인버터 사이에 전력 보상기로서 활용되는 PV
옵티마이저 회로 소자들의 최적 값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2. N-벅 컨버터 회로 설계
2.1 N-벅 컨버터
N-벅 컨버터의 회로 동작은 일반적인 벅 컨버터의 동작과 유사하다. 반면에 능동 스위치인 MOSFET을 아래 부분으로 위치해 bootstrap을 위한
구동회로가 따로 필요하지 않아 회로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안정성과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인덕터의 이상 유・무시 부스트 컨버터와 달리
출력 과전압이 나타나지 않는다(1).
그림. 1. N-벅 컨버터 등가 회로
Fig. 1. Equivalent circuit of N-Buck converter
그림 1은 N-벅 컨버터의 등가회로를 나타내고
그림 2는 PV 모듈과 인버터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된 N-벅 컨버터를 나타내었다. $V_{pv}$는 PV 모듈 전압이고 $V_{out}$는 인버터의
입력 전압이자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다. 듀티비 $D$는 0~1의 값을 가지며 $D$를 가변함으로써 $V_{out}$의 크기 제어가 가능하다. $I_{pv}$는
PV 모듈의 출력전류이고, $I_{out}$는 인버터의 입력 전류이고 컨버터의 출력 전류이다. $R_{i n}$는 컨버터의 입력 저항, $R_{out}$은
부하 저항을 의미한다. 다이오드는 인덕터의 에너지를 환류 시키는 환류 다이오드이고 $C_{f}$는 $L_{f}$와 더불어 필터 역할을 하는 필터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듀티비 $D$에 따라 패널의 IV 곡선에서 동작 영역과 MPPT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내었고,
그림 3에 컨버터의 MPPT 동작 특성을 나타내었다
(1).
그림. 2. N-벅 컨버터 인터페이스
Fig. 2. N-Buck converter interface
표 1. N-벅 컨버터 동작특성
Table 1.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N-Buck converter
|
$V_{pv}$
|
$I_{pv}$
|
$R_{i n}$
|
$\theta_{R_{i n}}$
|
D=0
|
∞
|
0
|
∞
|
0
|
D=1
|
$V_{out}$
|
$I_{out}$
|
$R_{out}$
|
$\tan^{-1}\dfrac{1}{R_{out}}$
|
그림. 3. N-벅 컨버터의 MPPT 특성
Fig. 3. MPPT characteristics of N-Buck converter
표 2. PV 옵티마이저의 설계 사양
Table 2. Design specifications of PV Optimizer
설계 항목
|
사양
|
정격 용량
|
430[W]
|
스위칭 주파수
|
48[kHz]
|
입력 동작 전압
|
10~50[V]
|
최대 입력 전류
|
12[A]
|
PV 옵티마이저의 각 소자들의 조건과 계산식을 통해 최적 설계값을 도출하기 위한 설계 사양은
표 2와 같다. PV 모듈은 physical model 특성 등을 고려하여 ㈜신성 이엔지 430[W] 제품인 SS-DM430 모듈을 사용하였고, STM32F091을
사용하여 P&O 알고리즘으로 MPPT를 수행하였다.
2.2 커패시터
인덕터는 용량이 커지면 전류 리플이 작아진다. 반대로 용량이 작으면 사이즈나 가격 면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높은 피크의 전류로 인하여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적절한 인덕터를 선정해야 한다. 인덕터에 관련된 수식은 다음과 같다.
$I_{L}$의 평균값은
가 되며, 이 전류는 평균 출력 전류가 된다.
이므로
가 된다.
따라서 $L_{f}$는
가 된다
(2).
표 2의 설계 사양과 modelling 조건에 따라 $V_{pv}=10\sim 39.3[V]$, $D=0.1\sim 0.9$, $V_{out}=1\sim
35.37[V]$, $\triangle v_{out}=50[m V]$, $I_{pv}=$$1\sim 12[A]$, $R_{out}=5[ohm]$으로
선정하였다. 부하 변화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동되기 때문에 최적 설계가 어려워 각각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여 설계 범위를 구하였다.
PV 옵티마이저에서는 인덕터 용량을 $33[u H]$으로 범위 안에서 선정하였다.
2.3 인덕터
커패시터의 내압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하여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보다 낮은 커패시터 내압을 갖는다면, 커패시터는 전기적 손상을 받으며 심각할 경우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용량을 구해보면 먼저 N-벅 컨버터에서의 리플률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C_{f}$는
가 된다
(2).
인덕터 설계값과 식(10)을 이용하여 커패시터의 사양을 정하였다. 인덕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여 설계 범위를 구하였다.
위 결과값을 바탕으로 PV 옵티마이저에서는 $60[u F]$ 용량의 커패시터로 선정하였다.
2.4 MOSFET과 다이오드
MOSFET는 N-벅 컨버터에서 주스위치로 사용되는 소자로써 오프 상태일 때의 최대 전압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온 상태일 때 최대 전류를
흘릴 수 있어야 한다. 설계 사양을 고려하여 최대 동작 전압 135[V], 최대 입력 전류 129[A]인 IR사의 IRF135S203을 사용하였다(3). 다이오드로는 역회복 특성이 우수한 power schottky rectifier 다이오드로서 정격 역방향 전압 100[V], 평균 전류 30[A],
최대 동작 온도 150[℃]인 ST사의 PS30H100을 사용하였다(4).
3. 시뮬레이션
그림 4는 설계 결과 값들을 바탕으로 N-벅 컨버터를 사용한 PV 옵티마이저의 PSIM 시뮬레이션 회로를 나타낸다. 여기서, Rad1=1000, Temp1=25[℃],
ZOH1=48[KHz], ZOH2=48[KHz], $C\in_{1}$=90[uF], $Lf_{1}$=33[uH], $Cf_{1}$=60[uF] 이다.
그림 5는 그림 4의 PSIM 시뮬레이션 회로의 각 부분 시뮬레이션 파형이다. $V_{g}$는 MOSFET의 스위치 구동 파형으로 1일 때 스위치가 on을 나타내고
0일 때 스위가 off를 나타낸다. $V_{DS1}$는 다이오드의 동작 파형으로 MOSFET 주 스위치가 on이 되면 off가 된다. $ILf1$은
인덕터의 전류 파형으로써 스위치가 on일 때는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스위치가 off일 때는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VLf1$은 출력필터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을 나타낸다.
그림. 4. PV 옵티마이저 시뮬레이션 회로도
Fig. 4. Simulation Circuit of the PV Optimizer
그림. 5. PV 옵티마이저 PSIM 시뮬레이션 파형
Fig. 5. Simulation Waveform of the PV Optimizer
4. 실험 결과 및 고찰
그림 6과 그림 7은 설계된 회로를 바탕으로 제작된 PV 옵티마이저를 나타낸다. 430[W]의 정격 용량으로 인덕터 2개와 MOSFET 2개를 통해 interleave
동작을 하게 되고, 출력단에 연결되는 인버터는 연속적인 PV 에너지를 공급받아 수용가에 출력을 보내게 된다. 좌측에 입력단과 우측에 출력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보조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STM32F091 MCU가 동작하게 된다.
그림. 6. PV 옵티마이저 전면부
Fig. 6. Front part of PV Optimizer
그림. 7. PV 옵티마이저 후면부
Fig. 7. Rare part of PV Optimizer
그림. 8. PV 옵티마이저의 MPPT 제어
Fig. 8. MPPT of PV Simulator
그림 8은 AMETEK ETS600/25을 이용한 PV 옵티마이저의 MPPT 추종 제어 모습을 나타낸다.
그림 9는 동작 실험 파형을 나타낸다. $V_{G}$는 MOSFET의 게이트 소스 파형, $V_{D}$는 다이오드의 전압 파형이다. $V_{L}$은 인덕터의
전압으로 turn on일 때는 $V_{pv}-V_{out}$만큼 걸리게 되고 turn off일 때는 $V_{out}$이 걸리게 된다. $I_{L}$은
인덕터의 전류 파형으로써 turn on일 때는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turn off일 때는 선형적으로 감소한다(5).
그림. 9. N-벅 컨버터의 실험 파형
Fig. 9. Experimental Waveform of N-Buck converter
표 3은 PV 옵티마이저의 부하측에 5[Ω], 입력단에 43.50[V], 8.591[A]을 인가하여 출력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입력 전력은 374[W],
출력 전력은 371[W]로 변환 효율 99.2[%]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 PV 옵티마이저의 변환 효율 측정 결과
Table 3. Conversion efficiency measurement result of PV Optimizer
구분
|
전압[V]
|
전류[A]
|
전력[W]
|
입력단
|
43.50
|
8.591
|
374
|
출력단
|
43.29
|
8.574
|
371
|
5. 결 론
PV 옵티마이저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PV 모듈과 인버터 사이에 위치해 인터페이스와 발전 효율 보상기로 사용된다. PV 패널의 음영에 의한 부정합
등으로 인한 발전 효율 감소를 보상한다. 본 논문에서는 PV 옵티마이저의 회로 설계에 대한 최적 설계에 대해 정리하였다. 먼저 회로의 각 소자별 필요조건들과
사양 계산식을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여 설계 범위를 정하고 최적 값을 선정하였다. 정격용량 430[W], 동작 전압 10~50[V],
최대 입력 전류 12[A], 스위칭 주파수 48[kHz]에서 인덕터 33[uH], 커패시터 60[uF]를 설계하여 선정하였다. PSIM 시뮬레이션과
입력단에 43.50[V], 8.591[A], 부하단에 5[Ω]의 회로를 구성한 실험을 통해 설계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실험 결과, MPPT 변환
효율은 99.87[%]로 측정 되었고 입출력 변환 효율은 99.2[%]로 측정되었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MOTIE) (20203040010130, Development
and demon- stration of remote intelligent operation and maintenance (O&M) technology
of MW-class solar power plant using 5G technology).
References
Geon-Min Kang, 2019, Development of PV Micro Converter for MPPT Control, pp. 39-50
Hui-Jun Kim, 2018, Switch Mode Power Supply, www.cyber.co.kr, pp. 3-28
Yearn-Ik Choi, Man-Young Sung, 1985, A Study on the Design of Power MOSFET’s, Journal
of AJOU UNIVERSITY, Vol. 8, pp. 25-28
Gun-Haeng Lee, Young-Seok Kim, Myung-O Kim, 2004, Soft- Switching Buck Converter Dropped
Voltage Stress of a free-Wheeling Diode Using a Single Switching Device, Journal of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3, No. 9,
pp. 577-579
Hee-Jin Lee, 2011, Control and design of a buck converter for the arc power supply,
Master’s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pp. 15-17
저자소개
2018년 전남대학교 전기공학과를 졸업하였고,
2020년부터 현재까지 ㈜더블유피 기술연구소에 재직중이다.
주 연구 분야는 신재생 에너지 신기술 정보화 및 산업 및 시스템 응용이다.
2016년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였고,
2021년 전남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과 수료(석사)하였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 더블유피 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 연구 분야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다.
2017년 순천대학교 식풍공학과를 졸업하였고,
2021년 전남대학교 전기및반도체공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17년부터 현재까지 ㈜더블유피 기술연구소에 재직중이다.
주 연구 분야는 신재생 에너지 신기술 정보화 및 산업 및 시스템 응용이다.
1981년 1월 14일생, 2007년 순천대학교 전기제어공학과를 졸업하였고,
2010년 동 대학원 전기제어공학과 졸업(석사),
2019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전공 졸업(박사)하였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더블유피 대표이사로 재직중이다.
주 연구 분야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다.
1970년 10월 8일생, 1996년 전남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1998년 전남대학교 전기공학 석사학위 취득,
2003년 일본 홋가이도대학교 공학박사 취득,
2005년~현재 목포대학교 전기및제어공학과 교수
E-mail: syso@mokpo.ac.kr
1966년 1월 11월생, 1990년 한양대 전기공학과 졸업하였고.
1992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1996년 동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박사)하였다.
1997년~2012년 목포대 전기공학과 교수,
2012~ 2014년 지엔씨하이테크 광소재연구소 소장,
2014년~2019년 청아람 대표,
2019년~현재 ㈜더블유피 연구 위원으로 재직중이다.
주 연구 분야는 전력변환제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