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세종대학교 기계공학과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Seoul 05006, Korea)



제습기(Dehumidifier), 다공성 모델(Porous model), 균일도(Moving reference frame, Uniformity)

기호설명

ϕ ¯ :평균 속도 및 온도
φf:유체속도 및 온도
Af:면적 [m2]
γ:균일성
ρ:유체의 밀도 [kg/m3]
CE:Ergun 상수
K:투과성계수

1. 서론

쾌적한 실내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습도는 쾌적한 실내환경을 위한 중요한 인자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흡수/흡착현상을 이용하거나 이슬점 온도 이하로 낮추는 방법으로 제습을 수행한다. 제습기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은 압축식 제습기이다. 압축식 제습기는 압축기, 열교환기(응축기 및 증발기), 순환팬, 수조 등으로 구성된다. 순환팬에 의해 유입된 다습한 공기 중 수분은 증발기를 거치며 응축, 분리되어 저수조에 보관된다.

열교환기의 유형은 여러 가지 있으며, 그 중에서는 핀-관 열교환기가 경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1-6) Chiou(7)은 연속적인 유동 모델을 설정하고 열교환기의 횡단면에서의 열성능 저하를 연구하였고, Mueller(8)와 Mueller and Chiou(9)는 다양한 열교환기 종류의 유동 불균일 특성을 논의하였다. Beiler and Kroger(10)는 불균일 유동분포가 열교환기 성능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불균일 유동분포는 온도장을 왜곡시키며 관열을 지남에 따라 온도장의 불균일도는 더욱 커지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Yaïci et al.(6)는 열교환기 성능을 개발하기 위해 3차원 전산유체역학(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기 불균일 분포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치 시뮬레이션은 제습기 성능 해석에 효율적인 설계 도구이다. 하지만, 실제 핀-튜브 형상에 대한 가정없이 수치 해석을 수행하려면, 핀 두께가 매우 얇고 짧은 간격으로 촘촘히 배열되어 있어서 비현실적인 긴 계산 시간과 메모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핀 영역을 다공성 매체로 가정하여 증발기와 응축기를 해석하고 있지만, 접근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전 연구(11)에서 압력 강하특성 및 유동 균일도를 제습기의 삼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하였다. 응축기와 증발기를 모형화하기 위한 다공성 매체 기법을 사용하였고, 팬은 MRF 모델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이전 연구에서 수행된 유동해석에 제습기의 열전달해석을 추가하여 압력 강하 특성과 온도 균일도를 수치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관심 있는 여러 제습기 설계인자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2. 연구방법

2.1 해석방법

Fig. 1은 제습기의 3차원 개략도를 보여준다. 관심 영역은 커버 그릴, 증발기, 응축기 및 팬이다. 지배방정식 및 수치해석 검증은 이전 연구(11)에서 자세히 설명하였기에 가능한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Fig. 1. Schematic of a dehumidifier (a) Outside the model and (b) Inside the model.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1.png

유입 공기는 27℃ 60% 조건이며, 증발기 압력은 3.4 kgf/cm3, 응축기 압력은 12 kgf/cm3이다. 증발기와 응축기의 관내 이상유동 해석은 매우 복잡한 물리현상을 수반하며, 그 자체가 많은 연구자들의 연구대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냉매의 이상유동 해석없이 증발기 및 응축기 관의 벽면온도가 주어진 것으로 가정한다. 관 길이에 따라 10%의 과냉, 80%의 응축온도 또는 증발온도, 그리고 나머지 10%의 과열구간이 존재하며, 과열구간과 과냉구간은 현장에서의 경험 값으로 제공하는 증발기와 응축기의 입출구 온도와 응축/증발온도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증발기와 응축기의 관 배열은 Fig. 2와 같이 세 가지 경우에 대해 해석하였다. 열교환기 핀 개수는 145, 160, 175, 팬의 회전 속도는 600 rpm와 740 rpm로 변경해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Fig. 2. Tube arrangement of evaporator and condenser.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2.png

2.2 수치 모델

본 연구에는 상용 CFD 코드인 STAR-CCM+ v9.04를 이용하였다. 응축기와 증발기는 모두 다공성 모델로 가정되었으며, 팬해석은 MRF 기법이 사용되어 정상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난류모델은 표준 k-ε 모델을 사용하고, 다공성 매체로 가정된 증발기와 응축기는 아래 Darcy 법칙을 따른다.

(1)
p = - μ K u

여기서 는 유체 특성 및 매체의 기하학적 성질에 의존한다. 식(1)은 속도와 선형관계이므로 층류일 때 적합하다. 난류에 대해서는 두 가지 확장 모델, 즉 Forcheimer와 Forcheimer-Brinkman 모델이 제안되어있다.(12) 비선형 효과를 포함한 Forcheimer 모델은 다음 식(2)와 같다.

(2)
p = - μ K u + C E K ρ u 2

식(2)의 우변 첫 번째 항은 다공성 유동의 점성특성을 나타내고 두 번째 항은 관성특성을 나타낸다.(12) 따라서, 수정된 Navier-Stokes 방정식은 두 개의 생성항, 즉 Darcy 선형항과 관성손실항을 포함한다.

다공성 모델 적용시 모델상수 결정을 위해, 실제 형상에 대해 아무런 가정 없이 해석하는 핀-튜브 모델과 다공성 매체로 가정한 다공성모델을 단위 셀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Fig. 3은 2개의 핀과 1개의 튜브 피치로 형성된 실제 형상의 증발기(또는 응축기)의 일부분이다(2.4 mm×21 mm×38.1 mm). 입구측 유량을 0.1 m/s에서 1.5 m/s까지 0.25 m/s씩 증가시킬 때, 단위 셀의 입구 및 출구 표면에서의 압력 강하를 Fig. 4에 나타내었다. 이를 이용하여, 핀 개수에 따른 세 가지 다른 경우의 다공성 매체의 점성 및 관성저항 텐서를 구하여 Table 1에 나타내었다.

Fig. 3. The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domain in the physical model.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3.png

Fig. 4. Pressure drop in the physical model.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4.png

Table 1. Porous fitting parameter

Case

Number of Fin

Porosity[-]

Inertial resistance[kg/m4]

Viscous resistance[kg/m3s]

1

145

0.9385

78.49

173.85

2

160

0.9322

72.733

199.53

3

175

0.9258

73.59

232.57

Fig. 5는 입구 속도가 0.1 m/s에서 1.5 m/s의 범위에서 다공성 매체 모델의 타당성을 보여준다. 다공성 모델의 결과는 실제 모델로 예측한 유동 저항 및 평균 온도와 비교하면 매우 일치한다. 속도가 클 경우 다공성 모델의 결과는 실제 핀-튜브의 해석 결과와 차이가 커지게 되나, 실제 제습기 구동 조건은 1 m/s 이하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핀-튜브의 실제 형상을 그대로 적용할 때의 긴 계산 시간과 메모리를 고려하면 다공성 모델을 가정하여 해석하는 것이 타당함을 보여준다.

Fig. 5. Model comparison by the pressure drop and mean average temperature from inlet to outlet surfaces for 145 fins a) Pressure drop b) Mean average temperature.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5.png

3. 해석결과

Fig. 6은 y-z 단면(Fig. 1)에서의 증발기 및 응축기의 온도, 압력, 속도분포를 보여주고, Fig. 7은 x-y단면(Fig. 1)에서의 증발기와 응축기 입출구 단면에서의 온도거동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증발기와 응축기 입출구 단면에서의 속도 거동은 선행연구와 유사하다.

Fig. 6. Counter plot of Temperature, Pressure, Velocity at the middle-center section.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6.png

Fig. 7. Temperature distribution at inlet and outlet sections of evaporator and condenser.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7.png

공기의 속도 및 온도 분포 균일도는 제습기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높은 제습기 성능을 위해서는 증발기와 응축기 단면에서의 균일한 유동과 균일한 온도가 요구된다. 속도 및 온도 분포의 균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인자로서 표준편차 또는 균일도(uniformity index)를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3)으로 정의된 균일도로 속도 및 온도의 균일도를 판단하였다.

(3)
γ = 1 - f ϕ f - ϕ A f 2 ϕ A f

3가지 인자, 즉 풍량, 증발기 관배열, 그리고 핀 갯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2수준의 풍량(2.1 CMM, 2.5 CMM), 3수준의 증발기 관배열(Fig. 2 참조), 3수준의 핀 개수(145, 160, 175)에 대해 2×3×3 경우의 수치 해석을 수행하였다. 풍량은 팬 회전수에 대응하며, 고려된 풍량조건은 600 rpm과 740 rpm에 각각 대응한다.

3.1 속도 균일도

Fig. 8은 3가지 설계인자, 즉 풍량, 증발기 관배열, 그리고 핀 갯수가 증발기와 응축기의 표면 속도 균일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핀 갯수는 속도 균일도에 크게 영향이 미치며, 많을수록 균일도가 떨어진다. ANOVA 분석으로 각 인자의 기여율을 살펴보면 풍량은 증발기보다는 응축기에서 기여율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증발기의 관 배열은 속도 균일도에 거의 영향이 없다.

Fig. 8. Parametric study on the velocity uniformity at a) Evaporator outlet and b) Condenser outlet.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8.png

3.2 온도 균일도

Fig. 8은 각 설계인자들이 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Table 2Table 3은 온도 균일도 ANOVA 결과를 보여준다. 온도의 균일도는 0.99정도로 전반적으로 균일한 온도분포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핀 개수가 많아질수록 증발기의 경우 온도 균일도가 감소하지만, 응축기의 경우엔 반대로 균일도가 좋아진다. 동일한 팬 회전 속도의 경우, 핀 개수가 높을수록 공기 속도가 더 낮아진다. 따라서, 응축기로 배출되는 바이 패스 유동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응축기에서의 온도 균일도가 향상된다. 풍량은 증발기보다는 응축기에서 기여율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온도의 균일도도 속도에서의 결과와 같이 배관 배치에 대한 영향은 거의 받지 않는다.

Table 2. ANOVA result of the temperature uniformity at the evaporator outlet

Factors

S

Φ

V

Fo

ρ(%)

Air flow

2.95219E-07

1

2.95219E-07

6.980

18.168

EVA pass

1.31612E-09

2

6.58058E-10

0.016

0.081

Fin number

1.24385E-06

2

6.21926E-07

14.704

76.546

Error

8.45945E-08

2

4.22972E-08

5.206

Total

1.62498E-06

100

Table 3. ANOVA result of the temperature uniformity at the condenser outlet

Factors

S

Φ

V

Fo

ρ(%)

Air flow

1.02126E-06

1

1.02126E-06

114.615

47.760

EVA

pass

8.72916E-10

2

4.36458E-10

0.049

0.041

Fin number

1.09837E-06

2

5.49185E-07

61.635

51.366

Error

1.78206E-08

2

8.91031E-09

0.833

Total

2.13832E-06

100

Fig. 9는 단면의 평균온도( T m = A ρ u C p T d A / m ˙ C p )에 각 인자들의 영향을 보여준다. 팬 회전속도가 600 rpm일 때는 증발기의 출구 온도 13.3℃, 응축기의 출구 온도는 45.4℃이다. 팬의 속도가 올라가서 흡입된 공기량이 많아지는 740 rpm인 조건하에는 증발기 출구 온도는 13.5℃, 응축기 출구 온도는 43.5℃이다. 증발기에서는 핀 개수의 영향이 크지 않지만, 응축기에서는 핀 개수가 많아질수록 출구 온도가 올라간다. 증발기 관배열에 따라 증발기 출구 평균온도가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응축기를 통과한 후 결국 거의 같은 온도를 가지므로 증발기 관배열은 결과에 영향이 없다.

Fig. 9. Parametric study on the average temperature at a) Evaporator outlet b) Condenser outlet.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9.png

3.3 증발기와 응축기 배관 배치 영향

증발기와 응축기의 해석에 있어서, 냉매의 이상유동 해석없이 증발기 및 응축기 관의 벽면온도가 주어진 것으로 가정하여 해석되었다. 하지만, 증발기의 경우 현장에서의 경험값으로 제공하는 입출구 온도차가 2℃밖에 되지 않아 현장에서 기대했던 바와 달리 관배열이 결과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과냉/과열 구간을 20%로 늘릴 경우에도 결과는 거의 동일하였다. 하지만, 입출구 온도차가 큰 응축기의 경우(35℃)에는 관배열이 의미있는 설계인자일 수도 있다.

증발기 출구와 응축기 입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추가적인 5가지 Case를 검토하였다. 각 Case에서의 배관 배열은 Fig. 10과 같다. 동일한 응축기 배열에서 증발기 배열만을 바꾼 Case 1~Case 3은 온도 균일도에 영향이 없지만, 응축기 배열을 바꾼 Case 4와 Case 5는 의미있는 변화를 보인다(Fig. 11(a) 참조). Case 5의 경우 온도 균일도는 향상되었지만, 응축기 출구 온도가 45.5℃로서 Case 1~Case 3보다 높아서 토출온도 측면에서는 불리한 구조이며, Case 4의 경우 온도균일도도 향상되었지만 응축기 출구 온도도 45℃로서 고려된 다른 관배열과 비교하여 가장 낮은 토출온도를 보이는 구조이다(Fig. 11(b) 참조).

Fig. 10. The evaporator out let and the condenser inlet position.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10.png

Fig. 11. a) The uniformity of temperature and b) average outlet temperature.
../../Resources/sarek/KJACR.2018.30.2.092/fig11.png

4. 결 론

제습기 내부 공기의 열전달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했다. 팬 해석은 moving reference frame 모델을 적용했으며, 응축기-증발기 해석은 다공성 매체로 가정하여 진행하였다. 점성 및 관성 저항 텐서를 실제 모델로부터 얻은 결과와 비교하여 2차 함수로 fitting하였다. 다공성 매체 모델의 신뢰성은 실제 입구 속도 구간에서 검증하였다.

높은 제습성능을 위해서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 및 온도가 단면에서 균일함이 요구된다. 3가지 설계인자, 즉 풍량, 증발기 관배열, 그리고 핀 개수가 증발기와 응축기의 표면 속도 균일도, 온도 균일도 및 압력 강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ANOVA 분석 결과 다음 결론을 얻었다.

i) 핀 개수는 속도 및 온도 균일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속도균일도에 미치는 영향은 증발기의 경우 71.2% 이고, 응축기의 경우는 42.0%이며, 온도균일도에 미치는 영향은 각각 76.5% 및 51.4%이다. 175 핀 개수인 경우의 응축기 출구의 평균 온도는 145핀 개수인 경우에 비해 4.6%로 증가한다.

ii) 핀 개수가 많아질수록 열전달양이 향상되지만, 균일도는 감소한다.

iii) 팬 속도를 높이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 양이 증가하여, 증발기 출구에서의 평균 온도와 응축기 출구 온도가 감소한다.

iv) 증발기 배관 배치는 속도 및 온도 균일도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 하지만, 응축기 배관 배치는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며, 고려된 3가지 배치 중 온도균일도 및 낮은 제습기 토출온도를 위한 배치를 제안하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World Class 300 Project(No. S2367878) of the SMBA(Korea).

References

1 
Mirth D. R., Ramadhyani S., 1993, Prediction of Cooling-Coil Performance under Condensing Conditions, Int. J. Heat Fluid Flow, Vol. 14, pp. 391-400DOI
2 
Wang C. C., Chang C. T., 1998, Heat and Mass Transfer for Plate Fin-and-Tube Heat Exchangers, with and without Hydrophilic Coating, Int. J. Heat Mass Transfer, Vol. 41, pp. 3109-3120DOI
3 
Chen H. T., Lai J. R., 2012, Study of Heat-Transfer Characteristics on the Fin of Two-Row Plate Finned-Tube Heat Exchangers, Int. J. Heat Mass Transfer, Vol. 55, pp. 4088-4095DOI
4 
Pirompugd W., Wongwises S., Wang C. C., 2006, Simultaneous Heat and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for Wavy Fin-and-Tube Heat Exchangers under Dehumidifying Conditions, Int. J. Heat Mass Transfer, Vol. 49, pp. 132-143DOI
5 
Yan W. M., Li H. Y., Tsay Y. L., 2005, Thermofluid Characteristics of Frosted Finned-Tube Heat Exchangers, Int. J. Heat Mass Transfer, Vol. 48, pp. 3073-3080DOI
6 
Yaïci W., Ghorab M., Entchev E., 2014, 3D CFD Analysis of the Effect of Inlet Air Flow Maldistribution on the Fluid Flow and Heat Transfer Performances of Plate-Fin-and-Tube Laminar Heat Exchangers, Int. J. Heat Mass Transfer, Vol. 74, pp. 490-500DOI
7 
Chiou J. P., 1978, Thermal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Crossflow Heat Exchanger due to the Flow Nonuniformity, J. Heat Transfer, Vol. 100, pp. 580-587Google Search
8 
Mueller A. C., 1987, Effects of Some Types of Maldistribution on the Performance of Heat Exchangers, Heat Transfer Engineering, Vol. 8, pp. 75-86DOI
9 
Mueller A. C., Chiou J. P., 1988, Review of Various Types of Flow Maldistribution in Heat Exchangers, Heat Transfer Engineering., Vol. 9, pp. 36-50DOI
10 
Beiler M. G., Kroger D. G., 1996, Thermal Performance Reduction in Air-Cooled Heat Exchangers Due to Nonuniform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Heat Transfer Engineering, Vol. 17, pp. 82-92DOI
11 
Duong X. Q., Chung J. D., 2017, Numerical Analysis of a Compressor Type of Dehumidifier : (I) Fluid Flow, International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Vol. 25, pp. 1750011DOI
12 
Nield D. A., Bejan A., 2013, Convection in Porous Media, Springer New York, New York, NY.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