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전열성능 실험결과
본 연구의 유동층 열교환기의 기초전열 성능실험에서는 폐온수를 유동층에 공급하는 경우의 폐온수와 전열관 내부로 흐르는 냉각수 사이의 전열성능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습공기 발생장치의 물의 온도와 공기 온도를 제어하여, 폐온수 유동층 열교환기에서의 습공기의 입출구 엔탈피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유동화
공기의 흐름이 폐온수와 급수의 열전달에 관여하지 않고, 다만 유동층 열교환기의 전열관 배열 사이의 폐온수의 유동층을 형성하여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폐온수 유량, 유동화 공기 유량, 폐온수 가열량, 냉수 유량 및 냉수 입구온도 등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폐온수 유량은 0.1~0.4 m
3/hr 범위에서 변경하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냉수유량은 0.2 또는 0.65 m
3/hr를 유지하였다.
냉수 입구온도는 약 25℃ 그리고 습공기 유량은 75 kg/hr를 유지하였다. 가열량은 70~90% 정도이다.
Fig. 2에 폐온수 유량에 따른 관외전열계수의 변화의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조건의 변화에도 관외 전열계수는 폐온수 유량에 따라 비교적
일정한 증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폐온수 유량이 적은 경우, 관외 전열계수는 증가현상이 크고, 폐온수 유량이 증가하면서 관외 전열계수의 증가 현상은
약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2. Variation of outside heat transfer coefficient with waste water flow rate.
냉수 유량을 0.2~0.65 m
3/hr의 범위에서 변경시키고, 폐온수 유량을 약 0.2 m
3/hr로 유지하여, 총괄 전열계수를 측정하였으며, 관외 전열계수를 총괄 전열계수와 관내 전열계수로부터 산출하였다.
Fig. 3에서 보면, 관내 전열계수는 문헌의 실험식과 같이 전열관내의 유속에 따라 증가한다. 총괄 전열계수 측정값은 냉수 유량에 따라 비교적 일정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3. Variations of heat transfer coefficients with cooling water flow rate.
그리고 이로부터 산출한 관외 전열계수는 냉수 유량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수 유량이 작은 경우, 관내 전열계수가 낮게
나타나며, 이 경우 총괄 전열계수의 약간의 차이로 인하여 관외 전열계수의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공기 유량의 변경 실험에서 냉수유량은 0.65 m
3/hr를 유지하였으며, 냉수 입구온도는 약 25℃ 그리고 폐온수 가열량은 80% 정도이다. 폐온수 유량은 0.25 m
3/hr 정도를 유지하였다.
습공기 유량은 약 60~90 kg/hr의 범위에서 변화시켰으며, 실험 결과를
Fig. 4에 나타내었다. 공기 유량의 증가에 따라, 관외 전열계수는 약간 씩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폐온수 유동층 열교환기에서
습공기의 유량이 증가됨으로서 폐온수의 유동화가 더욱 활발하여 관외 전열계수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Fig. 4. Variations of heat transfer coefficients with air flow rate.
다중열원 유동층 열교환기의 기초전열 성능실험에서 습공기의 입구 습도를 변화하며 3가지 열원의 전열량을 측정하여,
Fig. 5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폐온수와 공기 현열량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수증기의 잠열량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습공기
내의 수증기의 응축량이 습도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
Fig. 5. Variations of heat transfer rates with air humidity.
다중열원 유동층 열교환기의 성능실험에서 습공기의 입구 온도를 변화하며 3가지 열원의 전열량을 측정하여,
Fig. 6에 나타내었다. 공기온도가 상승하면서, 현열량이 증가하나, 이로 인하여 유동층 온도가 상승하여 수증기의 잠열회수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6. Variations of heat transfer rates with air temperature.
이러한 다중열원 유동층 열교환기의 기초전열 성능실험을 통하여, 배가스, 스팀 및 폐온수의 3가지 다중열원으로부터 다중열원 유동층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다중열원의 폐열을 효과적으로 동시에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중열원 폐열회수 시스템의 파이롯트 규모의 성능실험을 위하여, 0.3 ton/hr 증발용량의 가스보일러에서 고온 배가스와 폐스팀 그리고 폐온수의 3가지
다중열원의 폐열을 동시에 회수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 경우, 다중열원 열교환기의 유로면적은 330 mm × 330 mm이며, 주로 배가스 유량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실험에서의 유동층 열교환기에서의 배가스 유량에 따른 배가스, 폐온수 및 냉수의 입출구 온도의 변화를
Fig. 7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다중열원 열회수 유동층 열교환기에서 배가스의 현열과 폐스팀을 포함한 응축잠열 그리고 폐온수의 현열을 동시에 회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7. Temperature variations of gas, waste water and cooling water with gas flow rate.
Fig. 8에 배가스 유량에 따른 각 열량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Fig. 8에서 보면, 다중열원 열회수 유동층 열교환기에서 3가지의 폐열을 동시에 회수하여, 냉수를 가열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3가지의 다중 폐열은
고온 배가스의 현열, 배가스 내의 수증기의 응축잠열 그리고 폐온수열이며, 이러한 3가지의 폐열을 합한 열량을 전체 폐열로 나타내었다.
Fig. 8에서 전체 폐열량과 냉수열량은 배가스 유량에 따른 변화 경향과 전열량이 서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먼저 폐온수 열량은 배가스 유량에 상관없이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본 실험에서 유동층으로 공급되는 폐온수의 전기 가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배가스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배가스의
현열량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유동층 열교환기의 입구에서의 배가스 온도가 배가스 유량에 따라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Fig. 8. Heat transfer variations of gas, water vapor and waste water with gas flow rate.
그리고 배가스 유량의 증가에 따라, 수증기의 응축 잠열량이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배가스 유량의 증가에 따라, 수증기의 함량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에 따라, 배가스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폐열과 냉수 열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3 전열계수 실험식 도출 및 비교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폐열을 동시에 회수하는 경우의 유동층 열교환기의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폐온수 유량, 공기유량 및 습도의 관외 열전달계수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였다. 폐온수 유량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습도의 영향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 2로부터 폐온수 유량에 대한 실험식을 도출하였으며,
Fig. 4로부터 공기유량에 대한 실험식을 각각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실험식으로부터 공기유량과 폐온수 유량을 함께 고려한 관외 열전달계수에 대한
식(6)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폐온수 유량과 공기 유량에 대한 관외 열전달계수의 실험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물 유동층 열교환기에 대한 설계 프로그램을 수정하면, 폐온수,
배가스 및 폐증기의 3가지 폐열을 동시에 회수하는 경우의 유동층 열교환기의 전열성능을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열원 열회수 유동층 열교환기의 설계 프로그램을 본 연구의 성능실험 결과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본 연구의 11개 성능실험 조건에서의 배가스, 수증기, 폐온수 및 냉수의 전열량의 실험값과 계산 값을
Fig. 9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Fig. 9에서 배가스, 수증기 및 폐온수의 3가지 폐열을 회수하여 냉수를 가열하므로, 전체 회수열량은 냉수열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열원 열교환기의 전체 회수열량과 배가스, 수증기와 폐온수에 대한 각각의 회수열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Fig. 9. Comparison of measured and calculated heat transfer rates.
본 연구의
식(6)의 관외 열전달계수에 대한 실험식과 다중열원 유동층 열교환기의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한 파이롯트 실험에서의 전열량의 계산값 오차는 최대 11.7%이며,
평균오차는 3.2%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