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기존 실험결과와의 비교
Fig. 1은 본 예측모델의 검증을 위해 Rosenbaum and Thodos
(7)가 고밀도의 가스 상태에서 CO
2+CH
4 혼합물의 열전도계수를 측정한 실험결과와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혼합물 중 CO
2의 몰 농도비는 0.757, 0.536, 0.245이고 압력은 33~706 bar, 그리고 온도는 335 K~404 K까지 측정하였다. 총 실험데이터
개수는 128개 이다. Chung et al. 모델의 경우 실험데이터를 기준으로 계산한 평균오차는 ±13.17%, TRAPP 모델과 REFPROP
모델은 각각 ±10.98%, ±6.60%를 나타냈다. CCS 운용 압력 범위인 100 bar 내외 범위에서의 평균오차는 Chung et al. 모델,
TRAPP 모델, 그리고 REFPROP 모델에서 각각 ±3.17%, ±7.19%, 그리고 ±3.40%를 각각 나타냈다.
Fig. 1.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rediction models with the experimental data for CO2+CH4gas mixture.
Fig. 2와
Fig. 3은 실험을 통해 측정한 CO
2+N
2와 CO
2+C
2H
6 혼합물의 열전도계수와 본 예측모델을 통해 계산된 열전도계수의 비교를 나타낸다. Gilmore and Comings
(8)는 혼합물 중 CO
2의 몰 농도비를 0.187~0.795 범위에서 조정하였고 압력은 1~3,000 bar, 그리고 온도는 75℃로 고정한 상태에서 혼합물의 열전도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데이터 수는 각 44개이다. CO
2+N
2 혼합물에서 Chung et al. 모델의 경우 실험데이터를 기준으로 계산한 평균오차는 ±13.3%, TRAPP 모델과 REFPROP 모델이 각각
±13.41%, ±12.25%를 나타냈다. 실제 이산화탄소 수송압력에서 Chung et al. 모델, TRAPP 모델, 그리고 TRAPP 모델은 각각
±2.15%, ±22.29%, 그리고 ±8.76%의 평균오차를 나타냈다. Chung et al. 모델의 경우 150 bar 이상의 압력에서는 상당한
오차율이 나타났다. 반면, CCS 운용 압력 범위인 150 bar 이하에서는 다른 두 모델에 비하여 Chung et al. 모델이 매우 우수한 예측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CO
2+C
2H
6 혼합물에 대해서 평균오차는 Chung et al. 모델, TRAPP 모델, REFPROP 모델에서 각각 ±10.35%, ±11.89%, 그리고 ±2.64%를
보였다. 150 bar 이하에서 평균오차를 살펴보면 각각 ±3.89%, ±16.11%, 그리고 ±1.32%를 보였으며, CO
2+C
2H
6 혼합물의 경우 REFPROP 모델이 가장 우수한 예측 결과를 나타냈다.
Fig. 2.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rediction models with the experimental data for CO2+N3gas mixture.
Fig. 3. Thermal conductivity of the prediction models with the experimental data for CO2+C2H6gas mixture.
가장 널리 적용되는 예측 모델들을 이용하여 기존 실험 데이터를 기준으로 검증을 수행하였다. 저압에서부터 150 bar 이상의 초고압상태까지 전 범위에서
REFPROP 모델이 평균 ±7.16%의 평균오차로 타 모델보다 높은 예측능력을 나타냈다. 그러나 실제 이산화탄소의 수송운전 조건인 1~150 bar에서는
Chung et al. 모델이 평균 ±3.07%의 평균오차로 가장 우수한 예측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3.2 온도, 압력, 성분비에 따른 변화
실제 포집 이산화탄소의 배관수송 운전 조건에 해당하는 100 bar 내외에서 Chung et al. 모델이 타 두 모델에 비해 가장 우수한 예측 능력을
나타냈기 때문에 Chung et al. 모델을 이용하여 포집된 이산화탄소의 불순물에 해당하는 N
2, H
2S, 그리고 CH
4의 몰농도 비와 혼합물의 압력, 그리고 온도를 바꾸어가며 변수들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였다. 혼합물 중 CO
2의 몰 농도비는 0.9, 0.95, 0.97 그리고 0.99로 변화를 주었다. 압력은 60~150 bar까지 10 bar 간격으로, 그리고 온도는
5.6 K 간격으로 273 K~323 K에서 계산을 수행하였다.
Fig. 4는 압력을 100 bar로 고정한 상태에서 온도에 따른 순수 CO
2, N
2, H
2S, 그리고 CH
4의 열전도계수를 나타낸다. 온도 증가에 따라 CO
2와 H
2S는 각 평균 8.71%와 3.15%의 감소율을 보였다. CO
2의 임계압력 및 임계온도는 73.77 bar, 304.1 K 그리고 H
2S의 임계압력 및 임계온도는 89.63 bar, 373.4 K이다. 두 물질의 감소 현상은 해석온도 273~323 K 범위가 임계 영역에 해당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N
2와 CH
4는 온도에 따른 열전도계수의 변화가 크지 않고 두 물질 모두 5×10
-2 W/m·K 이내에 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Fig. 4. Variation of thermal conductivity with temperature for pure fluids of CO2, N2, H2S, and CH4.
Fig. 5는 온도에 따른 열전도계수를 CO
2+N
2, CO
2+H
2S, 그리고 CO
2+CH
4 혼합물에 대해 변수 고찰한 결과이다. 압력조건은 100 bar, 그리고 혼합물 중 CO
2의 몰농도 비는 0.9로 고정하였다. 혼합물의 열전도계수의 경향은 혼합물 중 대부분의 몰 농도 비를 차지하고 있는 CO
2의 경향을 따르고 있고, 평균 11.86%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다른 두 혼합물에 비해 CO
2+H
2S 혼합물의 열전도계수가 큰 것을 볼 수 있다.
Fig. 4에서 나타난 바, H
2S는 다른 물질에 비해 월등히 큰 열전도계수를 가진다. 혼합물의 열전도계수의 경향은 가장 큰 몰 농도비를 가지는 물질을 따르며, 그 값은 혼합물을
이루고 있는 각 순물질이 가지는 온도에 따른 열전도계수의 변화에 의존한다고 판단된다.
Fig. 5.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mixture thermal conductivity for CO2+N2, CO2+H2S, and CO2+CH42.
세 가지 혼합물에 대하여 온도와 혼합물 중 CO
2의 몰 농도비는 고정한 상태에서 압력에 따른 열전도 계수를 고찰하였다.
Fig. 6은 그 결과를 나타낸다. 이때 온도조건은 323 K, 그리고 혼합물 중 CO
2의 몰 농도 비는 0.90이다. 해석압력 60~80 bar 범위에서는 세 혼합물 간 열전도계수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80 bar 이후, CO
2+H
2S, CO
2+N
2, CO
2+CH
4 순으로 열전도계수의 증가율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이 CO
2의 임계점 근처에서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6. Effects of pressure on the mixture thermal conductivity for CO2+N2, CO2+H2S, and CO2+CH4.
Fig. 7은 압력과 온도 조건에 따른 열전도계수의 결과를 보여준다. 이때 혼합물은 CO
2+N
2이고, 혼합물 중 CO
2의 몰 농도 비는 0.90이다. 압력은 증가할수록 그리고 온도는 낮아질수록 열전도계수는 증가함을 보였다. 290~310 K 범위 내에서 압력이 열전도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Fig. 7. Effects of pressure on the mixture thermal conductivity for CO2+N2.
Fig. 8은 CO
2+N
2 혼합물에 한하여 323 K의 동일한 온도조건에서 열전도계수에 대한 압력과 혼합물 중 CO
2의 몰 농도비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순 물질일 때 323 K의 온도조건에서 CO
2의 열전도계수가 N
2보다 크기 때문에 혼합물 중 CO
2의 몰 농도비가 증가할수록 열전도계수 또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압력이 증가 할수록 열전도계수에 대한 CO
2의 몰 농도 비의 영향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혼합물 중 높은 몰농도 비를 갖는 CO
2의 임계구간진입에 따른 급격한 물성 변화 때문으로 판단된다.
Fig. 8. Effects of mole fraction of CO2in the CO2+N2mixture on thermal conductivity.
Fig. 9는 세 혼합물에 대하여 CO
2의 몰 농도비에 따른 열전도계수 변화를 나타낸다. 압력조건은 100 bar, 그리고 온도조건은 323 K로 고정하였다. CO
2+N
2와 CO
2+CH
4 혼합물의 열전도계수는 각각 평균 6.68%와 4.79%의 증가율을 보였다. CO
2+H
2S 혼합물의 열전도계수의 경우 평균 2.47%의 감소율을 보였다. 이는
Fig.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순수 CO
2의 열전도계수 보다 H
2S의 열전도계수가 크고, 따라서 H
2S의 몰 농도비 감소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Fig. 9. Effects of mole fraction of CO2in the mixtures of CO2+N2, CO2+H2S, and CO2+CH4on thermal condu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