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Inverter, Leg transfer switch method, PV generation system, 2-leg and 3-leg method

1. 서 론

현대사회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자원 고갈문제를 가장 크게 뽑을 수 있다. 환경오염 및 화석연료 과다사용으로 인한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세계적으로 고갈되는 자원을 대체할 많은 종류의 재생에너지를 연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생에너지는 바로 태양광 에너지이다. 태양광은 다른 재생에너지에 비해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는 재생에너지 중 하나이다. 전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가 많이 연구되고 있는 만큼 태양광 에너지 관련 연구 또한 많이 이루어졌고, 현재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반도체 소자 중 하나인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전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태양광에서 얻은 에너지인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할 때 인버터가 사용된다[1]. 인버터를 이용하여 변환한 AC 전원을 전력이 필요한 곳인 가정이나 산업 등 여러 곳에 공급을 할 수 있다[2]. 또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사용하여 태양광을 통해 얻은 에너지 중 필요한 에너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ESS에 충전하고 필요한 에너지를 다 사용하고 충전해놓은 에너지를 사용할 때 ESS에서 방전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과 같이 재생에너지가 많이 연구되고 일상생활에서 인버터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안정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요구된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인버터에 단락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인버터가 오작동 하게 되어 전력이 필요한 곳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발생한다. 전력을 원활하게 공급하고자 단락사고가 발생한 인버터의 직접 스위칭 소자를 교체하거나 점검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인버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전까지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3,4].

이에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인버터 단락사고 발생 대응을 위한 레그 절체 방안을 제시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레그 방식 인버터의 동작 중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2-레그 방식으로 레그를 절체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안은 단락사고가 발생한 레그의 전류를 DC Link 캐패시터로 우회시켜 전력 공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안하는 레그 절체 방식을 검증하기 위해 PSIM을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3-레그 인버터를 적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단락사고를 임의적으로 발생시키기 전과 2-레그 방식으로 레그를 절체하여 계통에 인가하는 전력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2.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레그 절체 방안 적용을 위한 인버터의 토폴로지와 제어 방식 분석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인버터는 태양광에서 얻은 에너지인 DC 전원에서 AC 전원으로 변환시킬 때 사용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인버터의 대표적인 동작 방식으로 3-레그 방식이 있다. 3-레그 방식 외에도 IGBT를 4개만 사용하는 2-레그 방식으로 인버터를 동작하는 방식이 있다. 본 장에서는 제안하는 방식을 검증하기 전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3-레그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와 2-레그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의 회로와 제어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제안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의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2.1 3-레그 인버터의 토폴리지와 제어 방식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태양광 에너지로 얻은 DC 입력 전원을 AC 출력 전원으로 변환시킬 때 인버터가 사용된다.

그림 1은 3-레그 인버터가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회로도 회로도를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PV 패널이 생산하는 전압의 크기는 계통의 전압보다 작다. 이에 PV 패널과 인버터 사이에 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는 컨버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그림 1과 같이 플라이백 컨버터를 사용하였다. 이후 회로에는 3-레그 방식의 인버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IGBT 6개가 동작하여 DC 입력 전원을 AC 출력 전원으로 변환시켜준다.

그림 2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제어 중 3-레그 인버터 제어 블록도를 보여준다. 전류 레퍼런스와 측정된 전류의 오차인 $i_{abc_{-}error}$는 PI 제어기를 통해 제어량으로 변환된다. 그 후 PWM 파형을 각각 IGBT에 신호를 보내 인버터가 DC 입력 전원에서 AC 출력 전원으로 전력 변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5,6].

그림 1. 3-레그 인버터가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회로도

Fig. 1. Circuit diagram of a PV generation system with 3-leg inverter applied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1.png

그림 2.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제어 중 3-레그 인버터 제어 블록도

Fig. 2. 3-leg inverter control block diagram when controlling PV generation system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2.png

2.2 2-레그 인버터의 토폴리지와 제어 방식

인버터의 또 다른 방식 중 하나인 2-레그 방식은 기존의 3-레그 방식에서 사용되는 IGBT보다 2개 적게 사용하지만 3-레그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와 동일하게 전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림 3은 2-레그 인버터가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회로도를 보여준다. 2-레그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는 3-레그 방식과 다르게 IGBT 4개를 이용해 DC 입력 전원에서 AC 출력 전원을 얻는다. 기존에 사용되던 임의 하나의 상을 DC Link 캐패시터 2개의 중앙에 연결하고 적절한 제어를 수행한다면 3-레그 방식과 동일하게 DC 입력 전원으로부터 AC 출력 전원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3개의 상 중 C상의 IGBT가 단락된 것을 가정하였으며 이 때의 제어 블록도는 다음과 같다.

그림 4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2-레그 인버터의 제어 블록도를 보여준다. 그림 4를 살펴보면 PI 제어기를 거친 후의 제어량 중 C상의 제어량인 $v_{c}^{*}$가 A상의 제어량 $v_{a}^{*}$와 B상의 제어량 $v_{b}^{*}$에 각각 감산되어 각각 $v_{at}^{*}$, $v_{bt}^{*}$로 변환된다. 이를 사용해 PWM 파형 생성하고 IGBT에 신호를 보내면 인버터가 정상적으로 계통에 전력 변환 및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각 상의 제어 방식에서의 전압은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7,8].

(1)
$v_{at}^{*}=v_{a}^{*}-v_{c}^{*}$
(2)
$v_{bt}^{*}=v_{b}^{*}-v_{c}^{*}$

그림 3. 2-레그 인버터가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회로도

Fig. 3. Circuit diagram of a PV generation system with 2-leg inverter applied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3.png

그림 4.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2-레그 인버터의 제어 블록도

Fig. 4. 2-leg inverter control block diagram when controlling PV generation system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4.png

2.3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된 MPPT 제어 방식

기본적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제어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 중 그림 5의 P&O(Perturb&Observe) 방식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P&O 방식은 아래의 식 4와 식 5와 같이 현재 전압($V$)과 전력($P$) 값을 이전의 전압($V_{old}$)과 전력($P_{old}$) 값과 비교하여 임의 값인 $\alpha$만큼 계산하여서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방식이다. 해당 기법은 다른 MPPT 제어 기법에 비해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식이여서 많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그림 5와 같은 P&O 방식을 기반으로 최대전력추종을 수행한다.

(3)
$\triangle V=V-V_{old}$
(4)
$\triangle P=P-P_{old}$

그림 5. MPPT를 위한 일반적인 P&O 방식의 알고리즘

Fig. 5. A typical P&O method algorithm for MPPT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5.png

3.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락사고 대응을 위한 레그 절체 방안과 성능 검증

3.1 단락사고 대응을 위한 레그 절체 방안의 적용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레그 절체 방식은 3-레그 방식으로 구동하는 인버터에서 하나의 레그에 해당하는 IGBT에 단락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레그를 절체하여 2-레그 방식으로 인버터 구동 방식을 변환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그림 6은 레그 절체 방식이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회로도를 보여준다. 여기서 레그 절체 방식은 오직 태양광 발전 시스템 중 인버터에만 적용되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회로도는 그림 7과 같다.

그림 7은 레그 절체 방식이 적용된 인버터의 세부 회로도를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IGBT의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메인 회로와 분리될 수 있는 회로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sw A_{-}b$, $sw B_{-}b$, $sw C_{-}b$를 각 IGBT에 위치시켜 단락사고가 발생된 레그가 메인 회로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스위치는 b접점의 특성을 갖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평소에는 언제나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단락사고가 발생된 레그에도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회로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따라 그림 7과 같이 $sw A_{-}a$, $sw B_{-}a$, $sw C_{-}a$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DC Link 캐패시터 중성점과 각각 연결시킨다. 이 때 사용된 스위치는 a접점의 특성을 갖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평소에는 전류가 흐를 수 없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오직 C상에 위치해있는 IGBT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C상에 위치해있는 IGBT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한다면 $sw C_{-}b$가 open되어 C상의 IGBT가 메인회로가 분리되며 $sw C_{-}a$가 close되어 C상의 계통회로가 DC Link의 중성점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동작된다.

그림 6. 레그 절체 방식이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회로도

Fig. 6. Overall circuit diagram of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leg transfer switch method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6.png

그림 7. 레그 절체 방식이 적용된 인버터의 세부 회로도

Fig. 7. Inverter detailed circuit diagram applying leg transfer switch method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7.png

3.1 단락사고 대응을 위한 레그 절체 방안의 성능 검증

레그 절체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모의실험에 사용된 회로는 그림 8과 같이 제안하는 인버터 회로도를 사용하였으며 태양광 패널과 플라이백 컨버터 및 인버터의 파라미터는 다음 표 1과 같이 설정하였다.

표 1 모의실험에 사용된 다양한 파라미터

Table 1 Summary of the various parameters used in the simulations

Parameter

Value

Units

Parameter

Value

Units

$P_{\max}$

320

$[W]$ $V_{\max}$

33.75

$[V]$
$I_{\max}$

9.5

$[A]$

Insolation

1000

$[W/m^{2}]$
$v_{1}:v_{2}$

1:4

Frequency

20

$[k Hz]$

Solar_Capacitor

1000

$[\mu F]$ $L_{M}$

300

$[m H]$

Inductor

10

$[m H]$

Capacitor

100

$[\mu F]$

Resistor

10

$[\omega]$

DC_Link Capacitor

4700

$[\mu F]$

그림 9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정상 동작 확인을 위한 MPPT 구동 모의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여기서 그림 9(a)는 플라이백 컨버터 1,2차측 전압 파형을 나타내며 그림 9(b)는 MPPT 수행에 따른 PV 패널 생산 전압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9(a)을 살펴보면 플라이백 컨버터의 변압기의 턴수비를 1:4로 설계했음에 따라 1,2차측 전압이 각각 32.699[V], 130.798[V]가 인가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9(b)를 살펴보면 P&O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MPPT를 수행하였으며 정상적으로 최대전력에 해당하는 전압을 추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레그 절체 방안을 적용하기에 앞서 정상적으로 PV 패널의 제어가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10은 3-레그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의 단락사고 발생 전의 다양한 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10(a)를 살펴보면 단락사고가 발생 전임에 따라 정상적으로 C상의 IGBT 전류인 $I_{sw_{-}5}$, $I_{sw_{-}6}$가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I_{DC_{-}C}$의 전류는 흐르지 않고 있음에 따라 인버터가 3-레그로 동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그림 10(b)그림 10(c)는 각각 인버터가 계통으로 공급하는 3상 전압 및 3상 전류의 파형이며 인버터가 정상적인 전압과 전류를 계통에 공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1은 3-레그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 중 C상의 단락사고가 발생하여 레그 절체 방안 적용이 적용된 후의 다양한 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11(a)를 살펴보면 단락사고가 발생하여 $sw C_{-}b$를 동작시켰으며 C상의 IGBT 전류인 $I_{sw_{-}5}$, $I_{sw_{-}6}$가 차단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sw C_{-}a$를 동작시켜 $I_{DC_{-}C}$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그림 11(b)그림 11(c)는 각각 인버터가 계통으로 공급하는 3상 전압 및 3상 전류의 파형이며, 이때 인버터가 공급하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가 그림 10(b)그림 10(c)와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레그 절체 방안을 사용함으로써 IGBT 단락사고에 따른 전력 공급 중단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레그 절체 방안의 성능을 확실히 검증하고자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3-레그 방식으로 동작 중 C상의 단락사고가 발생했다는 가정하에 2-레그로 동작하는 인버터로 변환하는 모의실험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그림 12는 레그 절체 방안 적용에 따른 인버터 단락사고 발생 전후의 다양한 파형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C상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였으며 그림 12에서는 약 0.525[s]에서 C상의 단락을 발생시켰다.

그림 12(a)를 살펴보면 C상의 단락사고가 발생한 0.525[s]의 전후에 따라 $I_{sw_{-}5}$, $I_{sw_{-}6}$, $I_{DC_{-}C}$의 전류 흐름이 변화한 모습을 볼 수 있다. 0.525[s] 이전에는 $I_{sw_{-}5}$, $I_{sw_{-}6}$의 전류가 흘렀으며 단락사고가 발생한 0.525[s] 이후에는 오직 $I_{DC_{-}C}$의 전류만 흘렀다.

이에 반해 인버터가 생성한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인 그림 12(b)그림 12(c)를 살펴보면 0.525[s] 전후의 파형들이 모두 동일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PV 패널이 생성하는 전압 파형인 그림 12(d)도 지속적인 MPPT가 수행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레그 절체 방안으로 동작하는 인버터를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하나의 상에서 발생하는 단락사고의 전력 공급 중단을 회피하기에 충분한 성능을 낼 수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그림 8. 인버터 단락사고 발생시 레그 절체 방식의 성능 검증 모의 회로도

Fig. 8. Simulation circuit diagram for performance verification of leg transfer switch method in case of inverter short-circuit failure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8.png

그림 9.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정상 동작 확인을 위한 MPPT 구동 모의실험 결과 (a) 플라이백 컨버터 1,2차측 전압 파형 (b) PV 패널 생산 전압 파형

Fig. 9. MPPT operation simulation results to confirm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V generation system (a) Flyback converter primary and secondary voltage waveforms (b) PV panel production voltage waveforms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9.png

그림 10. 3-레그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의 단락사고 발생 전의 다양한 파형 (a) C상 전류 (b) 생성된 3상 전압 (c) 생성된 3상 전류

Fig. 10. Various waveforms before a short circuit fault of an inverter operating in a 3-leg method (a) C-phase current (b) generated 3-phase voltage (c) generated 3-phase current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10.png

그림 11. 인버터의 단락사고 발생 후 레그 절체 방안 적용에 따른 다양한 파형 (a) C상 전류 (b) 생성된 3상 전압 (c) 생성된 3상 전류

Fig. 11. Various waveform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leg transfer switch method after a short circuit fault of the inverter (a) C-phase current (b) generated 3-phase voltage (c) generated 3-phase current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11.png

그림 12. 레그 절체 방안 적용에 따른 인버터 단락사고 발생 전후의 다양한 파형 (a) C상 전류 (b) 생성된 3상 전압 (c) 생성된 3상 전류 (d) 생성된 3상 전류

Fig. 12. Various waveforms before and after an inverter short-circuit faul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leg transfer switch method (a) C-phase current (b) generated 3-phase voltage (c) generated 3-phase current (d) generated 3-phase current

../../Resources/kiee/KIEEP.2023.72.1.7/fig12.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인버터 단락사고 발생 대응을 위한 레그 절체 방안을 적용하고 그 성능을 검증한다. 레그 절체 방안을 검증하기에 앞서 인버터의 대표적인 동작 방식인 3-레그 방식과 2-레그 방식의 토폴로지와 제어 방식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락사고의 파급 효과를 줄일 수 있는 레그 절체 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이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MPPT 제어 기법을 적용한 상태에서 3-레그 방식과 2-레그 방식으로 절체하는 레그 절체 방안의 모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C상의 단락사고가 발생한 전후에서 측정된 계통에 공급하는 3상 전압 및 3상 전류의 파형이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즉, 레그 절체 방안을 사용함으로써 IGBT 단락사고에 따른 전력 공급 중단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인버터 단락사고 발생시 레그 절체 방식을 적용할 경우 단락사고에 따른 전력 공급 중단의 손실을 최소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214000000060) and was supported by Gachon University research fund of 2021.(GCU-2020084500008).

References

1 
E. Romero-Cadaval, B. Francois, M. Malinowski and Q. -C. Zhong, “Grid-Connected Photovoltaic Plant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Replacing Conventional Sources,” IEEE Industrial Electronics Magazine, vol. 9, no. 1, pp. 18-32, 2015.DOI
2 
M. A. Elgendy, B. Zahawi and D. J. Atkinson,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P&O Algorithm at High Perturbation Frequencies for Standalone PV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Energy Conversion, vol. 30, no. 1, pp. 189-198, 2015.DOI
3 
K. S. Tey and S. Mekhilef, “Modified Incremental Conductance Algorithm for Photovoltaic System Under Partial Shading Conditions and Load Variatio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1, no. 10, pp. 5384-5392, 2014.DOI
4 
Q. Jiang, Y. Gong and H. Wang, “A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dual-layer control strategy for mitigating wind farm fluctuations,” IEEE PES General Meeting | Conference & Exposition, pp. 1-1, 2014.DOI
5 
K. G. Jayanth, V. Boddapati and R. S. Geeth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ree-leg and four-leg current-source inverter for solar PV appli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Instrumentation, Control and Computing, pp. 1-6, 2018.DOI
6 
K. Kaenthong, V. Tipsuwanporn, A. Numsomran and A. Charean, “Asymmetrical two-phase induction motor speed controlled with 3-leg voltage source inverte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Technology, pp. 640-645, 2015.DOI
7 
S. S. Wekhande, B. N. Chaudhari, S. V. Dhopte and R. K. Sharma, “A low cost inverter drive for 2-phase induction motor,”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and Drive Systems, vol. 1, pp. 428-431, 1999.DOI
8 
Do-Hyun Jang and Duck-Yong Yoon, “Space vector PWM technique for two-phase inverter-fed single-phase induction motors,” IEEE Industry Applications Conference, vol. 1, pp. 47-53, 1999.DOI

저자소개

최종용 (Jong-yong Choi)
../../Resources/kiee/KIEEP.2023.72.1.7/au1.png

He is pursuing his M.S.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sion and Power control. E-mail : cjy5730@gachon.ac.kr

이현재 (Hyun-jae Lee)
../../Resources/kiee/KIEEP.2023.72.1.7/au2.png

He received his M.S.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 Do, Korea. currently he is pursuing his Ph. D.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 Do,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sion and Power control. E-mail : lhj501@gachon.ac.kr

손진근 (Jin-geun Shon)
../../Resources/kiee/KIEEP.2023.72.1.7/au3.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 D, degrees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in 1990, 1992 and 1997. He was Chief Researcher in Electro- Mechanical Research Institute,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Gyeonggi-do, Korea, during 1992-1995. He was a Postdoctoral Researche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Kagoshima University, from 2002 to 2003. He was also a Visiting Scholar in the Power Electronics Laboratory, Michigan State University, from 2009 to 2010.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the power conversion, control and diagnosis of power utility. E-mail : shon@gach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