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2. (Department of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Youngsan University, Korea.)



Energy storage system, Shared Energy storage system, Capacity trading, Sharing economy, Smart grid

1. 서 론

기후 변화로 인해 전력 수요 및 최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1]. 이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감소 및 에너지 효율 증가를 목적으로 신재생 에너지원 등 분산전원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분산전원 보급의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3020 이행 계획’을 발표하였다[2].

변동성이 높은 분산전원의 확산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방전하는 ESS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ESS는 재생 에너지의 출력 변동성 안정화부터 계통의 최대수요 관리, 계통 주파수 유지 등 계통 신뢰성 유지를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3]. 시간에 따라 전기요금이 변동하는 계시별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에는 충전하고 가격이 높은 시간에는 방전하여 전기요금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4-5].

ESS는 활용성이 다양하지만 높은 설치비용과 분산전원이 배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적절한 설치 위치의 선정이 필요하다[6]. 또한, 설치 공간의 확보도 ESS 보급 확산의 걸림돌이 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중앙에 1대의 ESS를 설치하고, 다수의 수용가가 용량을 공유하여 함께 사용하는 공유 ESS라는 개념이 제안되었다[7]. 공유 ESS는 ESS에 대한 신규 설치를 위한 투자 감소와 동시에 다른 전력 수요 패턴을 가지고 있는 수용가의 통합 관리를 통한 추가 편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주목받고 있다[8].

본 논문에서는 개별 프로슈머의 가구에 설치된 ESS를 커뮤니티를 위한 공유 ESS로써 활용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2. 기존 공유 ESS 개념 및 운영 방법

2.1 공유 ESS의 개념

공유 ESS는 개인이나 불특정 다수가 중앙에 설치한 하나의 ESS의 용량을 가상으로 임대하여 용량 임대자가 ESS를 설치한 것과 같은 편익을 얻을 수 있는 개념이다. 공유 ESS의 개념도는 그림 1과 같다. 수용가는 ESS의 용량을 가상으로 임대하기 때문에 공유 ESS에는 아파트, 공장 등 다양한 종류의 수용가가 공유 ESS에 참여할 수 있고 다른 분산전원을 소유할 수도 있다.

공유 ESS에 대한 연구는 기본 개념 및 운영구조를 제안한 연구[7], 공유 ESS 구축 시 데이터 관리 방법[9], 공유 ESS의 용량을 P2P로 거래하여 변동하는 수요 변동의 유연성을 고려하는 연구[10] 부터 아파트 공장형 빌딩에서 공유 ESS를 운영하는 연구[11], 마이크로그리드 내에서 최대 수요를 공유 ESS를 통하여 관리하는 연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12].

공유 ESS의 운영 목적은 다양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공유 ESS를 활용한 전기요금 최소화를 고려하였다. 수용가들은 공유 용량을 활용하여 각자의 전기요금 최소화를 목적으로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그림 1. 공유 ESS 개념도

Fig. 1. Conceptual diagram of shared ESS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1.png

2.2 공유 ESS의 운영 방법

그림 2와 같이 공유 ESS 운영자는 공유 ESS를 관리 및 운영을 위해 CESS (Community ESS) Management System을 보유하고 있고 각 수용가는 공유 받은 용량의 운영 계획 수립 및 가상 운영을 위한 HEMS(Home Management System) 및 전력회사에 전기요금 지불 기준을 위한 가상 미터를 보유하고 있다.

수용가가 공유 ESS 서비스에 참여하였을 때 공유 ESS 운영자는 수용가에게 설치된 ESS 용량의 일부를 할당한다. 수용가는 운영 시스템에서 할당받은 용량을 고려하여 전기요금 최소화를 목적으로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각 수용가의 가상 미터에는 수용가의 수요와 할당받은 용량의 스케줄링 값이 합산되어 저장된다. 각 수용가가 수립한 운영 계획은 공유 ESS 운영자에게 전달된다.

공유 ESS의 물리적인 출력은 모든 수용가의 스케줄링 값의 합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시간대에서 수용가 1은 충전(+)이 필요하고 수용가 2는 방전(-)이 필요할 경우, 공유 ESS의 물리적인 출력은 충전 값과 방전 값의 합이 된다. 수용가는 실물로 ESS를 설치하여 운영하지 않았지만 가상 미터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Utility(전력회사 등)에 전기요금을 지불하기 때문에 전기요금 절감에 따른 편익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공유 ESS 운영자는 용량 할당에 대한 비용을 수용가에게 지불 받음으로써 수익을 확보한다.

그림 2. 공유 ESS 운영 아키텍처

Fig. 2. Conceptual diagram of shared ESS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2.png

3 프로슈머 ESS 공유 및 운영 모델

3.1 에너지 커뮤니티 구성 및 구성원 역할

3.1.1 커뮤니티 구성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공유 모델은 참여자가 확보되어 있는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한다. 커뮤니티는 프로슈머가 자신의 ESS 용량을 자가 사용 용량과 판매 용량으로 분할한 후 판매 용량을 거래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거래 시장이 있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커뮤니티에서 용량 거래 시장은 수용가의 수요의 유연성을 고려하여 하루 단위로 개설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설정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다. 커뮤니티 환경의 개념도는 그림 3과 같다.

커뮤니티에는 ESS를 보유한 프로슈머와 용량 구매를 원하는 수용가가 커뮤니티에 참여하며 커뮤니티를 관리하는 커뮤니티 운영자가 존재한다. Utility는 각 커뮤니티 구성원이 보유하고 있는 가상 미터의 데이터를 인정하고 커뮤니티 구성원은 가상 미터를 기준으로 전기요금을 지불한다. 거래용량의 단가는 각 프로슈머의 ESS 마모 비용 단가의 평균에 수수료를 더한 값으로 공지된다. 커뮤니티는 실제 운영 하루 전에 개설되어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운영 당일에 수립한 운영 계획에 따라 ESS를 운영한다. 운영 계획은 수용가와 프로슈머의 예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립된다.

그림 3. 커뮤니티 환경 개념도

Fig. 3. Community environment concept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3.png

3.1.1 커뮤니티 구성원의 역할

커뮤니티 구성원은 커뮤니티 운영자, 프로슈머, 수용가로 구성된다. 커뮤니티 운영자는 커뮤니티에 이루어지는 용량 거래를 관리하는 서비스 운영자이다. 거래 용량의 단가를 산정하고 거래가 성립될 수 있도록 다른 구성원과의 통신 및 거래 진행을 위한 커뮤니티 EMS를 보유하고 있다. 커뮤니티 EMS를 활용하여 거래 단가 산정 및 거래 시장을 운영한다.

프로슈머는 자신의 ESS 용량을 기대 편익이 최대가 되는 자가 사용 용량과 판매 용량으로 분할하여 판매 용량을 거래 시장에서 판매한다. 프로슈머는 사용 용량의 운영 계획 결과가 저장되는 가상 미터를 보유하고 있다. 자신의 수요 예측, ESS 운영 및 다른 구성원과의 통신을 위한 P-HEMS(Prosumer Home Management System)을 보유하고 있다. 수용가는 ESS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가상으로 용량을 구매하고 싶은 구매자이다. 구매한 용량을 활용하여 전기요금 최소화를 목적으로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수용가 역시 수립한 운영계획의 결과가 저장되는 가상 미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신의 수요예측, 구매한 용량 운영과 다른 구성원과의 통신을 위한 HEMS를 보유하고 있다.

그림 4. 커뮤니티 구성원의 상호작용

Fig. 4. Interactions of community members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4.png

3.2 ESS 공유 모델 운영 모델

ESS 공유 모델을 위한 운영 아키텍처는 그림 5와 같다.

그림 5. 제안하는 프로슈머 ESS 공유 모델 운영 아키텍처

Fig. 5. Proposed prosumer ESS shared model operating architecture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5.png

프로슈머는 자신의 여유 ESS 용량을 판매 용량으로 분할하여 판매한다. 수용가는 구매 용량의 운영 계획 결과를 커뮤니티 운영자에게 전달한다. 커뮤니티 운영자는 모든 수용가의 운영 계획 결과를 더하고 프로슈머 별 설치 ESS 용량에 비례하여 각 프로슈머에게 분해한다. 프로슈머는 분배 받은 운영 계획 값에 자신의 사용 용량의 운영 계획 값을 합하여 ESS 출력을 제어한다. 프로슈머는 사용 용량을 설치하여 운영하였을 때 전기요금 절감 편익과 용량 판매 시 얻는 편익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수용가는 구매 용량을 통한 전기요금 절감 편익을 얻을 수 있다. 커뮤니티 운영자는 용량 거래에 따른 수수료를 통한 이익을 얻는다.

3.2.1 프로슈머의 판매 용량 산정 방법

프로슈머는 설치한 ESS 용량 중 자신이 사용하였을 때 편익이 최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용량을 사용 용량으로 결정한다. 프로슈머의 기대 편익은 사용 용량을 통한 전기요금 절감 편익에 용량 판매를 통한 편익을 합한 값으로 산정된다.

3.2.2 수용가의 구매 용량 산정 방법

수용가는 자신이 구매하였을 때 편익이 최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구매 용량을 산정한다. 수용가의 기대 편익은 구매 용량의 운영 계획을 통한 전기요금 절감액에 용량 구매를 통한 구매 금액을 차감한 값으로 산정된다.

3.3.3 최종 거래 용량 산정 방법 및 운영 순서

커뮤니티 운영자는 용량 거래 시장에 입찰된 총 판매 용량과 총 구매 용량을 파악한다. 입찰된 용량에 따라 최종적으로 판매되고 구매되는 용량이 3가지 경우로 결정된다.

· 입찰된 총 구매 용량 > 입찰된 총 판매 용량

총 구매 용량이 총 판매 용량보다 많은 경우 수용가들은 시장에 입찰된 판매 용량이 부족하므로 입찰된 총 구매 용량만큼만 구매가 가능하다. 이 경우 프로슈머는 입찰한 용량으로 최종 판매 용량이 결정되며 각 수용가는 입찰된 총 구매 용량과 총 판매 용량의 비율에 비례하여 최종 구매 용량이 결정된다.

· 입찰된 총 구매 용량 = 입찰된 총 판매 용량

이 경우 모든 프로슈머와 수용가가 입찰한 용량으로 최종 거래 용량이 결정된다.

· 입찰된 총 구매 용량 < 입찰된 총 판매 용량

입찰된 총 판매 용량이 총 구매 용량보다 더 많은 경우 수용가들은 입찰한 구매 용량만큼 구매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각 프로슈머는 입찰한 용량에 따라 최종 판매 용량이 결정되며 각 수용가는 총 구매 용량과 각자 입찰한 구매 용량의 비율에 비례하여 최종 구매용량이 결정된다.

구체적인 공유 시스템의 운영 순서는 그림 6과 같다.

그림 6. ESS 공유시스템 운영 순서도

Fig. 6. ESS sharing system operation flow chart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6.png

① 운영 계획 수립 시 커뮤니티 운영자는 구성원에게 거래 용량 단가를 공지한다.

② 프로슈머는 편익이 최대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판매 용량을 산정하고 용량 거래에 입찰한다.

③ 수용가는 편익이 최대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구매 용량을 산정 후 커뮤니티의 용량 거래 시장에 입찰한다.

④ 커뮤니티 운영자는 입찰된 용량에 따라 최종적으로 판매되고 구매 될 용량을 산정한다.

⑤ 산정 완료 후 구성원에게 거래 결과를 공지한다.

⑥ 프로슈머는 최종 사용 용량, 수용가는 최종 구매 용량을 결정하고 전기요금 최소화를 목적으로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⑦ 수용가는 최종 구매 용량의 운영 계획 결과를 커뮤니티 운영자에게 전송한다.

⑧ 커뮤니티 운영자는 각 프로슈머에게 설치 용량에 비례하여 수용가의 운영 계획 값을 분배한다.

⑨ 프로슈머는 최종 사용 용량의 운영 계획 값에 분배받은 운영 계획 값을 더하여 ESS의 운영 계획을 수립한다.

⑩ 운영 당일에 프로슈머는 수립된 운영 계획에 따라 ESS를 출력한다.

⑪ 수용가는 용량 구매 비용을 커뮤니티 운영자에게 지불하고 커뮤니티 운영자는 프로슈머에게 수수료를 제외한 용량 판매비용을 전달한다.

입찰 용량에 따라 기대 편익과 실제 편익이 달라질 수 있지만 커뮤니티 구성원은 이를 인정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4. 수학적 모델링

프로슈머가 보유하고 있는 ESS에 대하여 모델링 후 용량 거래 단가, 구성원의 기대 편익, 용량 분할, 거래 방법, 최종 사용 용량 및 최종 구매 용량의 운영 계획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수학적 모델링은 ESS 모델링을 먼저 진행 후 그림 6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전개 하였다. 스캐쥴링은 각 참여자(프로슈머, 수용가)의 전기요금 최소화를 목적으로 수행된다. 커뮤니티 내에는 N 개의 프로슈머와 M 개의 수용가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4.1 ESS 모델링

· 충전 및 방전 전력 제약

ESS의 충전 및 방전 전력 $P_{t}^{Chr}$, $P_{t}^{Dis}$는 ESS 최소 출력 $P^{\min}$ , 최대 출력 $P^{\max}$ 의 범위 내에서 출력 되어야 하며, 각각 식 (1), (2)와 같다.

(1)
$P^{\min}\le P_{t}^{Chr}\le\mu_{t}^{Chr}P^{\max},\: \forall t\in T$
(2)
$P^{\min}\le P_{t}^{Dis}\le\mu_{t}^{Dis}P^{\max},\: \forall t\in T$

· ESS 동작 상태 제약

ESS의 동작은 충전 상태, 방전 상태, 대기 상태로 구분되며 동작 이진변수 $\mu_{t}^{Chr}$, $\mu_{t}^{Dis}$를 사용하여 식 (3)과 같이 모델링 된다.

(3)
$\mu_{t}^{Chr}+\mu_{t}^{Dis}\le 1 ,\: \forall t\in T$

· ESS의 SOC 제약

ESS의 SOC(State of Charge)는 ESS의 저장된 에너지의 양을 의미한다. SOC는 ESS 출력에 영향을 받으며 충, 방전 효율 $\eta^{Chr},\: \eta^{Dis}$을 고려하여 식 (4)로 모델링된다. SOC는 식 (5)와 같이 $SOC^{\min}$와 $SOC^{\max}$ 범위에 있어야 한다. 또한, SOC는 다음날 ESS의 운영을 위해 ESS 종료 시 식 (6) 과 같이 SOC 초기 값 $SOC^{\in}$와 같아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4)
$SOC_{t}=SOC^{\in}+\sum_{tt=1}^{t}(P_{tt}^{Chr}\eta^{Chr}-P_{tt}^{Dis}/\eta^{Dis}),\: \forall t\in T$
(5)
$SOC^{\min}\le SOC_{t}\le SOC^{\max},\: \forall t\in T$
(6)
$SOC^{\in}+\sum_{t=1}^{T}(P_{t}^{Chr}\eta^{Chr}-P_{t}^{Dis}/\eta^{Dis})=SOC^{\in},\: \forall t\in T$

4.2 거래 용량 단가 모델링

커뮤니티에서 거래되는 용량의 단가 $\cos t^{Trade}$ 는 $i$번째 프로슈머의 ESS 마모 비용 단가 $\cos t_{i}^{Wear}$의 평균에 수수료 $\cos t^{Service}$를 합한 값 식 (7)과 같다. $\cos t_{i}^{Wear}$는 프로슈머 ESS가 외부온도가 일정하고 정격 DOD(Depth of Discharge)에서 운영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식 (8)을 통하여 산출하였다.

(7)
$\cos t^{Trade}=\dfrac{\sum_{i=1}^{N}\cos t_{i}^{Wear}}{N}+\cos t^{Service}$
(8)
$\cos t_{i}^{Wear}=\dfrac{\cos t_{i}^{ESS}}{2\Phi DOD}$

$\cos t_{i}^{ESS}$ 는 $i$번째 프로슈머의 ESS 용량 별 단가를, $\Phi$ 는 ESS의 Cycle을, $DOD$ 는 ESS의 정격 DOD를 의미한다.

4.3 프로슈머와 수용가의 기대 편익 모델링

프로슈머의 편익 $Benef_{i}^{Pro}$ 은 프로슈머가 사용 용량 $ESS_{i}^{Use}$ 을 운영하였을 때 전기요금 절감과 판매 용량 $ESS_{i}^{Sell}$ 판매를 통한 편익을 합한 식 (9) 로 모델링 된다.

(9)
$Benef_{i}^{Pro}=(Bill_{i}^{Pro}-Bill_{i}^{Pro,\: Use})+(ESS_{i}^{Sell}\cos t^{Trade}),\: \forall i\in N$

$Bill_{i}^{Pro}$ 는 $i$번째 프로슈머의 기존 전기요금을, $Bill_{i}^{Pro,\: Use}$ 는 $ESS_{i}^{Use}$ 의 운영 계획을 통해 절감시킨 전기요금을 의미한다.

수용가의 편익 $Benef_{j}^{customer}$ 는 구매 용량 $ESS_{j}^{Buy}$ 을 운영하였을 때 전기요금 절감 편익과 $ESS_{j}^{Buy}$ 구매를 통한 구매 비용을 차감하여 식 (10) 으로 모델링 된다.

(10)
$Benef_{j}^{customer}=(Bill_{j}^{customer}-Bill_{j}^{customer,\: Buy})+(ESS_{j}^{Buy}\cos t^{Trade}),\: \forall j\in M$

$Bill_{j}^{customer}$ 는 $j$번째 수용가의 기존 전기요금을, $Bill_{j}^{customer,\: Buy}$ 는 $ESS_{j}^{Buy}$ 의 운영 계획을 통해 절감시킨 전기요금을 의미한다.

4.4 프로슈머의 용량 분할 모델링

3.2.2절에 기술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프로슈머의 기대 편익이 최대가 되는 사용 용량 $ESS_{i}^{Use}$ 가 결정되면 프로슈머는 자신의 ESS 용량 $ESS_{i}$ 를 사용 용량 $ESS_{i}^{Use}$ 와 판매 용량 $ESS_{i}^{Sell}$로 식 (11)을 활용하여 분할한다.

(11)
$ESS_{i}^{Sell}=ESS_{i}-ESS_{i}^{Use},\: \forall i\in N$

4.5 최종 거래 용량 모델링

최종 거래 용량은 3.3.3절에 제시한 산정 방법에 따라 식 (12)~(17)과 같이 프로슈머 i의 최종 판매 용량 $ESS_{i}^{Sell,\: f\in al}$, 수용가 j의 최종 구매 용량 $ESS_{j}^{Buy,\: f\in al}$이 결정된다.

· 입찰된 총 구매 용량 > 입찰된 총 판매 용량인 경우 :

(12)
$ESS_{i}^{Sell,\: f\in al}= ESS_{i}^{Sell}$
(13)
$ESS_{j}^{Buy,\: f\in al}=\dfrac{\sum_{i=1}^{N}ESS_{i}^{Sell}}{\sum_{j=1}^{M}ESS_{j}^{Buy}}ESS_{j}^{Buy},\: \forall j\in M$

· 입찰된 총 구매 용량 = 입찰된 총 판매 용량인 경우 :

(14)
$ESS_{i}^{Sell,\: f\in al}=ESS_{i}^{Sell}$
(15)
$ESS_{j}^{Buy,\: f\in al}= ESS_{j}^{Buy}$

· 입찰된 총 구매 용량 < 입찰된 총 판매 용량인 경우 :

(16)
$ESS_{i}^{Sell,\: f\in al}=\dfrac{\sum_{j=1}^{M}ESS_{j}^{Buy}}{\sum_{i=1}^{N}ESS_{i}^{Sell}}ESS_{i}^{Sell},\: \forall j\in M$
(17)
$ESS_{j}^{Buy,\: f\in al}= ESS_{j}^{Buy}$

4.6 최종 사용 용량 운영 계획

· 목적함수

최종 사용 용량 $ESS_{i}^{Use,\: f\in al}$은 $i$번째 프로슈머의 전기요금 최소화를 목적으로 운영 계획이 수립된다. 목적함수는 식 (18) 과 같이 모델링 된다. 목적함수는 프로슈머 i가 최종 사용 용량을 운영하였을 때 전기요금 최소화로 정의된다. 식 (18)에서 $Bill_{i}^{Pro,\: Use}$는 프로슈머 i의 사용 용량의 운영 계획에 따른 전기요금, $\cos t^{basic}$은 기본요금단가, $L_{i,\: t}^{Pro,\: Use}$는 각 시간대별 프로슈머 i의 $ESS_{i}^{Use,\: f\in al}$의 운영계획이 반영된 전력 수요를, $month$는 대상 월의 일수,$\cos t_{t}^{TOU}$는 t시간에서의 TOU를 의미한다.

(18)
$\min imize(Bill_{i}^{Pro,\: Use}) \\ =\cos t^{basic}\max(L_{i,\: t}^{Pro,\: Use})/ month +\sum_{t=1}^{T}\cos t_{t}$

※ $L_{i,\: t}^{Pro,\: Use}=L_{i,\: t}^{Pro}+P_{i,\: t}^{Use,\: Chr}-P_{i,\: t}^{Use,\: Dis},\: \forall t\in T,\: \forall i\in N$

· 제약조건

제약조건은 식 (1)~(6)의 제약조건에 용량 운영 시 프로슈머 i의 수요가 0보다 커야한다는 식 (19)가 추가된다.

(19)
$L_{i,\: t}^{Pro,\: Use}\ge 0 ,\: \forall t\in T,\: \forall i\in N$

4.7 최종 구매 용량 운영 계획

수용가는 용량 거래를 통하여 최종 구매 용량 $ESS_{j}^{Buy,\: f\in al}$ 이 결정된다. $ESS_{j}^{Buy,\: f\in al}$ 의 운영 계획은 식 (20)~(21) 과 같이 모델링 된다.

· 목적함수

최종 구매 용량 $ESS_{j}^{Buy,\: f\in al}$은 $j$번째 수용가의 전기요금 최소화를 목적으로 운영 계획이 수립된다. 목적함수는 식 (20) 과 같이 모델링 된다. 목적함수는 수용가 j가 최종 구매 용량을 운영하였을 때 전기요금 최소화를 목적한다. 식 (20)에서 $Bill_{i}^{House,\: Buy}$는 수용가 j의 구매 용량의 운영 계획에 따른 전기요금, $L_{j,\: t}^{House,\: Buy}$는 각 시간대별 수용가 j의 $ESS_{j}^{Buy,\: f\in al}$의 운영계획이 반영된 전력 수요를 의미한다.

(20)
$\min imize(Bill_{j}^{House,\: Buy}) \\ =\cos t^{basic}\max(L_{j,\: t}^{House,\: Buy})/ month +\sum_{t=1}^{T}\cos t_{t}$

※ $L_{j,\: t}^{House,\: Buy}=L_{j,\: t}^{House}+P_{j,\: t}^{Buy,\: Chr}-P_{j,\: t}^{Buy,\: Dis},\: \forall t\in T,\: \forall j\in M$

· 제약조건

제약조건은 식 (1)~(6)의 제약조건에 용량 운영 시 수용가 j의 수요가 0보다 커야한다는 식 (21) 이 추가된다.

(21)
$L_{j,\: t}^{House,\: Buy}\ge 0 ,\: \forall t\in T,\: \forall j\in M$

4.8 ESS이 실제 출력

프로슈머 $i$의 ESS의 실제 출력 $P_{i,\: t}^{ESS}$ 는 모든 수용가의 운영 계획 값을 합한 후 프로슈머에게 설치된 ESS 용량 $ESS_{i}$에 비례하여 식 (22)~ (23)으로 모델링 된다.

(22)
$P_{i,\: t}^{House}=\dfrac{ESS_{i}}{\sum_{i=1}^{N}ESS_{i}}\sum_{j=1}^{M}P_{j,\: t}^{Buy},\: \forall t\in T,\: \forall i\in N$

※ $P_{j,\: t}^{Buy}=P_{j,\: t}^{Buy,\: Chr}-P_{j,\: t}^{Buy,\: Dis},\: \forall t\in T,\: \forall j\in M$

(23)
$P_{i,\: t}^{ESS}=P_{i,\: t}^{Use}+P_{i,\: t}^{House}\forall t\in T ,\: \forall i\in N$

※ $P_{i,\: t}^{Use}=P_{i,\: t}^{Use,\: Chr}-P_{i,\: t}^{Use,\: Dis},\: \forall t\in T,\: \forall i\in N$

5 사례 연구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수요 패턴과 사용하고 있는 요금제가 모두 동일한 경우와 다른 경우 2가지 시나리오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운영에 의한 구성원의 순수 편익을 검증하기 위해 커뮤니티 운영자의 운영 수수료는 고려하지 않았다.

5.1 프로슈머의 ESS 파라미터 설정

사례연구 진행에 앞서 프로슈머들이 보유하고 있는 ESS에 대한 설정이 필요하다. ESS 용량별 단가는 2016년도 ESS 용량 별 단가[13]와 2020년에 Bloomberg NEF에서 제공한 64[kWh] 기준 용량 단가[14]를 활용하여 2016년도와 2020년도에서 64 [kWh] 용량의 설치 단가를 비교하여 감소된 ESS 설치 단가 $\cos t_{i}^{ESS}$를 선형으로 식 (24)과 같이 Fitting 하였다.

(24)
$\cos t_{i}^{ESS}= -310.80(ESS_{i})+738683.84$

그림 7. 2020년 기준 ESS 용량 별 설치 단가

Fig. 7. Unit installation cost by ESS capacity in 2020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7.png

각 프로슈머의 ESS는 마모 비용 단가의 산정을 위해 외부 온도가 일정하고 정격 DOD에서 운영된다고 가정하였다. 각 프로슈머 ESS 설치 용량 및 파라미터 값은 ESS-EMS 융합시스템 우수사례집[15]을 참고하여 표 1과 같이 설정하였다. 각 ESS의 출력은 운영 용량의 0%~운영 용량의 100[%], SOC 초기 값은 운영 용량의 100%, SOC는 운영 용량의 20%~80% 범위에서 운영된다고 가정하였다.

표 1 프로슈머 별 ESS 파라미터

Table 1 ESS parameters for each prosumer

프로슈머

설치 용량 [kWh]

Cycle

DOD

충. 방전 효율 [%]

마모비용 단가 [원/kWh]

프로슈머1 ESS

1,000

4,000

80%

95

15.38

프로슈머2 ESS

900

16.49

5.2 시나리오 설정

5.2.1 시나리오 1

시나리오 1은 커뮤니티가 상가나 일반 빌딩 등이 밀집되어 있는 번화가 일부 지역에서 구성되었을 경우를 가정한다. 4개의 빌딩 중 2개의 빌딩이 프로슈머를 나머지 2개의 빌딩이 수용가 역할을 그림 8과 같이 수행한다.

그림 8. 시나리오 1 개념도

Fig. 8. Scenario 1 conceptual Diagram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8.png

모든 커뮤니티 구성원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계시별 요금제 중 일반용 전력(갑)Ⅱ 고압 A 선택 1의 여름철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다[16]. 각 구성원의 전력 수요 패턴은 그림 9와 같이 적용하였다[17].

그림 9. 커뮤니티 구성원 전력 수요 패턴 (시나리오 1)

Fig. 9. Community member power demand pattern (Scenario 1)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9.png

5.2.2 시나리오 2

시나리오 2는 주택, 빌딩, 공장 등이 위치한 도시 지역에서 커뮤니티가 구성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였다. ESS를 설치하고 있는 공장이 프로슈머를, 빌딩 및 주택이 수용가 역할을 그림 10과 같이 수행한다.

그림 10. 시나리오 2 개념도

Fig. 10. Scenario 2 conceptual diagram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10.png

커뮤니티 구성원의 종류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각각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계시별 요금제 중 프로슈머 1은 산업용 전력(갑)Ⅱ 고압 A 선택 1의 여름철 요금제를, 수용가 1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적용되는 주택용 계기별 요금제 중 여름철 요금제를, 수용가 2는 일반용 전력(갑)Ⅱ 고압 A 선택 1의 여름철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다[16]. 각 구성원의 전력 수요 패턴은 그림 11과 같이 적용하였다[17].

그림 11. 커뮤니티 구성원 전력 수요 패턴 (시나리오 2)

Fig. 11. Community member power demand patterns (Scenario 2)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11.png

6 사례 연구 결과

6.1 시나리오 1 결과

프로슈머가 설치한 ESS 마모비용 단가의 평균값은 15.94 [원/kWh]이다. 따라서 용량 거래 단가 또한 15.94 [원/kWh]로 산정된다. 용량 거래 단가를 고려하여 각 프로슈머의 기대 편익을 산정한 결과 프로슈머 1은 사용 용량이 780 [kWh] 일 때 기대 편익이 최대가 되고 프로슈머 2는 사용 용량이 572 [kWh] 일 때 최대가 된다.

그림 12. 사용 용량에 따른 프로슈머의 기대 편익(시나리오 1)

Fig. 12. Expected benefits of prosumers according to the used capacity (Scenario 1)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12.png

표 2 시나리오 1 프로슈머의 용량 분할 결과

Table 2 Scenario 1 prosumer capacity divide results

프로슈머

사용 용량 [kWh]

판매 용량 [kWh]

기대 편익 [원]

프로슈머 1

780

220

30,469

프로슈머 2

572

328

25,238

수용가 1은 구매 용량이 669 [kWh] 일 때 기대 편익이 최대가 되었고 수용가 2는 구매 용량이 510 [kWh] 일 때 기대 편익이 최대가 되었다.

그림 13. 구매 용량에 따른 수용가의 기대 편익 (시나리오 1)

Fig. 13. Consumer expected benefits based on purchased capacity (Scenario 1)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13.png

표 3 수용가의 기대 편익 산정 결과 (Scenario 1)

Table 3 Consumer expected benefit calculation results (Scenario 1)

수용가

구매 용량 [kWh]

기대 편익 [원]

수용가 1

669

12,709

수용가 2

510

9,532

커뮤니티에 참가한 모든 프로슈머와 수용가가 입찰한 총 판매 용량은 548 [kWh], 총 구매 용량은 1,179 [kWh]이다. 용량 거래 결과 프로슈머들은 각자 입찰한 용량 220 [kWh], 328 [kWh]의 용량을 판매한다.

표 4 프로슈머의 용량 거래 결과 (시나리오 1)

Table 4 Prosumer capacity trade results (Scenario 1)

프로슈머

입찰 용량 [kWh]

판매 용량 [kWh]

프로슈머 1

220

220

프로슈머 2

328

328

수용가들은 구매 용량이 조정되어 각각 311 [kWh], 237 [kWh]로 최종 구매 용량이 결정된다.

표 5 수용가의 용량 거래 결과 (시나리오 1)

Table 5 Consumer capacity trade results (Scenario 1)

수용가

입찰 용량 [kWh]

구매 용량 [kWh]

수용가 1

669

311

수용가 2

510

237

용량 거래 결과 프로슈머 1은 1,000[kWh]의 ESS 용량 중 780 [kWh]는 자신이 사용하고 220[kWh]는 용량 거래 시장에 판매하였다. 프로슈머 2는 900[kWh]의 ESS 용량 중 572 [kWh]는 자신이 사용하고 328 [kWh]는 거래 시장에 판매하였다. 수용가 1은 거래 시장을 통하여 311 [kWh]의 용량을 구매하였다. 수용가 2는 237 [kWh]의 용량을 구매하였다. 커뮤니티 구성원의 용량 운영 결과는 표 6,7과 같다. 거래된 용량 운영에 따른 커뮤니티 구성원의 수요 패턴은 그림 14와 같다.

표 6 커뮤니티 참여에 따른 프로슈머의 편익 (시나리오 1)

Table 6 Prosumer benefits of community participation (Scenario 1)

프로슈머

ESS 독립 운영 시 편익 [원]

커뮤니티

참여 시 편익 [원]

프로슈머 1

28,965

30,469

프로슈머 2

23,081

25,238

표 7 커뮤니티 참여에 따른 수용가의 편익 (Scenario 1)

Table 7 Consumer benefits of community engagement (Scenario 1)

수용가

커뮤니티 미 참여 시 전기요금 [원]

커뮤니티

참여 시 편익 [원]

수용가 1

128,821

10,021

수용가 2

96,643

7,548

그림 14. 거래 용량 운영에 따른 커뮤니티 구성원의 수요 패턴 (시나리오 1)

Fig. 14. Demand patterns of community members according to trading capacity operation (Scenario 1)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14.png

6.2 시나리오 2 결과

시나리오 2에서는 1개의 프로슈머가 참여하였다. 프로슈머 1이 설치한 ESS 마모 비용 단가는 15.38 [원/kWh]이다. 따라서 용량 거래 단가는 15.38 [원/kWh]로 산정된다. 용량 거래 단가를 고려하여 프로슈머 1은 사용 용량이 778 [kWh] 일 때 기대 편익이 최대가 된다.

그림 15. 사용 용량에 따른 프로슈머의 기대 편익 (시나리오 2)

Fig. 15. Expected benefits of prosumer according to the used capacity (Scenario 2)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15.png

표 8 프로슈머의 용량 분할 결과 (시나리오 2)

Table 8 Prosumer capacity divide results(Scenario 2)

프로슈머

사용 용량 [kWh]

판매 용량 [kWh]

기대 편익 [원]

프로슈머 1

778

222

22,891

수용가 1은 구매 용량이 421 [kWh] 일 때 기대 편익이 최대가 되었고 수용가 2는 구매 용량이 582 [kWh] 일 때 기대 편익이 최대가 되었다.

그림 16. 구매 용량에 따른 수용가의 기대 편익(시나리오 2)

Fig. 16. Consumer expected benefits based on purchased capacity (Scenario 2)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16.png

표 9 수용가의 기대 편익 산정 결과 (시나리오 2)

Table 9 Consumer expected benefit calculation results (Scenario 2)

수용가

구매 용량 [kWh]

기대 편익 [원]

수용가 1

421

6,852

수용가 2

582

11,169

커뮤니티에 참가한 모든 프로슈머와 수용가가 입찰한 총 판매 용량은 222 [kWh], 총 구매 용량은 1,003 [kWh]이다. 용량 거래 결과 프로슈머는 입찰한 용량 222 [kWh]로 용량을 분할하여 판매한다.

표 10 프로슈머의 용량 거래 결과 (시나리오 2)

Table 10 Prosumer capacity trade results (Scenario 2)

프로슈머

입찰 용량 [kWh]

판매 용량 [kWh]

프로슈머 1

222

222

수용가들은 구매 용량이 조정되어 각각 93 [kWh], 129 [kWh]로 최종 구매 용량이 결정된다.

표 11 수용가의 용량 거래 결과 (시나리오 2)

Table 11 Consumer capacity trade results (Scenario 2)

수용가

입찰 용량 [kWh]

구매 용량 [kWh]

수용가 1

421

93

수용가 2

582

129

용량 거래 결과 프로슈머 1은 1,000[kWh]의 ESS 용량 중 778 [kWh]는 자신이 사용하고 222[kWh]는 용량 거래 시장에 판매하였다. 수용가 1은 거래 시장을 통하여 93 [kWh]의 용량을 구매하였다. 수용가 2는 129 [kWh]의 용량을 구매하였다. 커뮤니티 구성원의 용량 운영 결과는 표 12,13과 같다. 거래된 용량 운영에 따른 커뮤니티 구성원의 수요 패턴은 그림 17과 같다.

표 12 커뮤니티 참여에 따른 프로슈머의 편익 (시나리오 2)

Table 12 Prosumer benefits of community participation (Scenario 2)

프로슈머

ESS 독립 운영 시 전기요금 [원]

커뮤니티

참여 시 편익 [원]

프로슈머 1

19,589

22,891

표 13 커뮤니티 참여에 따른 수용가의 편익 (시나리오 2)

Table 13 Consumer benefits of community engagement (Scenario 2)

수용가

커뮤니티 미 참여 시 전기요금 [원]

커뮤니티

참여 시 편익 [원]

수용가 1

135,945

2,378

수용가 2

109,925

5,458

그림 17. 거래 용량 운영에 따른 커뮤니티 구성원의 수요 패턴 (시나리오 2)

Fig. 17. Demand patterns of community members according to trading capacity operation (Scenario 2)

../../Resources/kiee/KIEEP.2022.71.4.222/fig17.png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프로슈머의 ESS 용량을 기대 편익이 최대가 되는 사용 용량과 판매 용량으로 분할한 뒤 판매 용량을 공유 ESS처럼 활용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시나리오 1에서 프로슈머는 ESS를 독립 운영하였을 때 보다 각각 5.19 [%], 9.34 [%] 편익이 증가하였다. 시나리오 2에서 프로슈머는 ESS를 독립 운영하였을 때 보다 16.86 [%] 편익이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ESS의 설치 없이도 프로슈머의 ESS 용량의 일부를 공유 ESS로써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S 용량이 충분히 설치되지 못한 경우 ESS 설치비용 및 충전비용 등을 고려한 통합 비용이 용량 공유 시 편익보다 클 수 있으므로 독립운전이 유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ESS 설치비용이 감소하는 경우 용량 분할을 통한 공유가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용량 공유가 가능한 ESS 용량 분석에 관한 연구나 커뮤니티 내 용량 거래 시장 운영 시 용량 입찰뿐 아니라 가격 입찰을 통한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No.20194310100060, No.20214000000060)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입니다.

References

1 
2020, The 9th basic plan for long-term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Korean MOTIEGoogle Search
2 
2017, Korea's renewable energy 3020 plan, Korean MOTIEGoogle Search
3 
Z. Hong, Z. Wei, J. Li, X. Han, 2021, A novel capacity demand analysis method of energy storage system for peak shaving based on data-driven, Journal of Energy Storage, Vol. 39DOI
4 
O. Erdinc, N. G. Paterakis, T. D. P. Mendes, A. G. Bakirtzis, J. P. S. Catalão, May 2015, Smart Household Operation Considering Bi-Directional EV and ESS Utilization by Real-Time Pricing-Based DR,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6, No. 3, pp. 1281-1291DOI
5 
H. Karn, S. Kumari, L. Varshney, L. Garg, 2020, Energy Management Strategy for Prosumers under Time of Use Pricing, 2020 IEEE International Students' Conference on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puter Science (SCEECS)DOI
6 
T. Gu, P. Wang, F. Liang, G. Xie, L. Guo, X.P. Zhang, F. Shi, 2022, Placement and capacity selection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 the distributed generation integrated distribution network based on improved NSGA-II optimization, Journal of Energy StorageDOI
7 
E. Oh, S.Y. Son, 2017, A framework for consumer electronics as a service (CEaaS): A case of clustered energy storage systems, IEEE Tr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 Vol. 63DOI
8 
W. Tushar, B. Chai, C. Yuen, S. Huang, D.B. Smith, H.V. Poor, Z. Yang, January, 2016, Energy Storage Sharing in Smart Grid: A Modified Auction-Based Approach, I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7DOI
9 
S. Ci, Y. Zhou, Y. Xu, X. Diao, J. Wang, April 2020, Building a cloud-based energy storage system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of distributed backup battery in mobile base stations, China Communications, Vol. 17, No. 4, pp. 42-50DOI
10 
J.J. Sim, M.S. Kim, D.J. Kim, H.S. Kim, 2021, Cloud Energy Storage System Operation with Capacity P2P Transaction, EnergiesDOI
11 
E. Oh, S.Y. Son, 2019, Shared Electrical Energy Storage Service Model and Strategy for Apartment-Type Factory Buildings, IEEE Access, Vol. 7, pp. 130340-130351DOI
12 
V. K. Saini, V. Gupta, R. Kumar, B. K. Panigrahi, M. A. Mahmud, 2020, Cloud Energy Storage Systems for Consumers and Prosumers in Residential Microgrids, 202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Drives and Energy Systems (PEDES)DOI
13 
2020, 2020 Industry Report, Mirae Asset DaewooGoogle Search
14 
BloombeergNEF, Available online: https://about.bnef.com/blog/battery-pack-prices-cited-below-100-kwh-for-the-first-time-in-2020-while-market-average-sits-at-137-kwh (Access on Aug. 2022)URL
15 
2018, ESS-EMS convergence system best practices, Korea MOTIEGoogle Search
16 
KEPCO, Available online: https://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E/E/CYEEHP00102.jsp (Access on Nov. 2022)URL
17 
KEPCO, Available online:https://bigdata.kepco.co.kr/cmsmain.do?scode=S01&pcode=000167&pstate=L&redirect=Y (Access on Aug. 2022)URL

저자소개

김재형(Jae-Hyeong Kim)
../../Resources/kiee/KIEEP.2022.71.4.222/au1.png

He is received his M.S. degree in Gachon University in 2022, Gyeonggi-Do,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ESS operation, energy trading, and energy share.

E-mail : fullmoon34213@gmail.com

박성원(Sung-Won Park)
../../Resources/kiee/KIEEP.2022.71.4.222/au2.png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from Gachon University, Korea, in 2011 and 2013,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Gachon University in 2018. From 2018 to 2020, he was a research professor at Gachon University. He was a visiting scholar at the Centre for Sustainable Power Distribution, University of Bath (UK) in, 2018 and 2019.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Youngsan University,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virtual power plant, distribution system operators, digital-twin, and vehicle-to-grid.

E-mail : swpark@ysu.ac.kr

손성용(Sung-Yong Son)
../../Resources/kiee/KIEEP.2022.71.4.222/au3.png

He received the B.Sc. and M.Sc. degrees from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South Korea, in 1989 and 1992,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in 2000.From 2000 to 2005, he worked with 4DHomeNet and Icross- technology. He was a Visiting Scholar with the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LBNL), in 2014. He is currently a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South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smart grids and smart homes.

E-mail : xtra@gach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