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he Transactions P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Trans. P of KIEE
  • Indexed by
    Korea Citation Index(KCI)

  1.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Seongnam, Korea.)
  2. (Power Business Department,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Seongnam-si, Korea.)



CHP, Combined Heat and Power, F-V, Power System Inertia

1. 서 론

열병합 발전은 하나의 연료(천연가스)로 열과 전기를 동시에 공급하는 발전이며 열병합 발전설비의 총 용량은 약 11[GW](2018)로 국내 발전설비 용량의 9.4[%]이다. 또한, 열공급을 위해 도심에 위치하며, 수도권 발전설비의 약 25%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때 열 공급 의무로 인하여 CHP(Combined Heat and Power)는 TCG(Thermal Constraint Generation)로 운전하며, TCG에 의한 전력은 대부분 SMP (계통한계가격 : System Marginal Price)이하로 정산한다[1].

CHP는 대부분이 수도권에 위치하여 수요지 근처에 위치하는 분산에너지 역할을 수행하지만, 열제약 운전의 계통기여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한 적정한 가치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재생에너지의 중가에 따른 계통변동성 확대로 계통기여도가 높은 발전기에 대한 보상이 커지는 추세이고, 분산에너지 특별법 등 분산에너지원으로써의 역할 및 전력계통에 대한 기여도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CHP의 열제약 발전의 계통기여도는 사실상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 CHP의 기여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수도권 CHP 열병합 발전기의 송전혼잡완화 편익 산정 연구’[2]가 진행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CHP가 가져오는 송배전손실의 저감과 이로 인한 송전선로의 건설을 지연하거나 회피하는 등으로 편익을 계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수도권의 CHP가 전력계통에 기여하는 바를 전압안정도 (융통전력 한계 해석, interfaceFlow-Voltage, F-V)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있는 관성 측면에서도 분석하여 전력계통의 안정도에 기여하는 바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F-V해석에서는 수도권에 위치하는 CHP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전압안정도 측면에서 CHP가 계통에 기여하는 바를 분석하였다. 관성 해석에서는 수도권의 CHP가 정지하는 경우 수도권의 총 관성량 변화를 살펴보고 CHP 유무에 따른 상정고장시에 주파수 변화를 관찰하였다.

2. CHP 열제약 발전의 융통조류량 영향 검토

현재 비수도권 발전량 증가로 인하여 융통조류량 증가에 따라 석탄발전기를 정지시키고 있다. 이때 수도권 CHP의 발전이 북상조류에 미치는 영향 검토하기 위해, CHP 미운전시의 F-V 해석으로 융통조류량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2.1 F-V 해석 (Flow-Voltage : 북상조류 한계 해석)

F-V해석은 하나로 이루어진 계통을 2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그 사이에 연계된 융통선로에 흐르는 조류량을 증가시켜 안정도를 판별하는 해석방법이다[3][4].

그림 1. 북상조류(융통조류) 개념

Fig. 1. Concept of Upward flow(Interface flow)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1.png

위의 그림에서 A 지역의 발전단가가 B 지역의 발전단가 보다 값이 싼 경우 경제적 계통운영을 위해서 A 지역의 발전량을 증가시키고 B 지역의 발전량을 감소시킨다. 이 때, B 지역으로의 연계선로에 흐르는 융통조류의 증가로 인해서 전압안정도 한계가 어느 지점에 발생하는 확인해야 한다.

(발전력 증가 지역 A)

(1)
$P_{GAi}=P_{GAi0}+\lambda k_{GAi}P_{GA0,\: total}$

(발전력 감소 지역 B)

(2)
$P_{GBi}=P_{GBi0}-k_{GBi}\triangle P_{GA,\: total}$

(Total)

(3)
$\triangle P_{GA,\: total}=\Sigma\lambda k_{GAi}P_{GA0,\: total}$
$$\left(\begin{array}{c}P_{GA(B)i0}: A 혹은 B 지역에서 i 모선의 원래 유효전력량 \\ \\ P_{GA0,\: total}: 지역 A의 원래 전체 발전량\\ \\ \triangle P_{GA,\: total}: 지역 A의 전체 발전 변화량\\ \\ k_{GAi}: 지역 A의 발전모선 i의 발전력 증가 부담\\ \\ k_{GBi}: 지역 B의 발전모선 i의 발전력 증가 부담\end{array}\right .$$

위의 식과 같이 발전력 증가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 내 각 모선의 기존 유효전력량에 원래 전체 발전량에서의 각 발전 모선에서 부담해야할 발전력 지수를 곱한 값을 합하면 발전력 증가 지역에 발전모선에서 요구되는 발전량이다. 또한 발전력 감소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 내 각 모선의 기존 유효전력량에 원래 전체 발전량에서의 각 발전 모선에서 부담해야할 발전력 지수를 곱한 값을 차감하면 발전력 감소 지역에 발전모선에서 요구되는 발전량이다.

앞선 식을 기반으로 그림 2.2와 같이 그래프를 구성 할 수 있고, 사고 이후의 그래프 중 한계값이 가장 작게 나오는 커브에 대하여, 그 한계점에서의 발전량을 유지하고 사고를 제거하여 사고 이전 커브로 회귀하면, 회귀한 한계점과 현재 운전점의 차이가 융통조류 마진이 된다.

그림 2. FV 해석 (북상조류 한계 해석) 개념

Fig. 2. Concept of FV anlaysis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2.png

2.2 CHP 열제약운전에 따른 북상조류 한계 해석

본 논문에서는 FV 해석을 통하여 CHP 운전용량 비율별 북상조류 한계 변화량을 계산하고자 하며, 9차 기본 수급계획상 기동중인 수도권 CHP를 기동시키고 있는 계통을 기준으로 과 CHP를 On/Off 시키고 동 출력의 비 수도권 발전기를 On/Off 시킨 계통과 비교하였다. CHP 변동에 따른 비수도권 발전기 조정은 On/Off와 Scale, 두 가지 시나리오로 분석하였으며 CHP 운전 비율별 발전기 운전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각 운전 비율에 따라 발전기의 기동여부를 O, X로 표기하였다.

여기에서 CHP의 운전 비율별 발전기 기동여부의 60%가 레퍼런스가 되며, 이는 수도권의 총 CHP 중 60%가 가동되는 상황을 의미하며 총 발전량은 1337MW이다. 왼쪽의 100%는 수도권의 총 CHP가 100% 가동되고 있는 상황을 의미하며, 레퍼런스 대비 약 800MW의 출력이 증가하였으므로, 비수도권에서 800MW의 발전 출력을 줄이게 된다. 오른쪽의 30%는 수도권의 총 CHP가 30% 가동되고 있는 상황을 의미하며, 레퍼런스 대비 약 700MW의 출력이 감소하였으므로, 비수도권에서 700MW의 발전 출력을 늘리게 된다. 0%는 수도권의 총 CHP가 가동을 멈춘 상황을 의미하며 레퍼런스 대비 약 1300MW의 출력이 감소하였으므로, 비수도권에서 1300MW의 발전 출력을 늘리게 된다.

표 1 비율별 CHP 운전 현황

Table 1 CHP in service status by ratio

CHP발전기

CHP의 운전 비율별 발전기 기동 여부

100%

60% (Reference)

30%

0%

동탄2열GT#1

동탄2열ST#1

동탄2열GT#2

동탄2열ST#2

광교GT#1

광교ST#1

수원열병합

파주열GT#1

파주열GT#2

파주열ST#1

판교GT#1

판교ST#1

화성GT#1

화성GT#2

화성ST#1

%별 용량 합[MW]

2119.13

1337.03

645.81

0

2.3 비수도권 On/Off 시나리오

앞서 모의한 시나리오에 따라 CHP를 0~100% 비율별로 운전 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계통을 구성하였으며, 첫 번째 시나리오 모의는 비수도권 발전기의 On/Off는 23년 1월 기준으로 SMP와 무효전력 출력량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9차 기본 수급계획 데이터를 사용하여 PSS/E로 FV해석을 수행하였다. 그에 따른 융통 한계량 변화 값은 Reference Case인 60%일때와 비교하여 100%일 때 555.63[MW] 증가, 30%일 때 232.5[MW] 감소, 0%일 때 1001.87[MW] 감소하였으며 각 %별 융통한계량 그래프(FV 곡선)는 그림 2.4 – 그림 2.7과 같고 융통한계량은 아래 표로 정리하였다.

그림 3. 비수도권On/Off시 융통한계량 그래프 (60%)

Fig. 3. Interface flow limit graph(60%)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3.png

그림 4. 비수도권On/Off시 융통한계량 그래프 (100%)

Fig. 4. Interface flow limit graph (100%)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4.png

그림 5. 비수도권On/Off시 융통한계량 그래프 (30%)

Fig. 5. Interface flow limit graph (30%)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5.png

그림 6. 비수도권On/Off시 융통한계량 그래프 (0%)

Fig. 6. Interface flow limit graph (0%)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6.png

표 2 비율별 융통한계량 및 변화량

Table 2 Interface flow limit and change by ratio

%별 Case

융통한계량[MW]

Reference(60%)

대비 변화량[MW]

60% (Reference)

6100

0

100%

6655.63

+555.63

30%

5867.5

-232.5

0%

5098.13

-1001.87

2.4 비수도권 발전량 Scale 시나리오

두 번째 시나리오로 비수도권 발전량 Scale 시나리오를 모의 하였다. 이는 발전기를 추가로 기동하거나 현재 기동중인 발전기를 Off 시키지 않고, 비수도권의 발전량을 Scale로 증감시켰다. 이와 같이 계통상황을 구성하게 되면 경직성 전원인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투입되는 미래의 전력계통에 기여하는 정도를 분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7. 비수도권 Scale시 융통한계량 그래프(100%)

Fig. 7. Interface flow limit graph (100%)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7.png

그림 8. 비수도권 Scale시 융통한계량 그래프 (30%)

Fig. 8. Interface flow limit graph (30%)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8.png

그림 9. 비수도권 Scale시 융통한계량 그래프 (0%)

Fig. 9. Interface flow limit graph (0%)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9.png

이와 같은 시나리오로 융통조류 한계량의 변화는 Reference Case인 60%일 때와 비교하면 100%일 때 756.25[MW] 증가, 30%일 때 819.37[MW] 감소, 0%일 때 1543.75[MW] 감소하였으며 각 %별 융통한계량 그래프(FV 곡선)는 그림 2.8 – 그림 2.10과 같고 융통한계량은 아래 표로 정리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와 비교하였을 때보다 증가량 및 감소량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발전기의 On/Off 시 무효전력 출력량의 차이로 인한 것이며 미래 재생에너지 투입 시에 CHP 추가 발전의 효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표 3 비율별 융통한계량 및 변화량

Table 3 Interface flow limit and change by ratio

%별 Case

융통한계량[MW]

Reference(60%)

대비 변화량[MW]

60% (Reference)

6100

0

100%

6856.25

+756.25

30%

5280.63

-819.37

0%

4556.25

-1543.75

3. CHP의 수도권 관성 기여 분석

현재 에너지 정책에 의한 경직성 전원인 태양광, 풍력, ESS 등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화력발전소들의 조기 폐지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계통 관성을 제공해 오던 회전체 기반 전원이 감소하고 관성이 없는 전원이 증가하며 계통에 관성이 부족해지고 있다. 이는 계통의 강건성 및 복원력의 약화 요인이 될 것이며 계통관성 저하에 따른 관성 자원 확보가 필요할 것이며,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미래의 관성 자원 확보를 위하여 CHP가 수도권 관성에 기여하는 바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3.1 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CHP 관성 평가 시나리오

대다수의 재생에너지원은 전남, 경남 등 지방에 위치함에 따라 CHP Off시 지방의 발전력 Scale 조정으로 관성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생에너지 투입상황을 모의하였다.

현재 수도권(서울, 남서울, 경기, 경기북부) 발전기의 설비용량은 26.07[GVA]이며 관성력은 77.62[GW*s]이고, 이중 본 연구에 참고한 15기의 CHP(표 2.1) 설비용량은 2.749[GVA]이며 관성력은 13.79[GW*s]이다.

3.2 RoCoF (Rate of Change of Frequency)

RoCoF는 시스템 주파수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예비력이 응동하기 전 주파수의 변동이 관성의 응답 영역이다. 전력 수요의 변화, 전력공급 문제로 인해 주파수가 변동할 때 RoCoF값을 통해 계통 안정성과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RoCoF의 값이 작을수록 안정하고 클수록 불안정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아래 식 4와 같이 시간에 대한 주파수 그래프에서의 기울기로 RoCoF 값을 계산 할 수 있다.

(4)
$Ro Co F =\dfrac{F_{2}-F_{1}}{T_{2}-T_{1}}$
$$\left(\begin{array}{c}F_{1}: 첫 번째 측정 주파수 값\\ \\ F_{2}: 두 번째 측정 주파수 값\\ \\ T_{1}: 첫 번째 측정 시간\\ \\ T_{2}: 두 번째 측정 시간\end{array}\right .$$

위 식으로 계산하여 CHP의 운전 시, 미운전 시의 RoCoF를 산정하고 비교 하고자 한다.

3.3 계통 관성 평가 시나리오

현재는 계통 관성을 평가하는 정확한 기준값이 정해진 바가 없으므로, 계통에 사고를 모의하고 CHP 투입/미투입 각각의 계통을 비교하여 기여 정도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모의한 계통 사고 시나리오는 6020(당진TP7), 6030(신서산7) 765kV 모선고장 및 2회선 탈락을 모의하였으며 시나리오는 아래와 같다[5].

1[s] 6030(신안성) Bus Fault

1.08333[s] Fault Clear

1.08333[s] Branch Trip 6020-6030 2C

1.15[s] Machine Trip 7306[MVA]

30[s] Run

그림 10. 계통 관성 평가 시나리오

Fig. 10. Power system inertia evaluation scenario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10.png

3.4 CHP 운전/미운전에 따른 RoCoF 비교

앞선 시나리오에 따른 분석 결과 CHP 운전 시보다 미운전시 RoCof의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결과 값은 표 3.1 및 그림 3.2와 같다.

표 4 비율별 CHP 운전 현황

Table 4 RoCoF according to CHP On/Off

CHP 운전

CHP 미운전

RoCoF (1.0s~1.05s)

0.55646

0.77412

Max RoCoF

2.19034

2.24523

Min RoCoF

0.11604

0.13501

그림 11. CHP On/Off에 따른 주파수

Fig. 11. Frequency according to CHP On/Off

../../Resources/kiee/KIEEP.2023.72.3.166/fig11.png

4. Conclusion

본 논문에서는 수도권 CHP 열제약 발전이 계통제약 발생을 대체하는 등의 계통에 기여하는 바를 분석하여 열제약 발전에 대한 가치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재생에너지가 증가하는 등 계통 상황 변화로 인해 북상조류 제약으로 인한 석탄발전기 정지가 이슈가 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CHP 열제약 발전이 북상조류 제약 해소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를 FV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HP 발전량의 약 30%~40% 가량 북상조류 한계량을 증가 시켜 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석탄발전기 정지를 모의하고 SMP 차액을 계산한다면 연간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9차 기본 수급계획 기준으로 기동중인 수도권 CHP를 24시간 기동으로 가정한 계산값으로 오차가 있기 때문에, CHP의 정확한 발전 시간을 반영하고 열 공급 의무로 발전에 참여한 다른 수도권 CHP의 발전 실적을 반영한다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재생에너지가 증가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관성을 늘리지 않고 계통의 발전력을 Scale up으로 모의하여 관성 평가를 해본 결과, CHP 운전시가 미운전시 보다 RoCoF의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는 계통 관성을 평가하는 기준값이 정해진 바가 없지만 향후 정확한 기준값이 정해진다면 증가하는 정도에 따라 열제약 발전에 대한 전력시장 보상제도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CHP는 전기전용 발전 중에는 타 발전기와 동일하게 GF(Governer Free)과 AGC(Automatic Generator Control) 운전이 가능하나, 열제약 발전 중에는 안정적 열 공급 사유로 AGC 등의 계통 유연성 응동 범위가 발전기별로 다양하게 변동되는 특징이 있는데, 열제약 발전의 융통한계량 감소 효과를 포함한 계통 측면의 다양한 기여도 증대를 위해 열제약 발전 중의 유연성 제공 능력 또한 향후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KDHC) (No. 202211040001)

References

1 
http://www.kdhca.co.kr/Stat/capacityURL
2 
Yong-Gi Park, Jae Hyung Roh, Duehee Lee, Jong-Bae Park, “Transmission Congestion Relief Benefits of CHP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Electricity Marke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68(5), 605-613, 2019.URL
3 
Han, Sang-Wook. “Voltage Stability Monitoring Using Real- time Power System Inform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2006. Seoul.URL
4 
Han, Sang-Wook, “Study on Estimation of Flexibility Margin Considering Expansion of Land-Based HVDC and Configuration of DC Tap,”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 68P(4), 212-217, 2019.URL
5 
Lee, Jong-Hoon, Han, Sang-Wook, Son, Da-Bin, Kim, Ji-Hoon, “Voltage Stability Assessment in the Event of a 765 kV Double Circuit Line Failure due to the Increase of Renewable Energy Based on the 9th Power Supply Pla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nnual Conference, (10), 215-216, 2021.URL

저자소개

한상욱 (Sangwook Han)
../../Resources/kiee/KIEEP.2023.72.3.166/au1.png

Sangwook Han was born in Seoul, Korea, in 1982.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4, 2006 and 2012 respectively. He worked as a senior researcher in KEPRI, Daejeon, Korea, which was research institute of KEPCO from 2012 to 2016. He worked as an assistant professor in Dong Seoul University, Seongnam-si, Korea, from 2016 to 2021.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in Gachon University, Seongnam-si, Korea, since 2021.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 includes analysis, planning, calculation of power systems.

손다빈 (DaBin Son)
../../Resources/kiee/KIEEP.2023.72.3.166/au3.png

Dabin Son was born in Seoul, Korea, in 1993.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Information Control from Dongseoul University and M.S. course in Department of Next - Generation Smart Energy Convergence from Gachon University. He worked as a undergraduate research student in Dongseoul University research room, Seongnam-si, Korea, from 2018 to 2021. He is currently graduate research student in Gachon University 2021 to current. His current research Power system analysis and impact assessment, System real-time stability estimation of power system.

이종훈 (JongHoon Lee)
../../Resources/kiee/KIEEP.2023.72.3.166/au3.png

JongHoon Lee was born in Seongnam, Korea, in 1995. He received B.S. degree in Electrical Information Control from Dongseoul University and M.S. course in Department of Next - Generation Smart Energy Convergence from Gachon University. He worked as a undergraduate research student in Dongseoul University research room, Seongnam-si, Korea, from 2017 to 2021. He is currently graduate research student in Gachon University 2021 to current. His current research Power system analysis and impact assessment, System real-time stability estimation.

전영신 (Youngshin Jeon)
../../Resources/kiee/KIEEP.2023.72.3.166/au4.png

Youngshin Jeon was born in Cheongju-si, Korea, in 1973. He received B.S degree., in Chem. Eng., M.S. and Ph.D degrees in Energy systems from Ajou Univ., Suwon-si, Korea in 1996, 1998 and 2010 respectively. He worked as a post doctor research fellow in Energy System Research Center in Ajou univ., Suwon-si, Korea from 2010 to 2012. He worked as an senior researcher in Climate Change Institute of Korea, Chuncheon-si, Korea from 2012 to 2015. He worked as an Senior Research in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Korea, since 2015.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 are energy policy and measures development through energy system analy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