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Torque modulation, velocity control, brushless DC motor, Lyapunov stability

1. 서 론

최근에 Brushless DC Motor (BLDCM)는 전기자동차, 가전기기, 항공우주산업등의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1,2). BLDCM은 효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가지며 브러쉬에 의한 기계적 접점이 없어 고속제어에 유리하다. 이러한 구동 특징 때문에 BLDCM은 기계적 브러쉬 없이 홀 센서를 이용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구동되어진다. BLDCM의 구동방법은 크게 3상 전류 중 두 개의 상을 이용하는 6-step 스칼라 방식과 3개의 상의 전류를 모두 이용하는 벡터제어 방식으로 구분되어 진다. 6-step 스칼라 방식의 경우 제어가 단순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벡터제어 방식의 경우 정밀 서보제어에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3,4).

BLDCM는 trapezoidal 형태의 역기전력을 가지기 때문에 구형파 형태의 전류가 0이 될 때 발생하는 토크 리플을 보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이러한 토크 리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5, 6, 7, 8, 9]. Adaptive internal model을 이용한 전류제어 기법은 current regulation을 향상시키고 토크리플을 저감시킬 수 있다 (5). 비 이상적인 역기전력이 존재할 때 위치 센서 없이 제어기를 설계함으로써 고속 구동이 가능하다 (6). Varying 입력전압을 이용한 토크 리플 저감기법이 제안되었다 (7). Fourier 변환을 이용하여 전류 고조파를 분석함으로써 토크 리플을 저감시키는 기법이 제안되었다 (8). Cogging 토크에서 발생하는 리플을 분석하여 전류 고조파를 줄여주는 기법이 연구되었다 (9). 하지만 기존의 방법들에서 각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제어기법을 제안하였지만 전류제어 성능관점에서만 분석하였거나 오차기반으로 토크 지령을 생성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추종성능이나 리플 저감성능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irect torque control같은 토크제어 기법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10,11). Indirect flux 제어와 direct torque 제어를 결합한 형태의 제어기법이 제시되었다 (10). Torsional vibration을 줄이기 위한 direct torque 제어기법이 제안되었다 (11). 하지만 direct torque control기법은 저속에서 상대적으로 큰 flux 리플을 가지며 동적특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토크 리플에 의한 성능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속도리플에 의해 발생하는 속도추종 오차를 이용한 고성능 제어기법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 BLDCM와 유사한 동역학을 가지는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나 스테퍼 모터의 속도 및 전류 추종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위치, 속도, 전류제어기법이 제안되어 왔다 [12, 13, 14].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치, 속도, 전류등의 BLDCM의 상태변수에 대한 오차 동역학을 기반으로 한 토크 변조기법과 리아푸노프 기반 전류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토크 변조기법은 위치와 속도로 구성되는 기계적 오차 동역학의 추종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이때 계산되는 지령 토크를 잘 추종하기 위해 전류 제어기법으로 리아푸노프 기반 전류 제어기가 설계되었다. 제안된 제어기법에 대한 폐루프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오차 동역학을 이용하여 리아푸노프 안정도를 증명하였다. 또한 설계된 제어기의 성능평가를 위해 Matlab/Simulink를 이용하여 속도추종 성능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BLDCM의 모델링에 관해 서술하였으며, 3장에서는 오차 동역학을 기반으로 기계 및 전기적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4장에서는 설계된 제어기에 대한 폐루프 안정도를 증명하였으며 5장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속도 추종 성능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6장에서는 본 논문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2. Brushless DC Motor 모델링

2.1 기계적 및 전기적 동역학

2장에서는 본격적인 제어기의 설계에 앞서 기계적 위치와 속도, 토크 및 3상 전압, 전류의 관계식을 이용해 Brushless DC Motor(BLDCM)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자 한다. BLDCM의 3상 각 권선이 이상적으로 감겨있고, 상호 인덕턴스 값이 매우 작아 자기인덕턴스만 고려한다고 가정했을 때 BLDCM의 기계적 및 전기적 동역학을 상태 공간식으로 나타낼 것이다.

BLDCM 구동 시 기계적 위치를 미분하면 아래 식(1)의 속도가 되며,

(1)
$\dot\theta_{m}=\omega_{m},\:$

$\theta_{m}$와 $\omega_{m}$은 각각 기계적 위치와 기계적 각속도를 의미한다. 마찰력과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토크, $\tau_{e}$,는 다음과 같다 (9).

(2)
$\tau_{e}=J_{m}\dot\omega_{m}+F_{m}\omega_{m},\:$

여기서 $F_{m}$과 $J_{m}$는 각각 마찰계수 및 관성모멘트를 의미한다. 식(2)로부터 아래 식(3)의 기계적 동역학을 유도할 수 있다.

(3)
$\dot\omega_{m}=\dfrac{\tau_{e}-F_{m}\omega_{m}}{J_{m}}.$

3상 역기전력의 수학적 모델링은 다음절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전기적 동역학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해 참고한 BLDCM의 3상 등가회로는 그림 1과 같다. 3상 등가회로로부터 유도된 수식은 다음과 같으며, 이는 상태 공간 방정식의 형태로 정리해 아래의 식(4)와 같은 전기적 동역학으로 나타낼 수 있다 (12).

그림. 1. BLDCM의 3상 등가 회로

Fig. 1. 3 Phase equivalent circuit of BLDCM

../../Resources/kiee/KIEEP.2021.70.3.144/fig1.png

그림. 2. 3상 역기전력 및 역기전력 단위함수 (a) 3상 역기전력 (b) 3상 역기전력

Fig. 2. 3 Phase back EMF and unit function (a) 3 Phase back EMF (b) Unit function of back EMF

../../Resources/kiee/KIEEP.2021.70.3.144/fig2.png

(4)
\begin{align*} \left[\begin{aligned}\begin{aligned}V_{a}\\ V_{b}\end{aligned}\\ V_{c}\end{aligned}\right]= R\left[\begin{aligned}\begin{aligned}i_{a}\\ i_{b}\end{aligned}\\ i_{c}\end{aligned}\right]+ L\dfrac{d}{dt}\left[\begin{aligned}\begin{aligned}i_{a}\\ i_{b}\end{aligned}\\ i_{c}\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begin{aligned}E_{a}\\ E_{b}\end{aligned}\\ E_{c}\end{aligned}\right] \end{align*}

이때 $V_{a}$, $V_{b}$, $V_{c}$는 3상 인가전압을, $R$은 저항을, $i_{a}$, $i_{b}$, $i_{c}$는 3상 전류를 의미하며, $L$은 상 인덕턴스를 의미하며 상호 인덕턴스($L_{m}$)는 자기 인덕턴스($L_{s}$)에 비해 매우 작아 상 인덕턴스는 자기 인덕턴스와 같다고 가정하였다. $E_{a}$, $E_{b}$, $E_{c}$는 3상 역기전력을 각각 의미한다. 식(3)(4)로부터 유도된 BLDCM의 수학적 동역학은 다음과 같다.

(5)
\begin{align*} \dot\theta_{m}=\omega_{m}\\ \dot\omega_{m}=\dfrac{\tau_{e}-F_{m}\omega_{m}}{J_{m}}\\ \dot i_{a}=\dfrac{1}{L}[V_{a}- R i_{a}- E_{a}]\\ \dot i_{b}=\dfrac{1}{L}[V_{b}- R i_{b}- E_{b}]\\ \dot i_{c}=\dfrac{1}{L}[V_{c}- R i_{c}- E_{c}] \end{align*}

2.2 역기전력 모델링

BLDCM의 속도 제어를 위해서 기계적 동역학의 입력인 토크를 생성해야 한다. 이때 토크는 역기전력과 전류에 대해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6).

(6)
$\tau_{e}=\dfrac{(E_{a}i_{a}+E_{b}i_{b}+E_{c}i_{c})}{\omega_{m}}.$

이때 토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역기전력 $E_{a}$, $E_{b}$, $E_{c}$에 대한 모델링이 요구된다. BLDCM의 역기전력은 일반적으로 아래 그림 2(a)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의 비선형방정식으로 나타내어진다. 그림 2(a)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7)
$E_{a}= k_{e}w_{m}f_{1}(\theta),\: E_{b}= k_{e}w_{m}f_{2}(\theta),\: E_{c}= k_{e}w_{m}f_{3}(\theta).$

여기서 $k_{e}$는 역기전력 상수이다. 식(7)의 $f_{1},\: f_{2},\: f_{3}$는 $\theta_{m}$에 대한 단위함수로 그림 2(b)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식(8)과 같이 표현되어진다.

(8)
$f_{1}(\theta)=\begin{cases} \begin{aligned}\dfrac{6}{\pi}\theta_{m}\\1\end{aligned}&\begin{aligned}(0\le\theta_{m}<\dfrac{\pi}{6})\\(\dfrac{\pi}{6}\le\theta_{m}<\dfrac{5\pi}{6})\end{aligned}\\ \begin{aligned}-\dfrac{6}{\pi}\theta_{m}+ 6\\\begin{aligned}-1 \\\dfrac{6}{\pi}\theta_{m}+ 12\end{aligned}\end{aligned}&\begin{aligned}(\dfrac{5\pi}{6}\le\theta_{m}<\dfrac{7\pi}{6})\\\begin{aligned}(\dfrac{7\pi}{6}\le\theta_{m}<\dfrac{11\pi}{6})\\(\dfrac{11\pi}{6}\le\theta_{m}<2\pi)\end{aligned}\end{aligned} \end{cases}$

마찬가지로 $f_{2},\: f_{3}$는 식(8)과 유사하게 아래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9)
$f_{2}(\theta)= f_{1}(\theta -120^{\circ}),\: f_{3}(\theta)= f_{1}(\theta +120^{\circ}).$

2.3 오차 동역학

2.3절에서는 BLDCM의 변수에 대한 오차를 정의하고 오차동역학을 유도함으로써 모델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속도제어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계동역학에서 기계적 위치, 기계적 각속도에 대한 기계적 오차와 전기적 동역학의 3상 전류에 대한 전기적 오차들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였다.

(10)
$$ \begin{aligned} &e_{\theta}=\theta_{m}^{d}-\theta_{m} \\ &e_{w}=\omega_{m}^{d}-\omega_{m} \\ &e_{a}=i_{a}^{d}-i_{a} \\ &e_{b}=i_{b}^{d}-i_{b} \\ &e_{c}=i_{c}^{d}-i_{c} \end{aligned} $$

식(10) 에서 $\theta^{d}_{m}$, $\omega^{d}_{m}$, $i^{d}_{a}$, $i^{d}_{b}$, $i^{d}_{c}$는 기계적 위치와 기계적 각속도, 그리고 3상 전류 지령을 나타낸다. 오차 동역학을 유도하기 위해 식(10)을 시간에 대해 미분하면 다음과 같은 기계적 오차 동역학과 전기적 오차 동역학을 얻어낼 수 있다.

(11)
\begin{align*} \dot e_{\theta}= e_{\omega}\\ \dot e_{\omega}=\dot\omega_{m}^{d}-\dot\omega_{m}=\dot\omega_{m}^{d}-\dfrac{1}{J_{m}}[\tau_{e}- F_{m}\omega_{m}] \end{align*}

(12)
$\dot e_{a}=\dot i_{a}^{d}-\dot i_{a}=\dfrac{1}{L}[L\dot i_{a}^{d}+ R i_{a}+ k_{e}\omega_{m}f_{1}(\theta)- V_{a}]$ $\dot e_{b}=\dot i_{b}^{d}-\dot i_{b}=\dfrac{1}{L}[L\dot i_{b}^{d}+ R i_{b}+ k_{e}\omega_{m}f_{2}(\theta)- V_{b}]$ $\dot e_{c}=\dot i_{c}^{d}-\dot i_{c}=\dfrac{1}{L}[L\dot i_{c}^{d}+ R i_{c}+ k_{e}\omega_{m}f_{3}(\theta)- V_{c}]$

3. 제어기 설계

3장에서는 BLDCM의 수학적 모델링을 기반으로 오차 동역학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제어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3.1 토크 변조기법을 활용한 속도 제어기

BLDCM의 기계적 위치 및 기계적 각속도에 대한 추종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2장에서 유도된 오차 동역학을 기반으로 기계적 입력인 토크를 설계할 것이다. 따라서, 식(2)의 토크에 대한 정의로부터 지령 토크, $\tau_{e}^{d}$,를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13)
$\tau_{e}^{d}=J_{m}\dot\omega_{m}^{d}+F_{m}\omega_{m}^{d}-V_{t},\:$

여기서 $V_{t}$는 상태 궤환 제어를 위한 가상 입력이며 뒤에서 다시 설계할 것이다. 또한 식(7)식(6)에 대입하는 것에 의해 토크를 아래와 같이 다시 정리할 수 있다.

(14)
$\tau_{e}=k_{e}f_{1}(\theta)i_{a}+k_{e}f_{2}(\theta)i_{b}+k_{e}f_{3}(\theta)i_{c}.$

따라서, 식(14)의 지령 토크는 아래와 같다.

(15)
$\tau_{e}^{d}=k_{e}f_{1}(\theta)i_{a}^{d}+k_{e}f_{2}(\theta)i_{b}^{d}+k_{e}f_{3}(\theta)i_{c}^{d}.$

식(10)식(14)를 이용하여 기계적 오차 동역학을 다시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16)
\begin{align*} \dot e_{\theta}=e_{\omega}\\ \dot e_{\omega}=\dot\omega_{d}-\dfrac{1}{J_{m}}[k_{e}f_{1}(\theta)(i_{a}^{d}- e_{a})\\ + k_{e}f_{2}(\theta)(i_{b}^{d}- e_{b})\\ + k_{e}f_{3}(\theta)(i_{c}^{d}- e_{c})-B_{m}\omega_{m}] \end{align*}

위 식에서 식(15)의 정의와 토크 변조기법 식(13)을 적용하면 기계적 오차 동역학을 아래와 같이 다시 정리할 수 있다.

(17)
\begin{align*} \dot e_{\theta}= e_{\omega}\\ \dot e_{\omega}=\dfrac{1}{J_{m}}[k_{e}f_{1}(\theta)e_{a}+k_{e}f_{2}(\theta)e_{b}+k_{e}f_{3}(\theta)e_{c}\\ -F_{m}e_{\omega}+V_{t}] \end{align*}

기계적 동역학의 안정도 향상과 오차 수렴도를 높이기 위해 가상 입력 $V_{t}$를 아래와 같이 설계하였다.

(18)
\begin{align*} V_{t}= -k_{1}e_{\theta}- k_{2}e_{\omega}- k_{e}f_{1}(\theta)e_{a}\\ - k_{e}f_{2}(\theta)e_{b}- k_{e}f_{3}(\theta)e_{c} \end{align*}

이때, $k_{1}$, $k_{2}$는 기계적 오차에 대한 피드백 제어 이득이며, 마지막 세 개의 항 ($- k_{e}f_{1}(\theta)e_{a} $, $- k_{e}f_{2}(\theta)e_{b}$, $- k_{e}f_{3}(\theta)e_{c}$)은 역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상쇄해주기 위해 설계되었다. 설계된 $V_{t}$를 고려한 토크 변조기법을 최종적으로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기계적 오차 동역학으로 정리할 수 있다.

(19)
\begin{align*} \dot e_{\theta}= e_{\omega}\\ \dot e_{\omega}= -\dfrac{1}{J_{m}}[(F_{m}+ k_{2})e_{\omega}+ k_{1}e_{\theta}] \end{align*}

여기서 기계적 입력인 지령 토크로 부터 실제 입력인 전압을 생성해주기 위해서는 지령 전류를 정의해야 한다. 따라서 식(15)의 정의를 이용하여 3상 지령 전류를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20)
\begin{align*} i_{a}^{d}=\dfrac{1}{k_{e}f_{1}(\theta)}\dfrac{\tau_{e}^{d}}{3},\: \\ i_{b}^{d}=\dfrac{1}{k_{e}f_{2}(\theta)}\dfrac{\tau_{e}^{d}}{3},\: \\ i_{c}^{d}=\dfrac{1}{k_{e}f_{3}(\theta)}\dfrac{\tau_{e}^{d}}{3}. \end{align*}

Remark: 그림 2(b)에서 매 반주기마다 $f_{1}(\theta)$, $f_{2}(\theta)$, $f_{3}(\theta)$이 0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i_{a}^{d}$, $i_{b}^{d}$, $i_{c}^{d}$의 값이 발산하는 특이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f_{1}(\theta)$, $f_{2}(\theta)$, $f_{3}(\theta)$가 0의 값을 가질 때 0에 근접한 아주 작은 값, $\varepsilon$,으로 가정할 수 있다.

3.2 리아푸노프 기반 전류 제어기

3.1장에서 정의된 $i_{a}^{d}$, $i_{b}^{d}$, $i_{c}^{d}$를 추종하기 위한 전류 제어기의 설계가 필요하다. 3.2장에서는 리아푸노프 기반 전류제어기를 설계함으로써 전기적 오차에 대한 추종성능을 향상시키고 시스템의 안정도를 보장해 주는 3상 입력을 아래와 같이 설계하였다.

(21)
\begin{align*} V_{a}=L\dot i^{d}_{a}+R i_{a}+k_{e}\omega_{m}f_{1}(\theta)+k_{3}L e_{a},\:\\ V_{b}=L\dot i^{d}_{b}+R i_{b}+k_{e}\omega_{m}f_{2}(\theta)+k_{4}L e_{b},\:\\ V_{c}=L\dot i^{d}_{c}+R i_{c}+k_{e}\omega_{m}f_{3}(\theta)+k_{5}L e_{c}. \end{align*}

설계된 리아푸노프 기반 전류 제어기에 의해 전기적 오차 동역학은 아래와 같이 다시 나타내어진다.

(22)
\begin{align*} \dot e_{a}= - k_{3}e_{a\\ }\dot e_{b}= - k_{4}e_{b\\ }\dot e_{c}= - k_{5}e_{c} \end{align*}

4. 안정도 평가

3장에서 설계한 토크 변조기법을 활용한 속도 제어기와 리아푸노프 기반 전류 제어기를 이용하여 유도된 오차 동역학의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식(19)식(22)를 아래와 같이 행렬로 표현했다.

(23)
$$ \left[\begin{array}{c} \dot{e}_{\theta} \\ \dot{e}_{\omega} \\ \dot{e}_{a} \\ \dot{e}_{b} \\ \dot{e}_{c}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cc} 0 & 1 & 0 & 0 & 0 \\ -\frac{k_{1}}{J_{m}}-\frac{\left(F_{m}+k_{2}\right)}{J_{m}} & 0 & 0 & 0 \\ 0 & 0 & -k_{3} & 0 & 0 \\ 0 & 0 & 0 & -k_{4} & 0 \\ 0 & 0 & 0 & 0 & -k_{5} \end{array}\right]\left[\begin{array}{c} e_{\theta} \\ e_{\omega} \\ e_{a} \\ e_{b} \\ e_{c} \end{array}\right] $$

위 행렬식의 고유 값, $\lambda_{i}(i=1,\:\cdots ,\:5)$,을 구하면 아래와 같다.

(24)
\begin{align*} \lambda_{1}=\dfrac{-(F_{m}+ k_{2})+\sqrt{(F_{m}+ k_{2})^{2}- 4 k_{1}J_{m}}}{2 J_{m}},\:\\ \lambda_{2}=\dfrac{-(F_{m}+ k_{2})-\sqrt{(F_{m}+ k_{2})^{2}- 4 k_{1}J_{m}}}{2 J_{m}},\:\\ \lambda_{3}= -k_{3},\:\\ \lambda_{4}= -k_{4},\:\\ \lambda_{5}= -k_{5}. \end{align*}

이때, 각 고유 값이 음의 값을 가져야 안정함을 증명할 수 있으므로, 오차 동역학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제어 이득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25)
$k_{1}SUCC 0,\: k_{2}SUCC -F_{m,\:}k_{3}SUCC 0,\: k_{4}SUCC 0,\: k_{5}SUCC 0.$

따라서 폐루프 안정도를 만족시키는 제어기 이득 선정이 가능하다.

5. 시뮬레이션

설계된 속도 제어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MATLAB /Simulink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실험과 유사한 상황에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모델 매개변수 ($J_{m}$, $F_{m}$)에 nominal 값의 10\%의 불확실성을 인가하였다. 또한 다른 제어기와의 비교평가를 위해 전동기 제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PI제어기를 비교군으로 사용하였다. 공정한 비교평가를 위해 PI제어기의 제어이득은 제안된 제어기와 마찬가지로 정상상태 추종오차를 0이 될 수 있게 제어이득을 조정하였다. 모의실험에 필요한 BLDCM의 매개변수 및 제안된 제어기의 제어 이득은 표 1과 같다.

그림 3은 속도 및 토크에 대한 지령을 보여주고 있다. 속도 지령은 정상상태에서 $100[rpm]$을 가지며, 토크 지령은 식(13)에 의해 계산된다. 토크 변조기법에 의해 발생된 토크 리플에 의한 속도 추종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지령 토크가 생성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4는 지령 토크로부터 계산된 3상 전류 지령의 파형이다. 전류 지령에서 관측되는 리플은 각 상의 역기전력이 0이 될 때의 가장 크게 관측되어 진다. 이는 지령 속도의 기본파주파수인 100[rpm](≒1.66 [Hz])에 대한 2고조파인 (≒3.33 [Hz]) 성분의 리플 주파수가 생성되어진 것이다. 특히 A상 지령전류에서는 지령속도가 0에서 갑자기 값이 변함에 따라 과도전류가 다른 상에 비해 크게 나타나고 있다.

표 1. BLDCM 매개변수 및 제어 이득

Table 1. BLDCM parameter and control gain

마찰계수 $F_{m}$

$0.10625\times 10^{-3}[Nm/rad/s]$

관성모멘트 $J_{m}$

$8.5\times 10^{-6}[Kg m^{2}]$

인덕턴스 $L$

$55\times 10^{-3}[m H]$

저항 $R$

$0.215[Ω]$

역기전력 상수 $k_{e}$

$0.0215[V/rad/s]$
$k_{1}$ $0$
$k_{2}$ $0.1$
$k_{3}$ $80$
$k_{4}$ $80$
$k_{5}$ $80$
$k_{P}$ $10$
$k_{I}$ $30$

그림. 3. 속도 지령 및 토크 지령

Fig. 3. Desired velocity and desired torque

../../Resources/kiee/KIEEP.2021.70.3.144/fig3.png

그림. 4. 3상 전류 지령

Fig. 4. 3 Desired phase currents

../../Resources/kiee/KIEEP.2021.70.3.144/fig4_1.png

../../Resources/kiee/KIEEP.2021.70.3.144/fig4_2.png

그림. 5. 각 속도 추종 오차

Fig. 5. Angular velocity tracking error

../../Resources/kiee/KIEEP.2021.70.3.144/fig5.png

그림 5는 지령 속도를 추종하는 실제 속도에 대한 속도 추종 오차이다. 정상상태 구간에서 각속도 추종오차의 평균값은 PI제어기와 제안된 제어기법 모두 0에 가깝게 관측되고 있다. 하지만 정상상태에서 속도오차에 대한 리플을 확인해 보면 제안된 방법에서는 PI제어기에 비해 속도 리플이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제안된 제어기법에서 속도 리플에 의해 발생된 속도 오차를 이용하여 지령 토크를 생성하고 지령 토크로부터 생성된 지령전류를 리아푸노프 기반 전류제어기가 잘 추종함에 따라 속도 오차를 더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BLDCM의 역기전력에 의한 토크 및 속도 리플을 감소시키고 속도 추종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토크 변조기법과, 리아푸노프 기반 전류 제어기법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제어기법에서는 기계적 오차와 지령속도를 이용하여 토크 변조기법을 설계하였다. 또한 토크 변조기법으로부터 계산된 지령 토크를 지령 전류로 변환하고 지령 전류를 추종하는 리아푸노프 기반 전류제어기를 설계함에 따라 기존 PI제어기에 비해 속도 추종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0R1I1A3073378).

References

1 
IEEE Standard Requirements for Transformers., IEEE Std. C57.13-1993(R2003)Google Search
2 
M. P. Maharajan, S. A. E. Xavier, 2019, Design of speed control and reduction of torque ripple factor in BLdc motor using spider based controller,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34, No. 8, pp. 7826-7837DOI
3 
J. Fang, X. Zhou, G. Liu, 2012, Instantaneous torque control of small inductance brushless DC motor,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27, No. 12, pp. 4952-4964DOI
4 
N. T. Dat, C. V. Kien, H. P. H. Anh, 2021, Optimal FOC-PID Parameters of BLDC Motor System Control Using Parallel PM-PSO Optimization Technique, Int. J. Comput. Intell. Syst., Vol. 1, No. 14, pp. 1141-1154DOI
5 
V. M. Hernández-Guzmán, J. Orrante-Sakanassi, 2021, PID Control of Robot Manipulators Actuated by BLDC Motors, Int. J. Control., Vol. 94, No. 2, pp. 267-276DOI
6 
Y. A. -R. I Mohamed, E. F. El-Saadany, May 2007, A current control scheme with an adaptive internal model for robust current regulation and torque ripple minimization in PMSM vector drive, in Proc. IEEE Int. Elect. Mach. Drives Conf., Vol. 1, pp. 300-305DOI
7 
W. Li, J. Fang, H. Li, J. Tang, 2016, Position sensorless control without phase shifter for high-speed BLDC motors with low inductance and nonideal Back EMF,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31, No. 2, pp. 1354-1366DOI
8 
K.-Y. Nam, W.-T. Lee, C.-M. Lee, J.-P. Hong, 2006, Reducing torque ripple of brushless DC motor by varying input voltage, IEEE Trans. Magn., Vol. 42, No. 4, pp. 1307-1310DOI
9 
J. Y. Hung, Z. Ding, 1993, Design of currents to reduce torque ripple in brushless permanent magnet motors, IEE Proc. B (Electric Power Appl.), Vol. 140, No. 4, pp. 260-266Google Search
10 
E. Favre, L. Cardoletti, M. Jufer, Nov/Dec 1993,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ogging torque suppression, IEEE Trans. Ind. Appl., Vol. 29, No. 6, pp. 1141-1149DOI
11 
S. B. Ozturk, H. A. Toliyat, 2011, Direct torque and indirect flux control of brushless DC motor, IEEE/ASME Trans. Mechatron., Vol. 16, No. 2, pp. 351-360DOI
12 
Z. Q. Zhu, J. H. Leong, 2012, Analysis and mitigation of torsional vibration of PM brushless AC/DC drives with direct torque controller, IEEE Trans. Ind. Appl., Vol. 48, No. 4, pp. 1296-1306DOI
13 
W. Kim, D. Shin, C. C. Chung, 2013, Microstepping with nonlinear torque modulation for permanent magnet stepper motors, IEEE Trans. Cont. Syst. Technol., Vol. 21, No. 5, pp. 1971-1979DOI
14 
Y. Lee, S.-H. Lee, C. C. Chung, 2018, LPV H∞ control with disturbance estimation f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5, No. 1, pp. 488-497DOI
15 
Y. Lee, J. Gil, W. Kim, Apr 2021, Velocity control for sideband harmonics compensation in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with low switching frequency inverter,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8, No. 4, pp. 3434-3444DOI

저자소개

Nuri Na
../../Resources/kiee/KIEEP.2021.70.3.144/au1.png

She is currently pursuing Bachelor's degre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lso, she is working as a researcher in automatic control laboratory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ngchan Jeon
../../Resources/kiee/KIEEP.2021.70.3.144/au2.png

He is currently pursuing Bachelor's degre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lso, he is working as a researcher in automatic control laboratory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oungwoo Lee (Assistant professor))
../../Resources/kiee/KIEEP.2021.70.3.144/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South Korea, in 2010, an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17.

From 2017 to 2018, he was a Research Scientist with the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Technology, and a Postdoctoral Researcher with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USA.

From 2018 to 2019, he was with the Memory Division, Samsung Electronics Ltd., Korea.

From 2019 to 2020, he was an Assistant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onics Engineering, Pai 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In 2020, he joined the Faculty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optimization, electric machine control, nonlinear and optimal controller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