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Cross flow turbine, Induction Generator, Intake Weir, Micro hydro power, Pen-stock, Water turbine

1. 서 론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 역사가 오래되고, 전력생산 기술의 완성도와 에너지변환 효율이 높으며, 비교적 안정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해서 수용가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청정수력 에너지이다[1,2].

수력 에너지는 출력 용량에 따라 피코(5㎾ 이하), 마이크로(5~100㎾), 미니(100~1000㎾), 소수력(1~10㎿), 중수력(10~100㎿) 그리고 대수력(100㎿ 이상)으로 분류하고 있다[1]. 우리나라는 설비용량이 큰 중·대 수력은 대부분 개발된 상태이고, 최근에는 지방의 소하천이나 상하수도 시설물 또는 하천의 보 등에 출력은 낮지만, 안정적인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관심이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

잠재 수력자원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중대형도 필요하지만, 출력은 낮아도 개발 가능성이 큰 마이크로급의 발전설비를 여러 지역에 많이 설치하는 것도 에너지 보급의 확대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탄소 저감과 RE100 구현을 위해서도 청정한 에너지의 계획과 설계, 구현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이 1,245㎜이지만, 여름에 집중하기 때문에 물을 저장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물의 일시적인 저장과 흐름을 지속할 수 있는 버퍼 역할이 가능한 사방댐이나 보의 확보가 필요하다. 특히 지방 소하천의 경우에는 계절적인 유량의 변화가 많은 편이지만, 산간 지역에서는 하천 유지에 필요한 만큼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 곳이 많다. 이들 산간 지역의 하천에 흐르는 물은 대부분 도로와 가까이 있어 물의 흐름을 적정하게 조정하면 낙차를 가질 수 있는 조건을 쉽게 만들 수 있어 청정에너지를 많이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 또는 산간 지역의 소하천에 상시 흐르는 수로에 마이크로급 발전설비를 구축할 때 하천의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물을 흐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수로식 발전 시스템을 소개하고, 기존에 적용하고 있던 수로식 방식에서 물의 흐름에 대한 경로를 줄여 공사비 절감과 민원문제 최소화 그리고 유지보수가 쉬운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지중 취수보를 제안하고, 설치 시공한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미니 또는 마이크로급 발전설비에 가장 중요한 취수보, 수로(수압 관로), 수차와 발전기 그리고 변압기의 적용에 대한 여러 특징을 소개하여 마이크로 수력의 개발과 보급이 확대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수차 발전 시스템

수력 에너지는 다른 재생에너지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 모든 재생에너지 중에서 효율이 가장 높다.

∙ 다른 재생에너지에 비해 설비 이용률이 높고, 출력 변동성이 낮아 매우 안정적이다.

∙ 오랜 기술력의 축적으로 시스템의 안정성이 매우 높은데다 50년 이상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전기에너지를 얻기 위해 설치하는 발전소 운영방식에서 발전전용의 경우 수로식, 저수지식 및 조정지식이 있다. 수로식(run of river type)은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댐이나 호수가 없으므로 자연 유하량의 범위 내의 유량으로 발전하는 방식이고, 저수지식(reservoir type)은 유량이 계절에 따라 변하므로 저수지는 우기에는 물을 담아두고, 건기에는 공급하여 연간 발전이 가능한 방법이며, 조정지식(regulation type)은 전력 수요는 하루 중에서 심하게 변동할 경우, 전력도 이에 따라 공급되어야 하므로 매일 매일 단시간의 첨두부하 발전이 가능한 발전방식이다[1,2]. 이들 세 가지 운영방식에서 하천 등에 흐르는 물이 가진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데에는 수로식이 가장 적당하다. 이 방식은 물을 저장하는 댐 등의 시설이 필요로 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설비이다.

전기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우선 발전기의 입력에 해당하는 기계적인 에너지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 기계 에너지의 확보에는 수차가 필요하다. 수차는 운동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한다. 운동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물의 흐름에 해당하는 유량과 물이 가진 위치에너지가 확보되어야 한다.

그림 1은 일반 하천에 설치한 수로식 수력발전설비를 나타낸 것이다[3]. 하천에 흐르는 물이 취수구(intake)에서 개방형 수로(canal)를 통해 이동한 다음 수압철관(penstock)에 보내기 전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 저수조(forebay)와 저수조에서 일정 기간 보관 한 물을 수차에 보낼 수 있는 수압관 그리고 기계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수차 발전기실(power house)로 구성되어 있다. 발전한 전력은 근처 배전선로를 사용하여 수용가에 필요한 청정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림 1 수로식 수력 발전설비 구성도

Fig. 1 Run of river type hydro power systems

../../Resources/kiee/KIEEP.2022.71.1.48/fig1.png

그림 1과 같이 물의 흐름을 이용하기 위한 하천과 떨어진 곳에 수로를 만들어 물의 확보와 저류, 조정 그리고 낙차를 위한 펜스톡의 확보는 공사의 어려움과 유지관리가 어려우므로 배전선로나 수용가가 가까운 곳으로 물의 흐름과 낙차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수로 구성이 필요하다. 도로를 따라 흐르는 하천의 경우 물의 확보와 흐름의 조정이나 낙차의 확보가 쉬운 편이고, 공사와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따라서 새롭게 도전하는 미니 또는 마이크로급 수력설비의 경우 하천 변을 이용한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

2.1 취수보(Intake weir)

청정에너지를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량과 낙차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안정적인 유량을 얻기 위해서는 하천에 물의 취수가 가능한 보의 확보, 이로부터 물을 이동시키기 전에 모래 등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침전설비, 다음으로 수차까지 물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수압관로 등이 필요하다. 낙차를 얻기 위해서는 물이 수압관을 통해 유입되는 침전지에서 수차에 유입되는 높이의 유지가 필요하다.

표 1 수로식 발전 방식에서 물의 흐름 경로

Table 1 Water flow path at the run of river type

기존

변경 제안

취수구(취수보)

침사지

수로 또는 수조

수압관로

발전소

방수로

취수구(취수보)

침사지

수압관로

발전소

방수로

표 1은 수로식 발전에서 취수구에서 방수로에 흐르는 물의 흐름 방식에서 기존 사용하고 있는 것과 지하 저수조를 이용할 때 변경 가능한 방식을 비교한 것이다. 위치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취수구와 수압관로 및 발전소와 방수로는 절대 필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침사지를 취수보 옆이나 취수보 하단의 지하에 설치하는 경우 수로나 수조의 기능을 제외하고도 수압관로에 물을 바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하천의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청정한 물의 확보가 가능하다.

취수보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 하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곳

∙ 하천의 홍수위 변화가 가장 적은 곳

∙ 공사로 인한 자연환경 파손이 가장 작은 곳

∙ 발전 수량의 확보가 가능한 곳

수차에 유입되는 일정 유량을 확보하기 위한 취수보는 그림 2 및 3과 같이 소하천에 콘크리트 보를 설치하고, 콘크리트의 중간에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한 다음에 이곳에 물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저수조에 해당하는 별도 공간의 지하 저수조 구조물을 만들었다. 그림 3과 같이 지하 저수조에는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취수보에 철제 스크린을 설치하였다.

그림 2는 취수보와 지하 저수조 공사의 구조물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하천의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도록 하고서 이 물의 일부가 그림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취수보를 통과해서 지하 저수조로 이동하도록 구축하였다. 이 지하 저수조에서 물이 침전되도록 해서 수압관을 거쳐 수차에 물이 유입되는 구조로 구성하면 된다.

그림 2 취수보와 지하 저수조

Fig. 2 Intake weir and under water tank

../../Resources/kiee/KIEEP.2022.71.1.48/fig2.png

그림 3은 취수보와 스크린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류에서 흐르는 물이 지중 저수조로 들어가기 전에 부유물이 걸러지도록 철제 스크린이 설치된 모습이다. 상류에서 이물질이 운반되어도 물의 흐름에 의해 스크린에 대부분 걸러지도록 설계하였으며, 실제 운전해본 결과 스크린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정하면 이물질이 지하 저수조로 들어가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그림 3 취수보와 철제 스크린

Fig. 3 Intake weir and iron screen

../../Resources/kiee/KIEEP.2022.71.1.48/fig3.png

2.2 수압관로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기 전에 사용하는 수압관로는 물을 수차에 공급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 수압관로는 시설에 따라 긴 파이프 또는 긴 채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최근에는 철제 파이프 형태의 펜스톡을 대신하여 폴리에틸렌 파이프(PE)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PE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설치가 쉽다.

∙ 지하 설치에도 토질의 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깨질 우려가 낮다.

∙ 높은 내충격성과 급속한 균열 전파 저항이 있다.

∙ 안쪽의 거칠기가 작으므로 프로젝트 설계에서 직경의 선택에 유리하다.

∙ 접합에 따른 추가 비용이 낮다.

∙ 토양의 구조에 포함된 연마 효과의 원인이 되는 유해 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물 냄새와 맛을 바꾸지 않는다.

∙ 수명이 길다.

∙ 식물과 나무뿌리 등이 파이프 내부에 침투가 어렵다.

PE는 단일 피스 길이가 길어 수압손실을 최소화하고, 더 적은 접합이 가능하며, 짧은 시간에 라인의 설치가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PE 파이프 선택에서는 양정을 고려하여 사이즈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이것은 사이즈에 따라 최소 요구 강도(MRS ; Minimum Required Strength)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양정을 고려하여 제작사의 규격을 참조하여 선택하면 된다.

펜스톡으로 사용될 PE의 단면적(A)이나 직경(D)은 유량(Q)의 공식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
$A=\dfrac{Q}{v}[㎡]$
(2)
$D=\sqrt{\dfrac{4}{\pi}\times\dfrac{Q}{v}}[m]$

여기서 $v$는 수압관 내의 평균유속이다.

펜스톡을 매설하는 방법에 따라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에 차이가 날 수 있다. 펜 스톡은 땅에 매설하지 않고 개방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 유지관리는 편하지만, 토지의 보상 등이 민원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 외관상 깨끗한데다 적정한 길이마다 점검구를 두면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림 4는 PE 펜스톡을 도로상에 설치하기 위해 터파기를 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5는 PE관을 열 접합을 통해 연결하는 모습이다. PE관의 열 접합을 통해 도로를 따라 땅에 묻으면 된다.

그림 4 수압관의 도로 매설

Fig. 4 Road buried of hydraulic pipe

../../Resources/kiee/KIEEP.2022.71.1.48/fig4.png

그림 5 PE 관 열 접합

Fig. 5 PE pipe thermal bonding

../../Resources/kiee/KIEEP.2022.71.1.48/fig5.png

2.3 수차

물의 흐름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떨어지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라도 수력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수두 또는 양정으로 알려진 물의 수직 낙하는 수력발전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유량보다는 더 큰 양정을 갖는 것이 장비를 작게 하여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수압관을 거쳐 발전에 이용한 물은 다시 하천으로 방류하여 하천의 유지용수로 역할을 다할 수 있다.

수력발전설비에서 핵심 요소는 수차와 발전기이다.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수차의 형식 결정이 매우 중요하다. 수차는 크게 충동형(impulse sype)과 반동형(reaction type)으로 구분한다[1,2]. 충동형은 수차를 통과한 물의 흐름이 대기압을 받게 되는 낙차가 큰 곳에 효율적이고, 반동형은 물의 흐름 속도보다는 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방식으로 낙차가 낮은 곳에 유리하다. 표 2는 수차의 종류와 효율 범위를 구분한 것이다.

표 2 수차의 종류와 효율

Table 2 Type of water turbine and its efficiency

구분

수차 종류

효율 범위

충동형

(impulse type)

펠턴(pelton) 수차

80~90%

횡류(cross flow) 수차

65~85%

터고(turgo) 수차

80~95%

반동형

(reaction type)

프란시스(francis) 수차

80~90%

프로펠러(propeller) 수차

80~95%

카플란(kaplan) 수차

80~90%

펌프(pump) 수차

60~90%

그림 6 유량-낙차를 고려한 터빈 적용 표

Fig. 6 Turbine application chart according to discharge and head

../../Resources/kiee/KIEEP.2022.71.1.48/fig6.png

그림 6은 유량과 낙차에 따라 미니 및 마이크로급 수력에 적용되는 수차 터빈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3]. 유량이 풍부하고 낙차가 적은 곳에서는 프로펠러 수차나 카플란 수차의 적용이 가능하고, 유량은 적지만, 낙차가 큰 경우에는 펠턴 수차나 튜고 수차의 적용이 적합하다. 유량이 1[cms] 이내이고, 낙차가 50[m] 이하에서는 크로스 플로 수차가 적합하고, 유량이 1 ~ 5[cms]이고, 낙차가 50[m]를 넘는 경우는 프란시스 수차가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유량과 낙차의 값이 정해진 경우 수차 및 발전기의 용량과 형식을 선정해야 한다. 이때 유량이 항상 일정한지 아니면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 수차의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그림 7은 지중 취수보에서 확보된 물을 PE관 펜스톡을 거쳐 방류구를 통해 하천에 보낼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횡류식 수차를 이용하여 45㎾ 2대를 설치한 발전소의 내부 모습이다.

그림 7 수차 발전기

Fig. 7 Water turbine generator

../../Resources/kiee/KIEEP.2022.71.1.48/fig7.png

수차는 수압을 기계적인 축동력으로 변환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는데 사용한다. 발전기로 생산된 전력은 초당 변환된 에너지로 동작한 일의 비율로 와트로 측정한다. 수력발전기를 설치해서 얻을 수 있는 전력의 개략적인 크기는 수차와 발전기의 효율을 고려하여 식 (3)과 같이 유량과 양정의 곱에 비례한다.

(3)
$P_{out}\approx 7\times Q\times H[㎾]$

마이크로급 수차발전기의 출력은 중·대형에 비해 수차나 발전기의 효율이 크게 높지 않아 위의 식 (3)과 같이 개략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 수식은 제작사로부터 수차와 발전기의 효율을 알지 못하는 경우 수차발전기의 출력을 알고자 할 때 많이 사용된다. 발전을 통해 정확한 전력의 산출을 위해서는 수차의 효율과 발전기의 효율과 역률 등에 대해서는 설계할 때 미리 파악할 필요가 있다.

2.4 발전기

수차의 축에서 발생하는 기계적인 힘은 다음 식 (4)와 같이 구할 수 있다.

(4)
$P_{out}=\eta\times\rho\times g\times H\times Q$

여기서 $\rho$ 는 물의 밀도이고, $\eta$ 는 변환된 에너지의 효율 퍼센트이며, $g$ 는 중력가속도로 9.807이고, $H$ 는 높낮이 차인 양정 또는 터빈 전체의 압력 차이며, $Q$ 는 유량으로 단위 시간당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 수차의 효율과 발전기의 효율을 알고 있는 경우 수차발전기의 출력은 다음 식 (5)와 같이 구하면 된다.

(5)
$P_{out}=9.807\times Q\times H\times\eta_{t}\times\eta_{g}$

여기서, $\eta_{t},\: \eta_{g}$는 각각 수차와 발전기의 효율이다.

수차발전기로 사용되는 발전기로는 동기발전기와 유도발전기가 있다[4,5]. 동기발전기는 계통과는 격리된 장소나 발전출력이 큰 곳에 주로 적용되고 있고, 유도발전기는 계통과 연계가 쉽고, 발전출력이 낮은 곳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또한 동기발전기는 유도발전기에 대해 신뢰도가 높지만, 초기 투자비가 높은 데다 유지보수가 높은 편이다[7-9]. 이들 두 발전기의 특징은 표 2와 같다.

표 3 유도발전기와 동기발전기의 비교

Table 3 Comparison of Induction Generator and Synchronous generator

항목

유도발전기

동기발전기

구조

∙여자기, 회전정류기 불필요

∙보수 점검이 쉬움

∙회전자가 농형 구조이므로 견고하고, 고속화가 쉬움

∙여자기, 회전정류기가 필요

∙계자 도체 절연이 필요

∙공극이 비교적 큼

단독

운전

∙여자기를 외부에서 공급할 필요가 있고, 단독 운전 불가

∙단독 운전, 병렬 운전 모두 가능

역률

∙저속기기인 만큼 낮고, 앞선 역률이 됨

∙계통상의 역률은 무효전력만을 반드시 저하하므로 콘덴서를 설치해야 할 때가 있음

∙접속하는 부하의 역률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80~90%로 뒤지 전류를 공급

∙여자의 조정으로 부하율에 맞추어 역률을 조정할 수 있음

계통

병입

∙계통과의 전압 위상을 맞출 필요 없음

∙병입시 돌입전류가 흐름

∙전압강하 영향을 주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동기속도 부근에서 병입하고 있음

∙자동 동기 병입 장치에 의해 전압 위상을 맞추어 병입해야 함

∙병입시의 전기적, 기계적 충격은 거의 없음

미니급이나 마이크로급 수력발전소에서는 주로 설비 구축의 편의성과 유지보수 측면을 고려하여 동기발전기보다는 유도발전기를 많이 사용한다[7,8,9]. 유도발전기에도 회전자의 형상에 따라 농형(squirrel cage type)과 권선형(wound rotor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권선형은 회전자의 속도 조절이 가능하여 풍력발전 등에 사용하고 있고, 마이크로 수력과 같이 계통 연계형에는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쉬운 농형을 많이 사용한다.

2.5 변압기

수차발전기를 통해 확보된 전력을 계통을 통해 수용가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중요한 부분은 발전기에 대응하는 변압기의 용량 산정이 중요하다. 동기발전기를 선택하는 경우 변압기의 용량은 발전기의 용량보다 조금 더 큰 용량에 해당하는 정격을 사용하면 되지만, 유도발전기를 선택하는 경우 동기속도 이상으로 운전하여 계통에 연결할 때 돌입전류에 의한 전압강하의 영향 때문에 변압기의 용량선정에 주의해야 한다[10]. 돌입전류에 의한 전압강하의 비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발전기 출력에 대해 변압기의 용량을 증가하면 된다. 그러나 변압기의 용량을 높이면 초기 투자비가 커지고,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무부하손 등을 고려해서 신중하게 용량을 산정해야 한다. 발전기 용량에 대해 약간 큰 변압기를 선정하고서 리액터 기동이나 소프트 스타터 기동 방식을 적용하여 전압강하를 줄이기도 한다.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지방 소하천이나 산간 지역에 마이크로급의 수력발전설비를 도입할 때 기존 수로식의 구성을 약간 축소 조정하여 전력을 얻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청정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유량과 낙차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유량의 흐름을 결정하는 취수에서 수압관로를 거쳐 수차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공사 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의 저감과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고, 일정한 전력을 생산하여 인근 배전선로나 수용가에 공급할 수 있는 수차 발전 시스템의 선택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로식 발전 방식에서 물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수차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취수지 또는 취수보 바로 옆 또는 하단에 침전 기능을 가진 저류조를 설치하여 수로나 수조의 기능을 축소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함을 추구하여 공사 기간의 단축은 물론이고, 공사비 저감과 유지보수의 간편성도 추구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유량과 낙차가 확보되어 출력이 정해지는 경우 안정적인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수차와 발전기의 용량과 형식 그리고 변압기의 용량 결정방법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외 수로식 마이크로 수력의 개발 및 보급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다.

References

1 
2018, New & Renewable Energy Report, MOKE & KEMCOGoogle Search
2 
2006, Environmentally Friendly Small Hydro Resource Research and Utilization Technology Plan, MOKEGoogle Search
3 
https://www.energy.gov/energysaver/microhydropower-systemsURL
4 
Theodore Wildi, 2002, Electrical Machines, Drives and Power Systems, Prentice HallGoogle Search
5 
M. Godoy Simoes, Felix A. Farret, 2004, Renewable Energy Systems-Design and Analysis with Induction Generators, CRC PressGoogle Search
6 
Chang-Man Lee, Jong-Gyeum Kim, 2021, Establishment of Micro Hydropowe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 Mountain Areas, Trans, KIEE,, Vol. 70, No. 11, pp. 1,685~1,690Google Search
7 
Jong-Gyeum Kim, Young-Kuk Kim, 2012, A comparison of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synchronous generator and induction generator applied to the small hydro electric power plant, KIEE, Vol. 63p, No. 2, pp. 55-60DOI
8 
Jong-Gyeum Kim, Young-Jeen Park, IL-Jung Kim,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icro Hydro Power Generator at the Water Treatment Plant, KIIEE, Vol. 28, No. 9, pp. 67-72DOI
9 
D. S. Henderson, 1996, Synchronous or induction Generators?- The choice for small scale generation, IEE Conf, Pub, pp. 146-149DOI
10 
Jong-Gyeum Kim, Feb. 2019, Reduction of Inrush Current, Voltage Drop by Selecting Optimum Reactors in Induction Genera- tors, JEET, Vol. 14, pp. 693-700DOI

저자소개

Jong-Gyeum Kim
../../Resources/kiee/KIEEP.2022.71.1.48/au1.png

Jong‑Gyeum Kim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in 1984, and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in 1991 and 1996 res- pectively. Between 2013 and 2014, he was visiting professor at Wisconsin-madison Univer- sity, Wisconsin, USA. He has been work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6. His research interest i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nergy Conversion System and Power Quality. He is a fellow member of the KI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