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ROTEC CO.,LTD, Changwon-si 51395, South Korea.)
  2. (Dep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3.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yeongsnag National University, korea.)



Multi-axis control, spherical motor, induction motor, holding torque, vibration reduction

1. 서 론

본 논문은 저자의 학위논문의 내용을 일부 사용했습니다[1].

4차 산업 혁명으로 무인 운송 수단, 빅데이터, 자율주행기술 등 4차 산업기술이 탑재된 자율주행 트랙션용 로봇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다. 2019년 연구개발특구진흥 재단에서 발표한 자료에서 전 세계적으로 배송 로봇 시장 성장률은 최소 16.93% 증가할 것이며, 최대 23.72%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중 배송 로봇에 탑재되는 4륜 차량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4륜, 6륜 차량의 성장률도 27.1%, 13.28% 증가할 것이라 예상이 된다[2].

기존 차량에 탑재되는 1자유도 구동 방식의 전동기를 대신할 다자유도 구동 방식의 스페리컬(Spheric shape) 전동기는 이동 방향으로 전진과 동시에 스테핑을 통한 조향이 가능하기에 단일 모터로 넓은 조향 범위를 가진다[3]. 현재까지의 3자유도 구동을 위한 스페리컬 모터 컨셉구조 연구는 기계적인 축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와 기계적 축이 없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제안되고 있다[4-7]. 또한 동기형과 유도형 타입이 연구되고 있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다자유도 구형 전동기는 축이 없는 구조로 회전자가 노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무부하 시에 고유 자력이 존재하지 않는 유도형 회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기계적 축이 없이 동력을 전달하는 스페리컬 전동기는 외부 충격에 의한 외란 요소에 취약하며, 구동 시 조향각을 유지하기 위한 정밀 제어가 필요하다[8].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향 안정성을 보완하고자 기계적 축이 없는 유도형 구형 회전자에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조향 보조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조향 보조를 위해 필요한 안정적인 틸팅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본 논문의 스페리컬 전동기는 8개의 고정자 편(stator pol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6개의 고정자를 통해 회전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남은 2개의 고정자는 조향 시를 제외하고는 동작하지 않는다. 남은 2개의 고정자를 전자석으로 사용하여 조향 보조 구간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조향력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음을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2. 다자유도 구형 전동기 기본 구조

다자유도 스페리컬 전동기는 Table 1의 사양을 만족시키고 있다. Fig. 1과 같이 회전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는 고정자는 회전자를 기준으로 45[deg] 간격으로 8개가 배치된다. 회전자계의 공간 고조파 저감을 위해 24개의 슬롯을 Fig. 2와 같이 구성하고, 1쌍의 고정자의 마주 보는 권선을 기준으로 120[deg] 위상차를 가지는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회전자계를 발생 시킬 수 있다. 회전자는 Fig. 1과 같이 회전자 표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밴드 모양의 알루미늄으로 구성하고 알루미늄 표면 아래는 자성체 그리고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다. 알루미늄은 회전자계에 반응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회전력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유도전동기는 회전자 도체바 또는 권선으로 구성되지만 스페리컬 전동기는 구조 특성상 면 도체로 구성이 되는 것이 특징이며, 표면아래 자성체와 절연체는 두어 백요크로서의 역할과 와전류 집중을 위한 회전자의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표 1 다자유도 구형 전동기 모델 사양

Table 1 Multiple degrees of freedom spherical motor model specifications

Category

Unit

Value

고정자 외경(외경/내경)

mm

200/152

고정자폭

mm

13

회전자 직경(외경/내경)

mm

150/142

회전자 폭

mm

60

회전자 상당 턴 수

-

20

인가 전압

V

36

전압 주파수

Hz

100

구동속도

r/min

500

토크

Nm

2.12

출력

W

111

그림 1. 다자유도 구형 전동기 모델 구조

Fig. 1. Structure of multi-degree-of-freedom spherical motor model

../../Resources/kiee/KIEEP.2023.72.1.31/fig1.png

그림 2. 다자유도 구형 전동기 모델의 고정자 권선 배치

Fig. 2. stator winding arrangement of the multi-degree-of-freedom spherical motor model

../../Resources/kiee/KIEEP.2023.72.1.31/fig2.png

3. 조향 안정성 개선을 위한 회전자 구조

본 논문에서의 다자유도 스페리컬 전동기의 기본형상은 회전자의 기계적 축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이며, 구조 특성상 외부 충격과 같은 외란 요소에 의해 구동 시 조향하는 경우 흔들리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구자석을 이용해 홀딩 토크를 발생시키는 구조를 제안하여 조향력 안정성을 높이고자 한다. 홀딩 토크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변수는 영구자석의 위치, 재질, 너비, 두께와 고정자의 전류, 권선 형상 및 피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차적인 변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영구자석의 위치, 너비에 따른 홀딩 토크를 확인하였다.

3.1 홀딩 토크

스페리컬 전동기에서의 홀딩 토크 정의는 영구자석과 전자석의 상대 위치에 따른 토크의 벡터 합으로 고정자의 기자력과 영구자석이 특정 위치에서 발생시키는 회전력이다.

(1)
$f = q(E+v\times B)$

고정자에 코일을 감아 전류를 흘려 전자석을 만들었기 때문에 홀딩 토크는 로렌츠 힘(Lorentz force)으로 설명이 가능하다[9-11]. 로렌츠 힘은 전자기장 내에서 전하가 받는 힘에 의해 식 (1)과 같이 정의된다.

자기장 내에 움직이는 전하에 작용하는 힘 밀도는 식 (2)와 같다.

(2)
$f_{m}= qv\times B$

미소 전하 $dq$에 작용하는 힘은 $df$로 표현하고, 미소 전하 $dq$의 속도는 미소 길이 $dl$을 미소 시간 $dt$을 통과하는 것이라 하면, 식 (2)를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df = dq\dfrac{dl}{dt}\times B$

이때, $\dfrac{dq}{dt}$는 $i$와 같고 식 (3)처럼 도선의 미소 길이 $dl$에 작용하는 힘으로 다시 쓸 수 있고, 식 (4)와 같다.

(4)
$df = idl\times B$

전류 $i$는 전류밀도 $J$ 로 표현이 가능하다. 모델의 형상은 3D이므로 전류밀도를 $J_{vol}$라 하면 체적$\triangle_{vol}$로 정의할 수 있다.따라서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권선의 작용하는 힘은 식 (5)로 표현이 가능하다.

(5)
$f_{vol}=\triangle_{vol}J_{vol}\times B_{vol}$

그리고 권선의 위치벡터 $R_{j}$와 권선의 턴 수의 힘의 합$F_{j}$을 외적으로 코일의 발생 토크를 계산할 수 있고, 식 (6)과 같이 나타낸다.

(6)
$T_{j}=R_{j}\times F_{j}$

회전자의 합성 토크 벡터는 각 코일의 토크 벡터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홀딩 토크에 관한 회전자의 중심은 영구자석의 중심으로 한다. 따라서 회전자의 합성 토크 벡터의 중심은 영구자석으로 한다.

3.2 조향 안정성 확보를 위한 영구자석 보조구조

Fig. 3과 같이 틸팅 축에 영구자석을 삽입 후, 고정자 기자력을 이용하여 중심부에 정렬시키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속과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상호작용으로 자기적인 커플링이 구현된다. 영구자석을 틸팅 고정자 중심에 정렬시킨 상태를 Fig. 4(a)로 기준한다. Fig. 4(b)와 (c)의 경우처럼 영구자석과 틸팅 고정자가 정렬하지 못할 경우에는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기본 상태로 돌아오기 위한 홀딩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이동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틸팅 고정자로 움직이려는 회전력이 발생이 되어야 하며, 이는 전자계 해석을 통해 토크를 분석할 수 있다.

Fig. 5에서 홀딩 토크가 0[Nm]이 되는 부분은 고정자의 전자석과 영구자석이 자기적으로 정렬상태를 나타낸다. 홀딩 토크가 0[Nm]인 0$^{\circ}$지점에서 영구자석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자의 전자석과 영구자석이 다시 자기적으로 정렬하려는 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Fig. 5를 통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스페리컬 전동기의 구조상 하지만 전기각 45$^{\circ}$이상부터는 영구자석이 틸팅 고정자 주변의 고정자 코어에 정렬하기 때문에 홀딩 토크가 다시 반대 부호를 가지며 줄어들게 된다. 또한 영구자석이 추가됨으로써 홀딩 토크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로 고정자의 전류를 10[A]인가 시 홀딩 토크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음을 Table 2의 것을 토크 변화율을 통해 볼 수 있다.

10[A] 전류 인가 시, 0$^{\circ}$와 1$^{\circ}$사이의 토크 변화율은 약 2.5배 증가하게 된다. 즉 전류인가로 인해 홀딩 토크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Fig. 6은 영구자석을 2개의 고정자 축 사이 중심에 정렬시킨 상태 Fig. 6(a)을 기준으로 한다. 이 경우에도 Fig. 6(b)와 (c)에서 영구자석이 2개의 전자석 축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비틀리게 되면 기본 상태로 돌아오기 위한 홀딩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토크가 0[Nm]인 0$^{\circ}$지점에서 영구자석이 회전하게 되면 고 정자의 전자석과 영구자석의 상호작용으로 홀딩 토가 발생하게 된다. 추가로 전류를 10[A]인가 시, 홀딩 토크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Fig. 7Table 3을 통해 볼 수 있다. 0$^{\circ}$와 1$^{\circ}$사이의 토크 증감율은 10[A] 전류인가 시 약 3.8배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 인가전류에 따른 홀딩 토크 변화량

Table 2 Change in holding torque according to the applied current

Input Current[A]

$T_{1^{\circ}}/T_{0^{\circ}}$

0A

4.78

10A

11.96

표 3 인가 전류에 따른 홀딩 토크 변화량

Table 3 Change in holding torque according to the applied current

Input Current[A]

$T_{1^{\circ}}/T_{0^{\circ}}$

0A

-1.24

10A

-4.74

그림 3. 조향 안정성 확보를 위한 영구자석 보조구조

Fig. 3. Permanent magnet auxiliary structure to secure steering stability

../../Resources/kiee/KIEEP.2023.72.1.31/fig3.png

그림 4. 영구자석 보조구조의 위치에 따른 홀딩 토크

Fig. 4. Holding torque generation structure of permanent magnet and stator

../../Resources/kiee/KIEEP.2023.72.1.31/fig4.png

그림 5. 영구자석 및 고정자 홀딩 토크 발생 구조

Fig. 5. Holding torq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auxiliary structure

../../Resources/kiee/KIEEP.2023.72.1.31/fig5.png

그림 6. 영구자석 및 고정자 중심의 홀딩 토크 발생구조

Fig. 6. Holding torque generation structure centered on permanent magnet and stator

../../Resources/kiee/KIEEP.2023.72.1.31/fig6.png

그림 7. 영구자석 보조구조의 위치에 따른 홀딩 토크

Fig. 7. Holding torqu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auxiliary structure

../../Resources/kiee/KIEEP.2023.72.1.31/fig7.png

3.3 영구자석의 너비에 따른 홀딩 토크

3.2절에서는 전자석을 기준으로 영구자석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홀딩 토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3.3절에서는 영구자석의 너비 변화에 따른 홀딩 토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Fig. 8은 영구자석의 크기와 코일피치(C1, C2, C3)에 따라 홀딩 토크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분석에 사용된 모델의 코일 피치의 길이는 30[mm]이며, Fig. 8(a)를 보면 영구자석의 크기가 코일 피치 보다 작은 경우, C2에서 발생 되는 자속에 의한 영구자석과의 정렬 토크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슬롯과 치(teeth)구조에 따른 디텐트 토크(코깅토크)의 발생으로 인하여 틸팅 고정자 중심부에 영구자석의 중심이 위치하지 못하고 상하로 불안정한 움직을 보여주게 된다.

코깅토크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영구자석의 크기와 코일 피치와의 관계로 분석이 가능하다. Fig. 8(b)는 영구자석의 크기가 코일 피치와 동일한 경우이다. 이 경우 C2에서 발생 되는 자속과 영구자석이 정렬하게 된다. 하지만 주 자속과 반대 방향인 코일 C1과 코일 C3가 일부 겹치게 된다. 그로 인해 주 자속과 반대 방향의 자속에 의해 홀딩 토크의 변화량이 Fig. 8(a)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Fig. 8(c)은 영구자석의 크기가 코일 피치 보다 큰 경우이며 C2와 영구자석이 이루는 주 자속 방향뿐만 아니라 자속 방향의 반대 방향인 코일 C1과 코일 C3가 생성하는 자속에 의해 Fig. 8(a)와 (b)보다 홀딩 토크의 변화량이 더욱 감소하게 될 것이다. 영구자석의 직경이 30~34[mm]에서 홀딩 토크 변화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영구자석의 너비가 26[mm]과 28[mm]에서의 토크 변화율이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28[mm]의 경우 C1, C3의 자속에 의해 26[mm]보다 토크 변화율이 낮음이 확인할 수 있다. 즉, 홀딩 토크 변화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C1, C3의 자속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C2와의 자기 배열이 유리한 영구자석의 너비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Table 4는 영구자석의 직경 사이즈 변화에 따른 발생 홀팅 토크의 크기를 분석한 데이터 이다. 또한, Fig. 9는 영구자석 직경에 따른 틸팅 토크의 크기를 영구자석의 위치를 임의로 이동시킴으로써 틸팅을 분석한 결과이다. 따라서 Fig.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래프의 기울기는 틸팅력의 민감도와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영구자석의 직경 사이즈가 작을수록 틸팅 고정자의 중심부로 더 큰 틸팅력이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표 4 영구자석 및 고정자 홀딩 토크 발생 구조

Table 4 Change in holding torqu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permanent magnet

Wmag [mm]

$T_{1^{\circ}}/T_{0^{\circ}}$

26

17.2

28

15.66

30

11.96

32

8.99

34

7.17

그림 8. 영구자석 너비에 따른 회전자 및 고정자 자속

Fig. 8. Rotor and stator flux as a function of permanent magnet width

../../Resources/kiee/KIEEP.2023.72.1.31/fig8.png

그림 9. 영구자석 너비에 따른 홀딩 토크

Fig. 9. Holding torque according to permanent magnet width

../../Resources/kiee/KIEEP.2023.72.1.31/fig9.png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구형 전동기의 조향 안정성 향상을 위해 영구자석을 이용한 보조구조에 대한 설계를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회전축을 중심과 고정자를 정렬시켜놓은 상태에서 회전자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경우 영구자석과 고정자의 자속에 의한 홀딩 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구자석과 고정자의 자속에 의한 홀딩 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류를 인가 시 홀딩 토크 크기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홀딩 토크를 최대화하기 위해 영구자석 너비와 코일 피치 간의 관계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영구자석 너비가 코일 피치 보다 큰 경우 반자속에 의하여 토크 변화량은 감소한다. 그래서 영구자석의 너비는 코일 피치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이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다.

Acknowledgements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2020R1F1A1075920)

References

1 
Taek-su Lee.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Holding Torque for Hybrid Spherical Motor,”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22.URL
2 
R&D Special Zone Promotion Foundation delivery robots and logistics robots markets,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 Zone Promotion Foundation, pp 1~10, 2020.URL
3 
K. . -M. Lee and C. . -K. Kwan, “Design concept development of a spherical stepper for robotic applications,” in IEEE Transactions on Robotics and Automation, vol. 7, no. 1, pp. 175-181, Feb 1991.URL
4 
K. Bai, R. Xu, K. -M. Lee, W. Dai and Y. Huang, “Design and Development of a Spherical Motor for Conformal Printing of Curved Electronic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5, no. 11, pp. 9190-9200, Nov 2018.DOI
5 
J. F. P. Fernandes and P. J. C. Branco, “The Shell-Like Spherical Induction Motor for Low-Speed Traction: Electromagnetic Design, Analysis, and Experimental Test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3, no. 7, pp. 4325-4335, July 2016.DOI
6 
B. A. Gebre and K. V. Pochiraju, “Machine Learning Aided Design and Analysis of a Novel Magnetically Coupled Ball Drive,” in IEEE/ASME Transactions on Mechatronics, vol. 24, no. 5, pp. 1942-1953, Oct 2019.DOI
7 
L. Raura, A. Warren and J. Thangavelautham, “Spherical planetary robot for rugged terrain traversal,” 2017 IEEE Aerospace Conference, Big Sky, MT, USA, pp. 1-10, 2017.DOI
8 
K. Bai et al., “Regulation and Tracking Control of Omnidirectional Rotation for Spherical Motor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70, no. 2, pp. 1696-1705, Feb 2023.DOI
9 
Lee Ju, “(New) Electric Device Engineering I,” Hongneung Science Publishing, pp. 51-56, 2019.URL
10 
S. Cho, J. -S. Lim, Y. J. Oh, G. Jeong, D. -W. Kang and J. Lee, “A Study on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Spherical Multi-DOF Mot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Phases and Pole Pitch Angles,” i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54, no. 11, pp. 1-5, Nov 2018.DOI
11 
Dong-Woo Kang,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Multi-Degree of Freedom Spherical Motor for Robot’s Joint Motion Control. doctoral dissertation,”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11.URL

저자소개

이택수 (Taek-Su Lee)
../../Resources/kiee/KIEEP.2023.72.1.31/au1.png

2015년 경남대학교 전자공학과 졸업

2022년 계명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융합시스템공학과 졸업

2022- 현재 ㈜로텍 연구원

E-mail : taeksul1105@gmail.com

박승우 (Seung-Woo Park)
../../Resources/kiee/KIEEP.2023.72.1.31/au2.png

2022년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졸업

2022-계명대학교 대학원 전기전자공학부 석사과정

E-mail : seungwoo9612@gmail.com

문주형 (Ju-Hyeong Moon)
../../Resources/kiee/KIEEP.2023.72.1.31/au3.png

2019년 계명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졸업.

2022년 계명대학교 대학원 전기전자융합시스템공학과 졸업

2022~현재 동 대학원 전자전기공학과 박사과정

E-mail : moonwngud12@gmail.com

김태형 (Tae-Hyeong Kim)
../../Resources/kiee/KIEEP.2023.72.1.31/au4.png

1993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

1995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석사

2005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사

1995~2002년 LG전자 Research Engineer

2005년~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E-mail: kthheoung@gnu.ac.kr

강동우(Dong-Woo Kang)
../../Resources/kiee/KIEEP.2023.72.1.31/au5.png

2006년 한양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졸업

2011년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07년 Siemens Automation&Drives 연구원

2011 ~ 2014년 삼성전자(주) 책임연구원

2014 ~ 현재 계명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부교수

E-mail: dwkang@km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