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Youngsan University, Korea.)
  2. (Energy R&D team, ENlighten Co., Ltd, Korea.)



Voltage Management, Smart Charging, Electric Vehicle, Distribution System Operator

1. 서 론

세계적으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증가와 함께 효율적인 전력계통 통합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1]-[3]. 분산자원의 지능적인 생산과 소비 그리고 저장은 전력산업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지만, 전력계통 통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계통의 신뢰성 및 안정성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4]-[6].

분산자원은 수요지 인근에 소규모 형태로 배전계통에 연계되어 있으며, 분산자원 소유자는 배전계통의 안정성과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이익 극대화를 위해 운영 한다[7], [8]. 이러한 운영방식은 배전계통의 혼잡, 과전압과 같은 안정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배전계통운영자(DSO: Distribution system operator)와 분산자원 운영자 또는 가상발전소와 같은 집단에너지사업자 간의 협조 운영방식이 채택되고 있다[7]-[10].

기존의 협조운영과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배전제약 기반 운영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배전제약은 DSO와 분산자원 운영자 간의 정보교환을 기반으로 산출되며, 사전에 특정 지역 자원의 출력을 제한함으로써 배전계통의 안정도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7]-[10]. 출력제한은 배전계통의 분산자원 수용성을 제한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발전 에너지의 낭비를 의미 한다[11]. 이러한 문제는 에너지저장장치 또는 가상발전소와 같은 집단에너지 사업자의 유연성을 통해 관리될 수 있지만, 최적으로 계획되었던 초기 운영 스케줄의 조정 및 발전량 제어로 인해 경제적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7], [8]. 따라서 출력제한에 따른 분산자원 운영의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계통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계통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협조 운영 환경에서 수요측 유연성 자원인 전기차 충전소(EVCS: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의 충전 부하 조정을 통한 배전계통 관리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론에서, 분산자원의 과잉 출력으로 인한 배전계통의 과전압이 예상될 경우 DSO는 +DR(Demand response)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충전소 사업자로부터 출력제한과 동일한 효과의 용량을 확보한다. 전기차 충전소 사업자는 스마트 충전을 기반으로 충전 부하를 조정을 통해 +DR 용량을 확보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 +DR 용량 계산을 위해 AC OPF(Optimal power flow)를 채택하며, 충전소의 +DR 대응을 위한 선형화 기반 스마트 충전 알고리즘이 제안된다. 제안된 방법론은 IEEE 15 Bus system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한다.

2. DSO와 전기차 충전소의 협조운영 메커니즘

협조 운영 메커니즘에서, DSO는 분산자원의 출력에 따른 배전계통 과전압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DR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여기서 +DR 프로그램은 배전계통의 과도한 분산자원 출력으로 인한 과전압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측 유연성 자원의 전력 조정을 통한 배전계통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식을 말한다. 수요측 자원인 충전소 사업자는 본래 목적인 충전서비스 제공과 함께 +DR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수익 극대화를 목표로 운영한다. 본 연구에서 전기차 충전소는 급속 충전소를 대상으로 하며, 스마트 충전이 가능한 V1G를 고려한다. V1G는 단방향 충전 제어를 의미하며, 전기차의 충전 속도 제어를 통해 전력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림 1은 제안하는 메커니즘의 개념을 보여준다.

그림 1. 스마트 충전 기반 전압관리 메커니즘 개념

Fig. 1. Smart charging-based voltage management methodology concept

../../Resources/kiee/KIEEP.2023.72.1.19/fig1.png

그림 2는 시간 흐름에 따른 메커니즘 동작을 보여주며, 주요 운영 흐름은 다음과 같다.

① DSO는 배전계통 내 부하 예측 정보와 분산자원 출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전검증을 수행하여 전압 위반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DR 대상 충전소의 충전전력 예측 정보를 제공받거나 CBL(Customer base line)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② 사전검증 수행결과, 과전압 문제가 예상될 경우 충전소 사업자에게 +DR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DR 신호는 감축 시간, 감축 용량, 그리고 보상가격이 포함된다.

③ 충전소 사업자는 +DR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참여 여부를 결정하며, 참여시 DSO가 이용 가능한 용량을 제공한다.

④ 만약 충전소 사업자가 전압관리에 필요 용량을 제공할 수 없을 경우, DSO는 출력제한을 통해 배전계통 전압을 관리한다.

⑤ 실시간 운영 후 +DR 프로그램 결과에 따른 정산을 수행한다.

그림 2. 협조 운영 메커니즘 흐름 차트

Fig. 2. Time flow for cooperative operation mechanism

../../Resources/kiee/KIEEP.2023.72.1.19/fig2.png

3. 수학적 정식화

3.1 최적 +DR 용량 결정 모델

배전계통에 전압 문제가 발생할 경우, DSO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DR 프로그램 용량 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C OPF (Optimal power flow)를 기반으로 +DR 용량을 결정하며, 배전계통의 방사형 특성을 고려하여 Dist flow를 기반으로 모델링 하였다.

(1)은 목적함수를 나타내며, DSO의 운영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DR 용량 ($P_{j}^{DR}$)과 보상비용으로 나타낼 수 있다.

(1)
$\min\sum_{j\in D}P_{j}^{DR}C_{j}$

여기서, $P_{j}^{DR}$은 DR 자원, D는 DR 자원 집합 그리고 $C_{j}$는 보상비용이다.

(2)(3)은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흐름 제약, 식 (4)는 전압에 대한 제약조건을 나타낸다. AC OPF는 2차 등식제약으로 인해 비볼록 비선형 문제이며, (5)와 같이 2차 원뿔형프로그램(Second order con programming)의 형태로 비선형 항의 볼록 이완이 가능하다 [12],[13]. 식 (6)(7)은 각각 선로 열 제약 및 전압 제약조건을 나타내며, 식 (8)는 DR 자원의 출력 제한 조건을 나타낸다.

(2)
$ P_{i,\: j}=(P_{j}^{L}-P_{j}^{DG}+P_{j}^{DR})\\ +r_{i,\: j}I_{i,\: j}+\sum_{k\in N}P_{j,\: k},\: \forall i,\: j\in N $
(3)
$ Q_{i,\: j}=(Q_{j}^{L}-Q_{j}^{DG}+Q_{j}^{DR})\\ +x_{i,\: j}I_{i,\: j}+\sum_{k\in N}Q_{j,\: k},\: \forall i,\: j\in N $
(4)
$ V_{j}=V_{i}+(r_{i,\: j}^{2}+x_{i,\: j}^{2})I_{i,\: j}\\ -2(r_{i,\: j}P_{i,\: j}+x_{i,\: j}Q_{i,\: j}),\: \forall i,\: j\in N $
(5)
$I_{i,\: j}\le\dfrac{P_{i,\: j}^{2}+Q_{i,\: j}^{2}}{V_{j}},\: \forall i,\: j\in N$
(6)
$P_{i,\: j}^{2}+Q_{i,\: j}^{2}\le S_{\max}^{2},\: \forall i,\: j\in N$
(7)
$V_{\min}^{2}\le V_{i}\le V_{\max}^{2},\: \forall i\in N$
(8)
$P_{j}^{\min}\le P_{j}^{DR}\le P_{j}^{\max},\: j\in D$

여기서, N은 Bus 집합, $P_{i,\: j}$와 $Q_{i,\: j}$은 라인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P_{j}^{L}$, $P_{j}^{DG}$, $P_{j}^{DR}$은 각각 부하, 분산자원 및 +DR 자원 출력을 나타낸다. $V_{j}$는 전압, $r_{i,\: j}$과 $x_{i,\: j}$는 저항과 리액턴스, $V_{\min}$과 $V_{\max}$는 배전계통의 최소전압과 최대전압, 그리고 $P_{j}^{\min}$과 $P_{j}^{\max}$는 +DR 자원의 최소 출력과 최대 출력을 나타낸다.

3.2 최적 스마트 충전 모델

충전소 사업자는 충전서비스 제공과 함께 +DR 참여에 따른 이익 극대화를 목적으로 운영하며 식 (9)는 목적함수를 나타낸다.

(9)
$\max\sum_{t\in T}\sum_{e\in E}E_{t,\: e}^{c}\pi_{t}^{c}+P^{DR}\pi_{t}^{DR}$
(10)
$P_{t}^{DR}=P_{t}^{c}-P_{t}^{B},\: \forall t\in T^{DR}$

여기서, $t$는 시간, $T$는 운영시간 집합, $e$는 전기차, $E$는 전기차 집합, $E_{j}^{c}$는 충전소의 전력소비량(kWh), $\pi_{t}^{c}$은 충전가격, $\pi_{t}^{dr}$은 DR 참여에 따른 보상가격을 나타낸다. +DR 용량은 충전 전력($P_{t}^{c}$)과 CBL 또는 충전계획 용량의 차로 나타낼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전력은 충전기 용량 이내로 공급 가능하며, 총 충전 전력은 충전소의 최대 용량을 넘을 수 없다. 충전소 사업자는 +DR 참여시 정해진 용량을 만족해야 한다. 물리적으로 충전기 당 한 대의 전기차만을 충전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전기차 충전의 연속성은 $(u_{t-1,\: e}^{e}-CN_{e})(u_{t-1,\: e}^{e}-u_{t,\: e}^{e})\ge 0$ 를 이용하여 선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충전소 사업자는 전기차 사용자가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을 만족해야 하며, 주요 스마트 충전 제약은 식 (10)-(18)로 나타낼 수 있다.

(11)
$u_{t,\: e}^{e}P^{\min}\le P_{t,\: e}^{c}\le u_{t,\: e}^{e}P^{\max},\: \forall t\in T,\: e\in EV$
(12)
$\sum_{e=EV}P_{t,\: e}^{c}\le S^{c},\: \forall t\in T$
(13)
$\sum_{e=EV}P_{t,\: e}^{c}=P_{t}^{CDR},\: \forall t\in T^{DR}$
(14)
$\sum_{e=EV}u_{t,\: e}^{e}\le N^{ch},\: \forall t\in T$
(15)
$\sum_{t=Te}u_{t,\: e}^{e}\le CN_{e},\: \forall e\in EV$
(16)
$\sum_{n=1}^{t}\epsilon P_{t,\: e}^{c}=E_{t,\: e}^{c},\: \forall t\in T,\: e\in EV$
(17)
$E_{t,\: e}^{c}\ge u_{t,\: e}^{dm}P_{e}^{dm},\: \forall t\in T,\: e\in EV$
(18)
$\sum_{t=t_{e}^{a}}^{t_{e}^{l}}u_{t,\: e}^{dm}=1,\: \forall t\in T,\: e\in EV$

여기서, $u_{t,\: e}^{e}$는 전기차와 충전기의 물리적 결합을 나타내는 이진 변수, $P^{\min}$와 $P^{\max}$는 최소 및 최대 충전 가능 전력, $S^{c}$는 충전소 용량, $P_{t}^{CDR}$은 +DR을 고려한 충전소 목표 전력, $N^{ch}$는 충전기 수, $CN_{e}$는 전기차의 최대 충전소 대기 가능 시간, $\epsilon$은 kW에서 kWh로의 단위변환 변수, $P_{e}^{dm}$는 전기차의 충전수요, $t_{e}^{l}$와 $t_{e}^{a}$는 전기차의 충전소 도착 및 떠나는 시간을 나타낸다.

충전에 따른 시간 $t$의 전기차 배터리 SOC (State of charge)는 식 (19)로 나타낼 수 있으며, (20)은 SOC 제약을 나타낸다.

(19)
$SOC_{t,\: e}^{il}+\sum_{n=1}^{t}E_{t,\: e}^{c}\eta\le SOC_{t,\: e},\: \forall t\in T,\: e\in EV$
(20)
$SOC_{t,\: e}\le SOC_{e}^{tg},\: \forall t\in T,\: e\in EV$

여기서, $SOC_{t,\: e}$는 SOC 상태, $SOC_{t,\: e}^{il}$와 $SOC_{t,\: e}^{tg}$는 각각 초기 및 목표 SOC, 그리고 $\eta$는 충전효율 나타낸다.

4. 사례 연구

4.1 사례 연구 설정

사례연구는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가상발전소와 급속 충전소가 존재하는 IEEE 15 bus system을 대상으로 하며, 주요 구성은 그림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발전소는 하루전시장 참여를 가정하며, 세부적인 정식화 모델은 [7]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배전계통의 전압관리 범위는 0.95-1.05 PU로 설정하였으며, 1.05 PU를 초과할 경우 DSO는 +DR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DR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보상금액은 2021년 특정일의 SMP로 가정하였다. 전기차 충전소는 100 kW 급속 충전기 10대를 보유함을 가정하여 1 MW로 설정하였다. 전기차의 배터리 용량은 60 kWh, 충전 목표 용량은 48 kwh (80%)로 가정하였으며, 초기 SOC(State of charge)는 5-50%로 설정하였다. 전기차 소유자가 +DR 서비스 제공을 위해 충전소에 대기할 수 있는 시간은 0-30분으로 설정하였으며, 그림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P_{t}^{B}$는 +DR 운영 전 충전계획을 적용하여 +DR 운영 전과 후의 기술적 효과를 비교하며, 동일한 보상금액을 기반으로 출력제한을 수행하는 가상발전소와의 경제적 비교를 진행한다.

그림 3. 테스트 배전계통 설정

Fig. 3. Test distribution system setting

../../Resources/kiee/KIEEP.2023.72.1.19/fig3.png

그림 4. 전기차 충전/대기 가능 시간 및 SOC 설정

Fig. 4. Setting for EV charging/staying time and SOC

../../Resources/kiee/KIEEP.2023.72.1.19/fig4.png

4.2 사례 연구 결과 및 분석

그림 5는 DSO의 사전검증 결과를 보여주며, 12:00에 14번과 15번 노드에서 1.06과 1.054 PU로 과전압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SO는 +DR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OPF를 통해 결정된 +DR 용량은 337 kW로 나타났다.

과전압 발생이 예상되었던 14번과 15번 노드의 경우, +DR 운영에 따른 전기차 충전 부하 조정에 의해 전압관리 목표 범위인 1.05 PU 이내로 조정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제안된 협조 운영 방법론의 기술적인 효과를 보여준다. 그림 6은 +DR 운영 전과 후 배전계통 전압 트렌드를 보여주며, +DR 운영에 따라 모든 노드의 전압이 목표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은 +DR 운영 전과 후 충전소의 스마트 충전 결과를 보여준다. 스마트 충전을 통해 +DR 운영시간 동안 337 kW의 용량이 증가 되었으며, 목표한 +DR 용량을 만족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 사전검증 결과 (배전계통 전압 트렌드)

Fig. 5. Pre-qualification result(Voltage trend)

../../Resources/kiee/KIEEP.2023.72.1.19/fig5.png

그림 6. +DR 운영 전과 후 배전계통 전압 트렌드

Fig. 6. Distribution system voltage trend with and without +DR operation

../../Resources/kiee/KIEEP.2023.72.1.19/fig6.png

그림 7. +DR 운영 전과 후 충전소 소비 전력

Fig. 7. Consumption power for charging station with and without +DR operation

../../Resources/kiee/KIEEP.2023.72.1.19/fig7.png

그림 8과 9는 전기차의 세부 스케줄 결과 및 충전 전력을 보여주며, 붉은색 박스(12:00-13:00)는 +DR 운영시간을 나타낸다. +DR을 운영하지 않는 일반상황의 경우, 12:00-13:00에 19대의 전기차가 입차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충전되었으며, 세부적인 충전 스케줄은 그림 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충전소 사업자가 +DR에 참여한 경우, 스마트 충전에 따라 충전소 대기 가능 시간 내에서 전기차의 충전 스케줄이 변경되었으며, 총 26대의 전기차가 +DR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DR 운영에 따른 전기차의 세부 충전 스케줄 결과는 그림 9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DR에 참여한 모든 전기차들은 목표로 하는 배터리 충전용량을 만족하였으며, 각 전기차의 시간대별 SOC 상태는 그림 10에서 확인할 수 있다.

+DR 운영시 DSO의 보상비용은 총 35,209원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충전소 사업자는 충전서비스 제공에 따른 수익 159,852원 대비 약 22%의 수익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동일한 DSO의 보상조건에서 출력제한을 수행하는 가상발전소의 경우, 하루전시장 참여에 따른 수익 178,787원 대비 약 18%가 감소한 145,718원으로 나타났다. 해당 손실은 출력제한으로 인해 최적으로 계획되었던 초기 운영 스케줄이 조정됨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운영비용이 발생하는 자원의 추가 투입으로 인한 것이다. 해당 결과는 DSO의 추가적인 보상비용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DR 운영이 경제적인 관점에서 DSO와 공급 및 수요측 자원 모두에게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출력제한이 완화된 만큼 잠재적인 발전 에너지의 낭비를 줄이고 계통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림 8. +DR 운영 전 전기차의 충전 스케줄 결과 (kW)

Fig. 8. EV charging schedule without +DR operation (kW)

../../Resources/kiee/KIEEP.2023.72.1.19/fig8.png

그림 9. +DR 운영시 전기차의 충전 스케줄 결과 (kW)

Fig. 9. EV charging schedule with +DR operation(kW)

../../Resources/kiee/KIEEP.2023.72.1.19/fig9.png

그림 10. +DR 운영시 시간대 별 전기차 배터리 SOC(kWh)

Fig. 10. EV battery SOC(kWh) according to the time (with +DR operation)

../../Resources/kiee/KIEEP.2023.72.1.19/fig10.png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협조 운영 환경에서 수요측 유연성 자원인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부하 조정을 통한 배전계통 전압 관리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제안하는 관리 방법론은 전기차 충전수요를 만족하면서 배전계통 과전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출력제한 방식 대비 비용 효율적임을 보였다. 전기차 보급 증가에 따라 충전기 또는 충전소의 설치 역시 증가가 예상되는 점을 고려할 때, 스마트 충전을 지원하는 수요측 유연성 자원이 과전압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출력제한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분산자원 및 가상발전소 구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다양한 자원 구성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계통 환경과 자원 상황에 따라 충전소와 같은 수요측 유연성 자원과 출력제한 방식의 적절한 협조 제어가 필요하며, 이를 고려한 운영 방법 및 적정 보상비용 산정은 향후 연구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 (No. NRF-2021R1F1A1063562) and ENlighten.

References

1 
J. Lian, Y. Zhang, C. Ma, Y. Yang, E. Chaima, “A review on recent sizing methodologies of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199, p. 112027, 2019.DOI
2 
Global energy review 2020: The impact of the Covid-19 crisis on global energy demand and CO2 emissions, Accessed on, 2020.URL
3 
J. Shi, L. Ma, C. Liu, J. Zhang, “A comprehensive review of standards for distributed energy resource grid-integration and microgrid,”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70, p. 112957, 2022.DOI
4 
Y. Wang, S. Lou, Y. Wu, S. Wang, “Flexible operation of retrofitted coal-fired power plants to reduce wind curtailment considering thermal energy storage,” IEEE Trans Power Syst., vol. 35 no. 2, pp. 1178-1187, 2020.DOI
5 
L. Strezoski, I. Stefani and B. Brbaklic, “Active management of distribution systems with high penetration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Proceedings of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Technologies, 2019.DOI
6 
S. Panda et al., “An Insight into the Integration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with Smart Distribution Networks Using Demand-Side Management,” Applied sciences, vol. 12, no. 17, p. 8914, 2022.DOI
7 
S.W. Park, S.Y. Son, “Interaction-based virtual power plant operation methodology for distribution system operator’s voltage management,” Applied Energy, vol. 261, p. 115222, 2020.DOI
8 
S.Y. Park, S.W. Park, S.Y. Son, “Optimal VPP Operation Considering Network Constraint Uncertainty of DSO,” IEEE Access, vol. 11, pp. 8523-8530, 2023.DOI
9 
J. Hu, H. Morais, T. Sousa, S. You and R. D’hulst, “Integration of electric vehicles into the power distribution network with a modified capacity allocation mechanism,” Energies, vol. 10, no. 2, pp. 200, Feb. 2017.DOI
10 
H. S. Moon, Y. G. Jin, Y. T. Yoon and S. W. Kim, “Prequalification scheme of a distribution system operator for supporting wholesale market participation of a distributed energy resource aggregator,” IEEE Access, vol. 9, pp. 80434-80450, 2021.DOI
11 
S.W. Park, K.S. Cho, G. Hoefter, S.Y. Son,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using location-based incentives for reducing renewable energy curtailment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system,” Applied Energy, vol. 305, p. 117680, 2022.DOI
12 
L. Bai, J. Wang, C. Wang, C. Chen, F. Li, “Distribution Locational Marginal Pricing (DLMP) for Congestion Management and Voltage Support,” IEEE Trans Power Syst., vol. 33, no. 4, pp. 4061-4073, 2017.DOI
13 
Mohssen Hosseini, Roberto Meattini, Gianluca Palli and Claudio Melchiorri, “An iterative linear DistFLow for dynamic optimization in distributed generation planning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138, p. 107936, 2022.DOI

저자소개

박성원 (Sung-Won Park)
../../Resources/kiee/KIEEP.2023.72.1.19/au1.png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from Gachon University, Korea, in 2011 and 2013,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Gachon University in 2018. From 2018 to 2020, he was a research professor at Gachon University. He was a visiting scholar at the Centre for Sustainable Power Distribution, University of Bath (UK) in, 2018 and 2019.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Youngsan University,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virtual power plant, distribution system operators, digital-twin, and vehicle-to-grid. E-mail: swpark@ysu.ac.kr

백승환 (Seunghwan Baek)
../../Resources/kiee/KIEEP.2023.72.1.19/au2.png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from Inje University, Korea, in 2006 and 2009,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the Inje University in 2014. He founded a company 'maxton' which deals with automation system and customized robot system in 2015 and ran it until 2019. He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Youngsan University, Korea from 2019 to now. His research areas are system integration and control methods for robot, automotive, and factory automation. E-mail: shbaek@ysu.ac.kr

박대현 (Daehyun Park)
../../Resources/kiee/KIEEP.2023.72.1.19/au3.png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nkuk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13, an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Konkuk University in 2019. From 2019 to 2020, he was a Post Ph.D at Konkuk University. He is currently an Energy R&D team leader in ENlighten Co., Ltd,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energy market, virtual power plant, sector coupling and demand response. E-mail: daehyun.park@enlighte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