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인준
(In-Jun Yang)
1iD
최도현
(Do-Hyeon Choi)
2iD
김원호
(Won-Ho Kim)
2iD
정동훈
(Dong-Hoon Jung)
†iD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ity, Seoul, Korea. E-mail : dlswns78@naver.com)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ity, Seongnam, Korea. E-mail : dino0403@naver.com,
wh15@gachon.ac.kr )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IPMSM, Eddy Currnet Loss, FEA, Winding Method, Operational Characteristic
1. 서 론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는 다양한 장점들 때문에 넓은
운전범위와 고출력밀도를 요구하는 응용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IPMSM는 영구자석을 회전자 내부에 매입한 모터로서 영구자석의 자속에 의해 발생하는
마그네틱 토크 뿐만 아니라 d축과 q축의 릴럭턴스 차에 의해 발생하는 릴럭턴스 토크도 활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IPMSM은 약자속제어 성능이
우수하여 넓은 운전 범위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한다[1].
IPMSM의 성능 및 운전특성은 고정자 코일의 권선법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고정자의 권선법은 크게 집중권과 분포권으로 나눌 수 있다. 집중권은 고정자
치에 권선을 집중하여 감는 방식이며 분포권 방식은 여러 슬롯에 걸쳐서 권선을 감는 방식이다. 집중권을 가진 IPMSM은 점적률이 높고 권선에 대한
작업이 수월하여 양산성이 뛰어나다. 또한 엔드턴의 길이가 짧아 동손이 작다는 장점으로 가전용 모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2,3]. 하지만 집중권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손은 곧 회전자의 열을 의미하며 고속 운전시에는 더 치명적이다[2,3]. 따라서 고속 운전이 필요한 집중권 IPMSM에서 와전류손을 저감하기 위한 설계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IPMSM의 와전류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 회전자 q축의 릴럭턴스를 증가시키는 형상을 적용하였으며 각각 집중권과 분포권으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집중권의 극수 슬롯수는 6극9슬롯, 분포권의 극수 슬롯수는 6극27슬롯으로 선정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각각의 권선법에 따라 운전범위 뿐만 아니라
무부하 및 부하 특성을 자세히 비교하였다. 분석 모델은 반도체 Etch 공정에 들어가는 3kW급의 진공펌프용 모터로 선정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법(Finite
Element Analysis, FEA)를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2. 진공펌프용 IPMSM의 설계
2.1 운전범위 및 목표사양
본 논문에서 설계하고자 하는 진공펌프용 IPMSM에 대한 목표 부하를 확인하기 위해 그림 1에 속도-토크 곡선(T-N Curve)를 나타내었다. 주로 운전하는 범위는 6,600rpm에서 9,000rpm이다. 3kW를 만족하는 목표 토크는
6,600rpm에서 4.34Nm이며 9,000rpm에서 3.18Nm이다. 이 외에 기본적인 설계 목표 사양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DC 링크 전압은 311Vpeak이며 전압제한치는 제어마진 약 10%를 고려하여 280Vpeak로 선정하였다. 냉각방식은 수냉식을
사용하며 고정자 권선의 전류밀도에 대한 제한은 10A/㎟이다. 점적률에 대한 제한은 나동선 기준으로 43%이다. 효율은 93%를 목표로 하였다.
Fig. 1. T-N curve representing target load of 3kW IPMSM for vacuum pump
Table 1 Target specifications of 3kW IPMSM for vacuum pump
변수
|
값
|
단위
|
출력
|
3
|
kW
|
주 운전범위
|
6,600 / 9,000
|
rpm
|
목표 토크
|
4.34 / 3.18
|
Nm
|
DC Link 전압
|
311
|
Vpeak
|
전압제한치
|
280
|
Vpeak
|
전류밀도
|
10
|
A/㎟
|
점적률
|
43
|
%
|
효율
|
93
|
%
|
2.2 와전류손 저감을 위한 설계
IPMSM의 설계에서 집중권은 양산성 및 제작성, 사이즈등을 이유로 상당히 많이 쓰이지만 고정자 슬롯고조파로 인해 영구자석에 와전류손이 크게 발생한다.
와전류손은 또한 회전자의 주파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고속에서 더욱 커지게된다. 와전류손은 회전자의 열 손실 및 영구자석에 감자현상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반드시 저감하여야 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이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그림 2와 같이 회전자 q축에 자기저항을 증가시켜 주기 위하여 회전자 태퍼링 및 홀을 적용하였다. q축 자속경로의 자기저항을 증가시켜 주면 영구자석 주변의
릴럭턴스를 증가시켜 자속변화분을 줄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림 3은 6,600rpm 부하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3(a)에서 개선모델의 토크는 4.48Nm로 기존 모델 4.99Nm에 비해 0.5Nm 감소하였지만 토크리플 같은 경우에는 기존모델은 11.04%, 개선모델은
7.57%로 3.47%가량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b)에서 와전류손은 기존 모델 67W, 개선모델 4.8W로 약 14배 가량 저감시켰다.
Fig. 2. Rotor shape for reducing eddy current loss (a) conventional model (b) Proposed
model
Fig. 3. 6,600 load simulation waveform (a) torque (b) eddy current loss
Table 2 Basic specifications according to winding method of 3kW IPMSM for vacuum pump
항목
|
항목
|
6극9슬롯 (집중권)
|
6극27슬롯 (분포권)
|
단위
|
기본사양
|
극/슬롯
|
6/9
|
6/27
|
-
|
상수
|
3
|
3
|
-
|
공극 길이
|
0.5
|
0.5
|
mm
|
운전조건
|
용량
|
3
|
3
|
-
|
속도
|
6,600~10,000
|
6,600~10,000
|
rpm
|
전류
|
16
|
16
|
Arms
|
전압
|
311
|
311
|
Vpeak
|
고정자
|
외경/내경/적층
|
100/52/40
|
100/52/40
|
%
|
재질
|
30PNF1600
|
30PNF1600
|
-
|
회전자
|
외경 / 내경 / 적층
|
51 / 16 / 40
|
51 / 16 / 40
|
mm
|
재질
|
30PNF1600
|
30PNF1600
|
-
|
권선
|
권수
|
110
|
11
|
-
|
병렬회로 수
|
3
|
1
|
-
|
선경 (나동선 기준)
|
0.8
|
φ0.7 * 4
|
mm
|
재질
|
구리
|
구리
|
-
|
상 저항 (20˚C)
|
0.25
|
0.25
|
Ω
|
결선 방식
|
Y
|
Y
|
-
|
영구
자석
|
두께
|
3
|
3
|
mm
|
길이
|
8.99
|
8.99
|
mm
|
면적
|
26.96
|
26.96
|
㎟
|
재질
|
N42UH
|
N42UH
|
-
|
잔류자속밀도
|
1.31
|
1.31
|
T
|
보자력
|
1042.46
|
1042.46
|
kA/m
|
2.3 권선법에 따른 IPMSM의 사양
진공펌프용 IPMSM의 2D 단면을 그림 4에 나타내었다. 그림 4(a)는 6극9슬롯의 집중권 모델을 나타내며 그림 4(b)는 6극27슬롯 분포권 모델을 나타낸다. 또한 두 모델의 기본 사양을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집중권 모델과 분포권 모델의 턴수 및 병렬회로수는 전부 다르지만 전류 16Arms 기준으로 10A/㎟의 동일 전류밀도에서 설계를 진행
하였다. 권선 사양 외에 코어와 영구자석의 재질, 모터의 사이즈등은 전부 동일한 기준이다.
2.4 권선법에 따른 IPMSM의 운전범위
IPMSM은 전류제한원과 전압제한원이 만나는 교점 안에서 전류벡터를 선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범위가 크게 달라진다. 전압제한원은 고속 영역으로
이동할수록 타원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압제한원의 중심인 M점이 전류제한원에 가까울수록 고속운전에 유리하다. 그림 5은 9,000rpm에서 두 모델의 전압 전류 제한원을 나타낸다. 그림 5에서 분포권이 집중권 대비하여 전압제한원은 크지만 M점의 위치는 집중권이 전류제한원의 중심에 더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집중권 모터는 M점이
전류제한원 내부에 포함되어 이론상으로 무한대의 속도로 운전이 가능하나 그림 6의 속도-토크 곡선을 확인해보면 다른 경향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4. 2D cross-section of IPMSM (a) 6-pole 9-slot concentrated model (b) 6-pole
27-slot distributed model
Fig. 5. Voltage and currnet limit circle according to winding method (9,000rpm)
Fig. 6. T-N curve according to winding method
Fig. 7. Induct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inding method (a) d-axis inductance
(b) q-axis inductance (c) d-q-axis inductance difference
그림 6에서 분포권은 집중권 대비 기저토크도 높으며 목표 토크를 만족시키는 운전범위 또한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각 권선법에 대한 d-q축의 인덕턴스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그림 7(a)는 권선법에 따른 d축 인덕턴스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7(b)는 권선법에 따른 q축 인덕턴스 차이를 보여준다. 그림 7의 그림을 통해 d축 및 q축의 인덕턴스 모두 분포권보다 집중권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분포권 대비 집중권의 인덕턴스 값이 훨씬 더 큰 이유는
상당직렬턴수가 집중권이 훨씬 더 높기 때문이다. 인덕턴스는 고정자 턴수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집중권의 인덕턴스가 더 크다. 그림 7(a)에서 d축 인덕턴스는 집중권과 분포권 모두 전류위상각에 따라서 크게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림 7(b)에서 집중권의 q축 인덕턴스는 전류위상각이 증가함에 따라서 분포권 대비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가진다. 유기전압의 식(1)과 같이 표현되며 q축 인덕턴스가 크다는 것은 곧 유기전압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운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집중권의 전류 위상각이 분포권 대비
크게 증가하여 식(2)의 마그네틱 토크 또한 빠르게 감소하게 된다. 이것은 집중권과 분포권의 속도-토크 곡선을 나타내는 그림 8(a)와 8(b)를 비교하여 확인 가능하다.
그림 7(c)는 d-q축 인덕턴스 차이를 나타낸다. 전류위상각이 낮은 저속구간에서 분포권의 d-q축에 대한 인덕턴스 차이가 집중권 대비 훨씬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식(3)은 릴럭턴스 토크 수식을 나타내며 d-q축 인덕턴스 차이가 릴럭턴스 토크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PMSM의 토크는 최종적으로 식(2)와 식(3)을 합쳐서 식(4)로 표현된다. 식(4)를 통해 분포권은 정격속도 이전에 높은 릴럭턴스 토크를 통해 집중권 대비 높은 출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8. Torque component analysis of T-N curve according to the winding method (a)
concentrated model (b) distributed model
2.5 권선법에 따른 IPMSM의 무부하 시뮬레이션
FEA를 통해 권선법에 따른 무부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림 9은 6,600rpm의 운전속도에 대한 무부하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9(a)은 상 전압 파형을 나타내며 그림 9(b)는 선간 전압의 파형을 나타내고 그림 9(c)는 코깅토크 파형을 나타낸다. 표 3에서 전압에 대한 크기와 THD(Total Harmonic Distortion) 및 코깅토크의 크기를 확인 가능하다. 권선법에 따라 상 및 선간 전압에
대한 크기는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분포권이 집중권에 비해 선간전압 THD는 3.77%가량 낮으며 코깅토크는 약 10배가량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Fig. 9. 6,600rpm no-load simulation waveform (a) phase voltage (b) line voltage (c)
cogging torque
Table 3 6,600rpm no-load simulation
항목
|
6극9슬롯 (집중권)
|
6극27슬롯 (분포권)
|
단위
|
속도
|
6,600
|
6,600
|
rpm
|
상전압
|
68.40
|
67.16
|
Vrms
|
상전압 THD
|
4.14
|
4.63
|
%
|
선간전압
|
118.63
|
116.36
|
Vrms
|
선간전압 THD
|
4.14
|
0.37
|
%
|
코깅토크
|
142.36
|
13.42
|
mNm
|
2.6 권선법에 따른 IPMSM의 부하 시뮬레이션
FEA를 통해 권선법에 따른 부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림 10은 6,600rpm의 운전속도에 대한 부하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10(a)은 선간 전압 파형을 나타내며 그림 10(b)는 토크 파형을 나타낸다. 표 4에서 부하 시뮬레이션 파형들에 대한 값들을 알 수 있다. 집중권 대비 분포권에서 토크리플과 영구자석손이 훨씬 작은 것을 확인 가능하다. 토크리플은
4.84% 작으며 와전류손은 67배 더 작고 효율 0.7%가량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회전자 q축의 릴럭턴스 증가를 통해 집중권의 와전류도
3.36W로 작은 값이지만 분포권의 기타 성능이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0. 9,000rpm load simulation waveform (a) line voltage (b) torque
그림 11는 9,000rpm의 운전속도에 대한 부하 시뮬레이션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11(a)은 선간 전압 파형을 나타내며 그림 11(b)는 토크 파형을 나타낸다. 표 5에서 부하 시뮬레이션 파형들에 대한 값들을 알 수 있다. 9,000rpm도 6,600rpm과 마찬가지로 집중권 대비 분포권에서 토크리플과 영구자석손이
훨씬 작은 것을 확인 가능하다. 토크리플은 2.85% 더 작으며 와전류손은 31배 작고 효율 0.18%가량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집중권에서
영구자석 와전류 손실은 6,600rpm 대비 크게 줄어 1W 미만의 값을 가질 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분포권의 기타 성능들이 집중권보다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4 6,600rpm load simulation
항목
|
6극9슬롯 (집중권)
|
6극27슬롯 (분포권)
|
단위
|
속도
|
6,600
|
6,600
|
rpm
|
출력
|
3
|
3
|
kW
|
전류
|
15.4
|
14.8
|
Arms
|
전류 위상
|
22
|
16
|
degE
|
토크
|
4.35
|
4.40
|
Nm
|
축 토크
|
4.29
|
4.36
|
Nm
|
토크리플
|
7.47
|
2.63
|
%
|
선간전압 기본파
|
232.65
|
214.28
|
Vpeak
|
선간전압 THD
|
15.77
|
3.41
|
%
|
Ld
|
2.726
|
1.646
|
mH
|
Lq
|
2.867
|
2.218
|
mH
|
동손
|
177.87
|
164.28
|
W
|
영구자석손
|
3.36
|
0.05
|
W
|
철손
|
32.11
|
29.11
|
W
|
효율
|
93.29
|
93.96
|
%
|
Fig. 11. 9,000rpm load simulation waveform (a) line voltage (b) torque
Table 5 9,000rpm load simulation
항목
|
6극9슬롯 (집중권)
|
6극27슬롯 (분포권)
|
단위
|
속도
|
9,000
|
9,000
|
rpm
|
출력
|
3
|
3
|
kW
|
전류
|
11.2
|
11
|
Arms
|
전류 위상
|
22
|
16
|
degE
|
토크
|
3.26
|
3.25
|
Nm
|
축 토크
|
3.22
|
3.21
|
Nm
|
토크리플
|
4.88
|
1.99
|
%
|
선간전압 기본파
|
277.47
|
259.28
|
Vpeak
|
선간전압 THD
|
9.99
|
2.26
|
%
|
Ld
|
2.714
|
1.593
|
mH
|
Lq
|
3.151
|
2.265
|
mH
|
동손
|
94.08
|
90.75
|
W
|
영구자석손
|
0.92
|
0.03
|
W
|
철손
|
37.38
|
35.29
|
W
|
효율
|
95.82
|
96
|
%
|
3. 결 론
본 논문은 IPMSM의 와전류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 회전자 q축의 릴럭턴스를 증가시키는 형상을 적용하였으며 각각 집중권과 분포권으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집중권의 극슬롯수는 6극9슬롯, 분포권의 극슬롯수는 6극27슬롯으로 선정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각각의 권선법에 따라 운전범위 뿐만 아니라 무부하
및 부하 특성을 자세히 비교하였다. 회전자 q축의 릴럭턴스를 증가시켜 집중권 IPMSM의 영구자석손을 작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나 분포권이 출력 및
토크리플, 효율측면에서 더 유리한 것을 확인하였다.
Acknowledgements
이 성과는 2022년도 산업통상자원부(MOTIE) 및 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 (No.20011495)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EIT) grant fund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MOTIE) (No.20011495)
References
J. H. Seo, S. Y. Kwak, S. Y. Jung, C. G. Lee, T. K. Chung, H. K. Jung, Mar. 2009,
A research on iron loss of IPMSM with a fractional number of slot per pole, IEEE Trans.
Magn., Vol. 45, No. 3, pp. 1824-1827
K. Yamazaki, Y. Kanou, Y. Fukushima, S. Ohki, A. Nezu, T. Ikemi, R. Mizokami, 2010,
Reduction of Magnet Eddy-Current Loss in Interior Permanent-Magnet Motors with Concentrated
Windings, IEEE Trans. Ind. Appl., Vol. 46, No. 6, pp. 2434-2441
K. Yamazaki, H. Ishigami, 2010, Rotor-Shape Optimization of Interior Permanent-Magnet
Motors to Reduce Harmonic Iron Losses, IEEE Trans. Ind. Elec., Vol. 57, No. 1, pp.
61-69
저자소개
received his B.S., M.S. degrees in energy IT from Gachon University, Seongnam,
Korea, in 2018 and 2020, respectively. Since 2020, he has done his Ph.D. degree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 engineering at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esign and analysis of motors, generators. Applications are vehicles,
home appliances and industrial electrical machinery.
received his B.S. degree in energy IT from Gachon University, Seongnam, Korea,
in 2021, respectively. Since 2022, he has done his M.S. degree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 engineering at Gachon University, Seongnam,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esign and analysis of motors, generators. Applications are vehicles, home
appliances and industrial electrical machinery.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5, 2007, and 2011, respectively. From 2011 to 2017,
he was a Research Staff Member with the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Yongin, Korea. Since 2017, h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with the Electrical
Engineering Department, Gachon University, Seongnam,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esign and analysis of motors, generators. Applications are vehicles, home
appliances and industrial electrical machinery.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Myongji University, Yongin,
Korea, in 2014 and the M.S.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6 and 2020. Since 2020, h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with the School of Mechanical, Automotive and Robot Engineering, Halla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esign and control of electric machinery based on electro-magnetic
field analysis, multi-physical design and analysis of motor/generator, energy conversion
systems and applications of motor-dr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