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훈
(Hoon Lim)
†iD
윤병운
(Byong Un Yun)
1
방병주
(Byoung Ju Bang)
1
-
(Shinheung Industry Company.)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Electronic Units, Protection Design, Reliability Test, Outdoor Agricultural Machinery, Self-Propelled Harvester
1. 서 론
최근 국내 농업 인구의 구성 추이가 기존 남성 노동력 중심에서 여성 노동력 중심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으며, 노동 인구의 연령도 전반적으로 고령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농장비의 주요 소비층이었던 남성 위주의 기계식 및 유압식 농기계들이 점차 여성 위주의 사용하기 편리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전자제어식으로
연구 개발되며 농기계 장비들도 기능적인 측면에서 자동화, 지능화, 무인화 형태로 진화하고 있고, 외형적인 측면에서 소형화, 경량화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1-3).
이러한 다각적인 변화 속 중심에는 ‘전장품’이라는 전자제어 장치가 필수적인데, 전장품은 일반적으로 PCB 기판과 해당 기판에 부착되는 수많은 전자부품들로
구성된다.
실외용 농기계들이 사용되는 조건은 평지와 경사지 등이 복합된 전형적인 오프로드 환경이므로 이동 및 작업 시 노면에 존재하는 자갈, 풀, 웅덩이와 같은
다양한 외부 환경 요소들로 인해 몸체에 장착된 전장품에 충격과 진동 등이 지속적으로 전달될 수밖에 없으며, 대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와 수분(빗방울,
습기 등)들이 전장품 내부로 침투할 확률이 매우 높고, 농기계가 구동하는 시간은 주로 주간이므로 온도의 변화도 전장품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이러한 상황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전장품의 오작동 및 파손 등의 예상치 못한 고장 현상을 유발하게 되는데, 그림 1에서와 같이 외부 환경 요소로 인한 다양한 전장품 파손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 외부 환경 요소로 인한 전장품 파손 유형
Fig. 1. Types of electronic units damage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이처럼 다양한 외부 환경 요소들이 동시에 공존하는 대표적인 농지 환경 중 한 곳이 두둑과 고랑이 존재하는 실외 오프로드 노면인 밭농사 현장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외용 농기계들 중 두둑 내 구근류(감자, 마늘, 양파 등) 작물들을 굴취, 수확할 수 있는 밭농사용 땅속작물 수확기 중 한 기종인
자주식 수확기에 장착할 수 있는 전장품의 보호 설계 기법에 대해 제안하고 이에 대한 내구성을 검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신뢰성 시험 평가 방법들에
대해 소개하려 한다.
2. 본 론
농기계 장비들이 실외 환경인 논과 밭에서 주로 사용되듯이 밭 작업용 농기계인 자주식 수확기도 두둑과 고랑이 있는 오프로드 노면에서 작업을 해야 된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실외 오프로드 노면에서 작업 시 자주식 수확기 몸체에 부착되는 전장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환경 요소들을 사전 고려하여
이를 차단하고 저감시킬 수 있는 전장 케이스 설계 방안과 몰딩 기법을 적용한 전장 보호 설계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2.1 전장 케이스 설계 및 제작
전장 보호 설계 기법의 첫 번째 방법은 전장품을 담을 전장 케이스를 설계 및 제작하는 것이다.
전장품이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제어 장치를 뜻하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PCB 기판인 보드(board)에 수많은 전자부품들이 숄더링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전장 케이스들은 일명 컨트롤 박스 또는 제어 박스로 불리며, PC나 ABS 재질의 플라스틱 관련 소재를 주로 사용하여 제작되었고, 최근에는
3D프린터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가 직접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원하는 디자인대로 전장 케이스를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의 전장 케이스는 비용이 적게 들고 형태를 쉽게 다듬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금속 재질에 비해 외부 충격 등에 대한 단단함의
강도가 떨어지고 온도와 습기 등의 환경 변화로 인한 형상 변형의 정도가 크다.
현재 기존 전장 케이스 중 금속 재질의 전장 케이스들이 있지만 사이즈와 형태가 일반적으로 정형화되어 있고, 방수와 방진 등 외부 환경 요소들에 대응하는
기능이 떨어진다.
2.1.1 장착 최적 위치에 따른 전장 케이스 형상 선정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맞춤형 전장 케이스를 설계하여야 되는데, 이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되는 부분이 바로 전장 케이스가 장착되는 최적의 위치이다.
자주식 수확기의 외형은 그림 2와 같다.
자주식 수확기 기구부 특성 상 이동 및 작업 시 굴취부와 수확부가 있는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진동, 충격 등이 가장 크고, 작업 시 방해가 되지 않은
위치에 전장 케이스를 장착해야 되므로 수확기의 중앙 지점이 설치할 수 있는 최적 위치이다.
그림. 2. 자주식 수확기의 외형
Fig. 2. The appearance of the self-propelled harvester
이에 최적의 장착 위치에 따라 전장 케이스의 형상이 결정되므로, 여러 개의 다양한 전장 케이스 디자인들 중 자주식 수확기 몸체의 중앙 지점에 부착하기
가장 적합하고 편리한 그림 3과 같은 A Type(좌측), B Type(우측)으로 2가지 형상의 전장 케이스를 설계하였다(5).
그림. 3. 2가지 타입으로 설계된 전장 케이스
Fig. 3. Electronic case designed in two types
2.1.2 2가지 전장 케이스 설계 특성 소개
본 연구에서 설계 제작한 2가지의 전장 케이스들은 모두 금속성 재질 중 열 안전성이 우수하여 전장의 발열 현상을 저감시키고 타 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였다.
전장 케이스 A Type은 방수, 방진, 진동, 충격 등의 외란에 가장 내구성이 강한 심플한 형상으로 외형이 설계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원부나 그 외 필요한 부분들이 모두 외부로 빠져 나와야 되므로 커넥터의 크기가 커지고 케이블의 개수가 많아지며 단선될 수 있는 고장 확률이
높아지는 단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설계 관점에서 A Type은 위의 덮개 부분에 PCBA가 삽입되고, 전장 케이스를 열기 위해서는 커넥터와 케이블을 사전 분리해야 되므로 향후
A/S 측면에서 불편한 점들이 발견되었다.
전장 케이스 B Type은 A Type에서 제시된 단점들을 개선한 버전으로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필요한 전원부 스위치를 케이스 내에 삽입하였고, 기존
A Type의 케이블 단선 문제를 고무 튜브로 감싸며 해결하였다.
또한 B Type은 전장 케이스를 열기 위해 위의 덮개만 열면 편리하게 케이스 내 삽입된 PCBA를 볼 수 있는 형태로 설계하였다.
하지만 A Type에 비해 커넥터 수가 늘어나고 비용 측면에서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실제 제작한 전장 케이스 A Type과 B Type은 그림 4와 같다.
그림. 4. 제작된 전장품 케이스의 외형
Fig. 4. Appearance of the manufactured electronic case
이렇게 설계 제작된 2가지 타입의 전장 케이스들은 실외용 농기계인 자주식 수확기가 밭 환경의 오프로드 노면에서 운행 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 및 먼지와
수분 등의 외부 환경 요소로부터 내부의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2.2 몰딩 기법 적용
전장 보호 설계 기법의 두 번째 방법은 전장품인 PCB 기판에 부착된 MCU 및 전선류와 같은 전자부품들이 전장 케이스 내에서 흔들리지 않고 고정시키는
몰딩 기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현재 세탁기, 식기세척기, 냉장고 등 일부 백색 가전제품의 전장품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 초기에 진동과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해 케이스 내에 댐퍼나 스프링을 장착하는 방법 등의 기구적인 설계를 통해 외란을 저감시키는 방안들을 고려했으나
케이스 설계 자체가 너무 무겁고 복잡해지며, 심미적인 디자인 측면에서도 좋지 않았다.
또한 기구적인 설계를 통한 접근 방법은 방수, 방진, 진동, 충격 등의 외란에 개별적으로 각각 대응하며 설계 보완해야 되므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하지만 몰딩 기법은 문제가 되었던 방수, 방진, 진동, 충격 등의 여러 외란 문제를 상대적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아주 효율적인 방안이었으므로 본
방법을 선택하게 되었다.
몰딩이란 일종의 코팅과 유사한 방식으로 전자기기에서 일정한 공간에 전자부품이나 제품을 삽입 후 기능성 수지로 빈 공간을 공극 없이 채우는 것으로 대표적인
기능성 수지로는 에폭시와 실리콘 등이 있다.
몰딩 기법의 장점으로는 방수, 방진, 충격, 진동 등 외부 환경 요소로부터의 보호, PCBA 발화 시 불꽃 번짐 방지, 추가 절연 등의 효과가 있으며,
단점으로는 PCBA 내부 온도 상승, 전장품 무게 및 재료비 상승, 추가 장비 필요 등이 있다.
하지만 실외의 오프로드 환경에서 다양한 외부 환경 요소로부터 전장품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몰딩 기법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본 기법을 적용하여 전장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나 수분의 침투를 막고, 외부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전장품을 보호하며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설계하였다.
몰딩을 하는 과정은 주제(A액)와 경화제(B액)의 두 가지 액체를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면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일정 시간 동안 외부로 열을 발산하고
굳어버리는 경화 방식으로 혼합비율의 오차가 있거나 착색제 등의 이물질 등이 섞이면 경화 불량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디지털 저울 등을 사용하여 정확히
계량하고 두 액체를 잘 섞어야 된다.
그리고 몰딩 시 점도도 중요한데, 점도란 액체가 흘러내리는 정도를 표현한 것으로 점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경화 시간의 조절이 중요하다.
혼합된 액체의 경화 시간이 짧으면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고 경화 시 기포가 있는 상태로 굳어버리기 때문에 1일~3일 정도로 경화 시간을 충분히 갖는
것이 좋다(6).
에폭시 몰딩의 특성은 비용이 저렴하고 경화 시 단단함의 강도가 높아지며 고정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투명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실리콘 몰딩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에폭시 몰딩에 비해 비용이 비싸며 단단함의 강도가 낮고 고정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에
좋고 투명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 5에서와 같이 에폭시 몰딩과 실리콘 몰딩을 각각의 전장 케이스 내부에서 모두 실험해보았다.
그림. 5. 두 가지 형태의 몰딩 실험 결과 비교
Fig. 5.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wo types of molding experiments
그 결과, 방수와 방진에는 두 가지 몰딩 모두 좋지만, 자주식 수확기와 같이 밭 환경에서 사용하는 농기계에서는 운행 중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에폭시 몰딩과 같이 단단히 굳는 방식보다는 단단함의 강도는 낮지만 충격과 진동을 흡수시키며 저감시키고, 더 나아가 PCBA 기판 내부의 동작
상태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도가 높은 실리콘 몰딩 기법이 더 좋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만약 몰딩한 전장품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에폭시 몰딩은 경화 이후에 단단하게 굳어버려 고장 발생 시 PCBA와 케이스를 통째로 폐기하고 새
것으로 교체해야 되지만, 실리콘 몰딩은 경화 이후에도 에폭시 몰딩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감이 소프트한 타입이므로 고장 발생 시 PCBA 부분만 파내고
교체 후 재몰딩이 가능하고 케이스를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방수와 방진 기능이 있고, 오동작 및 고장 시 육안으로 확인도 가능하며 잦은 충격과 진동에 대한 흡수도 가능한 실리콘 몰딩을 선택하여 적용하였다.
3. 내구 성능 검증 위한 신뢰성 시험 방법 정립
신뢰성(Reliability)이란 어떤 기기나 시스템이 의도된 용도에 주어진 기간과 조건 동안 사용되어 충족하게 가동되는 시간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의미로 시간과 환경의 변화에 따른 동적인 품질을 뜻한다.
이에 본 장에서는 전장품 보호 설계 기법을 적용한 2가지 형태의 전장 케이스들의 내구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진행한 신뢰성 시험 방법들과 결과에
대해 소개한다.
신뢰성 시험의 종류로는 실외용 농기계인 자주식 수확기의 전장품에 주로 가해지는 주요 외부 환경 요소들인 수분, 먼지, 진동, 충격, 온도/습도 변화로
정하고 이에 대한 내구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염수분무, 진동, 충격, 항온항습 이렇게 총 4가지 종류의 신뢰성 시험들을 진행한다.
참고로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신뢰성 시험 방법들은 모두 관련 시험 표준 규격들을 근거로 KOLAS 인증을 받은 국가공인인증시험 기관에서 시행하고 검증
받았음을 밝힌다.
3.1 염수분무 시험
염수분무 시험은 금속 재료 또는 도금, 무기피막, 유기피막 등을 입힌 금속 재료의 내식성 및 표면 부식 상태를 실험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염수분무 시험
챔버의 일반적인 모습은 아래 그림 6과 같다(7).
그림. 6. 염수분무 시험 챔버의 외형
Fig. 6. Appearance of salt spray test chamber
본 연구에서 진행한 염수분무 시험 조건은 KS C IEC 60068-2-11 표준 규격을 근거로 하였으며, 상세한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시험 대상을 염수 분무 시험 챔버에 투입함
2) 시험 시간은 시험하는 재료 또는 제품 규격 등으로 지정하고 본 시험에서는 24hr을 기준으로 함
3) 시험 시간 완료 후, 챔버에서 시험 대상을 꺼내어 내식성 및 표면 부식 상태를 측정 및 평가함
전장 보호 설계 기법이 적용된 자주식 수확기용 전장 케이스의 염수분무 시험 장면 및 결과는 아래 그림 7과 같다.
그림. 7. 염수분무 시험 장면 및 내구 성능 검증 결과
Fig. 7. Salt spray test scene and durability performance verification result
염수분무 시험 결과, 시험품의 외관 및 내부 부품의 부식 유무에서 이상 없음을 검증 받았다.
3.2 진동 시험
진동 시험은 부품 또는 시스템의 외부진동 또는 2차 진동(공진 포함)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진동 시험기의 일반적인 모습은 아래
그림 8과 같다(8).
그림. 8. 진동 시험기의 외형
Fig. 8. Appearance of vibration tester
본 연구에서 진행한 진동 시험 조건은 ISO 16750-3 표준 규격을 근거로 하였으며, 상세한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시험할 대상의 시험 방향을 통상적으로 서로 직각인 3축(X, Y, Z)으로 설정함
2) 진동 Source 및 진동 주파수를 시험 대상에 가함
3) 정해진 시험 강도 및 시험 방향으로 반복함
4) 시험 완료 후 시험 대상의 내구성을 평가함
참고로 진동 시험에는 시험 대상을 고정하기 위해 Jig가 필요하며, 본 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제작한 진동 시험용 Jig를 설치한 전장 케이스의 모습은
아래 그림 9와 같다.
그림. 9. 진동 시험용 지그를 설치한 모습
Fig. 9. Installation of a Jig for vibration test
전장 보호 설계 기법이 적용된 자주식 수확기용 전장 케이스의 진동 시험 장면 및 결과는 아래 그림 10과 같다.
그림. 10. 진동 시험 장면 및 내구 성능 검증 결과
Fig. 10. Vibration test scene and durability performance verification result
진동 시험 결과, 시험품의 외관 변형 및 부품 탈거 유무에서 이상 없음을 검증 받았다.
3.3 충격 시험
충격 시험은 부품 및 기기에 대한 이동(수송) 및 사용 중 발생하는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시험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충격 시험기의 일반적인 모습은 아래
그림 11과 같다(9).
그림. 11. 충격 시험기의 외형
Fig. 11. Appearance of shock(impact) tester
본 연구에서 진행한 충격 시험 조건은 KS C IEC 60068- 2-27 표준 규격을 근거로 하였으며, 상세한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시험할 대상의 시험 방향을 통상적으로 서로 직각인 3면과 반대면(X, Y, Z, X’, Y’, Z’)으로 설정함
2) 충격 Source 및 충격 주파수를 시험 대상에 가함
3) 정해진 시험 강도 및 시험 방향으로 타격함
4) 시험 완료 후 시험 대상의 내구성을 평가함
참고로 충격 시험에는 시험 대상을 고정하기 위해 Jig가 필요하며, 본 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제작한 충격 시험용 Jig를 설치한 전장 케이스의 모습은
아래 그림 12와 같다.
그림. 12. 충격 시험용 지그를 설치한 모습
Fig. 12. Installation of a Jig for shock test
전장 보호 설계 기법이 적용된 자주식 수확기용 전장 케이스의 충격 시험 장면 및 결과는 그림 13과 같다.
충격 시험 결과, 시험품의 외관 파손 및 PCB 기판 크랙 유무에서 이상 없음을 검증 받았다.
그림. 13. 충격 시험 장면 및 내구 성능 검증 결과
Fig. 13. Shock test scene and durability performance verification result
3.4 항온항습 시험
항온항습 시험은 일명 THB(Temperature-Humidity Bias Test) 시험으로도 불리는 가속 고온 시험(85℃/85%)으로 전자 부품과
전자 장치의 온도와 습도에 대한 특성 저하를 실험하고 측정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전기를 인가한 후 동작 여부까지 함께 확인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항온항습
시험 챔버의 일반적인 모습은 아래 그림 14와 같다(10).
그림. 14. 항온항습 시험 챔버의 외형
Fig. 14. Appearance of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test chamber
본 연구에서 진행한 항온항습 시험 조건은 KS C 6049 B-5 표준 규격을 근거로 하였으며, 상세한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시험 대상을 85℃ 온도와 85% 습도를 지닌 항온항습 시험 챔버에 투입함 (단, LCD 모듈이 들어가는 제품은 65℃/85% 환경에서 시험함)
2) 시험 시간은 시험하는 재료 또는 제품 규격 등으로 지정하고 본 시험에서는 24hr 이상을 기준으로 함
3) 시험 시간 완료 후, 챔버에서 시험 대상을 꺼내어 전자 제품의 동작 여부를 측정 및 평가함
전장 보호 설계 기법이 적용된 자주식 수확기용 전장 케이스의 항온항습 시험 장면 및 결과는 아래 그림 15와 같다.
그림. 15. 항온항습 시험 장면 및 내구 성능과 동작 검증 결과
Fig. 15.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test scene and durability performance and
operation verification result
항온항습 시험 결과, 시험품의 내구성 및 전기 인가 후 정상적 동작 유무에서 이상 없음을 검증 받았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 실외용 농기계들 중 밭 작업에 주로 사용되는 땅속작물 수확기 가운데 한 기종인 자주식 수확기를 대상으로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는 설계
기법과 그에 적합한 신뢰성 시험 평가 방법들에 대해 소개하였다.
전장품을 보호 할 수 있는 설계 기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전장 케이스 설계 방법과 몰딩 기법 적용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제안한 전장 보호 설계 기법을 적용한 전장품의 내구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해당 시험 표준 규격들을 근거로 하여 공인인증 시험기관에서 다양한
신뢰성 시험들을 계획하고 시행하였다.
신뢰성 시험의 종류로는 다양한 외부 환경 요소들 중 실외에서 작업을 하는 농기계들의 전장품에 가장 많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분, 먼지, 진동,
충격, 온도/습도 변화 요소로 정하였고, 이에 대한 전장 보호 설계 기법의 내구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염수분무, 진동, 충격, 항온항습 시험들을
진행하여 모두 ‘이상 없음’을 검증 받았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전장 보호 설계 기법이 외부 환경 요소들로부터 전장품을 보호하여 예측하지 못한 오작동이나 고장을 사전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증명하였다.
향후에는 자주식 수확기를 포함한 그 외의 실외용 농기계들의 작업 환경에서 발생될 수 있는 더 다양한 외부 환경 요소들을 조사하고 분류하여, 전장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 뒤 그에 최적화 된 전장 보호 설계 기법과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신뢰성 시험들을 추가로 연구 진행하려고 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IPET) through Advanced Prod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fund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319042-03)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319042-03)
References
Hoon Lim, Myoung-Kook Seo, Young Hun Joo, Byong-Un Yun, Byoung-Ju Bang, 2019,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a Underground Crop Harvester, Journal of the
KIEE P, Vol. 68p, No. 3, pp. 173-179

Hoon Lim, Myoung-Kook Seo, Young Hoon Joo, Byong-Un Yun, Byoung-Ju Bang, 2020, Robust
Weight Measurement Algorithm Design for Underground Crop Harvesters Using Vibration
Error Compensation Technique in Dynamic En- vironments, Journal of KIEE P, Vol. 69p,
No. 1, pp. 61-67

Hoon Lim, Myoung-Kook Seo, Young-Hun Joo, Byong-Un Yun, Byoung-Ju Bang, 2019, Method
of Controlling Weight Measurement of Crops in a Dynamic Environment,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2019, No. 7, pp. 1565-1566

Hoon Lim, Myoung-Kook Seo, Hee-Young Shin, Byong-Un Yun, Byoung-Ju Bang, 2020, Design
Technique of Elec- tronics Case and Sensor Bracket for Self-Collected Potato Harvester,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2020, No. 7, pp. 7-8

Hyun-Kyung Oh, Jun-Seon Choi, Young-Hoon Joo, Hoon Lim, Byoung-Un Yun, Byoung-Ju Bang,
2019, Reliable Experiment on the Field Case of Harvesting Machine by Various Durability
Test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2019, No. 7, pp. 1922-1923

Hyun-Kyung Oh, Young-Hoon Joo, Hoon Lim, Byoung-Un Yun, Byoung-Ju Bang, 2018, Development
a robust case fo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2018, No. 10, pp. 176-177

Infinity Machine International Inc. Internet:, http://korean.tester-machine.com/sale-11091120-gray-color-environmental-test-chambers-salt-spray-test-machine-for-coating-corrosion-resistance.html.

ISentek Dynamics Corporate Headquarters. Internet: , https://www.sentekdynamics.com/vibration-testing-specifications-and-standards.

RCT Co., Ltd. Internet: , http://rct.co.kr/m/sub04.php?ino_code=26.

Komets Corporate. Internet: , http://www.komets.co.kr/komets/pc/product/product01.php?A=10\&uid=1919.

저자소개
2007년 동의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사.
2009년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2010년 LG전자 HA제어연구소 주임연구원.
2014년~현재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농기계 및 건설기계의 임베디드 시스템, 지능화, 자동화 관련 연구개발에 종사.
E-mail: hoon.lim@koceti.re.kr
Tel: 063-447-2578
1995년 아주대학교 생산자동화공학과 공학사.
1997년 아주대학교 기계공학과 공학석사.
1997년 삼성전자 자동화연구소 연구원.
2005년 신흥공업사 근무.
2017년~현재 신흥공업사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소장.
E-mail: sh5347@gmail.com
Tel: 031-352-5347
1989년 전북대학교 금속재료공학과 공학사.
1990년 수산중공업 근무.
2003년 지노무역 근무.
2017년~현재 신흥공업사 수석연구원.
E-mail: roombj@hanmail.net
Tel: 010-7600-7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