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40층 공동주택의 각 세대 주방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배기하기 위해, 설치된 공용 수직덕트시스템으로 인해 발생되는 배기불량현상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말단에 송풍기가 설치된 공용 수직덕트시스템에 대한 전산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배기성능이 감소되는 경우는 송풍기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각 층별로 200 CMH의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회전수를 구하였고 각 세대별로 요구되는 풍량 만을 배출하기 위해 필요한 차압의 크기를 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3.2 공용 수직덕트의 배기성능
40층 공동주택의 최대 배기풍량은 송풍기의 임펠러 회전속도가
Fig. 6과 같이 1,380 rpm일 때, 3,000 CMH이다. 이는 동시사용율을 고려하여 15개 층에서 동시 배기되는 풍량이며
Table 2와 같이 3,000 CMH가 배출하는 조건을 5종류로 구분하여 계산한 결과, 저층부 15개 층이 연속적으로 배기되는 Case 1의 경우,
Fig. 7과 같이 1층에서 배기풍량이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Case 1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조건 모두 하부영역에 위치한 세대의 배기풍량이 층별 배기풍량인
200 CMH를 배기하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이 고층부인 최상층부 15개 층에서 연속배기하는 경우, 하부영역에 위치한 세대에서도 세대별 요구 배기풍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배기조건에 관계없이 15개 층에서 배기되는 풍량의 합계는 3,000 CMH이 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배기조건에 관계없이 상부에 위치한 세대의 배기량은 층별 요구 배기풍량은 200 CMH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하부영역에서 발생되는
배기불량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은 공용 수직덕트 또는 세대별 가지덕트의 관경을 늘리거나 말단에 설치된 송풍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덕트의 직경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층별로 불균일하게 풍량이 배출되는 원인이 공용 수직덕트의 말단에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고 주방 후드에는
송풍기를 설치하지 않아 공용 수직덕트의 층별로 형성되는 압력만에 의해, 각 세대의 배기량이 결정되기 때문이므로 만약
Fig. 4와 같은 층별 가지관에 정풍량댐퍼를 설치하였을 경우, 배기조건에 관계없이 배기를 수행하는 각 세대의 배기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Fig. 7. Air volume rate exhausted in each household for various exhaust conditions at N = 1,380 rpm.
Fig. 8은 고층부의 15개 층이 연속배기 되는 Case 3의 경우, 송풍기의 임펠러 회전수가 1,380 rpm일 때, 가지관에 정풍량 댐퍼를 설치하지 않고
공용 수직덕트를 통하여 배기되는 풍량과 정압을 계산하고 이때, 발생하는 층별 배기풍량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해, 층별 가지관에 정풍량 댐퍼를 설치하여
층별로 배기되는 풍량의 변화량을 구하였다. 회전수가 1,380 rpm으로 운전되지만 고층부영역의 15개 층이 연속 배기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유동저항에
의해, 고층부에 위치한 인접한 15개 층의 하부영역인 26층~31층에서 배출되는 배기량은 층별 요구 배기풍량인 200 CMH 이하로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배기 불균형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세대별 가지관에 정풍량 댐퍼를 설치하여 차압이 크게 형성되는 상부에 위치한 세대에서 추가적인 압력강하가
발생시킴으로써 세대별 유구 배기풍량을 만족시키고 상부에서 줄어든 풍량 만큼 하부세대의 풍량이 증가함으로써 고층부영역의 인접한 15개 층 전 세대에서
요구 배기풍량을 배기할 수 있음을
Fig. 8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 8. Volume flow rate exhausted to common vertical duct along vertical distance at case 3, N = 1,380 rpm.
그러나 40층 공동주택의 중간영역에 위치한 16층~30층까지 인접한 15개 층에서 배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Case 3의 경우는 Case 2와 유사하게
하부영역에 위치한 세대의 배기불량현상이 16층~24층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정풍량 댐퍼를 세대별 가지관에 설치하여도 송풍기의
임펠러 회전수가 1,380 rpm인 경우는 16~21층까지 배기 불량 현상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는 중간영역에 위치한 각 세대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말단에 위치한 송풍기까지 이동하면서 수직덕트에서 추가적인 유동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송풍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1,600
rpm으로 증가시키면 세대의 배기불량현상이 회전수가 1,380 rpm인 경우와 유사하게 16~23층에서 발생되지만 상층부(30층)에서 배기되는 풍량이
회전수가 1,380 rpm인 조건보다 25%로 증가되었고 각 세대별로 10~25%의 풍량이 증가되었다. 이로 인해, 각 세대의 가지관에 정풍량 댐퍼를
설치하면 중층부 15개층(16층~30층) 전 세대에서 요구 배기풍량을 배기함을
Fig. 9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고층부영역에서 인접한 15개층이 연속배기를 수행하는 Case 3의 경우보다 유동저항이 증가하여 각 세대별로 요구풍량을
배기되기 위해서는 송풍기의 회전수를 증가시켜야 됨을 확인하였다.
Fig. 9. Volume flow rate exhausted to common vertical duct along vertical distance for various rotational numbers at case 2.
40층 공동주택의 하부영역에 위치한 인접한 15개 층(1층~15층)에서 연속적으로 배기가 수행되는 Case 1의 경우, 송풍기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1,380 rpm으로 운전될 때 층별 배기풍량은 Case 2와 유사하게 저층부에 위치한 세대인 1층~8층에서 배기불량현상이 발생됨을
Fig. 10에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정풍량 댐퍼를 세대별 가지관에 설치하여도 송풍기의 임펠러 회전수가 1,380 rpm인 경우는 최하부
2개 층에서 세대별 요구 배기풍량보다 적은 풍량을 배기하고 있다. 이는 송풍기 임펠러 회전수가 1,380 rpm으로 운전하여도 최하부에 위치한 각
세대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공용 수직덕트 최상부층까지 이동해야 되는 거리가 Case 2와 Case 3보다 증가됨으로 인해 유동저항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증가된 유동저항을 극복하면서 최하부에 위치 한 세대에서도 층별 요구 풍량이 배기되도록 송풍기 임펠러 회전수를 1,600 rpm과 1,800
rpm으로 증가시켰다. 회전수가 1,600 rpm으로 증가되면 1,380 rpm으로 임펠러가 회전되는 조건보다 최상층부(15층)에서 배기되는 풍량이
17%로 증가하였으며 15개층 전 세대에서 약 10~17%의 배기풍량이 증가하였으나 최하부 2개 층에서 여전히 배기불량 현상이 발생하여 회전수를 1,800
rpm으로 증가시키면 최상층부(15층)에서 배기되는 풍량이 임펠러 회전수가 1,380 rpm인 조건보다 약 30%로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세대별 가지관에 정풍량 댐퍼를 설치하여 세대별 풍량을 제어하면 세대별 요구 배기풍량을 만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 10. Volume flow rate exhausted to common vertical duct along vertical distance for various rotational numbers at case 1.
40층으로 건설된 공동주택의 주방에서 최대 동시사용율에 적합하게 3,000 CMH의 오염물질이 배출될 경우, 공용 수직덕트에서 유동저항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조건은 인접한 15개 층에서 오염물질을 배기되는 조건중에서 Case 1 조건이다. 말단에 설치된 송풍기 임펠러 회전수를 변수로 하여 세대별
요구 배기풍량을 각 세대에 배출하는 조건을 조사한 결과, 공용 수직덕트의 하부영역 15개 층(1층~15층)에서 연속 배기되어도 세대별 요구 배기풍량을
만족할 수 있는 임펠러의 회전수가 1,800 rpm임을 확인하였으며 동일한 회전수로 중층부와 고층부에서 인접한 15개 층에서 연속배기를 수행하여도
세대별 요구 배기풍량을 만족할 수 있다.
Fig. 11은 배기조건이 Case 1인 경우, 세대별 가지관에 설치되는 정풍량 댐퍼의 설치 유무에 따른 공용 수직덕트의 압력분포를 송풍기 임펠러 회전수를 변수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세대별 가지관에 정풍량 댐퍼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송풍기 회전수가 1,380 rpm인 경우, 송풍기가 설치된 113 m지점의
압력은 -290 Pa을 유지하고 있으나 공용 수직덕트의 하부로 갈수록 압력이 계단식으로 상승하여 -7 Pa까지 증가한다. 그러나 후드가 운전되는 세대의
가지관으로 200 CMH의 풍량을 배기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정압은
식(1)을 이용하여 구한바와 같이 28 Pa의 차압이 항상 유지되어야 한다. 후드 흡입부의 압력은 대기압이므로
Fig. 11과 같이 공용덕트 내의 정압이 -28 Pa 이상인 세대는 200 CMH의 풍량을 배기하지 못함을 압력분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송풍기 임펠러의
회전수가 1,380 rpm, 1,800 rpm인 경우 모두 저층부에서 세대 요구 배기풍량을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후두가 운전되는 저층부로부터
고층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식으로 감소되는 압력강하의 크기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세대별 가지관에 정풍량 댐퍼를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고층부로 이동할수록 세대별로 배기되는 풍량이 비선형적으로 급격히 증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대별 가지관에 정풍량댐퍼를 설치하고 임펠러 회전수를 1,800
rpm으로 운전하는 경우, 세대별 배기풍량이
Fig. 10과 같이 200 CMH~250 CMH 범위에서 유지되어 상부영역에 위치한 세대에서 초과되어 배기되는 풍량이 현저히 감소함으로써 공용 수직덕트의 유동저항이
감소하고 상부 층으로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계단식 압력강하의 증가폭이 둔화시켜 최하부층(1층 및 2층)의 공용 수직덕트 압력이 -28 Pa 이하로 강하되어
최하부 세대의 배기풍량이 200 CMH 이상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Fig. 11. Static pressure of common vertical duct along vertical distance for various rotational numbers at cas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