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한상
(Han-Sang Jang)
1
이현재
(Hyun-Jae Lee)
1
어진명
(Jin-Myeong Uh)
2
손진근
(Jin-Geun Shon)
†iD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Flux-weakening Control, High Speed Operation, Incremental Control, PMSM, Vector Control.
1. 서 론
최근 전동기의 재료적인 특성과 다양한 제어 방안이 활발히 연구되면서 자동차, 철도, 선박 등과 같이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추진되는 수송기기들의 엔진이
전동기로 대체되고 있다[1,2].
이러한 전동기는 동기 전동기(SM : Synchronous Motor), 브러시리스 DC 전동기(BLDC : Brushless DC Moter),
유도 전동기(IM : Induction Motor) 등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최근에는 다른 전동기에 비해 고효율, 고신뢰성, 고출력밀도의
특성을 갖는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4].
이러한 전동기들은 필요에 따라 정격속도 이상의 고속 운전 능력을 수행해야 한다. PMSM의 경우 자속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켜 공극의
유효 자속 크기를 줄여주는 약자속 제어(Flux-weakening Control)를 사용하여 고속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5,6]. 모터의 고속 운전을 위하여 다양한 약자속 제어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초기에는 회전자 속도에 반비례하여 자속 성분 전류를 줄이는 방법이 사용되었다[5]. 그러나 이 방법은 벡터 제어에 필요한 전압을 충분하게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벡터 제어가 정확하지 않으면 모터 구동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다른 약자속 제어 방법으로 전압 제한 조건과 전류 제한 조건을 이용한 최적의 전류 제어 방법이 제안되었다[6]. 이 방법은 모터에 인가할 수 있는 최대 전압의 크기와 모터에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의 크기를 원으로 표현하고 모터를 구동하기에 가장 적절한 전류점을
결정하여 모터의 출력 토크 능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터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룩업 테이블의 특성을 만들어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7]. 그러나 모터 파라미터의 변화에 민감하여 파라미터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터 파라미터의 영향을
덜 받는 전압 피드백을 사용한 약자속 제어 방법이 연구되었다[8,9]. 이 방법은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자속을 약화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10]. 모터 파라미터를 사용하지 않고 제어 설계가 간단하여 변화 요인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레퍼런스 전압과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 사이의 피드백
형태를 이루고 있어 이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제어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증분형 제어기를 전압 기반 약자속 제어에 적용하는 방안을 채택하였다. 증분형 제어기를 전압 기반 약자속 제어에 적용한 결과
전동기의 고속 운전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전동기를 구동할 수 있었다.
2. 전동기의 고속 운전을 위한 증분형 제어기의 적용과 성능 검증
2.1 약자속 제어를 위한 증분형 제어기의 적용
최근에는 전동기를 제어하는데에 있어 벡터 제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벡터 제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3상 전압, 전류를 시불변의 전압, 전류의
성분으로 변화시켜 각 성분들을 제어하는 방안으로써 전동기 속도의 순시적인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정밀한 속도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그림 1은 PMSM에 적용될 수 있는 벡터 제어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벡터 제어는 3상 전압이나 전류를 측정하고 DQ 변환을 이용하여 q축(토크분) 전류와
d축(자속분) 전류 성분을 계산한다. 측정된 q축과 d축 전류 성분은 전동기의 속도 레퍼런스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d축 전류 레퍼런스와 q축 전류
레퍼런스와 비교하여 서로간의 오차를 생성한다. 이후 PI 제어기를 통해 전압 조작량을 생성하여 전동기의 속도를 조절한다. 전동기를 고속으로 운전할
경우 약자속 제어를 통하여 d축 전류 레퍼런스를 변화시킨다. 목표하는 속도에 도달할 때 필요한 토크를 위하여 적절한 d축 전류 레퍼런스를 생성할 필요가
있음에 따라 고속 운전시 약자속 제어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 정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최대로 높이기 위하여 전압 기반 약자속 제어와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방안을 적용할 경우 전동기 정수를 사용한 약자속 제어 방안보다 알고리즘 설계가 간단하며 전압 궤환을 통해 일정 과변조 영역에서도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레퍼런스 전압과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 사이의 피드백 형태를 이루고 있어 오차값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제어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의 고속 운전을 위하여 전압 기반 약자속 제어 방식에 그림 1과 같은 증분형 제어기(Incremental Controller)를 적용한다.
그림 1. PMSM의 벡터 제어 블록도
Fig. 1. Vector control block diagram of PMSM
그림 2는 증분형 제어기가 적용된 약자속 제어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그림 2에서 전압, 전류 제어기에 사용되는 목표량, 제어량 및 센싱된 전압과 전류값은 일반적으로 최대 전압, 전류, 속도의 크기를 기반으로 [p.u]의 단위로
모두 변환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전압궤환에서 사용되는 전압과 전류 제어기에서 쓰이는 전류의 크기는 전류 제한 원에 의하여 1[p.u]를 넘을
수 없음에 따라 두 경우 모두 최대 크기는 1[p.u]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증분형 제어기는 가속도의 변화가 많은 기기에 적용되기 어렵지만 가속도의
변화가 적은 기기에 적합하며 전압과 전류값 사이의 최대 제어량이 동일함에 따라 제어기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증분형 제어기를 사용하여 전압궤환을 통한
전류 레퍼런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증분형 제어기의 알고리즘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2. 증분형 제어기의 블록도
Fig. 2. Block diagram of incremental controller
그림 3은 증분형 제어기의 알고리즘 순서도를 보여주는데 레퍼런스 전압($V_{s_{-}ma x}^{*}$)과 계산된 전압의 크기($V_{cs}$)의 에러값인
$V_{s_{-}error}$를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이러한 증분형 제어기는 크게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V_{s_{-}error}$를
0과 비교하였을 때 양수인지 음수인지의 경우를 판단하고 증분 상수($\triangle i_{ds}^{*}$)를 가감함으로써 전류 레퍼런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림 3. 증분형 제어기의 알고리즘 순서도
Fig. 3. Algorithm flowchart of incremental controller
2.2 모의실험을 통한 증분형 제어기의 성능 검증
증분형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모의실험에 사용된 전동기는 SPMSM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회로도와
전동기 및 인버터의 파라미터는 그림 4와 표 1과 같이 설정하였다.
그림 4. 모의실험을 위한 전동기 구동 회로도
Fig. 4. Motor drive circuit diagram for simulation
표 1 모의실험에 사용된 다양한 파라미터 표
Table 1 Table of various parameters used in the simulation
Parameter
|
Units
|
Value
|
DC Link Voltage
|
[V]
|
300
|
Switching Freqeuncy
|
[kHz]
|
20
|
RPM Acceleration
|
[rpm/s]
|
2,000
|
Back EMP(Ke)
|
[Vpk/krpm]
|
49
|
Number of poles
|
-
|
8
|
Resistance
|
[ohm]
|
2.2
|
Inductance
|
[H]
|
0.0109
|
Inertia
|
[$oz-i n-\sec^{2}$]
|
0.00439
|
그림 5는 증분형 제어기를 적용하고 전동기의 가속도를 2,000[rpmps]로 고정한 상태에서 전동기의 속도를 7,500[rpm]까지 증가시켰을 때 전동에
인가된 3상 전류의 모의실험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5를 살펴보면 약 6,000[rpm]까지 전류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후에 증분형 제어기에 따가 약자속 제어를 수행하여 전동기에
인가되는 3상 전류의 크기가 일정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7,500[rpm]에 도달한 이후에는 3상 전류의 크기가 일정해진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전류의 오버슈트가 적음을 알 수 있다.
그림 5. 증분형 제어기를 적용하였을 때 전동기 3상 전류 모의실험 파형
Fig. 5. 3-phase motor current simulation waveform when incremental controller is applied
그림 6은 증분형 제어기를 적용하였을 때 측정된 전동기의 속도, d축 전류 레퍼런스($i_{ds}^{*}$), q축 전류 레퍼런스($i_{qs}^{*}$)의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5(a)는 전동기의 속도 변화 그래프를 보여주며 7,500[rpm]이라는 지령속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동기의 속도를 높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약자속 제어 시작 속도인 6,000[rpm] 이후에도 속도 변화량의 기울기에 변화가 없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약 3.75[s]에 7,500[rpm]에
도달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6. 증분형 제어기를 적용하였을 때 다양한 모의실험 결과 파형
Fig. 6. Waveforms of various simulation results when incremental controller is applied
그림 6(b)는 전동기의 d축 전류 레퍼런스 변화 그래프를 보여준다. 약자속 제어가 시작되기 전에는 $i_{ds}^{*}$가 약 0[p.u]으로 제어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6,000[rpm] 이후에 $i_{ds}^{*}$는 증분형 제어기가 동작하여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7,500[rpm]에
도달한 이후에 측정된 $i_{ds}^{*}$의 리플 크기는 약 0.00064[p.u]로 측정되었다.
그림 6(c)는 전동기의 q축 전류 레퍼런스 변화 그래프를 보여준다. 7,500[rpm]에 도달한 이후에 $i_{qs}^{*}$ 리플 크기는 약 0.0065[p.u]로
측정되었다. 즉, 제안하는 증분형 제어기를 약자속 제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2.3 실험을 통한 증분형 제어기의 성능 검증
실제적으로 증분형 제어기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동기를 사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전동기는 모의실험과 동일하게 SPMSM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회로도와 전동기 및 인버터의 파라미터는 그림 4와 표 1과 동일하다.
그림 7은 증분형 제어기를 적용하고 전동기의 가속도를 2,000[rpmps]로 고정한 상태에서 전동기의 속도를 7,500[rpm]까지 증가시켰을 때 전동에
인가된 3상 전류의 실험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7을 살펴보면 약 6,000[rpm] 이후에 증분형 제어기에 따가 약자속 제어를 수행하여 전동기에 인가되는 3상 전류의 크기가 일정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7,500[rpm]에 도달한 이후에는 3상 전류의 크기가 일정해진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약 7,498[rpm]으로 속도가 제어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7. 증분형 제어기를 적용하였을 때 전동기 3상 전류의 실험 결과 파형
Fig. 7. Experimental waveform of three-phase motor current when incremental controller
is applied
그림 8은 증분형 제어기를 적용하였을 때 측정된 전동기의 속도, $i_{ds}^{*}$, $i_{qs}^{*}$의 실험 결과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8에서 측정된 전동기 속도, $i_{ds}^{*}$, $i_{qs}^{*}$는 모의실험 결과인 그림 6과 다소 차이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제 전동기를 구동함에 있어 전압, 전류의 측정 오차와 다양한 손실에 의하여 전류 레퍼런스의 리플
차이가 발생한다.
그림 8(a)는 전동기의 속도 변화 그래프를 보여주며 약자속 제어 시작 속도인 6,000[rpm] 이후에도 속도 변화량의 기울기에 변화가 없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약 4.01[s]에 7,519[rpm]에 도달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8(b)는 전동기의 $i_{ds}^{*}$ 변화 그래프를 보여준다. 약자속 제어가 시작되기 전에는 $i_{ds}^{*}$가 약 0[p.u]으로 제어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6,000[rpm] 이후에 $i_{ds}^{*}$는 증분형 제어기가 동작하여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7,500[rpm]에
도달한 이후에 측정된 $i_{ds}^{*}$의 리플 크기는 약 0.0021[p.u]로 측정되었다.
그림 8. 증분형 제어기를 적용하였을 때 다양한 실험 결과 파형
Fig. 8. Waveforms of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when incremental controller is applied
그림 8(c)는 전동기의 $i_{qs}^{*}$ 변화 그래프를 보여준다. 7,500[rpm]에 도달한 이후에 $i_{qs}^{*}$ 리플 크기는 약 0.0025[p.u]로
측정되었다. 즉, 제안하는 증분형 제어기를 약자속 제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약자속 제어를 위한 증분형 제어기는 전압궤환을 사용하는 전동기 제어에 활용될 수 있으며 가속도의 변화가 빈번하지 않는 기기에 적용하여 전동기
제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3. 결 론
본 논문은 PMSM의 고속 운전 제어를 위하여 전압 기반의 약자속 제어에 적용할 수 있는 위한 증분형 제어기를 제시한다. 증분형 제어기는 측정된 전압의
크기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전동기의 고속 운전에 사용되는 d축 전류의 레퍼런스 크기를 생성한다. 모의실험과 실제 실험을 통해 전압 기반 약자속 제어에
증분형 제어기를 적용한 결과, 고속 운전 영역에서도 정상적으로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었으며 d축 전류와 q축 전류의 리플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즉, 전동기의 고속 운전을 위한 증분형 제어기는 전압궤환을 사용하는 전동기 제어에 활용될 수 있으며 가속도의 변화가 빈번하지 않는 기기에
적용하여 전동기 제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214000000060).
References
M. Hasoun, A. El afia and M. Khafallah, “Field Oriented Control of Dual Three-Phase
PMSM Based Vector Space Decomposition for Electric Ship Propulsion,” 2019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mputer Science and Renewable Energies (ICCSRE), Agadir, Morocco, pp.
1-6, 2019.
M. Hasoun, A. E. Afia, K. Chikh, M. Khafallah and K. Benkirane, “A PWM strategy for
dual three-phase PMSM using 12-sector vector space decomposition for electric ship
propulsion,” 2018 19th IEEE Mediterranean Electrotechnical Conference (MELECON), Marrakech,
Morocco, pp. 243-248, 2018.
P. Pillay and R. Krishnan, “Modeling of permanent magnet motor drive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35, no. 4, pp. 537-541, Nov. 1988.
W. Tong, S. Dai, S. Wu and R. Tang,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an Amorphous Metal
PMSM and a Silicon Steel PMSM,” i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55, no. 6,
pp. 1-5, June 2019. Art no. 8102705,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50 Carbon Neutral Strategy of the Republic
of Korea towards a Sustainable and Green Societ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eoul, Korea, pp. 16–17, 2020.
S-H. Kim, S-K. Sul and M-H. Park, “Maximum torque control of an induction machine
in the field weakening region,” Conference Record of the 1993 IEEE Industry Applications
Conference Twenty-Eighth IAS Annual Meeting, Toronto, ON, Canada, pp. 401-407, vol.
1, 1993.
M. Wang, D. Sun, Z. Zheng and H. Nian, “A Novel Lookup Table Based Direct Torque Control
for OW-PMSM Drive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8, no.
10, pp. 10316-10320, Oct. 2021.
J. Jacob, O. Bottesi, S. Calligaro and R. Petrella, “Design Criteria for Flux-Weakening
Control Bandwidth and Voltage Margin in IPMSM Drives Considering Transient Condition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7, no. 5, pp. 4884-4900, Sept.-Oct.
2021.
J. Jacob, O. Bottesi, S. Calligaro and R. Petrella, “Design Criteria for Flux-Weakening
Control Bandwidth and Voltage Margin in IPMSM Drives Considering Transient Condition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57, no. 5, pp. 4884-4900, Sept.-Oct.
2021.
J. Liu, C. Gong, Z. Han and H. Yu, “IPMSM Model Predictive Control in Flux-Weakening
Operation Using an Improved Algorithm,”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5, no. 12, pp. 9378-9387, Dec. 2018,
저자소개
He received his M.S.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currently
he is pursuing his Ph. D.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He established
Protecta Korea in 2019 and is conducting business such as system review, supervision,
and protection panel manufacturing.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sion.
E-mail : therod@daum.net
He received his M.S.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currently
he is pursuing his Ph. D.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sion and Power control.
E-mail : lhj501@gachon.ac.kr
He is pursuing his M.S. degree in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He is
currently a director of Construction Management Center at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sion and Power control.
E-mail : jinmeong@lh.or.kr
He received his B.S., M.S. and Ph. D, degrees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in 1990, 1992 and 1997. He was Chief Researcher in Electro-
Mechanical Research Institute,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Gyeonggi-do, Korea,
during 1992-1995. He was a Postdoctoral Researche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Kagoshima University, from 2002 to 2003. He was also a
Visiting Scholar in the Power Electronics Laboratory, Michigan State University, from
2009 to 2010.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the power conversion, control
and diagnosis of power utility.
E-mail : shon@gach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