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2. (Electric Power System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Korea.)



PV system,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maintenance scheduling

1. 서 론

정부에서 발표한 제 10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의하면, “2030 NDC 상향 안”에서 제시한 전환 부문 온실가스 배출 목표(149.9 [Mt])를 달성 가능하다고 전망하였다. 이에 따른 ‘30년 전원별 발전량 비중 전망에서 신재생 발전량은 132.3[TWh], 전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5[%]로 전망하였다[1]. 정책적인 측면과 맞물려 신재생 발전원의 보급 확대로 이어지며, 신재생 발전 사업자 수와 보급 용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태양광 설비의 경우 ‘20년 기준으로 누적 보급용량이 17.32[GW]에 달하며, 신재생에너지 총 발전 설비 용량의 66.8[%]를 차지하고 있다. 해를 거듭할수록 신규 보급 용량이 늘어나며, ‘19년 대비 18.9[%]가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2].

보급 용량이 늘어날수록 노후화된 태양광 설비의 비중도 늘어난다. 가동 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설비의 고장률도 높아지기 때문에 공급 지장 확률도 커지게 된다. 또한 태양광 설비가 고장 날 경우, 연계된 계통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계통으로 고장이 파급되면 계통 내 수용가는 정전을 겪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발전 사업자는 공급 중단에 따른 비용 손실을 겪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 설비의 신뢰성 있는 설비 운영이 필요하며, 적절한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비의 적절한 유지보수를 통하여 고장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유지보수 방안은 보전 정책의 적용 방식에 따라 나뉜다. 크게 설비의 고장 발생 전, 후로 분류되며 고장 이후에 설비 보전을 하는 것을 사후 보전(Corrective Maintenance)이라 한다.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설비 보전을 하는 것을 예방 보전(Predictive Maintenance)라고 하며, 예방 보전도 종류가 다양하다.

먼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검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시간 기준 유지보수(Time Based Maintenance)가 있다. 이 방안은 유지보수 계획 수립이 간편하지만, 설비의 컨디션과 열화 상태에 대한 대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 상태 기준 유지보수(Condition Based Maintenance)가 있다. 설비를 진단한 상태를 기준으로 보전 정책을 실시하는 방안으로, 설비를 한계까지 사용하여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보전 비용뿐만 아니라 진단 및 모니터링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기에 전체 비용이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는 신뢰성 중심 유지보수(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가 있다. 과거 고장 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점검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방안으로, 설비의 열화 상태를 추정 가능하며 시스템 내 설비의 중요도를 고려할 수 있다. 이 방안을 적용할 때, 요구되는 운영 목표와 상충하지 않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3].

보전 정책에 따라 장·단점이 다르며, 적용에 따른 유지보수 계획도 차이가 있다. 비용적인 측면과 설비의 열화 상태를 고려하는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방식은 신뢰성 중심 유지보수 방안이다. 여러 전력 설비들로 구성된 태양광 시스템도 설비들의 중요도를 평가하고, 개별 설비들에 대한 열화 상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신뢰성 분석이 필요하다. 최종적으로 이를 기반으로 한 적정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하여 태양광 시스템의 신뢰성 있는 운영을 꾀할 수 있다.

종래의 동향을 살펴보면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설비들에 대해서 유지보수 계획들이 적용된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전력 설비 자산관리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참고문헌 [4]의 경우 전력용 변압기에 대한 Health Index를 평가하여 고장 확률을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체 전략을 수립하였다. 하지만 제조사 측면에서 바라본 자산 관리 전략으로 단일 설비에 한하여 상태 진단에 기반을 둔 평가 방식이다. 앞서 언급한 상태 기반 유지보수의 단점으로 평가되는 비용 요인의 증가와 더불어 전체 시스템 측면에서의 유지보수 전략을 수립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문헌 [5]의 경우 배전 선로의 노후도를 기반으로 유지보수 주기를 산출하였다. 보전 정책을 수행하였을 때, 위험도(risk)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여 제한된 비용 제약 조건 내의 시스템 고장률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Weibull 분포에서 감소형 고장률과 일정형 고장률을 갖는 설비들에 대해서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문헌 [6]의 경우 전력용 변압기 대상으로 시변 고장률을 산출하여 유지보수 시기를 평가하였다. 유지보수 방안이 1회로 한정되었고, 경년 회복 효과로 인해 수명이 무한정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참고문헌 [7]은 혼합 Weibull 분포를 사용한 전력 설비의 자산 관리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전체 시스템 측면에서의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보전 정책 적용에 따른 효과를 경년 회복으로 둔 점은 한계점으로 보인다.

태양광 설비에 대해 유지 보수 계획을 수립한 연구로써 참고문헌 [8]은 주거용 태양광 설비에 대하여 신뢰성 분석을 진행했다. 다만 유지보수 최소 단위의 설비에 대해서 지수 분포를 가정한 일정형 고장률로 평가하였다는 점과 더불어 유지보수 계획 측면에서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 참고문헌 [9]는 태양광 시스템의 설비 별 고장 모드와 영향을 분석하고 치명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하였다. 상태 기반 평가 측면에서 지표를 산출하였지만, 설비 별 유지보수 계획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단계를 거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0]은 태양광 발전 설비의 경제성 분석을 기반으로 한 유지보수 계획을 제시했다. 태양광 발전량에 따른 시나리오를 산출하여, 연계된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다.

이처럼 전력 설비의 자산 관리를 위해 유지보수 계획 수립에 관한 다양한 선행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적정 신뢰성 운영 기준을 만족하면서, 유지보수 수행 시 소요되는 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을 고려한 연구는 많지 않다. 또한 태양광 설비에 대해 신뢰성 중심의 유지보수 계획 수립에 대한 연구도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시스템에 대해 공급 중단에 따른 발전 손실 비용을 비롯한 경제성을 고려하여 신뢰성 중심의 유지 보수 계획을 수립하였다. 태양광 시스템 내 설비 별 수명 평가를 통해 신뢰성을 분석하고, 시스템 신뢰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설비 별 계획 정전 비용과 유지보수 소요 비용 및 예비품 비용을 고려한 유지 보수 설비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신뢰성 운영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우선순위에 따른 유지보수 집단을 생성하여 해당되는 시점의 보전 정책을 적용할 설비들을 산출하였다.

2. 태양광 시스템 구성 및 신뢰도 평가

2.1 태양광 시스템 구성

그림 1에 태양광 시스템(PV system, Photovoltaic System)의 구성도를 나타냈다. 일정 용량 이상의 태양광 시스템은 모듈을 String 단위로 묶어서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를 통해 계통과 연계 된다. 설비 구성을 살펴보면 PV array, fuse, DS(Disconnector), Reverse polarity protection, MCCB, LC filter, Inverter, EMI filter(Electromagnetic Interface Filter), Mold TR(Transformer), VCB(Vacuum Circuit Breaker)로 이루어져있다[11].

그림 1. 태양광 시스템의 구성도

Fig. 1. The diagram of PV system

../../Resources/kiee/KIEEP.2022.71.4.239/fig1.png

그림 2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신뢰성 블록 다이어그램(RBM, Reliability Block Diagram)이다. RBM은 시스템 내 구성요소의 고장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구성 요소들의 직·병렬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다. 설비의 고장이 곧 시스템의 고장으로 이어지면 직렬로, 여러 설비의 고장이 동반될 때 시스템의 고장을 야기한다면 병렬로 표시한다[12]. 그림 2와 같이 태양광 시스템은 설비들이 직렬 로 구성되어있기에, 설비 하나의 고장으로 인해 태양광 시스템의 기동 중단을 야기한다. 따라서 해당되는 설비들의 적정한 유지보수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그림 2. 태양광 시스템의 신뢰성 블록 다이어그램

Fig. 2. The reliability block diagram of PV system

../../Resources/kiee/KIEEP.2022.71.4.239/fig2.png

2.2 설비 수명 평가 모델

설비들의 특성 즉, 규모와 중요도, 진단 및 점검을 통한 고장이력데이터 취득 여부 등을 판단하여 유지보수 설비를 분류한다. 2.1절의 신뢰성 블록 다이어그램에 포함된 설비들은 고장을 야기하는 최소 단위 설비이기에 해당 설비들은 시변 고장률을 산출한다. 이 외 설비들은 일정형 고장률로 간주한다.

이러한 설비들의 수명 평가에 널리 사용되는 기법으로 Weibull 분포가 있다. Weibull 분포는 지수 분포를 일반화한 분포로써 고장률함수가 증가, 일정, 감소하는 형태의 분포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Weibull 분포의 모수는 형상모수($\beta$), 척도모수($\eta$), 위치모수($\gamma$)로 구성된다. 형상모수는 확률 분포의 형상을 결정하며, 척도모수는 누적 고장 확률 63.2[%]의 수명을 의미하며 수명 스케일에 영향을 주는 모수이다. 위치모수는 설계상의 수명이자 이 값 이하에서는 고장이 일어나지 않는 하한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0으로 간주한다. Weibull 모수를 통해 설비의 신뢰도($R(t)$), 불신뢰도($F(t)$), 고장률($\lambda(t)$) 함수를 표현하면 다음의 수식 (1), (2), (3)과 같다[13].

(1)
$R(t)=\exp\left[-\left(\dfrac{t}{\eta}\right)^{\beta}\right]$
(2)
$F(t)=1-\exp\left[-\left(\dfrac{t}{\eta}\right)^{\beta}\right]$
(3)
$\lambda(t)=\dfrac{\beta}{\eta}\left(\dfrac{t}{\eta}\right)^{\beta -1}$

여기서,

$R(t)$ : 가동 일수 $t$에 따른 설비 신뢰도[%]

$F(t)$ : 가동 일수 $t$에 따른 설비 불신뢰도[%]

$\lambda(t)$ : 가동 일수 $t$에 따른 설비 고장률[occ/year]

$\beta$ : 형상 모수

$\eta$ : 척도 모수 [year]

Weibull 모수를 추정하기 위해, 고장이력데이터를 취득하고 통계적인 분석을 진행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타 연구 사례에서 산출한 Weibull 모수를 차용하였다[10,14-18]. 표 1에 태양광 시스템 내 설비 별 Weibull 모수를 나타냈다.

표 1 태양광 시스템 내 설비 별 Weibull 모수

Table 1 The Weibull parameters of equipments in PV system

Shape parameter($\beta$)

Scale parameter($\eta$)

PV array

3.5

25

DS

5.416

21.73

Inverter

3.28

44.18

MCCB

1.8058

23.57

Mold TR

2.3649

26.8

VCB

4

37.48

2.3 태양광 시스템 신뢰도 지수

시스템 신뢰도를 나타내는 지수로는 고장률(failure rate), 가용률(EA, Energy Availability), 비가용률(EU, Energy Unavailability)이 있다. 가용률은 일 년 중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며, 계획 정전과 비계획 정전 시간은 제외한다. 비가용률은 일 년 중에 불시정지, 기동실패, 비계획정비정지 등 계획되지 않은 사유로 시스템이 기동 중단된 시간 비율을 의미한다.

가용률과 비가용률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설비의 비가동시간을 먼저 산출해야한다. 비가동시간은 수식 (4)와 같이 설비의 고장률($\lambda(t)$)과 고장복구시간($r$)의 곱으로 표현된다.

(4)
$U=\lambda(t)\times r$
(5)
$EU=\dfrac{EOH}{PH}\times 100$
(6)
$EA=\left(1-\dfrac{EOH}{PH}\right)\times 100$

수식 (5)는 비가용률을 산출하는 수식이다.

여기서,

$PH$ : 주기시간(Period Hours), 역년 기준 8,760[hour]

$EOH$ : 등가정전시간(Equivalent Outage Hours)[hour]

$U$ : 비가동시간 [hour]

$EU$ : 비가용률 [%]

$EA$ : 가용률 [%]

따라서 비가용률은 일 년 중에 정전을 겪은 시간만큼 시스템의 기동이 중단되는 비율을 의미한다. 수식 (6)은 가용률을 산출하는 수식이다. 일 년 중 시스템이 기동 중단을 겪지 않은 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식 (5)에서 산출한 비가용률을 1에서 제하여 산출하게 된다.

시스템 신뢰도는 2.1절의 신뢰성 구조에 따라서 결정된다. 직렬 구조를 갖는 시스템은 설비의 신뢰도의 합으로 시스템 신뢰도를 산출한다. 수식 (7)은 시스템 고장률을 산출하는 수식이다.

(7)
$\lambda_{sys}=\sum_{i=1}^{n}\lambda_{i}(t)$
(8)
$EOH=U_{sys}=\sum_{i=1}^{n}\lambda_{i}(t)\times r$

여기서,

$\lambda_{sys}$ : 가동 일수 $t$에 따른 시스템 고장률[occ/year]

$U_{sys}$ : 시스템 비가동시간 [hour]

시스템 내 설비 수($n$)만큼 설비의 고장률을 합산하여 산출한다. 수식 (8)은 전체 설비의 비가동시간을 산출하는 수식이다. 수식 (7)과 유사하게 설비의 수만큼 설비의 비가동시간을 합산하여 산출하며, 이를 곧 등가정전시간으로 간주한다. 전체 시스템 가용률과 비가용률은 수식 (8)로 산출한 등가정전시간을 수식 (4), (5)에 적용하여 산출한다[19].

3. 신뢰성 중심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AMP, Adaptive Maintenance Planning)은 유지보수를 수행하였을 때 변화하는 수명 평가 모델과 시스템 신뢰도 평가 모델을 고려한 계획이다. 유지보수에 따라 평가기간이 증가하고, 유지보수 시점 및 횟수에 따라 구성 설비의 고장률이 변화한다. 또한 유지보수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유지보수 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20].

그림 3은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평가 모델의 개요도이다. 유지보수 관리자(Maintenance Advisor)와 시스템 유지보수 최적운영자(System Maintenance Optimizer) 측면으로 평가하는 모델을 분류할 수 있다. 각 단계는 유기적으로 연계 되어있어 모델의 결과가 다른 단계의 모델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유지보수 최적화 측면 관점에서 Multi-objective 유지보수 최적화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림 3.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 평가 모델의 개요도

Fig. 3.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adaptive maintenance plan evaluation model

../../Resources/kiee/KIEEP.2022.71.4.239/fig3.png

3.1 신뢰성 중심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 알고리즘

그림 4는 신뢰성 중심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 프로세스이다. 2장의 설비별 신뢰도 및 계통 신뢰도를 산출하여 가동 일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변화하는 신뢰도 추이를 확인한다. 일정 시점에 이르러 신뢰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시점에 설비 별 유지보수 수행에 따른 개선 효과를 추정한다. 이후 설비 별 유지보수 우선순위를 평가하고 이에 따라서 유지보수를 적용할 대상 설비 집단을 생성한다. 이후 시스템 가용률 기준과 유지보수 예산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유지보수 방안을 결정한다.

그림 4. 신뢰성 중심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 프로세스

Fig. 4. The process of adaptive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schedule

../../Resources/kiee/KIEEP.2022.71.4.239/fig4.png

3.2 유지보수 설비 우선순위 평가

유지보수 우선순위를 평가하기에 앞서, 설비의 유지보수 수행에 따른 개선 효과를 산출해야한다. 가동 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설비의 고장률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시스템 가용률이 감소한다. 가용률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시점($t_{e}$)에서 1년 전으로 회귀하여 전체 설비에 대해 유지보수 정책을 일괄적으로 수행한다. 오버홀 정책을 수행 할 때, 회복율 1 기준으로 경제수명 대비 경년회복 수명이 10[%] 수준으로 회귀한다[6]. 따라서 유지보수를 수행 시 고장률이 10[%] 수준으로 회귀하는 경년 회복 효과를 가정하여, 해당 되는 시점($t_{m}$)을 확인한다. 유지보수에 따른 개선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지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지보수에 따른 예상 태양광 정전 비용(ECPO, Expected Cost PV Outage)의 개선 정도이다. ECPO는 설비의 보전 정책 수행 시, 태양광 발전이 중단된 시간에 비례하여 전력 판매에 지장을 주는 손실 비용을 의미한다. 발전 사업자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 비용이며 유지보수 수행 시 개선 효과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지표이다. 수식 (9)는 ECPO를 산출하는 수식이다.

(9)
$ECPO(t)=\lambda(t)\times r\times C_{PV}\times P_{PV}$

여기서,

$\lambda(t)$ : t 시점에서의 고장률[occ/year],

$r$ : 설비의 고장복구 시간[hour],

$C_{PV}$ : PV 정전 시 발생하는 전력 판매 지장비용[₩],

$P_{PV}$ : PV 시스템 용량[MW]

을 의미한다.

(10)
$\Delta ECPO=ECPO(t_{e}-1)-ECPO(t_{m})$

수식 (10)은 유지보수에 따른 정전 비용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수식이다. 가용률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시점 이전에 보전 정책을 수행해야하므로 일 년 전으로 회귀하여 ECPO를 산출한다. 이후 유지보수 수행 시, ECPO를 산출하여 변화량을 확인한다. ΔECPO가 클수록, 해당 설비의 유지보수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식 (11)은 전체 설비의 유지보수 효과에 따른 우선순위 지표(RI, Rank Index) 행렬을 의미한다. 시스템 내 설비 우선순위 지표를 비교하여 내림차순으로 순위를 매긴다. 우선순위 지표를 산출하는 수식은 (12)에 나타냈다.

(11)
$RI =\begin{pmatrix}RI_{1}\\RI_{2}\\\vdots \\RI_{n}\end{pmatrix}$
(12)
$RI_{i}=\omega_{c}\dfrac{\Delta ECPO_{i}}{UC_{-}ECPO_{i}}+\omega_{t}\dfrac{t_{a,\: i}}{t_{e}},\: (i=1,\: 2,\: \cdots ,\: n)$

여기서,

$RI_{i}$ : $i$번째 설비의 우선순위 지표,

$\Delta ECPO_{i}$ : $i$번째 설비의 ECPO 변화량[won],

$UC_{-}ECPO_{i}$ : $i$번째 설비의 ECPO 단위비용[won],

$t_{e}$ : 가용률 기준을 불만족하는 시점[year],

$t_{a,\: i}$ : $i$번째 설비의 조정 가동 일수[year],

$\omega_{c}$ : 정전비용 개선효과 가중치,

$\omega_{t}$ : 가동 일수 증가분 가중치

를 의미한다.

수식 (12)를 살펴보면 정전비용 개선효과에 관한 항과 가동 일수 증가에 대한 항으로 이루어져있다. 정전 비용 개선 효과는 수식 (10)을 통해 평가되지만 비용 항과 가동 일수 항의 스케일이 다르기 때문에, 단위 예상 태양광 정전 비용(UC_ECPO)으로 나누어 지표에 반영한다. UC_ECPO는 고장률($\lambda(t)$)을 1로 간주한 ECPO이다.

유지보수 개선 효과가 큰 설비에 보전 정책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 일수 증가를 같이 고려했다. 유지보수를 수행한 설비는 가동 일수가 일정 시점으로 회귀하지만, 수행하지 않은 설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t_{a,\: i}$는 유지보수를 하지 않았으면 처음 평가되는 시점($t_{e}$)이고, 유지보수를 1회 이상 수행했다면, 회귀한 시점으로부터 증가한 가동 일수가 된다.

3.3 유지보수 설비 집단 생성

시스템 전체 설비에 대하여 $RI$를 산출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이후, 우선순위에 따라서 유지보수 설비 집단을 생성한다. 유지보수 집단이란 시스템 신뢰도 측면에서 개선 효과를 최대로 하는 설비들의 집합을 의미한다[18]. 유지보수 효과를 평가하는 시점에 따라서, 유지보수 설비 집단 내 설비의 수가 달라진다.

집단 생성을 위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한다. 제약 조건은 크게 두 가지로, 계획정지 운영 목표 시간, 유지보수 예산이다. 설비의 유지보수로 인한 정지 시간의 합이 정해진 계획정지 운영 목표 시간 내인지를 판단한다.

일 년 단위의 유지보수 예산을 지정해놓고, 설비들의 유지보수 소요 비용의 합이 유지보수 예산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유지보수 비용은 예비품이 있을 경우에는 단순 유지보수 비용만을 고려하고, 예비품이 없을 경우에는 운송비용(logistic, shipment cost)을 함께 고려한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유지보수 설비 집단에 대해 유지보수를 수행하였을 때, 시스템 가용률 기준을 만족하면 해당 되는 유지보수 설비 집단을 유지보수 방안으로 결정하여, $t_{e}-1$ 시점에 유지 보수를 수행한다.

4. 사례 연구

본 장에서는 태양광 시스템에 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용률은 IEC TS 63019의 Tracking System Outage 기준으로 99.3[%]를 적용하였다[21]. 표 2는 유지보수 설비의 계획정지시간 및 고장복구시간이다[10,15,16,22]. 정전 비용 산출을 위한 $C_{PV}$는 SMP(System Marginal Price)와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기반으로 1[kWh]당 195.74[₩]을 적용하였다[23, 24].

표 2 유지보수 대상 설비 계획정지시간 및 고장복구시간

Table 2 The maintenance equipments planned downtime and failure recovery time

planned down time[hour]

failure recovery time[hour]

PV array

20

30

DS

10

15

Inverter

30

45

MCCB

10

15

Mold TR

10

15

VCB

10

15

표 3에 설비 별 유지보수 소요 비용 및 단위 정전 비용을 나타냈다. 유지보수 대상 설비의 설비비용의 10[%] 수준으로 가정하였다. 연간 유지보수 소요 예산은 7,000,000[₩]을 기준으로 하였고, 계획정지시간은 60[hour]으로 두어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표 3 설비 별 유지보수 비용 및 단위 정전 비용

Table 3 The maintenance cost and unit power outage cost by facility

maintenance cost[₩]

U_ECPO[₩]

PV array

6,599,900

397,850

DS

59,000

198,925

Inverter

2,970,944

596,775

MCCB

59,000

198,925

Mold TR

4,095,000

198,925

VCB

787,000

198,925

4.1 기존 유지보수 계획 적용 사례

기존 유지보수 계획 적용 사례는 신뢰도 개선 효과 즉, 정전 비용의 개선 정도만을 평가한다. 여기서 계획정지시간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표 2의 고장복구시간을 기준으로 ECPO를 산출한다. 연간 계획정지시간의 제한이 없고, 단순히 연간 유지보수 예산 내에서 설비 집단의 우선순위를 산출하여 유지보수 집단을 생성한다.

그림 5는 기존 유지보수 계획을 적용한 전체 시스템의 가용률이다. 평가 기간은 80년 내 총 5회의 유지보수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측면에서 36, 49, 60, 68, 78년에 유지보수를 실시하였다.

표 4는 기존 유지보수 계획을 적용 시, 유지보수 시점 별 유지보수 대상 설비와 유지보수 소요 비용을 나타낸다. 연간 계획정지시간의 제한이 없기에, 유지보수 대상 설비 집단 생성에 있어 유지보수 예산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유지보수 시점에 일부 설비(DS, MCCB)들은 항상 설비 집단에 포함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점은 불규칙하지만 유지보수 집단은 2개로 분류되어, 집단 내의 설비가 변화하지 않는 양상을 띤다.

그림 5. 기존 유지보수 계획을 적용한 전체 시스템 가용률

Fig. 5. The total system energy availability with existing maintenance plan

../../Resources/kiee/KIEEP.2022.71.4.239/fig5.png

설비 집단을 형성할 때 개선 효과가 큰 설비부터 유지보수 예산을 소모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어느 정도 설비의 집단이 형성되면, 잔여 예산보다 설비의 소요 비용이 커서 더 이상 유지보수 설비 집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표 4 기존 유지보수 계획을 적용한 유지보수 대상 설비 및 유지보수 소요 비용

Table 4 The equipment subject to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osts using the existing maintenance plan

maintenance time[year]

equipment subject to maintenance

maintenance cost [₩]

36

PV array

DS

MCCB

6,717,900

49

Inverter

VCB

DS

MCCB

3,875,944

60

Inverter

VCB

DS

MCCB

3,875,944

68

PV array

DS

MCCB

6,717,900

78

Inverter

VCB

DS

MCCB

3,875,944

Total

-

25,063,632

4.2 신뢰성 중심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 적용 사례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 적용 사례는 신뢰도 개선 효과와 더불어 가동 일수 증가분을 고려하여 유지보수 집단을 생성하였다. 가중치는 동일하게 두어 평가했다. 신뢰도 개선 효과를 평가할 때, 표 2의 계획정지시간을 적용했다. 유지보수 설비 집단을 생성할 때 제약 조건으로 연간 계획정지시간과 연간 유지보수 예산을 두었다.

그림 6은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을 적용한 전체 시스템의 가용률이다. 평가 기간은 80년 내 총 4회의 유지보수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측면에서 40, 54, 65, 78년에 유지보수를 실시하였다.

그림 6.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을 적용한 전체 시스템 가용률

Fig. 6. The total system energy availability with adaptive maintenance plan

../../Resources/kiee/KIEEP.2022.71.4.239/fig6.png

표 5는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을 적용 시, 유지보수 시점 별 유지보수 대상 설비와 유지보수 소요 비용을 나타낸다. 연간 계획정지시간으로 인해 유지보수 집단 설비에 차이가 발생한다.

4.1절과 유사하게 시점은 불규칙하지만 유지보수 집단은 2개로 분류되어, 집단 내의 설비가 변화하지 않는 양상을 띤다. 유지보수 시점에 DS는 항상 설비 집단에 포함이 되며, 집단 내 설비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5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을 적용한 유지보수 대상 설비 및 유지보수 소요 비용

Table 5 The equipment subject to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osts using the adaptive maintenance plan

maintenance time[year]

equipment subject to maintenance

maintenance cost [₩]

40

PV array

DS

MCCB

6,717,900

54

PV array

DS

MCCB

6,717,900

65

Inverter

VCB

DS

3,816,944

78

Inverter

VCB

DS

3,816,944

Total

-

21,069,688

설비 집단을 형성할 때 일차적으로 개선 효과가 큰 설비의 계획정지시간을 확인한다. 그 이후 유지보수 예산 내 소요 비용이 남아있는지 확인한다. 우선순위에 따라서 잔여 예산을 소모하고 나면, 설비 집단이 확정된다. 제약 조건이 증가함으로써 유지보수 수행 시점의 설비 수가 제한되는 결과를 보인다.

4.1절의 기존 유지보수 계획 적용 사례와 비교하면 전체 시스템 측면에서 유지보수 수행 횟수는 1회 적으며, 시점 별 유지보수 적용 대상 설비도 더 적은 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지보수 전체 소요 비용도 줄어들어 기존 유지보수 계획보다 경제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5. Conclusion

최근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한 정책적인 기조와 맞물려 태양광 시스템의 보급이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서 가동 일수가 오래된 태양광 설비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고장률의 증가로 이어지고, 설비의 고장이 전력 계통 신뢰성 및 태양광 발전 업체들의 비용 손실을 야기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태양광 설비의 적절한 유지보수 계획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시스템의 신뢰성 중심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하였다. 먼저 태양광 시스템의 신뢰성 구조를 파악하여 설비 개별적인 수명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고장률을 비롯한 시스템 측면의 신뢰성 지표를 산출하였다. 특히 시스템 유지보수 최적화에 중점을 둔 유지보수 수행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시스템 가용률 기준 99.3[%]를 기준으로 유지보수 시점을 결정하였고, 해당되는 시점에 신뢰도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가동 일수 증가분을 고려하여 설비 별 우선순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순위를 기반으로 계획정지시간과 유지보수 예산을 제약조건으로 두어 유지보수 대상 설비 집단을 선정하였다.

제시한 알고리즘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 유지보수 계획과 사례 연구를 통해 경제성 및 유지보수 수행 횟수를 비교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적응형 유지보수 계획을 적용했을 때 평가 기간 80년 내 유지보수 횟수가 1회 감소하였다. 또한 선정된 유지보수 설비 집단을 보면, 대상 설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유지보수 소요 비용이 대폭 감소하여 경제성이 더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ulti-objective 유지보수 최적화에 초점을 두었으나, 실제 유지보수 수행에 따른 고장률이 변화하는 모델 역시 중요하다. 또한 유지보수 만으로 고장률 및 신뢰도 개선의 한계가 있기에, 적정한 시점에서는 교체가 필요하다. 유지보수와 교체의 적정 시점을 결정과 관련하여 추후 유지보수 및 교체 모델과 고장률 추정 모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입니다. (가상화기반 철도역사 스마트 에너지 관리 및 성능평가 기술개발-PK2203E1)

Reference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22, The 10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lanGoogle Search
2 
Korea Energy Agency, 2021, 2020 Renewable Energy Supply StatisticsGoogle Search
3 
Jong-Ho Sun, 2015, Asset management technology trends in power facilities, Journal of Electrical World Monthly Magazine, Vol. 462, pp. 42-51Google Search
4 
Ali Naderian Jahromi, Ray Piercy, Stephen Cress, Jim R. R Service, Wang Fan, 2009, An Approach to Power Transformer Asset Management using Health Index, IEEE Electrical Insulation Magazine, Vol. 25, No. 2, pp. 20-34DOI
5 
A Abiri-Jahromi, M Fouthi-Firuzabad, E Abbasi, 2009, An Efficient Mixed-Integer Linear Formulation for Long- Term Overhead Lines Maintenance Scheduling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24, No. 4DOI
6 
Gyeong-Uk Jang, 2016, Cost Evaluation based on Power Supply Reliability for Asset Management of Power Transformer, M.E.diss., Gachon UniversityGoogle Search
7 
Hui-Seok Chai, 2017, Asset Management of Industrial Power Systems using Improved Weibull Distribution, Ph.D.diss, Soongsil UniversityGoogle Search
8 
A Garro, F Barrara, 2011, Reliability Analysis of Residential Photovoltaic Systems, Int. Conference. Renewable Energies Power Quality, Vol. 11DOI
9 
Villarini Mauro, Vittorio Ceasarotti, Lucrezia Alfonsi, Vito Introna, 2017, Optimization of Photovoltaic Maintenance Plan by Means of a FMEA Approach Based on Real Data,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152, No. 15, pp. 1-12DOI
10 
Joong-Woo Shin, Kwang-Hoon Yoon, Hui-Seok Chai, Jae-Chul Kim, 2022., Reliability-Centered Maintenance Scheduling of Photovoltaic Components According to Failure Effects, Energies, Vol. 15, No. 7, pp. 2529DOI
11 
Colli Alessandra, 2015,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or Photovoltaic System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50, pp. 804-809DOI
12 
Jae-Seok Choi, 2012, Power System Reliability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essGoogle Search
13 
Waloddi Weibull, 1951, A Statistical Distribution Function of Wide Applicability, ASME Journal of Applied MechanicsURL
14 
Dobra Tudor, Martin Wellacher, Roland Pomberger, 2020, End-of-Life Management of Photovoltaic Panels in Austria: Current Situation and Outlook, Detritus, Vol. 10, No. 6, pp. 75-81DOI
15 
Raghuwanshi, Santosh Singh, Rajesh Arya, 2020, Reliability Evaluation of Stand-alone Hybrid Photovoltaic Energy System for Rural Healthcare Centre, Sustainable Energy Technologies and Assessments, Vol. 37DOI
16 
Ki-seok Jeong, Young-seok Kim, Chong-min Kim, Oh-min Kwon, 2020, A Study on the Statistical Life Span Estimation of Aged Low-Voltage Circuit Breakers,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5, No. 6, pp. 2833-2839DOI
17 
Suntaranurak, Jomkun, Thanapong Suwanasri, Cattareeya Suwanasri, Computer, Lifetime Estimation of Switching Devices Using Weibull Distribution Analysis, In 2020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Engineering/Electronics, Computer,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ECTI-CON), IEEE, pp. 413-416DOI
18 
Lu Yizhou, Aris Christou, 2017, Lifetime estimation of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modules using two-step Bayesian estimation, IEEE Transactions on Device and Materials Reliability, Vol. 17, No. 2, pp. 414-421DOI
19 
Joong-Woo Shin, 2022, Adaptive Reliability-Centered Maintenance Scheduling for VSC-HVDC using Hybrid Failure Rate Model, Ph.D.diss, Soongsil UniversityGoogle Search
20 
Abeygunawardane Saranga K., Panida Jirutitijaroen, Huan Xu, 2013, Adaptive maintenance policies for aging devices using a Markov decision proces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8, No. 3, pp. 3194-3203DOI
21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19, IEC TS 63019: 2019Google Search
22 
Geun-Dae Lee, Deok-O Lim, 2021,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ong-Term LCOE Forecast System for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2/5),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Google Search
23 
Boo-Mi Kim, February 02, 2022, SMP and REC ‘laugh’ and ‘public enterprise’ and ‘crying’, The electimesGoogle Search
24 
KPX, Weighted average SMP, Electric Power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accessed June 02, 2022. http://epsis.kpx. or.kr/epsisnew/selectEkmaSmpSmpChart.do?menuId=040201URL

저자소개

남태양(Tae-Yang Nam)
../../Resources/kiee/KIEEP.2022.71.4.239/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Anyang University, Anyang, Korea, in 2017, Currently he is a student of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and doctoral course.

김병기(Byung-Ki Kim)
../../Resources/kiee/KIEEP.2022.71.4.239/au2.png

He received Ph.D degree in KOREATECH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eratio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dispersed storage, generation systems and power quality.

문원식(Won-Sik Moon)
../../Resources/kiee/KIEEP.2022.71.4.239/au3.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9, 2011, and 2016, respectively. He worked at LG Electronics from 2016 to 2019 in the field of Microgrid.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with Soonsil University since 2019.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application of Renewable Energy and Microgrid Technologies to Power Systems.

김재철(Jae-Chul Kim)
../../Resources/kiee/KIEEP.2022.71.4.239/au4.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in 1979 and his M.S. and Ph.D. degree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83 and 1987,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a professor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한성호(Seong-Ho Han)
../../Resources/kiee/KIEEP.2022.71.4.239/au5.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1, 1993, and 1996, respectively. He is researcher in the Dept. of Smart Electrical and Signaling Division at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