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jeon, 34113, Korea)
  2. 코텍엔지니어링 (KOTEC Engineering, Anyang, 10223, Korea)
  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Daejeon, 34129, Korea)



BIN 데이터(BIN data), 초과위험률( Technical advisory committee), 난방부하(Heating load), 냉방부하(Cooling load), KS C 9306(KS C 9306)

1. 서론

국내 BIN 데이터는 KS C 9306 기준(1)에 명시되어 있으며, 과거 10년(1998~2007) 동안의 기상정보를 기반으로 국내 11개 지역에 대한 BIN 데이터가 제작되었다. 이러한 BIN 데이터는 특정지역의 연간 외기온도 분포를 시간대별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지표이며, BIN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최고 및 최저 온도를 이용하면 건물에서의 냉난방 부하를 산정할 수 있다. 냉난방 부하는 건물의 단열성능과 내부발열량(조명, 사무기기 등), 창문복사열량, 환기량 등으로 건물 설정온도와 외기온도와의 관계식에 의해 구할 수 있고,(2) 설계된 값에 따라 건물에 적용되는 냉난방 시스템 용량을 결정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와 건물 설계기준의 변화(3)로 인한 BIN 데이터의 개정과 냉난방 설계 기준의 개정이 필요하다. 또한 미국공조냉동학회(ASHRAE)의 TAC(Technical advisory committee)에서는 냉난방 시스템 설계시 초과위험률은 2.5%에서 10% 범위에서 설계하라고 추천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기상정보를 반영하여 개정된 BIN 데이터와 건축물설계기준 그리고 TAC 온도를 반영한 냉난방 부하 설계를 통해 시스템 용량을 줄이면 초기 투자비용과 에너지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기상데이터에 관한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라 냉난방 부하에 미치는 영향분석이나 에너지 계산(4)을 위한 BIN 데이터를 개발하는 내용의 연구(5)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KS C 9306에서 제시하는 BIN 데이터 제시 방법을 이용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최근 10년간(2005~2014) 국내 19개 지역의 기상데이터(6)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BIN 데이터를 구축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또한 기존 KS C 9306에서 제시하는 냉난방 기준 열부하 방식으로 최근 개정된 에너지절약 설계기준(3)에 맞는 단열기준을 이용하여 냉난방 부하를 계산에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한 BIN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고/최저 온도 대비 건물에서의 냉난방 피크부하를 구하고, TAC 2.5% 초과위험률을 반영했을 때의 설계온도에서 소형/중형건물의 건물 냉난방 피크부하와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2. BIN 데이터 작성 기준 및 내용

2.1 KS C 9306 국내 BIN 데이터 선정 기준

KS C 9306에 제시된 BIN 데이터는 국내 주요 대도시 11개 지역을 대상으로 과거 10년(1998~2007) 간의 기상정보를 정리하여 제작되었다. 해당 지역은 강릉, 광주, 대구, 대전, 목포, 부산, 서울, 진주, 인천, 제주, 청주이며 각 지역별 BIN temperature 데이터를 난방기준과 냉방기준으로 나누어 제공하고 있다.

기준에 제시된 BIN 데이터 선정 기준으로 냉방 사용기간은 매년 6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총 4개월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냉방 사용 시간대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일일 12시간을 냉방 시간으로 정하였다. 냉방 기준 건구 온도 조건은 24℃ 이상 38℃ 이하이다.

난방 사용기간은 매년 11월 1일부터 다음해 2월 28일까지 총 4개월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난방 사용 시간대는 24시간이다. 또한 난방 기준 건구 온도 조건은 -15℃ 이상 15℃ 이하로 제시하고 있다.

Table 1은 KS C 9306에서 제시하는 우리나라의 대표 냉난방 BIN 데이터이며, 앞에서 설명한 11개 지역의 냉방 BIN 데이터를 통합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지표이다. 또한 각 지역의 난방 BIN 데이터를 통합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국내 대표 난방 BIN 데이터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Table 1. BIN temperature data for cooling(KS C 9306)

BIN Temp.(j)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Total

Dry bulb Temp.(℃)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BIN hours(h)

152

146

140

130

112

89

69

47

29

14

6

4

2

1

0

941

Table 2. BIN temperature data for heating(KS C 9306)

BIN Temp.(j)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Dry bulb Temp.(℃)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0

BIN hours(h)

2

3

5

6

6

9

14

21

30

43

59

77

89

114

136

317

BIN Temp.(j)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tal

Dry bulb Temp.(℃)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BIN hours(h)

182

187

191

192

184

173

140

138

124

106

88

74

58

45

36

2849

2.2 KS C 9306을 반영한 지역별 BIN 데이터 작성

KS C 9306에 제시된 BIN 데이터 작성을 위한 기상 데이터는 최근 10년(2005~2014) 간의 기상청에서 수집한 국내 19개 지역의 건구온도(℃)를 활용하였다. 국내 19개 지역은 KS C 9306에 포함된 11개 지역과 전국에 고르게 분포하기 위하여 군산, 안동, 영월, 울산, 전주, 진주, 천안 춘천, 포항을 포함한 8개 지역을 추가하였고 상세한 위치는 Table 3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지역의 최근 10년(2005~2014) 간의 BIN 데이터는 Table 4Table 5에 나타내었다.

Table 3. Information of areas(cities) for BIN data analysis

Area code

Area(City)

Latitude(N)

Longitude(E)

Altitude(m)

105

Gangneung

37.75

128.89

26

156

Gwangju

35.17

126.89

72

140

Gunsan

36.01

126.76

23

143

Daegu

35.83

128.65

53

133

Daejeon

36.37

127.37

69

165

Mokpo

34.82

126.38

38

159

Busan

35.10

129.03

70

108

Seoul

37.57

126.97

86

136

Andong

36.57

128.71

140

121

Yeongwol

37.18

128.46

241

152

Ulsan

35.58

129.33

83

112

Incheon

37.48

126.62

68

146

Jeonju

35.84

127.12

61

184

Jeju

33.51

126.53

20

192

Jinju

35.16

128.04

30

232

Cheonan

36.76

127.29

82

131

Cheongju

36.64

127.44

57

101

Chundheon

37.90

127.74

76

138

Pohang

36.03

129.38

2

Table 4. BIN hours during cooling season

Area

BIN hours for cooling season

Temp.

Total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Gangneung

769

124

115

95

93

81

66

65

47

37

24

15

6

1

0

0

Gwangju

1,141

143

162

164

170

142

121

94

68

43

21

10

3

0

0

0

Gunsan

971

169

180

169

142

104

80

60

37

19

7

3

1

0

0

0

Daegu

1,153

118

138

136

127

128

126

111

94

77

49

28

17

4

0

0

Daejeon

1,074

155

163

173

158

138

104

81

50

30

15

4

2

1

0

0

Mokpo

964

183

168

162

149

103

80

60

34

16

7

2

0

0

0

0

Busan

880

169

160

153

123

97

74

56

30

12

5

1

0

0

0

0

Seoul

1,063

166

171

175

158

136

103

72

45

23

9

4

1

0

0

0

Andong

989

146

146

143

134

113

99

76

57

41

24

9

2

0

0

0

Yeongwol

915

152

137

124

119

107

98

72

50

29

19

6

2

1

0

0

Ulsan

923

136

129

129

124

101

83

73

55

43

29

14

4

1

1

1

Incheon

866

195

185

166

126

82

53

31

15

6

5

2

0

0

0

0

Jeonju

1,164

142

152

162

158

147

118

98

77

54

33

14

6

2

1

0

Jeju

1,033

161

147

152

137

131

107

88

60

31

14

4

1

0

0

0

Jinju

1,039

153

155

164

141

116

102

77

53

40

22

10

5

1

0

0

Cheonan

1,023

155

159

162

146

121

102

84

50

27

12

4

1

0

0

0

Cheongju

1,160

151

173

169

169

144

121

95

68

40

21

7

2

0

0

0

Chundheon

1,005

154

152

152

133

125

106

77

51

32

15

6

2

0

0

0

Pohang

871

131

117

104

95

90

79

71

59

50

36

23

12

4

1

0

Table 5. BIN hours during heating season

Area

BIN hours for heating season

Temp.

Total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Gangneung

2,784

0

0

1

2

2

6

9

20

27

39

61

78

105

122

149

Gwangju

2,761

0

0

0

0

1

2

5

10

20

31

52

77

111

138

178

Gunsan

2,807

0

0

1

3

4

8

15

26

37

63

78

108

136

171

197

Daegu

2,767

0

0

0

1

1

3

6

11

18

33

51

76

100

118

152

Daejeon

2,808

2

2

6

8

12

21

37

49

66

84

101

124

146

172

186

Mokpo

2,771

0

0

0

0

0

0

1

3

7

17

29

51

82

118

171

Busan

2,684

0

0

0

1

0

1

1

2

7

14

24

33

51

75

90

Seoul

2,810

4

5

10

15

22

36

55

76

90

95

112

126

138

144

174

Andong

2,832

6

5

9

13

22

30

50

60

82

95

110

133

159

186

185

Yeongwol

2,845

39

22

30

42

47

59

71

83

96

113

136

145

153

174

187

Ulsan

2,738

0

0

0

1

1

1

3

6

12

20

38

56

74

94

133

Incheon

2,826

1

2

4

9

13

23

28

54

74

96

118

125

136

156

169

Jeonju

2,771

0

1

1

3

6

10

21

27

43

62

75

96

132

159

189

Jeju

2,616

0

0

0

0

0

0

0

0

0

0

0

0

0

1

9

Jinju

2,770

0

1

2

3

5

10

24

35

52

70

87

102

130

157

161

Cheonan

2,817

10

9

14

18

30

35

51

63

76

98

118

151

159

182

184

Cheongju

2,809

1

4

5

8

16

23

36

52

72

85

109

131

139

162

179

Chundheon

2,850

50

29

38

51

53

63

72

88

97

116

131

152

165

175

178

Pohang

2,735

0

0

0

1

1

2

4

7

11

25

40

57

78

95

116

Area

BIN hours for heating season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Gangneung

168

193

214

214

192

195

183

153

130

119

103

88

73

56

48

34

Gwangju

197

196

191

184

183

184

159

154

135

120

103

95

80

61

51

43

Gunsan

209

200

194

183

175

173

154

129

108

99

86

75

60

47

37

31

Daegu

181

191

195

200

193

193

178

171

148

125

102

88

80

65

48

39

Daejeon

185

193

182

163

164

157

137

114

94

95

83

65

51

44

36

29

Mokpo

216

205

221

210

199

199

170

160

140

125

109

89

89

65

53

42

Busan

112

132

146

166

184

190

198

213

193

170

168

141

117

96

89

70

Seoul

184

180

179

151

164

159

134

119

95

77

67

50

47

38

34

30

Andong

198

185

175

175

150

144

123

113

94

80

62

51

45

38

31

23

Yeongwol

175

180

161

144

136

123

101

90

72

60

53

42

37

31

22

21

Ulsan

159

174

184

188

198

185

197

186

160

148

126

107

91

79

63

54

Incheon

185

187

185

162

168

156

144

133

106

96

75

59

52

37

38

35

Jeonju

197

197

179

172

168

159

147

132

112

111

91

82

66

54

45

34

Jeju

18

61

100

166

209

219

236

243

229

216

221

192

156

130

112

98

Jinju

167

171

165

174

168

162

161

148

124

101

91

79

70

63

48

39

Cheonan

193

183

176

158

148

131

121

99

86

77

66

53

41

35

28

24

Cheongju

188

203

188

167

161

151

138

109

100

89

75

64

51

39

36

28

Chundheon

176

182

171

141

124

107

95

82

66

62

51

39

31

26

23

16

Pohang

145

177

181

190

196

191

189

188

177

151

125

105

94

77

61

51

2.3 수정된 BIN 데이터와 KS C 9306 국내 BIN 데이터 비교

KS C 9306에 제시된 BIN 데이터(1998~2007)와 최근 10년(2005~2014) 간의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제시한 BIN data를 비교하기 위해 냉난방 시간으로 나타내어 비교를 수행하였다. 이는 KS C 9306 기준에 명시된 국내 11개 지역에서의 냉방을 필요로 하는 총 냉방 발생시간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이며, 과거에 비하여 최근에 냉방을 필요로 하는 냉방 발생시간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다.

Table 6은 국내 11개 지역에서의 냉방을 필요로 하는 총 냉방 발생시간을 비교한 결과이며, 냉방 발생시간은 지역별로 최소 3시간(인천)에서 최대 162시간(대구)으로 증가하였으며, 과거에 비하여 지역별 평균값은 약 81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약 8.6%가 증가하였다.

Table 6. Comparison of cooling hours between KS C 9306 BIN data and updated BIN data

Area

Total Cooling hours(h)

Hours Increment

(h)

Rate of increase

(%)

1998~2007

2005~2014

Gangneung

682

769

87

12.8

Gwangju

1,065

1,141

76

7.1

Daegu

991

1,153

162

16.3

Daejeon

949

1,074

125

13.2

Mokpo

930

964

34

3.7

Busan

793

880

87

11.0

Seoul

985

1,063

78

7.9

Jinju

1,016

1,039

23

2.3

Incheon

863

866

3

0.3

Jeju

958

1,033

75

7.8

Cheongju

1,024

1,160

136

13.3

Total

10,256

11,142

886

8.6

Table 7은 국내 11개 지역에서의 난방을 필요로 하는 총 난방 발생시간을 비교한 결과이며, 과거 대비 난방을 필요로 하는 난방 발생시간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강릉 지역의 경우 총 난방시간이 22시간 증가하였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전체적으로 소폭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지역별 평균값은 약 49시간이 감소하였으며, 감소율은 1.7%로 나타났다.

Table 7. Comparison of heating hours between KS C 9306 BIN data and updated BIN data

Area

Total Heating hours(h)

Hours decrement

(h)

Rate of decrease

(%)

1998~2007

2005~2014

Gangneung

2,762

2,784

-22

-0.8

Gwangju

2,823

2,761

62

2.2

Daegu

2,831

2,767

64

2.3

Daejeon

2,847

2,808

39

1.4

Mokpo

2,826

2,771

55

1.9

Busan

2,771

2,684

87

3.1

Seoul

2,857

2,810

47

1.6

Jinju

2,811

2,770

41

1.5

Incheon

2,860

2,826

34

1.2

Jeju

2,707

2,616

91

3.4

Cheongju

2,852

2,809

43

1.5

Total

30,947

30,406

541

1.7

3. BIN 데이터 기반의 TAC 적용 결과

3.1 서울지역 최고/최저 온도 및 TAC 반영 온도 조건

앞서 정리된 최근 10년간 BIN 데이터를 기반으로 TAC를 고려한 냉난방 부하 산정을 위하여 서울지역의 BIN 데이터를 선택하였으며 최고/최저 및 TAC 1.0%, 2.5%, 5.0%를 적용한 온도 조건을 Table 8에 정리하였다. 서울 지역의 최근 10년간 평균 최고 온도는 34.4℃이며, 평균 최저 온도는 -14.1℃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에 대하여 냉방부하 선정을 위한 최고 온도 대비 TAC를 1.0%로 할 경우에는 평균온도가 30.9℃로 약 3.5℃ 낮아졌으며, 2.5%일 경우에는 4.0℃, 5.0%로 할 경우 6.5℃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난방부하 선정을 위한 최저 온도 대비 TAC를 1.0%로 할 경우에는 평균온도가 -9.8℃로 약 4.3℃ 높아졌으며, 2.5%일 경우에는 6.3℃, 그리고 5.0%로 할 경우 6.5℃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건물의 냉난방 부하를 선정할 때 해당지역의 최고 또는 최저 온도대비 TAC를 1.0%만 완화해도 시스템 용량 설계가 많이 줄어들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Table 8. TAC applied design temperature of Seoul area for recent 10 years

Year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Ave.

Cooling

Max. Temp.

34.7

34.4

32.7

35.1

34.1

33.4

33.7

36.2

33.6

35.7

34.4

TAC 1.0%

33.2

33.2

32

33.1

32.7

32.1

32.6

35

32.4

33.6

33.0

TAC 2.5%

32.4

32.5

31.5

32.1

31.8

31.7

32.1

34.3

32

33.1

32.4

TAC 5.0%

31.2

31.8

31

31.4

30.7

31.1

31.6

33.3

31.6

32

31.6

Heating

TAC 5.0%

-9.1

-7.8

-5.3

-7.3

-9

-10.8

-10.2

-10.6

-9.9

-7.7

-8.8

TAC 2.5%

-10.1

-9.3

-6.3

-8.4

-10.1

-12.6

-11.4

-12.1

-11.8

-8.7

-10.1

TAC 1.0%

-11.5

-11.6

-7

-9.8

-10.9

-13.6

-13.5

-13.8

-13.8

-9.9

-11.5

Min. Temp.

-13.6

-14

-8.6

-13

-12.7

-15.3

-17.7

-17

-16.3

-13.1

-14.1

3.2 BIN 데이터 기반의 건물 냉난방 부하 분석

BIN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물의 냉난방 부하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지역의 소형건물(100 m2)과 중형건물 (1,000 m2)을 선정하였다. 건물의 단열기준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3)의 중부지역 단독주택 기준을 활용하였다. 침기 및 환기 손실은 ASHRAE 62.1(2)의 사무용, 주거용, 상업용 건물을 참조하여 계산된 일반적인 수치인 0.5 ACH로 가정하였다. 실내 발열부하는 난방시 피크는 밤 또는 새벽 시간임을 가정하여 없음으로 설정하였고, 냉방피크시 발열부하는 20 W/m2으로 산정하였다. 부하계산에 이용된 상세정보는 Table 9에 나타내었다. 부하 계산방법은 ASHRAE HVAC fundamentals handbook 2001(2)의 냉난방 부하 계산 방법을 활용하였다. 위에서 제시한 건물 정보와 BIN 데이터 그리고 냉난방 부하 계산식을 통하여 서울 지역의 소형건물 부하를 계산한 결과는 Table 10Table 11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Fig.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Table 9. Building envelope and load specifications

Specifications

U-value(W/m2K)

Small Building(m2)

Large Building(m2)

Window ratio

Roof

0.150

100

1,000

0.000

Floor

0.220

100

1,000

0.000

Wall(South)

0.260

30

150

0.300

Wall(West)

0.260

30

60

0.150

Wall(North)

0.260

30

150

0.000

Wall(East)

0.260

30

60

0.150

Window

1.200

18

63

0.056

Ventilation load

Air change rate per hour

0.5

Internal load

Heating Season(W/m2)

Cooling Season(W/m2)

0

20

Table 10. Small building load calculation based on TAC applied BIN data

BIN weather data(Seoul)

Building(100 m2)

Mode

TAC

Design Temp.(℃)

Peak load(W)

Load per m2(W/m2)

Decrease rate(%)

Cooling

Maximum

34.4

7,151

71.51

-

TAC 1.0%

33

6,796

67.96

5.0

TAC 2.5%

32.4

6,644

66.44

7.1

TAC 5.0%

31.6

6,441

64.41

9.9

Heating

TAC 5.0%

-8.8

8,740

87.40

15.5

TAC 2.5%

-10.1

9,135

91.35

11.7

TAC 1.0%

-11.5

9,560

95.60

7.6

Minimum

-14.1

10,349

103.49

-

Table 11. Large building load calculation based on TAC applied BIN data

BIN weather data(Seoul)

Building(1,000 m2)

Mode

TAC

Design Temp.(℃)

Peak load(W)

Load per m2(W/m2)

Decrease rate(%)

Cooling

Maximum

34.4

54,358

54.36

-

TAC 1.0%

33

51,053

51.05

6.1

TAC 2.5%

32.4

49,636

49.64

8.7

TAC 5.0%

31.6

47,748

47.75

12.2

Heating

TAC 5.0%

-8.8

77,712

77.71

15.5

TAC 2.5%

-10.1

81,220

81.22

11.7

TAC 1.0%

-11.5

84,998

85.00

7.6

Minimum

-14.1

92,014

92.01

-

Fig. 1. Cooling and heating load on TAC ratio(100 m2on the left, 1,000 m2on the right).
../../Resources/sarek/KJACR.2017.29.9.463/fig1.png

부하 계산 결과 냉방부하에서 최고기온인 34.4°C를 설계온도로 부하계산을 한 경우 소형건물에서 7.2 kW의 중형건물에서 54.4 kW의 냉방 피크부하가 산정되었다. 또한 Fig. 1에서 TAC에 따른 냉난방 부하의 감소추이를 볼 수 있으며, Fig. 2에서는 이를 두 건물 모두 단위 부하로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TAC가 2.5%를 넘어서는 부분부터는 감소추이가 완만해지며, 이를 통해 권고 조건이 TAC 2.5%를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TAC 2.5%에서 냉난방 설계온도를 BIN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TAC 2.5%를 고려하였을 때 냉방 피크부하는 소형건물에서 6.6 kW로 중형건물에서 49.6 kW로 계산되었고, 소형건물에서 약 7.1%의 중형건물에서 약 8.7%의 피크부하가 감소되었다. 최저기온인 -14.1°C를 설계온도로 난방부하를 계산한 경우에는 소형건물에서 10.3 kW, 중형건물에서 92.0 kW의 난방 피크부하가 산정되었다. 설계온도를 BIN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TAC 2.5%를 고려하였을 때에는 소형건물에서 9.1 kW, 중형건물에서 81.2 kW로 피크부하가 계산되었고, 소형건물 및 중형건물에서 약 11.7% 피크부하가 감소되었다.

Fig. 2. Cooling and heating unit load on TAC ratio.
../../Resources/sarek/KJACR.2017.29.9.463/fig2.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KS C 9306을 기준으로 최근 10년간(2005~2014) 지역별 외기온도를 분석한 BIN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근 10년간의 냉난방시간을 기존 BIN 데이터로 계산한 결과와 정량적으로 비교를 수행하였다. 또한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최고/최저 온도 대비 건물에서의 냉난방 피크부하를 구하고, TAC를 반영하였을 때의 건물 냉난방 피크부하를 비교 검토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TAC 2.5% 반영한 건물에서 필요로 하는 냉난방 부하량을 비교해 보았으며, 본 논문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전국 19개 지역을 대상으로 최근 10년(2005~2014) 간의 기상자료를 기반으로 BIN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2) KS C 9306 기준에 명시된 과거 10년(1998~2007) BIN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최근 10년(2005~2014) BIN 기상자료와 냉난방 발생시간을 비교한 결과 냉방 발생시간은 평균 8.6% 증가되었으며, 난방 발생시간은 평균 1.7% 감소하였다.

(3) BIN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울지역의 최고/최저 온도 및 TAC 1.0%, 2.5%, 5.0%의 적용 온도를 도출하였고, 소형, 중형건물을 대상으로 냉난방 부하 산정 및 TAC 변화에 따른 냉난방 부하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4) 건물 냉난방 설비 용량 설계 시 TAC 2.5%를 반영하면 냉방부하는 7.1%(소형건물), 8.7%(중형건물) 감소하였고 난방부하는 11.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건물의 피크부하에 맞춰 냉난방 설비의 용량을 선정함에 있어서, 권고하는 최소 TAC 2.5%만 고려해도 냉난방 설비용량이 약 11.7% 가량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최근 자료를 통해 도출한 BIN 데이터와 TAC 적용에 의해 냉난방기 용량의 과설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후 기

본 연구는 2014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입니다(과제번호 : 20143030111010).

References

1 
2011,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Air-conditioners, KS C 9306:2011, Korean Standards Association.Google Search
2 
2001,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SHRAE HVAC fundamentals handbook.Google Search
3 
20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 for Buildings.Google Search
4 
Yoo H. C., Lee K. H., Kang H. G., 2009, Basic research on the Building Energy Load Depending on The Climate Chang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29, No. 3, pp. 66-70Google Search
5 
Kim D. C., Choi J. H., 1988, Development of Bin Weather Data for Simplified Energy Calculation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2, No. 5, pp. 28-32Google Search
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ather data in climate information, www.kma.go.krGoogle Search
7 
2016,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SNI/ASHRAE/IES Standard 90.1-Energy Standard for Buildings Except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