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국민대학교 기계공학부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 Seoul, 02702, Korea)
  2. 국민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02702, Korea)



축열식 칠러(Chiller with thermal storage), 칠러 우선 제어(Chiller priority control), 축열조 우선 제어(Thermal storage priority control), 구간제어(Region control),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

기호설명

A:열전달 면적 [m2]
a1···a5식(10)의 계수
Cp:정압비열 [kJ/kg·K]
Cost:전력 요금 [₩]
COP:칠러의 성능계수
dc:검사 체적의 수력 직경 [m]
D:심야 전력 요율 [₩/kWh]
e1···e6식(11)의 계수
f1···f6식(12)의 계수
g1···g3식(15)의 계수
FPLR:부분부하 운전시 소비전력 보정 계수
h:열전달계수 [kW/m2K]
hfg:축열재의 잠열 엔탈피 [kJ/kg]
j:시간 단계
kw:물의 열전도도 [kW/m·K]
Lc:검사 체적의 수력 수직 길이 [m]
m ˙ :질량유량 [kg/s]
MSPF:상변화 하는 축열재의 고체 질량 [kg]
n:최종 시간 단계
N:주간 전력 요율 [₩/kWh]
Nu:Nusselt 수, 순수 전도 열전달에 대한 대류 열전달의 비
PLR:부분부하율
Pr:Prandtl 수, 열확산계수에 대한 운동량확산계수의 비
Q ˙ :냉방능력 [kW]
R:전력 요금 [₩]
Re:Reynolds 수, 점성력에 대한 관성력의 비
SPF:잠열 축열재 전체 질량에 대한 고체상 잠열 축열재의 질량비
T:온도 [℃]
t:시간
U:총괄 열전달계수 [kW/m2·K]
V:부피 [m3]
W ˙ :소비전력 [kW]
W:소비전력 [kWh]
xst:총 축열량 대비 잔여 축열량의 비

그리스 문자

ρ:밀도 [kg/m3]

상첨자

*:최적 경로

하첨자

c:응축기
chl:칠러
cv:검사 체적
d:주간
e:증발기
ful:칠러 전부하
i:입구
j:시간단계
l:현열과정
load:부하
m:심야
max:최댓값
n:정규화
o:출구
opt:최적 운전
p:상변화 물질(PCM)
R:정격 기준
w:물
s:잠열과정
SPF:고상질량비
st:축열조
ref:축열조 설계 기준 용량

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냉방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냉방으로 인한 전력수요는 전체 전력수요의 23%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력 피크시 냉방부하는 전체 부하의 25%를 차지하고 있다.(1) 냉방에 필요한 전력은 여름철 고온 현상과 냉방 사용량 증가 등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전력 수급 안정화를 위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전력 사용이 적은 심야 시간에 칠러를 가동하여 냉열(잠열 혹은 현열)을 저장하였다가 전력 사용량이 많은 주간 냉방 시간에 저장한 냉열을 사용하는 축열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축열시스템으로 전력 사용량이 늘어나는 주간 시간대에 야간 전력을 사용하는 효과를 내어 전력 수급을 안정화 시킬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심야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열원기기의 운영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축열시스템의 기존 제어 방식은 주간 냉방부하를 처리하는 열원의 우선 순서에 따라 칠러 우선 방식과 축열조 우선 방식이 있다. 두 방식은 부분 축열 방식에서 저렴한 심야 전력 사용을 통해 기존 비축열 시스템 대비 경제적이지만, 열원기기의 최적 제어 운전기법 개선을 통한 경제적인 운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Kintner-Meyer et al.(2)와 Spethmann(3)은 에너지 요금 체계를 고려하여 칠러 우선 방식과 빙축열 우선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Braun(4)은 빙축열시스템에 대해 기존의 두 가지 제어 방식과 최적 운전 방식을 에너지 요금 체계를 고려하려 분석하였다. Lee et al.(5)는 칠러와 축열조의 설계 부하와 제어 방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Henze et al.(6)와 Braun(7)은 빙축열시스템의 에너지 비용 최소화 관점으로 문제를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Jung et al.(8)은 이론적 접근을 통해 빙축열시스템에서 냉방부하 크기에 따른 구간별 축열조와 칠러의 이용률을 정하여 칠러의 운전 효율과 축열조 사용율을 최적화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Chen et al.,(9) Henze et al.(10)와 Braun(11)은 동적계획법을 이용하여 비용 함수 최소화함으로써 최적 제어 경로를 결정하는 운전 전략을 개발하였다. 또한, Lee et al.(12,13) 동적계획법을 이용하여 운전비용을 최소화하는 최적제어방식과 냉동기 우선방식을 비교하여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보였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빙축열시스템에 대한 최적 제어에 대하여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냉방 잠열 축열재(Phase Change Material)가 적재된 축열조와 칠러로 구성된 시스템을 대상으로 냉방 시의 전력소모량과 전력 요금을 최적화하기 위한 축열조와 칠러의 제어 기법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잠열 축열재의 특성이 반영된 열전달 모델을 이용하여 축열조에서 열성능모델을 개발하였다. 칠러의 성능 분석을 통해 출수온도, 외기온도, 부분부하운전조건에서 소비전력을 예측할 수 있는 칠러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제어 실험과 개발된 축열조와 칠러의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하절기에 기존 제어방식과 구간제어법(Region control method), 동적계획법에 제어방식에 따른 칠러의 소비 전력량과 비용을 비교 분석 하였다.

2. 축열식 칠러시스템 실험

축열식 칠러시스템의 개략도는 Fig. 1과 같고, Fig. 2에 시스템 사진을 나타내었다. 시스템은 축열조, 칠러, 냉방부하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축열조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칠러 하류방식을 적용하였다.(14) 시스템의 주요지점에 RTD(pt100 Ω) 온도 센서(0.1℃ 정밀도)와 질량 유량계(0.15% 정밀도)를 설치하였으며, 칠러의 소비전력은 전력계(1.0% 정밀도)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각각의 위치는 Fig. 1에 나타냈다. 측정된 데이터는 데이터 로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저장되고, 이를 이용해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experimental system.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1.png

Fig. 2. The picture of the experimental system.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2.png

냉방부하장치는 실제 부하를 모사하기 위해 항온수조와 인버터로 유량 조절이 가능한 펌프를 설치하여 냉방부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축열조와 칠러에 설치되어 있는 삼방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축열조와 칠러로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하였고, 축열조와 칠러에서 출수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사용된 칠러는 공랭식이며, 세부 사양은 선행연구에 제시되어 있다.(15) 시스템의 측정 및 제어프로그램은 Labview(16)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축열조 내부에 적재된 잠열 축열재의 물질은 유기질이며, 상변화 온도는 4℃, 잠열 열량은 252.3 kJ/kg이다. 잠열 축열재은 두께 0.1 mm의 폴리머 재질의 필름으로 사각판 형상으로 팩킹되어 있다. 팩 하나의 무게는 1 kg이고 크기는 250×310×17.3 mm이다.(17)

본 연구의 축열식 칠러시스템의 축열조 사양은 Table 1과 같으며, 축열조 내부에 잠열 축열재 팩을 수직으로 세워서 높이 방향으로 6층, 깊이 방향으로 8층, 폭 방향으로 28층으로 적층하여 총 324개의 잠열 축열재가 설치되었다. 잠열 축열재의 현열 및 잠열량 그리고 물의 현열량을 고려해 축열조 용량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가상 부하의 설계일 평균 냉방부하의 40%를 축열조가 담당하도록 부분축열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Table 1. Specification of Thermal storage tank

Parameter

Size

[mm]

Volume

[L]

Number of packing

PCM

Latent heat capacity

[kJ]

Total heat capacity

[kJ]

Specification

1,400(w)×500(L)×1,500(H)

1,050

324

73,000

98,000

제어 실험에서 이용되는 하절기 냉방부하는 서울지역 사무용 건물을 표준 모델(18)을 기반으로 TRNSYS를 이용해 계산하였다. 기상자료는 한국 태양에너지학회에서 ISO TRY 프로그램으로 산출한 대한민국 표준기상 데이터를 이용했다.(19)

하절기 냉방기간 중 설계부하 대비 100%, 80%, 60% 부하에 가까운 특정일 3일을 선정하여 대표 가상부하패턴을 도출하였으며, 3가지 부하패턴에 따라 실험 장치의 가상부하량을 조절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냉방 운전시 시스템 순환유량은 10 LPM으로 고정하였고, 부하 변동에 따른 용량제어를 위해 축열조 입구온도, 즉 부하 환수 온도를 12℃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각 열원의 용량 조절은 3방 밸브를 이용해 칠러와 축열조로 흐르는 유량을 제어 하였다. 축열조 냉방능력( Q ˙ st)과 칠러 냉방능력( Q ˙ ht)은 시스템 순환 질량유량과 각 열원에서 2차 유체의 온도차를 이용해 구하였다.

(1)
Q s t ˙ = m ˙ C p , w ( T s t , i - T s t , o )

(2)
Q c h l ˙ = m ˙ C p , w ( T c h l , i - T c h l , o )

(3)
Q l o a d ˙ = Q s t ˙ + Q c h l ˙

소비전력의 경우에는 야간 축열 소비전력과 주간 냉방 소비전력으로 나뉜다. 야간 소비전력은 축열조를 축열하는 과정에서의 전력 데이터를 측정하였고, 주간 소비 전력량은 주간 냉방 실험의 칠러의 전력 데이터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전력 요금은 소비 전력량에 주간 전력 요율(D)와 심야 전력 요율(N)(20)을 곱해 계산하였고, 기본요금은 부하 및 제어방식별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4)
C o s t = W c h l , m N + W c h l , d D

3. 축열식 칠러의 제어 성능 시뮬레이션 모델

3.1 축열조 해석 모델

본 연구의 축열조 모델은 앞서 설명한 시스템의 실제 축열조를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축열조 해석 모델은 잠열 축열재의 단상 상태의 현열전달과정, 상변화 온도에서의 잠열전달과정으로 구분된다. 잠열 축열재의 현열 열전달 과정의 경우, 잠열 축열재팩과 순환수 사이의 열전달관계식은 식(5), 식(6)과 같으며, 온도변화에 따른 잠열 축열재팩과 물에 대한 에너지 평형식으로 지배방정식을 나타내었다.

(5)
ρ p V p , c v C p , p d T p d t = U s A p ( T p - T w , i )

(6)
ρ w V w , c v C p , w d T w d t = U s A p ( T w , o - T p ) + m w ˙ C p , w ( T w , i - T w , o )

여기서 Us는 잠열 축열재팩과 순환수 사이의 현열 총괄 열전달계수를 나타내며, 잠열 축열재팩과 순환수 사이의 외부 대류 열전달계수와 잠열 축열재팩 내부 전도열 전달계수로부터 정의되고, 필름의 전도열저항은 무시하였다. 현열 열전달과정에서 잠열 축열재의 물성치는 냉방용 잠열 축열재의 성상에 따라 특성 값을 사용하였다.(21)

식(7), 식(8)은 잠열전달과정 관계식을 나타내며, 잠열 구간에서 변화하는 잠열 축열재의 고상 질량비를 반영한 에너지 평형식과 잠열 축열재팩과 순환수 사이의 에너지 평형식을 나타내었다.

(7)
h f g d M S P F d t = U s A p ( T w , o - T p ) + m w ˙ C p , w ( T w , i - T w , o )

(8)
ρ w V w , c v C p , w d T w d t = U l A p ( T w , o - T p ) + m w ˙ C p , w ( T w , i - T w , o )

여기서 Ul는 잠열 축열재가 잠열 과정일 때, 잠열 축열재팩과 순환수 사이의 외부 대류 열전달계수와 상변화하는 내부 열전달계수를 반영한 총괄 열전달계수이다. 잠열 축열재팩과 순환수 사이의 외부 대류 열전달계수는 적재된 잠열 축열재 팩들 사이의 채널 유동 모델에서 층류 조건을 가정하여 식(9)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9)
N u = h w L c k w = 3 . 66 + 0 . 0656 ( d c L c ) R e P r 1 + 0 . 04 [ ( d c L c ) R e P r ] 2 3

잠열전달과정에서 내부 열전달계수는 잠열 축열재의 고상질량비(SPF, solid packing factor)에 따라 축열과 방열 시 다른 값을 가지며,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값을 식(10)Table 2에 나타내었다.(15) 고상질량비(SPF)는 잠열 축열재 팩내의 잠열 축열재 전체 질량에 대해 고체상의 잠열 축열재의 질량비로 정의된다. 팩 내부의 잠열 축열재가 모두 액체일 때는 0, 모두 고체일 때는 1의 값을 가진다.

(10)
h S P F = a 1 + a 2 ( S P F ) + a 3 ( S P F ) 2 + a 4 ( S P F ) 3 + a 5 ( S P F ) 4

Table 2.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PCM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es

Coefficient

a1

a2

a3

a4

a5

Charging

51.0

0.500

-154

235

-121

Discharging

5.00

141

-300

370

-143

개발된 축열조 모델을 MATLAB 프로그램(22)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잠열 축열조에서 수행한 축열 및 방열 성능 실험 결과 중, 축열조의 누적 축열 또는 방열량과 출수 온도를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Fig.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는 10분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실험 및 시뮬레이션은 약 10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축열 과정에서 축열조의 초기 내부 온도는 12℃이며, 공급되는 물 온도는 1℃이며, 축열조의 출수 온도가 1℃에 도달하면 축열이 종료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방열과정에서 공급되는 물의 온도는 12℃이며, 축열조의 출수 온도가 12℃가 되면 방열과정이 종료된다.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축열량과 축열조의 출수온도를 잘 예측할 수 있으며, 방열량은 Table 1에서 추산한 값과 일치하였다.

Fig. 3. Comparison of simulation results to experiment result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of thermal storage.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3.png

3.2 칠러 해석 모델

칠러 제조사의 성능맵을 이용하여, 칠러의 출수온도(Te)와 외기 온도(Tc)를 변수로 갖는 2차 다항식으로 칠러의 압축기 전부하 냉방능력과 소비전력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식(11), 식(12)의 계수들은 Table 3에 나타냈다.(15) 정격조건은 외기온도 5℃, 출수온도 7℃이다.

(11)
Q F ˙ Q R ˙ = e 1 + e 2 T e + e 3 T c + e 4 T e 2 + e 5 T e T c + e 6 T c 0 . 8

(12)
W F ˙ W R ˙ = f 1 + f 2 T e + f 3 T c + f 4 T e 2 + f 5 T e T c + f 6 T c 0 . 2

Table 3. Coefficients of chiller model

Coefficient

e1

e2

e3

e4

e5

e6

Chiller capacity [-]

-1.88

-0.0679

0.0189

0.000674

-0.000537

0.000292

Coefficient

f1

f2

f3

f4

f5

f6

Power consumption [-]

-0.123

-0.0689

0.068

-0.000938

0.00153

-0.00021

Coefficient

g1

g2

g3

FFLR [-]

0.1496

0.7984

0.0762

칠러는 건물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운전되기 때문에 대부분 부분부하조건에서 운전된다. 칠러의 부분부하율(PLR)은 실제 칠러 운전 시 발생하는 냉방 능력과 압축기 전부하에서의 냉방능력비로 정의되며, 식(13)과 같이 표현된다. 부분부하 운전시 칠러의 소비전력은 식(14)와 같이 압축기 전부하 소비전력과 부분부하 보정계수(FPLR)로 예측할 수 있다.

(13)
P L R = Q ˙ / Q F ˙

(14)
F P L R = W ˙ / W F ˙

부분부하율이 증가함에 따라 부분부하 보정계수는 증가하며 부분부하율이 1.0에 도달하면, 압축기 전부하에서의 소비전력과 같게 된다. 칠러의 부분부하 운전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부분부하 보정계수를 식(15)에 나타냈으며, 계수들은 Table 3에 나타냈다. 부분부하 보정계수는 Fig. 4와 같이 실험데이터를 곡선 맞춤하여 구하였다.

(15)
F P L R = g 1 ( P L R ) 2 + g 2 ( P L R ) + g 3

Fig. 4. Correction factor for part load ratio.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4.png

개발된 칠러 모델을 이용하여 칠러의 소비전력을 예측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칠러의 출수온도와 외기온도 조건에서 전부하 냉방능력과 전부하 소비전력을 식(11), 식(12)로부터 구한다. 냉방부하에 대응하여 부분부하 운전하는 칠러의 냉방능력으로부터 식(13)과 같이 부분부하율을 계산하고, 식(15)의 부분부하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주어진 작동조건과 실제 냉방능력에서 칠러의 예측 소비전력은 식(14)를 이용해 부분부하 보정계수와 전부하 소비전력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Fig. 5에는 실험에서 측정한 칠러의 소비전력과 칠러 모델을 통해 예측된 소비전력을 비교하였다. 칠러 모델이 오차 범위 10% 내로 실험값을 예측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5. Comparison of predicted power consumption to experiment.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5.png

3.3 제어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된 축열조와 칠러 모델을 이용하여 칠러-축열시스템의 제어 모드를 구성하여, 하절기(6~9월) 동안 부하 변동과 외기 온도 변화에 따라 제어방식 별 성능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심야 시간의 축열 운전은 심야 전력 요금이 적용되는 22시부터 다음 날 08시까지, 냉방 운전은 08시부터 18시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하였다. 냉방 운전 시, 부하 변동에 따른 용량 제어는 2장의 실험 방식과 동일하며, 주어진 냉방부하에 대응하기 위한 칠러와 축열조의 냉방능력은 각각의 제어 방식 특성에 따라 다르게 할당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제어방식은 기존 제어 방식(축열조 우선 방식, 칠러 우선 방식)과 구간 제어 방식, 동적계획법을 이용한 제어 방식이다.

축열조 우선 방식의 경우, 냉방부하 증가에 따라 축열조가 먼저 부하를 처리하고, 초과된 냉방부하를 칠러가 처리하는 방식이다. 칠러 우선 방식은 축열조 우선 방식과 반대로 냉방부하를 칠러가 먼저 처리하고, 초과된 나머지 냉방부하를 축열조가 대응하는 방식이다.

구간 제어 방식은 기존 두 가지 제어 방식의 장점을 조합한 제어 방식이다. 냉방부하 크기에 따라 5개의 제어구간으로 나누고, 축열조와 칠러의 냉방능력을 결정하여 운전한다. 각 구간별 운전범위를 구간 1~5로 구분하여 Fig. 6에 나타냈다. 각 구간의 경계 기준은 축열조 설계 기준 방열율( Q ˙ st,ref), 칠러 최적 능력( Q ˙ chl,opt), 칠러 전부하 능력( Q ˙ chl,ful)이다. 기준 방열율은 축열조의 축열량을 총 방열 시간(10h)을 통해 일정하게 방열될 때의 시간당 방열량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냉방 설계 부하의 40%이며, 칠러 전부하 능력은 냉방 설계부하의 60% 정도이다. 칠러 최적능력은 축열조 이용률과 칠러의 부분부하율 변동에 따른 운전비용이 최소가 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절기동안 구간 제어법에 의해 전력비용이 최소로 발생하는 칠러 최적능력에서의 부분부하율을 일평균 부하로 Fig. 7에 나타내었다. 부하의 크기에 따라 칠러의 부분부하율이 70~90% 범위 내에서 변동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칠러의 최적능력에서 부분부하율을 76%로 일정하게 설정하였다. 첫 번째 구간에서는 냉방부하가 기준 방열율 이하일 때까지 축열조가 단독으로 부하를 담당하고, 구간 2에서는 냉방부하가 칠러 최적능력 이하에서 칠러가 단독으로 운전한다. 구간 3에서는 칠러가 최적능력으로 유지되고, 축열조가 나머지 부하를 처리한다. 구간 4에서 축열조는 기준 방열율을 유지하고, 나머지 부하를 칠러가 처리한다. 마지막 구간의 경우, 부하 크기 상승에 따라 칠러는 전부하능력을 유지하고, 축열조의 방열율을 상승시켜 부하를 처리한다.

Fig. 6. Schematic diagram of region control method.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6.png

Fig. 7. Part load ratio at optimal cooling capacity with respect daily average cooling load ratio for region control.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7.png

최적제어기법 중 하나로 동적계획법을 이용하여 전력 요금이 최소가 되는 칠러와 축열조의 운전 스케줄을 수립하였다. 동적계획법은 미리 냉방부하를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반복계산을 통해 조합되는 경로 중에서 최소비용 경로를 선택하며, 매 시간단계마다 최적의 칠러와 축열조 냉방능력을 계산한다.

총 냉방 시간을 n단계로 나누고, n단계부터 임의의 j단계까지의 최소 비용 경로를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n단계에서 j단계까지의 최소 전력비용은 n에서 j+1단계에서의 최소 전력 요금과 j단계에서의 전력비용의 합의 최소값으로 결정된다. 임의의 j단계에서의 전력 요금은 칠러와 축열조의 각각의 냉방능력에 대한 전력 요금의 합으로 계산한다. 반복 계산을 통해 최종 단계에서 열원의 냉방능력에 대한 비용이 최소가 되는 최적 경로를 구한다. 최적 경로에서 각 단계에서의 냉방능력을 조합하면 최적 운전 계획이 된다.

(16)
C o s t j , n * ( x s t ( j ) , Q ˙ l o a d ( j ) ) = m i n R j + 1 , j + C o s t j + 1 , n * ( x s t ( j + 1 ) , Q ˙ l o a d ( j + 1 ) )

(17)
R j , j + 1 = C o s t d ( Q ˙ c h l ( j ) ) + C o s t m ( Q ˙ s t ( j ) ) ,     1 j n

동적계획법을 통해 최소 비용이 되는 냉방능력을 찾기 위해서는 제한 조건이 필요하다. 주어진 냉방부하조건에 대응하기 위한 축열조와 칠러의 냉방능력의 제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8)
Q ˙ l o a d ( j ) = Q ˙ c h l ( j ) + Q ˙ s t ( j )

(19)
0 Q ˙ s t ( j ) Q ˙ s t , m a x ( x s t ( j ) )

(20)
0 Q ˙ c h l ( j ) Q ˙ c h l , m a x ( T w ( j ) , T o ( j ) )

(21)
0 x s t ( j ) 1

냉방부하는 칠러와 축열조 냉방능력의 합과 같고, 축열조와 칠러의 냉방능력은 각각 최대 방열율과 전부하 냉방능력이하이다. 또한 총 축열량 대비 잔여축열량의 비의 범위는 0부터 1까지이며, 0일 때 축열조의 축열량이 없는 상태이고, 1일 때는 최대 축열량으로 축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11)

4. 축열식 칠러의 제어 성능 해석

4.1 부하에 따른 제어 성능 분석

설계 냉방부하 대비 100%, 80%, 60%일 때 축열조 우선 방식, 칠러 우선 방식, 구간 제어 방식에 따른 칠러와 축열조 냉방능력 실험결과를 설계일의 평균 냉방부하 용량으로 나누어 Fig. 8에 나타냈다. 칠러와 축열조 냉방능력을 합하면 부하와 일치한다. 세 가지 운전 방식 모두 운전 후반부에 축열조의 냉방능력이 감소함에 따라 냉방부하 대비 칠러의 냉방능력이 증가한다. 이는 잠열 축열조의 축열량이 작아지면서 순간 방열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Fig. 8. The cooling capacity of thermal storage and chiller for various load conditions.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8.png

100% 부하조건에서 축열조 우선 방식의 경우 초기의 높은 축열조 냉방능력으로 인해, 운전 후반부에는 축열조의 냉방능력이 감소하며, 축열조의 축열량을 대부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열조의 평균 냉방능력은 0.38로 세 방식 중에 가장 크다. 칠러 우선 방식에서 칠러의 냉방능력은 부하 변동에 따라 변화가 적으며, 운전 중반부에 부하가 증가하여 축열조의 냉방능력이 커진다. 축열조의 평균 냉방능력은 0.31로 가장 작은 값을 보인다. 구간 제어 방식의 축열조 평균 냉방능력은 0.36으로 기존 제어 방식의 중간에서 운전된다. 제어 방식들의 총 냉방부하가 동일하기 때문에, 칠러의 평균 냉방능력은 축열조 평균 냉방능력의 역순이다. 설계일 평균냉방부하 대비 100%에서 구간 제어 방식은 구간 5와 구간 4에서 운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0% 냉방부하 조건에서 칠러 우선 방식은 100% 냉방부하 조건과 비교했을 때, 칠러 냉방능력은 비슷하지만, 축열조 방열능력이 0.22로 감소한다. 축열조 우선 방식의 경우, 칠러의 냉방능력은 0.58로 감소되며, 축열조의 평균 냉방능력은 0.36으로 높게 유지된다. 구간 제어 방식은 부하가 작은 운전초반부에는 부하 변동에 따라 축열조의 냉방능력이 변한다. 운전 후반부에는 부하 증가에 따라 축열조 냉방능력은 유지되고, 칠러의 냉방능력이 변동한다. 구간 제어 방식은 기존 방식 중에서 칠러 우선 방식에 더 가깝게 운전된다. 이는 냉방부하가 구간3과 구간4에서 변동되고, 이에 따라 칠러의 냉방능력이 칠러의 최적 운전 냉방능력과 전부하 냉방능력 사이에서 운전되어 칠러 우선방식과 유사하게 운전되기 때문이다.

설계일 평균 냉방부하 대비 60%의 결과에서 축열조 우선방식의 축열조 냉방능력은 부하 감소에도 불구하고 높지만, 100% 냉방부하와 비교했을 때, 칠러의 평균 냉방능력은 0.27까지 낮아진다. 칠러 우선 방식은 부하가 큰 운전 중반을 제외하고 축열조가 부하를 처리하지 않으며, 칠러가 평균 0.61로 단독으로 운전된다. 구간 제어 방식은 운전 중반부까지는 칠러가 최적운전율로 운전되고, 후반부에 부하 감소에 따라 축열조의 냉방능력이 늘어나 단독 운전한다. 이에 따라 부하를 분담하는 경향이 축열조 우선 방식에 더 가깝게 나타난다.

Fig. 9Fig. 10은 제어방식에 따른 일 소비 전력량 및 전력 요금을 각각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한 것이다. 냉방부하 100%에서의 축열조 우선 방식 결과를 기준으로 소비 전력량과 전력 요금을 나누어 나타내었다. 주간 소비 전력량은 주간 냉방시 칠러의 소비 전력량이고, 야간 소비 전력량은 낮 동안 사용된 축열조의 방열량만큼 재충전하기 위해 필요한 칠러의 소비 전력량이다.

Fig. 9. Experimental power consumption and electric cost for various control methods according to load size.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9.png

Fig. 10. Simulated power consumption and electric cost for various control methods according to load size.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10.png

냉방부하 100%의 경우, 제어 방식 모두 축열조와 칠러의 냉방능력이 설계 능력에 근접해 소비 전력량의 차이가 적다. 부하가 작아지면 제어방식별로 차별성을 가진다. 냉방부하 60%의 경우 칠러 우선 방식의 소비전력은 다른 제어 방식 보다 가장 낮다. 이는 주간 냉방 운전시 칠러가 고 부분부하율로 운전되어 주간 소비 전력 측면에서 가장 효율이 좋기 때문이며, 또한 칠러의 단독 운전으로 야간 소비 전력량이 소모되지 않는다.

축열조 우선 방식의 경우, 냉방 운전시 칠러의 냉방능력이 낮아 부분부하율이 가장 낮기 때문에 다른 제어 방식보다 소비 전력량이 크다. Fig. 8에서와 같이 부하 크기에 따라서 축열조 우선 방식의 축열조 냉방능력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부하가 감소한다는 것은 외기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부하 감소로 인한 칠러의 야간 소비 전력량은 작아지게 된다. 부하감소로 칠러의 냉방능력이 감소하므로, 주간 소비 전력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낮은 부분부하 운전율로 전체 소비전력은 다른 제어방식에 비해 가장 크다.

구간제어 방식과 동적계획법 방식은 야간 축열량이 축열조 우선방식보다는 작지만, 칠러 우선방식 보다는 크다. 칠러의 야간 운전시 전부하 운전과 외기온도 저하 효과로 주간운전에 비해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부하 80% 조건에서 구간제어 방식과 동적계획법 방식은 칠러 우선방식에 비해 효율이 좋은 야간 운전율이 증가하여 전체 소비 전력량은 소폭 감소하게 된다. 부하 60% 조건에서는 주간운전시 부분부하율이 낮아, 칠러 우선방식에 비해 전력 소비량이 많았다.

전력 요금 측면에서는 한국전력공사에서 제공하는 심야 전력이 주간 전력보다 요금이 더 저렴하므로, 전체 소비전력에서 심야 소비 전력량의 비중이 클수록 전력요금은 낮아지게 된다. 설계 냉방부하 100% 조건의 경우, 구간제어 방식과 동적계획법 방식의 전력 요금이 가장 낮지만, 제어 방식 모두 심야 전력과 주간 전력 소비량이 비슷하여 6% 이내로 차이가 적다.

냉방부하 80%의 경우, 축열조 우선방식은 가장 많은 전력을 소비하지만, 야간 소비 전력량의 비중이 커 오히려 칠러 우선 방식에 비해 더 작은 전력요금을 보였다. 칠러 우선방식의 소비 전력량은 낮은 수준이지만, 칠러의 주간 운전율이 높아 전력 요금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구간제어 방식과 동적계획법 방식은 주간 운전 효율과 심야 전력 사용율이 높아, 전력 요금이 가장 낮다. 동적계획법 방식이 가장 낮은 전력요금을 보였으며, 축열조 우선 방식 보다 10%, 칠러 우선 방식보다 11%, 구간제어 방식보다 약 4.8% 낮았다.

부하 60%의 경우, 축열조 우선 방식은 값싼 심야 전력 비중이 높지만, 칠러의 주간 소비 전력량이 크기 때문에 전력 요금이 가장 높다. 칠러 우선 방식은 값싼 심야 전력을 사용 하지 않았지만, 주간 전력 또한 낮아, 전력 요금이 축열조 우선 방식보다는 낮았다. 구간제어 방식과 동적계획법 방식은 축열조 우선 방식 보다 주간 운전 효율이 높고, 칠러 우선 방식보다 심야 전력 사용량이 높다. 전력 요금측면에서 동적계획법 방식은 축열조 우선 방식 보다 13.7%, 칠러 우선 방식보다 8%, 구간제어 방식보다 0.1% 낮았다. 부하의 크기와 제어 방식별로 진행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실험결과를 잘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부하조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칠러 우선 방식, 축열조 우선 방식, 구간제어 방식 그리고 동적계획법 방식에 대해 하절기(6~9월) 동안의 제어 성능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Fig. 11에는 하절기 동안의 월별 평균 소비 전력량과 전력 요금을 8월의 축열조 우선 방식의 값을 나누어 나타내었다. 고부하를 보이는 8월에는 기존 제어 방식 보다 구간제어 방식과 동적계획법 방식의 총 소비 전력량이 가장 낮다. 중부하에 해당하는 7월에서 구간제어 방식과 동적계획법 방식의 소비 전력량은 칠러 우선 방식과 비슷하지만, 전력 요금 측면에서는 가장 경제적이다.

Fig. 11. The power consumption and electric cost for various control methods during summer season.
../../Resources/sarek/KJACR.2017.29.11.592/fig11.png

축열조 우선 방식의 경우, 낮은 부분부하율로 인해 소비 전력량이 다른 방식 대비 높게 나타나지만, 심야 전력의 비중이 높아, 전력 요금은 칠러 우선 방식과 비슷하였다. 저 부하인 6월과 9월에서도 구간제어 방식과 동적계획법 방식의 소비 전력은 칠러 우선 방식 보다 큰 전력 소비량을 보이지만, 전력 요금은 가장 낮았다.

하절기 전체에 걸쳐 수행한 시뮬레이션 결과, 칠러의 최적 부분부하율을 이용하는 구간제어 방식과 최소비용 경로를 탐색하는 동적계획법 방식에 의해 축열조 이용률과 칠러의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동적계획법 방식이 칠러 우선 방식 대비 6.5%, 축열조 우선 방식 대비 8.9%, 구간제어 방식 대비 0.6% 비용이 절감되었다. 두 제어 방식이 전력 요금 측면에서 저렴한 야간 전력 요율로 인하여 기존 제어 방식 보다 경제적임을 확인하였다. 실제 칠러-축열시스템에서 동적계획법 방식을 운전하기 위해서는, 운전시 미리 냉방부하 패턴을 예측하여야 한다. 따라서 실제 활용도 측면에서는, 동적계획법 방식과 유사하게 경제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구간제어 방식이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여겨진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잠열 축열조와 칠러로 구성된 냉방시스템에서 축열조 우선 방식, 칠러 우선 방식, 구간제어 방식, 동적계획법 방식에 대해 제어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칠러의 주간과 야간 운전시 냉방능력, 소비전력을 분석하고 전력요율에 따른 전력 요금을 분석하였다.

축열조 우선 방식은 칠러의 주간 운전 효율이 낮아 소비전력이 증가하여 높은 전력 요금을 나타내었고, 칠러 우선 방식은 낮은 축열조 이용률로 인해 주간 칠러 운전율이 높아 높은 전력 요금을 나타내었다. 구간제어 방식은 칠러의 최적 부분부하율을 이용한 운전 특성으로 인해 전력 요금이 절감되었고, 동적계획법 방식도 최소 비용 경로를 탐색하는 운전 특성으로 인해 전력 요금이 절감되었다. 두 최적 제어 방식 모두 칠러 우선 방식보다는 축열조 이용률이 높고, 축열조 우선 방식보다는 칠러의 운전 효율이 높아 더 경제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절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력 요금을 분석한 결과, 동적계획법 방식이 칠러 우선 방식 대비 6.5%, 축열조 우선 방식 대비 8.9%, 구간제어 방식 대비 0.6% 비용이 절감되었다. 최적 제어방식인 구간제어 방식과 동적계획법 방식이 유사한 전력 요금 결과를 나타내었고, 기존 제어 방식과 비교해서 최적 제어 방식이 전력 요금 측면에서 경제적임을 확인하였다.

후 기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No.20132010101780).

References

1 
Seo I. Y., Lee S. E., Park Y. K., 2013, Characteristics of summer load peak in Korea, Proceedings of the CICS, pp. 424-425Google Search
2 
Kintner-Meyer M., Emery A. F., 1995, Cost optimal analysis and load shifting potentials of cold storage equipment, ASHRAE Trans, Vol. 101, No. 2, pp. 539-548Google Search
3 
Spethmann D. H., 1993, Application considerations in optimal control of cool storage, ASHRAE Trans, pp. 1009-1015Google Search
4 
Braun J. E., 1992, A comparion of heat pump-priority, storage priority, and optimal control of an ice-storage system, ASHRAE Transactions : Symposia, pp. 893-902Google Search
5 
Lee D. Y., Jung S. H., Kang B. H., 1999,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inimum capacity of an ice-on-coil thermal storage system for various operation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1, No. 3, pp. 401-413Google Search
6 
Henze G. P., Dodier R. H., Krarti M., 1997, Development of a predictive optimal controller for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HVAC&R Research, Vol. 3, No. 3, pp. 233-264DOI
7 
Braun J. E., 2007, A near-optimal control strategy for cool storage systems with dynamic electric rates, HVAC&R Research, Vol. 13, No. 4, pp. 557-580DOI
8 
Jung S. H., Lee D. Y., Kang B. H., Kim W. S., 2000, Control strategy for economic operation of an ice-storage system considering cooling load variation,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2, No. 2, pp. 140-149Google Search
9 
Chen H. J., Wnag D. W. P., Chen S. L., 2005, Optimization of an ice-storage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dynamic programming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5, pp. 461-472DOI
10 
Henze G. P., Biffar B., Kohn D., Becker M. P., 2008, Optimal design and operation of a thermal storage system for a chilled water plant serving pharmaceutical build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and Buildings, Vol. 40, pp. 1004-1019DOI
11 
Kirk H. D., Braun J. E., 199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rule-based control strategy for ice storage system, HVAC&R Research, Vol. 2, No. 4, pp. 312-336Google Search
12 
Lee K. H., Choi B. Y., Joo Y. J., Lee S. R., Han S. H., 2000, Optimal scheduling of ice storage system with prediction of cooling load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2, No. 11, pp. 982-993Google Search
13 
Lee K. H., Choi B. Y., Lee S. R., 2008, An Evaluation of heat pump control strategy in ice storage system for cost-saving operation,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0, No. 2, pp. 97-105Google Search
14 
Jung C. S., 1993, Ice storage system, Korean J.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 Vol. 22, No. 2, pp. 101-108Google Search
15 
Lee C. S., 2015, A study on optimal control methods for cooling of heat pump and latent heat storage system, Ph. M. thesis.,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Kookmin University.Google Search
16 
LabVIEW 2012 SP1, National Instruments Company.Google Search
17 
Kim D. J., Jung W. S., Chang Y. S., Kang B. H., 2017, Heating performance analysis of the region control method for heat pump with thermal storage system,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in press).Google Search
18 
Seok H. T., Kim K. W., 2001,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of design parameters and development of load prediction equations of office building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3, No. 9, pp. 914-921Google Search
19 
KSES , 2013, Korean Standard Weather data,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Google Search
20 
2013, KEPCO Selective Terms of Suppl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Google Search
21 
Arnold D., 1991,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ice capsules for encapsulated cool storage systems, Proceedings of the ASME/JSME Thermal Engineering Conf., Vol. 3, pp. 335-341Google Search
22 
MATLAB 2016b, Mathworks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