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단락사고 대응을 위한 레그 절체 방안의 적용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레그 절체 방식은 3-레그 방식으로 구동하는 인버터에서 하나의 레그에 해당하는 IGBT에 단락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레그를 절체하여
2-레그 방식으로 인버터 구동 방식을 변환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그림 6은 레그 절체 방식이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회로도를 보여준다. 여기서 레그 절체 방식은 오직 태양광 발전 시스템 중 인버터에만 적용되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회로도는 그림 7과 같다.
그림 7은 레그 절체 방식이 적용된 인버터의 세부 회로도를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IGBT의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메인 회로와 분리될 수 있는 회로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sw A_{-}b$, $sw B_{-}b$, $sw C_{-}b$를 각 IGBT에 위치시켜 단락사고가 발생된 레그가 메인 회로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스위치는 b접점의 특성을 갖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평소에는 언제나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단락사고가 발생된 레그에도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회로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따라 그림 7과 같이 $sw A_{-}a$, $sw B_{-}a$, $sw C_{-}a$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DC Link 캐패시터 중성점과 각각 연결시킨다.
이 때 사용된 스위치는 a접점의 특성을 갖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평소에는 전류가 흐를 수 없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오직 C상에 위치해있는 IGBT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C상에 위치해있는 IGBT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한다면
$sw C_{-}b$가 open되어 C상의 IGBT가 메인회로가 분리되며 $sw C_{-}a$가 close되어 C상의 계통회로가 DC Link의 중성점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동작된다.
그림 6. 레그 절체 방식이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회로도
Fig. 6. Overall circuit diagram of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leg transfer
switch method
그림 7. 레그 절체 방식이 적용된 인버터의 세부 회로도
Fig. 7. Inverter detailed circuit diagram applying leg transfer switch method
3.1 단락사고 대응을 위한 레그 절체 방안의 성능 검증
레그 절체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모의실험에 사용된 회로는 그림 8과 같이 제안하는 인버터 회로도를 사용하였으며 태양광 패널과 플라이백 컨버터 및 인버터의 파라미터는 다음 표 1과 같이 설정하였다.
표 1 모의실험에 사용된 다양한 파라미터
Table 1 Summary of the various parameters used in the simulations
Parameter
|
Value
|
Units
|
Parameter
|
Value
|
Units
|
$P_{\max}$
|
320
|
$[W]$
|
$V_{\max}$
|
33.75
|
$[V]$
|
$I_{\max}$
|
9.5
|
$[A]$
|
Insolation
|
1000
|
$[W/m^{2}]$
|
$v_{1}:v_{2}$
|
1:4
|
|
Frequency
|
20
|
$[k Hz]$
|
Solar_Capacitor
|
1000
|
$[\mu F]$
|
$L_{M}$
|
300
|
$[m H]$
|
Inductor
|
10
|
$[m H]$
|
Capacitor
|
100
|
$[\mu F]$
|
Resistor
|
10
|
$[\omega]$
|
DC_Link Capacitor
|
4700
|
$[\mu F]$
|
그림 9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정상 동작 확인을 위한 MPPT 구동 모의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여기서 그림 9(a)는 플라이백 컨버터 1,2차측 전압 파형을 나타내며 그림 9(b)는 MPPT 수행에 따른 PV 패널 생산 전압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9(a)을 살펴보면 플라이백 컨버터의 변압기의 턴수비를 1:4로 설계했음에 따라 1,2차측 전압이 각각 32.699[V], 130.798[V]가 인가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9(b)를 살펴보면 P&O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MPPT를 수행하였으며 정상적으로 최대전력에 해당하는 전압을 추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레그 절체 방안을 적용하기에 앞서 정상적으로 PV 패널의 제어가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10은 3-레그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의 단락사고 발생 전의 다양한 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10(a)를 살펴보면 단락사고가 발생 전임에 따라 정상적으로 C상의 IGBT 전류인 $I_{sw_{-}5}$, $I_{sw_{-}6}$가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I_{DC_{-}C}$의 전류는 흐르지 않고 있음에 따라 인버터가 3-레그로 동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그림 10(b)와 그림 10(c)는 각각 인버터가 계통으로 공급하는 3상 전압 및 3상 전류의 파형이며 인버터가 정상적인 전압과 전류를 계통에 공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1은 3-레그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 중 C상의 단락사고가 발생하여 레그 절체 방안 적용이 적용된 후의 다양한 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서 그림 11(a)를 살펴보면 단락사고가 발생하여 $sw C_{-}b$를 동작시켰으며 C상의 IGBT 전류인 $I_{sw_{-}5}$, $I_{sw_{-}6}$가 차단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sw C_{-}a$를 동작시켜 $I_{DC_{-}C}$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그림 11(b)와 그림 11(c)는 각각 인버터가 계통으로 공급하는 3상 전압 및 3상 전류의 파형이며, 이때 인버터가 공급하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가 그림 10(b)와 그림 10(c)와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레그 절체 방안을 사용함으로써 IGBT 단락사고에 따른 전력 공급 중단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레그 절체 방안의 성능을 확실히 검증하고자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3-레그 방식으로 동작 중 C상의 단락사고가 발생했다는 가정하에 2-레그로
동작하는 인버터로 변환하는 모의실험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그림 12는 레그 절체 방안 적용에 따른 인버터 단락사고 발생 전후의 다양한 파형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C상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였으며 그림 12에서는 약 0.525[s]에서 C상의 단락을 발생시켰다.
그림 12(a)를 살펴보면 C상의 단락사고가 발생한 0.525[s]의 전후에 따라 $I_{sw_{-}5}$, $I_{sw_{-}6}$, $I_{DC_{-}C}$의
전류 흐름이 변화한 모습을 볼 수 있다. 0.525[s] 이전에는 $I_{sw_{-}5}$, $I_{sw_{-}6}$의 전류가 흘렀으며 단락사고가
발생한 0.525[s] 이후에는 오직 $I_{DC_{-}C}$의 전류만 흘렀다.
이에 반해 인버터가 생성한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인 그림 12(b)와 그림 12(c)를 살펴보면 0.525[s] 전후의 파형들이 모두 동일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PV 패널이 생성하는 전압 파형인 그림 12(d)도 지속적인 MPPT가 수행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레그 절체 방안으로 동작하는 인버터를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하나의 상에서 발생하는 단락사고의 전력 공급 중단을 회피하기에 충분한
성능을 낼 수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그림 8. 인버터 단락사고 발생시 레그 절체 방식의 성능 검증 모의 회로도
Fig. 8. Simulation circuit diagram for performance verification of leg transfer switch
method in case of inverter short-circuit failure
그림 9.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정상 동작 확인을 위한 MPPT 구동 모의실험 결과 (a) 플라이백 컨버터 1,2차측 전압 파형 (b) PV 패널
생산 전압 파형
Fig. 9. MPPT operation simulation results to confirm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V
generation system (a) Flyback converter primary and secondary voltage waveforms (b)
PV panel production voltage waveforms
그림 10. 3-레그 방식으로 동작하는 인버터의 단락사고 발생 전의 다양한 파형 (a) C상 전류 (b) 생성된 3상 전압 (c) 생성된 3상 전류
Fig. 10. Various waveforms before a short circuit fault of an inverter operating in
a 3-leg method (a) C-phase current (b) generated 3-phase voltage (c) generated 3-phase
current
그림 11. 인버터의 단락사고 발생 후 레그 절체 방안 적용에 따른 다양한 파형 (a) C상 전류 (b) 생성된 3상 전압 (c) 생성된 3상 전류
Fig. 11. Various waveform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leg transfer switch
method after a short circuit fault of the inverter (a) C-phase current (b) generated
3-phase voltage (c) generated 3-phase current
그림 12. 레그 절체 방안 적용에 따른 인버터 단락사고 발생 전후의 다양한 파형 (a) C상 전류 (b) 생성된 3상 전압 (c) 생성된 3상 전류
(d) 생성된 3상 전류
Fig. 12. Various waveforms before and after an inverter short-circuit faul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leg transfer switch method (a) C-phase current (b) generated
3-phase voltage (c) generated 3-phase current (d) generated 3-phase 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