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t. of Mechanical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Electric vehicle, Battery, Driving mode, Fuel economy, Current measurement

1. 서 론

세계적으로 자동차 시장은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지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전기자동차에서는 여러 종류의 부품들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구동모터, 배터리, 충전시스템 등은 전기자동차를 원활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핵심 부품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의 특징은 고전압 전류가 흐르고 있어 연구 및 테스트 시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하나라도 수명을 다한다면 전기자동차의 구동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에 더욱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전기자동차 개발을 위하여 구동모터, 배터리, 충전시스템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9]. 최근 연구는 구동모터부분에선 운전 사이클을 고려한 모터의 권선수 최적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1]. 배터리부분은 배터리 모델링을 위한 파라미터 최적화 기법에 대한 연구[2]와 배터리팩 열관리시스템에서 상변화 물질 적용에 관한 연구가[3] 진행되어왔다. 그리고 충전시스템 부분은 급속 충전기의 전력변환 효율에 대한 연구와[4] PLC망을 활용한 저속충전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가[5] 진행되어지고 있으며 전기차 충전기술 국제 표준 도식화 연구[6] 또한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이렇게 최근에도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기술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전기자동차 보급 대수의 증가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대한 정밀 검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운행 전기자동차의 검사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되어 지고 있다[7-9]. 운행 전기자동차의 검사항목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운행 단계에서의 배터리 정보는 전류 취득이 중요하다. 특히, 차량 주행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서 배터리 노후화는 필연적이다. 이러한 배터리의 노후정도는 배터리 건강상태(SOH : State Of Health)로 판정이 가능하다. 배터리 노후화에 따라서 배터리 용량이 낮아지므로,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 State Of Charge) 계산 시 배터리 용량이 변수로 사용되므로 SOC에 영향에 미치게 된다. 이렇듯 배터리 충 방전 전류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운행 전기자동차 단계에서는 전류 측정은 일반적으로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적산전류계를 설치하여 배터리 소모 전류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를 활용하여 전류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이다. OBD에서 취득 가능한 배터리팩 전류는 BMS에서 제공되는 전류 값이므로, 적산전류계를 이용하여 실제 측정값과 비교가 필요하다. 적산전류계를 사용할 경우 전류 측정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고전압 케이블에 적산전류계 및 파워 아날라이저 그리고 Logging장비를 설치해야한다. OBD 데이터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서 출력되고 차량내부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활용해야 한다[10-11].

본 연구에서는 운행 전기자동차를 차대동력계에서 다양한 주행모드로 실차주행하면서 배터리 소모 전류를 측정하고, 해당 전비를 비교하였다. 특히, 전류의 측정을 위하여 OBD에서 취득한 전류와 적산전류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류의 차이를 다양한 주행특성을 거쳐서 비교 분석하였다. 주행모드에 따라서, 충 방전되는 전류 특성이 변하므로 이에 따른 전비를 비교하였다. 주행모드는 특성이 다른 3가지 모드이며, 각각 정속주행이 특징인 ASM2525, 가감속구간이 잦은 UDDS 그리고 급가속 및 고속주행구간이 포함된 US06으로 주행모드를 선정하였다.

2. 실험장치 구성 및 방법

실험에 사용된 차량은 HYUNDAI사의 전기자동차인 2019년식 KONA Electric 이며 해당 차량의 모터타입은 영구자석형 동기모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가 장착되어있다. 모터의 최대출력은 150kW, 최대토크는 395Nm 이며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는 리튬이온폴리머 배터리로서 98개의 셀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차량의 자세한 제원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표 1 테스트 차량의 사향

Table 1 Specifications of the test vehicle

Motor typ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Motor max torque/power

395Nm/150kW

Total gear ratio

(reduction ratio*FGR)

7.981

Tire

215/55/R17

Battery

Lithium ion, 98Cells,

180Ah or 64kWh

Fuel economy

5.6km/kWh

2.1 실험장치 구성

본 실험에서 사용한 동력계는 AVL 사의 48inch single roll ZÖLLNER 차대동력계이며 이는 장비 System에 차량의 공차중량, 공기저항, 구름저항 등을 입력하여 공도주행을 모사할 수 있는 장비이다. 최대 4500kg 의 전륜 또는 후륜 구동 방식의(2axle 구동방식) 차량 실험을 위해 설계되었다.

데이터 측정은 차량의 OBD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Lab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기반으로 측정시스템 설계를 구성하였다. 주행모드는 차량의 전면 유리에 Driver's Aid를 부착하여 Dynamometer Control Unit와 연동하여 주행모드의 타겟 속도와 차량의 실제 속도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된다. 그리고 주행하며 측정된 차량의 데이터는 OBD 단자를 통해 DAQ Board를 거쳐 노트북에 저장된다. 실험실 온도 환경은 Air Conditioner System을 통해 20~25℃를 유지하며 실험이 진행되었다. Fig. 1은 해당 실험의 전체적인 구성과 개략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그림 1. 장비 구성 및 데이터 수집

Fig. 1. Equipments setting and data acquisition

../../Resources/kiee/KIEEP.2022.71.4.269/fig1.png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적산전류계는 10ms으로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배터리팩에서 인버터로 인가되는 고전압 케이블에 적산전류계의 후크를 걸어 전류를 직접 측정하였다. 적산전류계는 HIOKI사의 CT6845-05를 사용하였다. 측정위치는 Fig. 2와 같고 적산전류계의 사향은 Table 2와 같다.

그림 2. 테스트 차량에 설치된 적산전류계

Fig. 2. Accumulating ammeter mounted on the test vehicle

../../Resources/kiee/KIEEP.2022.71.4.269/fig2.png

표 2 CT6845-08의 사향

Table 2 Specifications of CT6845-08

Model

CT6845-05

Rated current

AC/DC 500A

Maximum input current

1000 A rms

Frequency characteristics(DC)

Amplitude : 100kHz

Phase : 100kHz

Power supply voltage(DC)

±11V ~ ±15V

2.2 실험방법

서로 다른 특징의 주행모드를 차대동력계에서 차량을 고정시킨 후, 바퀴를 구동시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차주행하며 BMS에서 제공하여 OBD 단자에서 읽히는 전류와 적산전류계에서 측정된 배터리의 소모 전류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에 선정된 주행모드는 주행특징이 다른 3가지 모드를 선정하여, 다양한 실차 운전 조건으로 구성하였다. 각 각의 모드는 정속주행이 특징인 ASM2525모드와 가감속구간이 잦은 UDDS모드 그리고 급가속 및 고속주행이 특징인 US06모드로 주행모드이다. 실험을 위해 사용된 차량은 현대자동차의 2019년식 KONA Electric 모델로 진행하였으며 실시간으로 OBD 단자를 통해 배터리 팩의 전압 및 전류, 그리고 98개 셀 각 각에 대한 전압, 전류, SOC 등의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또한 OBD에서 읽히는 전류와 적산전류계를 이용해 직접 측정한 전류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적산전류계는 차량 구동계에 설치되기 때문에 실 도로 주행 시 고정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고전압 케이블에서 이탈되어 안전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3. 운행 전기자동차 전류측정방법 비교

3.1 주행모드별 특징 분석

3가지 주행모드를 통해 실험을 진행 하였다. 3가지 주행모드는 SI엔진을 장착한 중소형 자동차의 배출가스 정밀검사 모드로서 정속주행이 특징인 ASM2525모드, 차량의 도심주행 경향을 반영하여 가감속이 잦은 것이 특징인 UDDS모드, 급가속 및 고속주행이 특징인 US06모드이다. 각각 주행모드의 최고속도는 40km/h, 91km/h, 130km/h 수준며 가장 큰 가속도를 가지는 주행모드는 US06모드 이다. 또한 주행시간은 ASM2525모드는 335초 UDDS모드는 1370초 US06모드는 600초 이고 주행거리는 각각 3.61km, 12km, 12.88km이다. 주행모드에 관한 세부사항은 Table 3와 같다.

그림 3. 주행모드 속도 프로파일

Fig. 3. Driving mode speed profile

../../Resources/kiee/KIEEP.2022.71.4.269/fig3.png

표 3 주행모드 특징

Table 3 Driving mode features

Mode

ASM2525

UDDS

US06

Driving time

355s

1370s

600s

Distance driven

3.61km

12km

12.88km

Maximum speed

40km/h

91.2km/h

130km/h

Maximum acceleration

0.4m/s$^{2}$

1.47m/s$^{2}$

3.75m/s$^{2}$

3.2 전류측정 방법 비교

전류측정은 차량의 배터리 팩에서 인버터로 인가되는 고전압 케이블에 적산전류계의 후크를 걸어 전류 값을 직접 측정하였으며 적산전류계의 결과와 OBD에서 읽히는 ‘배터리팩 전류’를 비교하여 오차를 확인하였다. Fig. 4에서 파란색 선은 OBD에서 읽히는 전류이고 빨간색 선은 적산전류계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한 전류이다. 두선을 겹치게 하여 두 전류측정 방법에 따른 차이를 Fig. 4에서 확인하였다.

적산전류계로 직접 측정한 전류 값과 차량의 OBD에서 읽히는 값의 차이는 거의 유사하였으며 가장 차이가 심한 구간은 ASM2525모드의 경사구배 10% 주행에서 1.59%의 오차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OBD에서 읽히는 ‘배터리팩 전류’값을 사용하여 전비를 계산하였다. 자세한 수치와 오차율은 Table 4을 통해 표시하였고 오차 산출 식은 식(1)과 같다.

그림 4. 전류측정방법에 따른 전류비교

Fig. 4. Comparison according to current measurement method

../../Resources/kiee/KIEEP.2022.71.4.269/fig4.png

표 4 주행모드 및 경사구배에 따른 전류 측정값과 오차율

Table 4 Current value and error rate according to driving mode and gradient

Mode

ASM2525

Slope

0%

5%

10%

Battery pack current (Ah)

1.353

3.702

6.416

Accumulated ammeter (Ah)

1.341

3.659

6.315

Error (%)

0.89

1.18

1.59

Mode

UDDS

US06

Slope

0%

5%

0%

5%

Battery pack current (Ah)

5.356

12.912

8.419

16.264

Accumulated ammeter (Ah)

5.280

12.777

8.364

16.239

Error (%)

1.43

1.05

0.65

0.15

(1)
$Error=(\dfrac{Battery pack current}{Accumulated ammeter})*100-100$

4. 주행특성별 전비 분석

4.1 주행모드별 전류소모량 분석

주행모드별 전류소모량을 분석하고 이를 전비로 계산하였다. ASM2525모드 에서는 경사구배 0%, 5%, 10%를 주행했을 때 배터리팩의 전류를 나타내었고 UDDS모드와 US06모드는 경사구배 0%, 5%를 주행하였다. 해당 주행모드는 가감속이 많이 포함된 주행모드이므로 경사구배 10%에 대하여 실험차량의 주행 성능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주행이 가능한 UDDS모드와 US06모드는 경사구배 0%, 5%에 대하여 주행하였다. 각 각의 주행모드에서 배터리팩의 전류를 Fig. 5에 나타내었다. 3가지 주행모드를 경사구배별로 주행한 결과 급가속 및 고속주행이 특징인 US06모드의 경사구배 5% 구간이 16.26Ah로 전류소모량이 가장 컸으며 UDDS모드의 경사구배 5% 구간이 12.91Ah로 그 다음을 이었다. 정속주행이 특징인 ASM2525모드의 경사구배 0% 구간에서는 1.35Ah로 전류소모량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그림 5. 주행모드별 경사구배에 따른 배터리 소모 전류

Fig. 5. Battery consumption curren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for each driving mode

../../Resources/kiee/KIEEP.2022.71.4.269/fig5.png

4.2 주행모드별 전비 계산

주행모드에 따라서 배터리 충 방전 특성이 다르므로, 이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전비를 계산하였다. 실험에 적용된 3가지 주행모드들은 모두 주행거리가 다르므로 전류소모량에 대한 주행거리의 결과인 전비를 계산하였다. 전비 계산방법은 한국산업표준(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의 KS R 1183을 인용하여[12] 계산하였으며 에너지 소비 효율 Q의 분모는 전력 분석계를 통해서 얻은 전동기 시스템의 입력 전력을 적산한 것이고, 분자는 모사 차량의 실차 주행 모드 주행 차속을 적산하여 주행거리를 산출한 것이다. 계산은 식(2)와 같다.

(2)
$Q=\dfrac{1000\int_{t=0}^{t_{f}}v(t)dt}{\int_{t=0}^{t_{f}}V(t)I(t)dt}$

where Q : Actual vehicle driving mode simulation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km/kWh)

v(t) : Actual vehicle driving mode driving vehicle speed (km/h)

V(t) : Motor system input voltage (V)

I(t) : Motor system input current (A)

tf : Test completion time (s)

동일한 경사구배 조건에서 주행모드별 전비는 ASM2525, UDDS, US06 순으로 전비가 높았다. ASM2525는 40km/h속도로 정속주행이 특징이며 UDDS는 도심 특성을 반영한 가감속이 잦은 주행이 특징이고 US06은 급가속 및 고속 주행이 특징으로 각 각 모드의 주행특성으로 인해 전비가 차이 난 것으로 판단된다. 모든 경사구배 조건에서의 전비는 ASM2525모드의 경사구배10%가 가장 낮았으며, 경사구배 0%, 5% 에서는 US06모드가 가장 낮았다. 자세한 수치는 Table 5를 통해 표시하였다.

표 5 전비 표(km/kWh)

Table 5 Electric vehicle fuel economy table(km/kWh)

Slope

0%

5%

10%

ASM2525

8.12

2.45

1.42

UDDS

6.30

2.31

-

US06

4.32

1.98

-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운행 전기자동차에서 실차 운전 시 전류 측정 방법과 전비를 비교하였다. 특히 주행 특성은 배터리 충 방전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전비를 계산하였다. 차대동력계를 이용하여 실차 운전 조건을 반영하기 위하여 주행모드는 ASM2525, UDDS, US06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류측정방법에 대한 비교는 차량의 OBD에서 읽히는 ‘배터리팩 전류’ 값과 적산전류계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측정한 결과의 차이는 최대 1.59% 이내의 오차율을 보일 정도로 서로 차이가 없었다.

2) 경사구배 조건이 반영된 주행모드별 전비는 ASM2525모드에서 경사구배 10%가 가장 낮은 전비를 기록했다. 동일한 경사구배 조건에서의 전비는 ASM2525, UDDS, US06 순으로 전비가 높게 나왔다. ASM2525는 정속주행이며 UDDS는 가감속이 잦은 주행이고 US06은 급가속 및 고속 주행이다. 3가지 주행모드의 서로 다른 주행특성으로 충 방전 전류 특성의 차이에 의하여 전비 차이가 발생하였다.

References

1 
I. Seonghwan, G. Bongwan, l. Jongkyong, K. Raeyoung, April, 2022, Optimization of Stator Winding Turn Numbers for EV Tap-Change PMSM According to Driving Cycles,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1, No. 4, pp. 642-649DOI
2 
K. Ilsong, June, 2020, The Research on the Modeling and Parameter Optimization of the EV Battery,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 Vol. 25, No. 3, pp. 227-234DOI
3 
C. Chulyoung, C. Woongchul, December, 201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hase Change Material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using Dymola,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6, No. 12, pp. 1889-1894DOI
4 
L. Juho, Y. Seungduck, L. Youseok, P. Kijun, July, 2020, Conversion efficiency Measurement of 1000V class Fast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2020, No. 7, pp. 111-112Google Search
5 
K. Hoyun, L. Sunguk, K. Sunryeol, July, 2021, A Study on development low-speed EVcharging system using PLC network,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2021, No. 7, pp. 1295-1296Google Search
6 
K. Youngsung, S. Woohyun, July, 2021, Mapping of Global Standard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Technology,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2021, No. 7, pp. 1387-1388Google Search
7 
K. Taegyun, K. Hyunjun, K. Byeongil, J. Hyunwoo, W. Unseok, O. Sein, March 2022, A study on the periodic technical inspection(PTI) reflect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for electric vehicle in operation,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 198-198Google Search
8 
P. Seongyun, K. Hyunjun, O. Sein, M. Kihyun, L. Sanghyun, H. Manbae, K. Jonghoon, June, 2022, A study on eco-friendly vehicle inspection method using OBD data,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p. 986-987Google Search
9 
S. Jaesik, O. Sein, K. Taegyun, Y. Unseok, L. Hosang, S. Jiyong, November, 202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spection and Management Plan of in-used Micro-Electric Vehicles, KSAE Autumn Conference Proceedings, pp. 1020-1020DOI
10 
S. Inhan, R. Kyungwan, K. Jungchul, C. Junepyo, August, 2021, A Study on In-vehicle Data Acquisition from Light-duty BEV with CAN Protocol and UDS Standard, Transactions of KSAE, Vol. 29, No. 8, pp. 693-701Google Search
11 
P. Seongyun, L. Dongjae, A. Mazhar, K. Hyunjun, K. Jonghoon, June2022, Utilization of OBD data and its BMS application plan,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p. 985-985Google Search
12 
Korean Industrial Standards, 2018, KS R 1183: Performance test method of motor system for electric vehicle using road vehicle-motor dynamometer-real vehicle driving mode simulation, https://standard.go.kr/KSCI/ksNotification/getKsNotificationView.do?ntfcManageNo=2018-00528&menuId=921&topMenuId=502URL

저자소개

이상현(Sang-Hyun Lee)
../../Resources/kiee/KIEEP.2022.71.4.269/au1.png

2020년 계명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졸업.

2022년 동 대학원 기계공학과 졸업(석사).

E-mail: 2997lsh@naver.com

한만배(Manbae Han)
../../Resources/kiee/KIEEP.2022.71.4.269/au2.png

1995년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졸업.

1997년 동 대학원 기계공학과 졸업(석사).

2007년 미국 Univ. of Michigan, Ann Arbor 기계공학과 졸업(공박).

1997년~2022년 현대자동차 연구소 연구원.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 연구원, 현재 계명대학교 기계공학전공 교수.

E-mail: mbhan2002@km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