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Electric vehicles, Magnetic resonance circuit system, Mutual inductance, Self inductance, Wireless power charging.

1. 서 론

전 세계적으로 대기오염, 화석연료 과다사용으로 인한 고갈 문제 등 이유로 친환경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친환경자동차 에 대해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여러 정책들이 또한 시행중이다. 그 중 가장 대표적으로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제 2차 국가기간교통망계획(안)’ 공청회에서 2040년까지 친환경자동차를 약 1000만여대 보급한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전기충전기, 수소충전기를 갖추고 인프라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와 수소자동차, 천연가스자동차 등 에너지 효율이 좋은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내연기관차 주유에 비해 전기자동차 충전이 훨씬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기자동차의 충전 속도를 높이는 방안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같은 경우 충전 전력에 따라 완속 충전기와 급속 충전기가 존재하며 최근에는 테슬라, 르노삼성, 현대 등 여러 전기자동차 업체에서 20분안에 80%까지 충전할 수 있는 초고속 충전에 대해 소개하기도 했다[1-3]. 이러한 유선 충전 방식에도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유선 충전 방식은 충전 시 필요한 높은 전류로 인해 케이블이 무거워지고, 또한 충전 시 케이블을 차에 연결하고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는 것이 힘든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보완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무선 충전 방식이 있고, 무선 충전 시 케이블의 무게는 물론, 충전 시 자리를 비우기 힘든 번거로움도 사라지고 더 나아가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에서 주행 시 도로 밑에 깔린 송전 패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전기자동차가 충전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몇 년 전부터 전기자동차 무선 충전 상용화를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4]. 우리나라를 비롯해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무선 충전 방식이 상용화가 될 시에는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무선전력전송의 방식에 대하여 알아보고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공진 회로 시스템의 구조와 회로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4가지 공진 회로 시스템 구조의 전력 및 효율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2. 다양한 무선전력전송 방식의 분석

2.1 자기 유도 무선전력전송 방식의 분석

자기 유도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실생활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방식 중 하나이다. 대표적인 자기 유도 무선전력전송 방식을 이용한 사례로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가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송신측 코일과 수신측 코일 간 자속 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에너지 전달방식이 변압기의 동작원리와 유사하다. 또한, 송신측과 수신측 공진 주파수와 전송 주파수가 서로 다른 특징이 있다. 자기 유도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높은 효율과 기술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송신측과 수신측 코일간 거리가 멀어질수록 효율이 급격하게 안 좋아지고 송수신 코일간 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그림 1은 자기 유도 무선전력전송 방식의 가장 기본적인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자기 유도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송신측 코일과 수신측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전송 효율을 높이고자 송신부와 수신부를 공진시키도 한다. 공진 시키는 방법으로 LC, LLC, LCL 등 여러 방법이 사용된다[5,6].

그림 1. 자기 유도 무선전력전송 방식 등가회로

Fig. 1. Equivalent circuit of magnetic induc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Resources/kiee/KIEEP.2022.71.1.22/fig1.png

2.2 자기 공진 무선전력전송 방식의 분석

자기 공진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자기 유도 무선전력전송 방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고,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부하 측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2007년 미국의 MIT에서 마린 솔랴시치 교수 연구팀이 처음으로 제작하여 발표한 방식으로 직접 제작한 자기 공진기를 이용하여 2[m]의 거리에 떨어진 전구에 불을 밝히는데 성공하면서 당시 많은 주목을 받게 되었고, 현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방식 중 하나이다. 자기 공진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자기 유도 무선전력전송 방식에 비해 수 미터까지 조금 더 먼 거리에서 전력전달을 할 수 있고, 부하가 동일한 주파수일 경우 한 번에 여러 부하에 전력전달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자기 공진 방식의 가장 큰 단점으로는 코일의 크기가 커서 소형화를 해결해야되는 문제가 있고, 공진 방식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해 인체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고, 자기 공진 무선전력전송 방식도 거리가 멀어질수록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들이 조금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되는 부분이다[5-7].

2.3 마이크로파 무선전력전송 방식의 분석

자기 유도 무선전력전송 방식, 자기 공진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비방사형이였지만 마이크로파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방사현상을 이용한 방식이다. 이 방식은 대표적으로 정류기와 안테나를 조합한 구조로 되어 있는 렉테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술이 있다. 마이크로파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앞선 두 방식과는 달리 수 km 이상 장거리 무선전력전송에 사용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이 방식은 우주 태양광발전 등에 사용되고 있으나 전송효율이 낮고 인체에 해롭다는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된다[6-7].

전기자동차에서 무선전력 충전을 실시할 경우 바닥면과 전기자동차의 하부측에 송신 및 수신 패드를 장착하며 두 패드의 간격은 1[m] 이하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간격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충전 방식은 위와 같은 방안 중 자기공진 방시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자기 공진 무선전력전송 방안을 활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전력 전달 효율을 높이고자 그 구조들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3.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공진 회로의 구조 비교 분석

3.1 공진 회로 시스템 구조

전기자동차 무선 충전에 사용되는 공진 회로 시스템은 변압기와 다르게 결합계수 $k$($0\le k\le 1$) 값이 매우 낮아서 전력전송 효율을 많이 저감시킨다. 이를 개선하고자 송신측과 수신측 코일에 커패시터를 구성하여 보상을 한다. 커패시터 연결 방식에 따라 크게 4가지 구조가 있다. 송신측 코일에 커패시터를 추가하여 보상할 경우 전력전달 용량의 증대를 목적으로 추가하고, 수신측 코일에 커패시터를 추가하여 보상할 경우 전력변환장치로부터 공급하는 무효전력량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8].

3.1.1 직렬-직렬(Series-Series) 구조

직렬-직렬 구조는 송신측과 수신측 코일에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되어 보상하는 구조이다. 이 구조의 가장 큰 장점은 커패시터의 값이 결합 계수의 변화와 부하의 크기와 무관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그러나 이 구조의 단점으로 송신측에서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수신측에 전달되는 전압이 매우 높아 시스템적으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구조의 효율은 결합 계수의 변화에 상관없듯 높은 효율을 가지고 있다. 그림 2는 직렬-직렬 구조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그림 2. 직렬-직렬(Series-Series) 구조 등가회로

Fig. 2. Series-Series structure equivalent circuit

../../Resources/kiee/KIEEP.2022.71.1.22/fig2.png

3.1.2 직렬-병렬(Series-Parallel) 구조

직렬-병렬 구조는 송신측 코일에는 커패시터가 직렬 연결, 수신측 코일에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보상하는 구조이다. 이 구조는 직렬-직렬 구조와는 다르게 커패시터의 값이 결합 계수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 구조의 효율은 상호 인덕턴스값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도 같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송신측 커패시터 값이 상호 인덕턴스에 따라 변하므로 공진 주파수도 변화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직렬-병렬 구조는 동적 무선 전송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움이 있다. 그림 3은 직렬-병렬 구조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그림 3. 직렬-병렬(Series-Parallel) 구조 등가회로

Fig. 3. Series-Parallel structure equivalent circuit

../../Resources/kiee/KIEEP.2022.71.1.22/fig3.png

3.1.3 병렬-직렬(Parallel-Series) 구조

병렬-직렬 구조는 송신측 코일에는 커패시터가 병렬 연결, 수신측 코일에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되어 보상하는 구조이다. 이 구조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호 인덕턴스로 비교적 높은 효율과 PF를 가진다. 단점으로는 전압의 변화를 피하기 위해 전류원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인덕터를 추가하여 LCL 구조로 많이 사용된다. 그림 4는 병렬-직렬 구조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그림 4. 병렬-직렬(Parallel-Series) 구조 등가회로

Fig. 4 Parallel-Series structure equivalent circuit

../../Resources/kiee/KIEEP.2022.71.1.22/fig4.png

3.1.4 병렬-병렬(Parallel-Parallel) 구조

병렬-병렬 구조는 송신측과 수신측 코일에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보상하는 구조이다. 이 구조는 낮은 PF를 가지고, 송신측의 많은 전류와 수신측에 높은 전압으로 인하여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지 않는 구조이다. 그림 5은 병렬-병렬 구조 등가회로를 나타낸다[7,9].

그림 5. 병렬-병렬(Parallel-Parallel) 구조 등가회로

Fig. 5 Parallel--Parallel structure equivalent circuit

../../Resources/kiee/KIEEP.2022.71.1.22/fig5.png

3.2 공진 회로 시스템 파라미터 선정

공진 회로 시스템에 사용 될 코일은 헬리컬 코일을 기준으로 파라미터를 선정하였다. 송신측과 수신측 코일에 전압과 전류 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_{1},\: V_{2}[V]$는 송수신측 전압, $i_{1},\: i_{2}[A]$는 송수신측 전류, $L_{1},\: L_{2}$은 송수신측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 $M$은 송수신측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다.

(1)
$V_{1}=L_{1}\dfrac{d}{dt}i_{1}+M\dfrac{d}{dt}i_{2}$
(2)
$V_{2}=M\dfrac{d}{dt}i_{1}+L_{2}\dfrac{d}{dt}i_{2}$

여기서 자기 인덕턴스와 상호 인덕턴스 공식은 아래와 같다. $k$는 결합계수를 나타내고 결합계수 또한 아래 공식과 같다. $R$은 송수신부 코일의 지름, $l[cm]$은 코일의 길이, $n$은 코일의 턴수, $r_{1},\: r_{2}[cm]$는 송수신부 코일의 반지름, $d[cm]$는 두 코일간의 떨어진 거리를 나타낸다.

(3)
$L=\dfrac{R^{2}\times n^{2}}{l+0.45\times R}[\mu H]$
(4)
$k=\dfrac{r_{1}^{2}\times r_{2}^{2}}{\sqrt{r_{1}\times r_{2}}(\sqrt{r_{1}^{2}+d^{2}})^{3}}(r_{1}\ge r_{2})$
(5)
$M=k\sqrt{L_{1}\times L_{2}}$

수신측 코일의 커패시터 연결 방식은 직렬,병렬 연결 상관없이 $L_{2}$와 $C_{2}$의 공진 주파수 $w_{o}$가 송신측 각주파수 $w$와 일치하게 $C_{2}$를 설계한다.

(6)
$w=w_{o}=\dfrac{1}{\sqrt{L_{2}C_{2}}}$

위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를 $C_{2}$의 설계식으로 나타내면 아래 식과 같이 표현된다.

(7)
$C_{2}=\dfrac{1}{w^{2}L_{2}}=\dfrac{1}{w_{o}^{2}L_{2}}$

송신측 코일에 커패시터 공식은 연결 방식에 따라 설계식이 달라진다. 아래 표 1은 송신측 커패시터 연결 방식에 따른 설계식을 나타낸다[8].

표 1 송신측 커패시터 설계식

Table 1 Transmitter capacitor design formula

Compensation topology

Primary capacitance($C_{1}$)

Series - Series

$\dfrac{L_{2}\times C_{2}}{L_{1}}$

Series - Parallel

$\dfrac{L_{2}^{2}\times C_{2}}{L_{1}\times L_{2}-M^{2}}$

Parallel - Series

$\dfrac{L_{2}\times C_{2}}{\dfrac{M^{4}}{L_{1}\times L_{2}\times C_{2}\times R^{2}}+L_{1}}$

Parallel - Parallel

$\dfrac{(L_{1}\times L_{2}-M^{2})\times C_{2}\times L_{2}^{2}}{\dfrac{M^{4}\times C_{2}\times R^{2}}{L_{2}}+(L_{1}\times L_{2}-M^{2})^{2}}$

표 1의 설계식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직렬-직렬(Series-Series) 구조는 $k$와 $R$과 상관없이 $C_{2}$가 설계된다. 직렬-병렬(Series- Parallel) 구조는 $k$, 병렬-직렬(Parallel-Series) 구조와 병렬-병렬(Parallel-Parallel) 구조는 $k$와 $R$의 영향을 받아 $C_{2}$가 설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송신측, 수신측의 전압과 전류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3.3 모의실험을 위한 공진 회로 시스템 조건 파라미터

무선 충전에 사용되는 공진 회로 시스템의 4가지 구조의 송신측 수신측 자기 인덕턴스, 상호 인덕턴스, 커패시터 값을 구하고 비교 분석 하기 위해 앞서 알아본 식을 이용하여 결합계수, 자기 인덕턴스, 상호 인덕턴스, 송수신측 커패시터 값을 구해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모의실험에 진행에 앞서 전기자동차 무선충전에 권고 주파수에 맞춰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전세계적으로 현재 3가지 권고 주파수가 있다[10].

① 20[kHz](19-21[kHz])

② 60[kHz](55-65[kHz])

③ 79-80[kHz]

위와 같이 총 3가지가 현재 권고 주파수로 채택되었다. ①번과 ②번은 대출력(100[kW]급 이상) 무선충전 전기 자동차용, ③번은 승용 무선충전 전기 자동차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80[kHz]주파수로 설정하고 결합계수 및 자기 인덕턴스, 상호 인덕턴스를 구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제 전기자동차 무선 충전에 사용되는 기준으로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결합계수 또한 전기자동차 무선 충전의 평균적인 결합계수를 이용하였고, 이를 통해 상호 인덕턴스 설계식에 대입하여 계산 후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모의실험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아래 표 2표 3을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표 2 모의실험을 위해 사용된 무선전력전송 회로의 동일 파라미터

Table 2 The same parameter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ircuit used for the simulation

Parameter

Value

Units

Input voltage

220

$[V]$

Frequency

80

$[k Hz]$
$L_{1}$

300

$[\mu H]$
$L_{2}$

100

$[\mu H]$
$k$

0.32

$M$

55.43

$[\mu H]$
$C_{2}$

39.58

$[n F]$

Resistor

50.27

$[\omega]$

표 3 송신측 커패시터 파라미터

Table 3 Transmitter capacitor parameter

Compensation topology

Value

Units

Series – Series

(Figure 2)

13.19

$[n F]$

Series – Parallel

(Figure 3)

13.66

$[n F]$

Parallel – Series

(Figure 4)

13.18

$[n F]$

Parallel – Parallel

(Figure 5)

13.64

$[n F]$

전기 자동차 무선 충전에 사용되는 공진 회로 시스템의 4가지 구조의 송신측 수신측 전압과 전류를 확인하기 위해 표 2표 3의 파라미터와 그림 2에서부터 그림 5와 같이 회로도를 기반으로 설계 후 PSIM을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송신측과 수신측 커패시터 연결 방식에 따른 4가지 구조에 대해 모의실험을 진행하였고, 표 2의 파라미터 값은 모두 동일한 상태에서 진행하고 송신측과 수신측 전압과 전류 정확한 측정을 위해 동일한 시간에서 rms 값을 측정하였다.

그림 6. 직렬-직렬 구조 사용시 송신측 수신측 전압, 전류 파형

Fig. 6. When using series-serial structure,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at the transmitting side and receiving side

../../Resources/kiee/KIEEP.2022.71.1.22/fig6.png

그림 7. 직렬-병렬 구조 사용시 송신측 수신측 전압, 전류 파형

Fig. 7. When using series-parallel structure,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at the transmitting side and receiving side

../../Resources/kiee/KIEEP.2022.71.1.22/fig7.png

그림 8. 병렬-직렬 구조 사용시 송신측 수신측 전압, 전류 파형

Fig. 8. When using parallel-serial structure,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at the transmitting side and receiving side

../../Resources/kiee/KIEEP.2022.71.1.22/fig8.png

그림 9. 병렬-병렬 구조 사용시 송신측 수신측 전압, 전류 파형

Fig. 9 When using parallel-parallel structure, voltage and current waveforms at the transmitting side and receiving side

../../Resources/kiee/KIEEP.2022.71.1.22/fig9.png

그림 6에서 그림 9까지는 동일한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여 전기자동차 무선 충전을 위한 4가지 자기 공진 회로 시스템의 송신측과 수신측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낸다. 각 구조의 전압과 전류 값을 표 4에 송신측과 수신측 전력과 효율을 표 5에 정리하였다.

표 4 모의실험을 통한 송신측 수신측 전압 및 전류

Table 4 Transmitting side receiving side voltage and current through simulation

Compensation topology

Primary voltage

Primary current

Secondary voltage

Secondary current

Series - Series

220$[V]$

7.94$[A]$

139.91$[V]$

1.97$[A]$

Series - Parallel

220$[V]$

2.17$[A]$

16.78$[V]$

0.33$[A]$

Parallel - Series

220$[V]$

3.52$[A]$

87.66$[V]$

1.23$[A]$

Parallel - Parallel

220$[V]$

3.45$[A]$

38.33$[V]$

0.76$[A]$

표 5 모의실험을 통한 송신측 수신측 전력 및 효율

Table 5 Transmitting side receiving side power and efficiency through simulation

Compensation topology

Primary power

Secondary power

Efficiency

Series - Series

1746.8 $[W]$

275.62 $[W]$

15.78 [%]

Series - Parallel

477.4 $[W]$

5.54 $[W]$

1.16 [%]

Parallel - Series

774.4 $[W]$

107.82 $[W]$

13.92 [%]

Parallel - Parallel

759 $[W]$

29.13 $[W]$

3.84 [%]

표 4표 5를 살펴보면 직렬-직렬 구조의 효율은 약 15.78[%]이 측정되었다.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지만 송신측에서는 큰 전류가 흐르게 되며 수신측에서는 높은 전압이 발생하여 시스템적으로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직렬-병렬 구조에서는 1.16[%]의 효율을 보였다. 효율은 낮지만 이는 직렬-직렬 구조에 비하여 송신측과 수신측의 전압과 전류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상호 인덕턴스에 영향을 많이 받는 구조이므로 동적 무선 충전 방식에는 적합하지 않고 정적 무선 충전 방식에는 적합한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병렬-직렬 구조에서는 약 13.92[%]의 효율이 나타났다. 효율면에서 직렬-직렬 구조 다음으로 가장 좋게 나타났다. 또한, 시스템의 안정성 면에서 비추어 보았을 때 송신측과 수신측의 전압과 전류의 변동성이 가장 낮아 가장 높은 안정성을 보이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병렬-병렬 구조에서는 효율이 약 3.84[%]가 나타났다. 하지만 대전력이 인가될 경우 수신측의 전압이 매우 높아져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효율적인 측면에서는 직렬-직렬 구조의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시스템 안정성 측면에서는 병렬-직렬 구조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전기 자동차의 무선전력 충전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직렬-병렬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시스템임에 따라 본 4가지 구조 중 병렬-직렬 구조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그 효율이 상대적으로 작아 추가적인 회로를 통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 무선 충전을 위한 자기 공진 회로에서 주요 파라미터들의 구하는 공식과 송신측과 수신측에 커패시터 연결 방식에 따른 최적의 커패시터 값을 도출하고, 4가지 회로를 동일한 조건에서 모의 실험을 통해 송신측과 수신측 코일의 전압, 전류를 통해 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가지 구조 중 효율이 가장 좋은 구조는 직렬-직렬 구조로 판단되었으며 무선 충전의 안정성 측면에서는 병렬-직렬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기자동차의 무선전력 충전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직렬-병렬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시스템임에 따라 본 4가지 구조 중 병렬-직렬 구조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병렬-직렬 구조의 경우 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LCL과 같은 추가적인 회로 구성 방안을 채택하여 높은 안정성과 높은 효율을 갖을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L. Shuguang, J. Jia, 2019, Review of EV's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2019 IEE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ICECE), pp. 128-132DOI
2 
K. W. K. Chen, K. W. E. Cheng, 2018, Review of magnetic resonance technology, recent research trends and issues in EV wireless charging, The 11th IE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Power System Control, Operation and Management (APSCOM 2018), pp. 1-7DOI
3 
M. Yilmaz, P. T. Krein, May 2013, Review of Battery Charger Topologies, Charging Power Levels, and Infrastructure for Plug-In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8, No. 5, pp. 2151-2169DOI
4 
A. Zaheer, H. Hao, G. A. Covic, D. Kacprzak, April 2015, Investigation of Multiple Decoupled Coil Primary Pad Topologies in Lumped IPT Systems for Interoperabl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0, No. 4, pp. 1937-1955DOI
5 
D. Ahn, S. Hong, Jan. 2013, A Study on Magnetic Field Repeater in Wireless Power Transfer,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0, No. 1, pp. 360-371DOI
6 
U. K. Madawala, D. J. Thrimawithana, 2010, A r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201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Technology, pp. 667-672DOI
7 
A. Ahmad, M. S. Alam, R. Chabaan, March 2018, A Comprehensive Review of Wireless Charging Technologies for Electric Vehicles, in IEEE Transactions on Transportation Electrification, Vol. 4, No. 1, pp. 38-63DOI
8 
동균 우, 2016,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최적 설계 및 통합 제어 기법, 국내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Google Search
9 
D. Patil, M. K. McDonough, J. M. Miller, B. Fahimi, P. T. Balsara, March 2018, Wireless Power Transfer for Vehicular Applications: Overview and Challenges, in IEEE Transactions on Transportation Electrification, Vol. 4, No. 1, pp. 3-37DOI
10 
B. Y. Jeon, Frequency trends of wireless charging electric vehicles, in ICT Standard Weekly 982.Google Search

저자소개

최종용(Jong-Yong Choi)
../../Resources/kiee/KIEEP.2022.71.1.22/au1.png

He received his M.S. degree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chon University in 2021, Gyeonggi- Do,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sion and Power control.

E-mail : cjy5730@gachon.ac.kr

이현재(Hyun-Jae Lee)
../../Resources/kiee/KIEEP.2022.71.1.22/au2.png

He received his M.S.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 Do, Korea. currently he is pursuing his Ph. D.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 Do,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sion and Power control.

E-mail : lhj501@gachon.ac.kr

손진근(Jin-Geun Shon)
../../Resources/kiee/KIEEP.2022.71.1.22/au3.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 D, degrees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in 1990, 1992 and 1997. He was Chief Researcher in Electro-Mechanical Research Institute,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Gyeonggi-do, Korea, during 1992-1995. He was a Postdoctoral Researche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Kagoshima University, from 2002 to 2003. He was also a Visiting Scholar in the Power Electronics Laboratory, Michigan State University, from 2009 to 2010.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the power conversion, control and diagnosis of power utility.

E-mail : shon@gach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