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재
(Seung Jae Kim)
1
박종준
(Jong Jun Park)
1
김영일
(Young Il Kim)
2†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과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01811, Korea)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School of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01811, Korea)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Key words
창문(Window), 모헤어(Mohair), 침기량(Infiltration rate), 개폐력(Opening force), 축소된 길이(Shortened length)
기호설명
단위1:모헤어 실험장치 내부 틈 면적 [m2]
단위2:가상의 창문 면적 [m2]
단위3:형태계수 [-]
단위4:마찰력 [N]
단위5:개폐력 [N]
단위1:가상의 창문에 적용된 모헤어 길이 [m]
단위2:모헤어 실험장치 실린더 둘레 길이 [m]
단위3:모헤어 틈새 길이 [m]
단위4:평균유량 [m3/h]
단위5:단위면적당 침기량 [m3/(h·m2)]
단위1:회전력 [N·m]
단위2:평균유속 [m/s]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창문은 건축물의 구성요소 중 외관의 의장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거주자의 열적, 시각적 쾌적감 등 물리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건물 에너지 사용
효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1)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자연 빛 유입, 외기 및 소음 차단, 건물의 오염된 실내 공기를 배출하고 실외 신선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점에 의해 시장에는 다양한 창문이 출시되고 있다. 그 중 미서기 창문은 저가이면서 작동이 편리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며,
손쉽게 창짝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창의 개폐면적 변화에 의한 환기량 조절이 용이하다.
(2) 미서기 창문에서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개폐 기능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벽틀과 창틀 사이에 구조적인 틈새가 존재하게
된다. 구조적인 틈새에 의해 침기가 발생하여 건축물의 전반적인 에너지 및 실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3) 구조적인 틈새를 줄여 원하지 않는 침기량을 최대한 감소시켜야 에너지 측면에서 좋은 창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틈새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밀재를 사용한다.
기밀재는 저렴하면서도 시공이 편리할수록 유리하며 창문의 침기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나 이에 대한 연구는 창문의 에너지 성능 또는 침기 특성에 대한 연구에
비해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밀재인 모헤어 설치 조건에 따른 창문의 침기량과 개폐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후 모헤어와 창문 성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헤어만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모헤어 개수, 모헤어 틈새 길이, 축소된 모헤어 길이 조건에 따라 실험할 수 있도록 모헤어 실험 장치를
자체 제작하였다.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차압에 따른 평균유량을 측정하였고 각 조건에 대한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얻어진 실험결과를 환산하여 가상의
창문에 대하여 침기량 및 개폐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1.2.1 연구의 방법
본 연구에서는 모헤어의 설치 조건인 모헤어 개수, 모헤어 틈새 길이, 축소된 모헤어 길이 등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모헤어 실험 장치를 자체 제작하였다.
본 실험 장치를 통하여 평균유량 및 마찰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환산하여 가상의 창문에서의 침기량 및 개폐력을 산출하였다.
1.2.2 연구의 범위
(1) 모헤어 개수는
Table 1과 같은 단창과 이중창의 침기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 4개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2) 모헤어 틈새 길이는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5, 7, 10 mm을 사용하였다. 또한 축소된 모헤어 길이는 0, 0.5, 1.0,
1.5 mm에 대한 4가지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3) 실제 창문으로 실험을 진행 시 모헤어만의 영향을 확인하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모헤어 실험 장치를 자체 제작하여 평균유량, 마찰력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가상의 창문에 대한 침기량 및 개폐력으로 변환하여 침기량 및 개폐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Table 1. Single-pane and double-pane sliding windows
Single-pane (2 line)
|
|
Double-pane (4 line)
|
|
2. 이론적 고찰
2.1 모헤어
창문의 기밀재 중 하나인 모헤어는 미서기 창문에 많이 사용하며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결로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종류로는 일반 모헤어, 핀
모헤어가 존재한다. 일반 모헤어는 창틀 및 창짝의 틈새를 차단하여 단열과 방음을 방지하는 모헤어이며, 핀 모헤어는 일반 모헤어 중앙에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필름을 부착시켜 방풍, 방음, 단열 성능이 개선된 모헤어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미서기 창문에서 많이 사용되는 일반 모헤어에 대하여 모헤어 개수,
모헤어 틈새 길이, 축소된 모헤어 길이가 침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헤어 틈새 길이(clearance)는
모헤어 실험 장치의 실린더와 실험 장비의 벽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축소된 모헤어 길이(shortened length)는 틈새가 좁혀짐에 따라 모헤어
시료가 벽에 접촉하면서 축소되는 틈새 길이를 의미한다. 실린더와 벽 사이의 모헤어 틈새 길이와 축소된 모헤어 길이는
Fig. 1과 같다.
Fig. 1. Clearance and shortened length.
2.2 기밀성
기밀성은 실내를 외기로부터 차단하여 공기를 통하지 않게 하는 성질을 말하며,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에 따라 벽틀과 창틀 틈새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침기량으로 결정된다. 기밀성이 좋을수록 침기량의 감소로 실내의 공조부하가 감소되어 건축물의 냉난방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기밀성은 창문
성능을 판단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KS F 2292
(4)의 표준 성능시험 방법에 의해 기밀 성능을 측정한다. 현대 건축물에서 기밀성이 가장 취약한 부분은 창문이며, 이러한 창문의 기밀성 향상을 위해 창문의
형태에 변화를 주거나
(5) 기밀재를 개선하는 등 여러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밀재 모헤어가 미서기 창문의 기밀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모헤어만의
한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상적인 가상 창문을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2.3 개폐력
개폐력은 창문을 열거나 닫을 때 규정된 거리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물의 오염된 실내 공기를 배출하고 실외 신선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창문은 개폐기능이 존재해야 하며, 노약자 또는 아이들도 개폐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없어야 한다. 창문을 개폐하는 데 필요한 힘은 평균적으로 20~30 N이다. 국내의 경우 KS F 3117 창세트 규격
(6)에 의하여 창문의 최대 개폐력은 50 N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3. 실험
기존에는 모헤어가 창문의 침기량 및 개폐력에 대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헤어가 창문의
침기량과 개폐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 장치를 자체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조건은
Table 2와 같으며, 제작된 모헤어 실험 장치의 도면 및 크기는
Table 3과 같다. 실린더 직경은 각각의 모헤어 틈새 길이에 따라 다르다. 모헤어 실험 장치에 일정한 차압을 유지하고 그 조건에서의 침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형 풍량측정장치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이동형 풍량측정장치의 모습은
Fig. 2, 사양은
Table 4와 같으며 모헤어 실험 장치에 사용되는 모헤어 시료는
Fig. 3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모헤어 실험 장치와 이동형 풍량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모헤어 틈새 길이, 축소된 모헤어 길이, 차압에 따른 유량을 확인하였다.
기밀성 실험 방법은
Fig. 2와 같이 모헤어 실험 장치와 이동형 풍량측정장치를 연결하여 외기와 모헤어 실험 장치 내부의 차압이 10, 30, 50, 100 Pa이 되도록 회전수가
가변되는 송풍기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고 이에 따른 공기유량을 측정한다. 개폐력 실험 방법은
Table 5에 제시된 인장력기를
Fig. 4와 같이 중앙에 연결하여 모헤어 실험 장치와 시료간의 발생하는 마찰력을 측정한다. 측정된 평균유량과 마찰력은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
(7)에 의해 1.5 m(W)×1.5 m(H)의 미서기 창문으로 가정하여 침기량과 개폐력을 산출하였다.
Table 2. Experiment conditions
Mohair type
|
Normal
|
Number of mohair
|
2, 4
|
Clearance [mm]
|
5, 7, 10
|
Shortened length [mm]
|
0, 0.5, 1.0, 1.5
|
Differential pressure [Pa]
|
10, 30, 50, 100
|
Table 3. Mohair experiment apparatus drawing and specifications
Drawing
|
Specifications
|
|
Length [mm]
|
700
|
External diameter [mm]
|
150
|
Internal diameter [mm]
|
130
|
Cylinder diameter [mm]
|
120, 123, 125
|
Mohair width [mm]
|
7
|
Fig. 2. Mohair experiment apparatus.
Table 4. Specifications of flowmeter
Flow rate range
|
High : 1.3~80 m3/h
Low : 0.06~6 m3/h
|
Flow rate accuracy
|
±1.0% of full scale
|
Differential pressure range
|
0~300 Pa
|
Pressure accuracy
|
±0.25% of full scale
|
Temperature range
|
0~50℃
|
Temperature accuracy
|
±0.5℃
|
Fig. 3. Mohair sample and cylinder.
Table 5. Specifications of digital force gauge
Model
|
FGP-50
|
Rated capacity Display range
|
±500.0 N
|
Resolution
|
0.1 N
|
Measuring mode
|
Standard, Plus peak, Minus peak
|
Display cycle
|
1, 2, 3, 5, 10, 20 times per second
|
Accuracy
|
±0.2% R.C.
±1/2 digit(23℃)
|
Fig. 4. Friction force test.
3.1 모헤어 실험 조건에 따른 평균유량 실험
Table 6은 모헤어 조건에 따른 평균유량 측정 결과이며, 실험조건의 Case 숫자 의미는 ‘모헤어 개수-틈새 길이[mm]-축소된 길이[mm]’의 순서이다.
Table 6. Air flow rates according to mohair conditions and differential pressures
Case
|
Single-pane window
|
Case
|
Double-pane window
|
Differential pressure [Pa]
|
Differential pressure [Pa]
|
10
|
30
|
50
|
100
|
10
|
30
|
50
|
100
|
2-5-0
|
0.25
|
0.68
|
1.11
|
1.98
|
4-5-0
|
0.11
|
0.33
|
0.52
|
0.99
|
2-5-0.5
|
0.15
|
0.48
|
0.75
|
1.39
|
4-5-0.5
|
0.05
|
0.22
|
0.38
|
0.71
|
2-5-1.0
|
0.10
|
0.34
|
0.51
|
0.93
|
4-5-1.0
|
0.02
|
0.14
|
0.24
|
0.47
|
2-5-1.5
|
0.06
|
0.22
|
0.35
|
0.69
|
4-5-1.5
|
0.00
|
0.09
|
0.17
|
0.35
|
2-7-0
|
0.38
|
1.24
|
1.88
|
3.39
|
4-7-0
|
0.19
|
0.63
|
0.96
|
1.86
|
2-7-0.5
|
0.33
|
0.88
|
1.48
|
2.59
|
4-7-0.5
|
0.15
|
0.50
|
0.79
|
1.54
|
2-7-1.0
|
0.26
|
0.67
|
1.08
|
1.99
|
4-7-1.0
|
0.10
|
0.35
|
0.56
|
1.04
|
2-7-1.5
|
0.20
|
0.49
|
0.84
|
1.54
|
4-7-1.5
|
0.08
|
0.28
|
0.43
|
0.83
|
2-10-0
|
0.82
|
2.20
|
3.50
|
5.95
|
4-10-0
|
0.43
|
1.30
|
2.01
|
3.54
|
2-10-0.5
|
0.69
|
1.77
|
2.63
|
4.72
|
4-10-0.5
|
0.30
|
0.88
|
1.38
|
2.62
|
2-10-1.0
|
0.55
|
1.41
|
2.17
|
3.88
|
4-10-1.0
|
0.23
|
0.66
|
1.10
|
2.09
|
2-10-1.5
|
0.48
|
1.25
|
1.98
|
3.64
|
4-10-1.5
|
0.18
|
0.57
|
0.96
|
1.78
|
3.1.1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 평균유량 실험 결과
Table 6에서 모헤어 설치 조건에 따른 평균유량을 비교해보면, 틈새 길이가 증가할수록 평균유량은 증가하였다. 이는 공기가 유입되어 모헤어 틈새 길이를 지나갈
때 틈새 길이가 증가할수록 공기에 의한 힘을 더 많이 받게 된다. 틈새 길이가 증가할수록 힘을 받는 방향으로 밀려지는 기울기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공기유량이 더 많이 흐르게 된다. 형태계수 C 및 틈 면적과 유속으로부터 평균유량을 계산하는 식은
식(1)과 같다. 형태계수는 모헤어 개수에 따른 평균유량 변화를 보정한다. 또한, 축소된 길이가 증가할수록 평균유량은 감소하였는데 이는 실험장치 내부 벽면과
모헤어 시료 간의 틈 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3.1.2 모헤어 개수가 4개일 때 평균유량 실험 결과
Table 6에서 모헤어 설치 조건에 따른 평균유량을 비교해보면, 틈새 길이가 증가할수록 평균유량은 증가하였고 축소된 길이가 증가할수록 평균유량은 감소하였다.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와 4개일 때의 10 Pa에서의 평균유량 결과는
Fig. 5와 같으며, 모헤어가 4개일 때가 2개인 경우보다 평균적으로 약 62.8% 감소하여 모헤어 개수가 많은 것이 창짝과 창틀 사이의 틈새를 막는데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Fig. 5. Air flow rates of single-pane and double-pane windows at differential pressure of 10 Pa.
3.2 모헤어 실험 조건에 따른 마찰력 실험
Table 7은 모헤어 설치 조건에 따른 마찰력 측정 결과이다. 틈새 길이가 증가할수록 필요 마찰력이 감소하였고, 축소된 길이가 증가할수록 마찰력이 증가하였다.
회전력 T, 마찰력 F
f, 모헤어 틈새 길이 l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2)와 같다. T가 일정할 때, F
f와 l은 반비례하므로 l이 증가할수록 F
f가 감소한다. 모헤어 개수가 4개일 때 2개인 경우보다 마찰력은 평균적으로 약 69.0% 증가하였다.
Table 7. Friction forces of single-pane and double-pane windows
Case
|
Single-pane window friction force
|
Case
|
Double-pane window friction force
|
2-5-0
2-5-0.5
2-5-1.0
2-5-1.5
2-7-0
2-7-0.5
2-7-1.0
2-7-1.5
2-10-0
2-10-0.5
2-10-1.0
2-10-1.5
|
3.71
4.73
5.88
11.33
2.75
3.20
3.27
3.96
1.98
2.47
2.71
2.95
|
4-5-0
4-5-0.5
4-5-1.0
4-5-1.5
4-7-0
4-7-0.5
4-7-1.0
4-7-1.5
4-10-0
4-10-0.5
4-10-1.0
4-10-1.5
|
6.58
9.15
13.53
20.52
3.60
5.85
6.92
9.15
2.09
2.59
3.39
4.56
|
3.3 침기량과 개폐력의 상관관계 분석
3.3.1 가상의 창문으로 환산한 침기량 비교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린더 실험장치에서 산출된 평균유량을 가상 창문의 침기량으로 환산하기 위해
식(3)을 사용한다.
Fig. 6은 축소된 길이 1.5 mm로 가정하여 단창과 이중창에 대하여
식(3)으로 계산한 침기량 결과이다. 10 Pa에서의 침기량이 2.00 m
3/h·m
2 미만인 기밀성 2등급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2-5-1.5, 2-7-1.5, 4-5-1.5, 4-7-1.5, 4-10-1.5이다. 그 중에서 침기량이
1.00 m
3/h·m
2 이하인 기밀성 1등급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2-5-1.5, 4-5-1.5, 4-7-1.5로 나타났다.
Fig. 6. Comparison of infiltration rate.
3.3.2 가상의 창문에 적용한 개폐력 비교 결과
모헤어 설치 조건에 따른 마찰력 실험으로 최대 마찰력에 대한 모헤어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제 창문은 자중 및 다른 요소들의 영향을 받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헤어만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이상적인 가상 창문으로 개폐력을 산출하였다. 산출한 마찰력을 가상 창문의 개폐력으로 환산하기 위해
식(4)를 사용하였다.
Fig. 7은
식(4)로 환산된 모헤어 조건에 따른 개폐력이다. KS F 3117의 창호에 대한 최대 개폐력 50 N 이하인 조건은
(6) 4-5-1.0, 4-5-1.5를 제외하고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7. Comparison of opening force.
3.3.3 침기량과 개폐력의 상관관계
실험결과는
Table 8과 같으며 침기량과 개폐력의 상관관계는
Fig. 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침기량이 감소할수록 개폐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모헤어 개수가 4개일 때의 추세선이 2개일 때의 추세선보다 크게
기울어졌다. 즉, 침기량과 개폐력은 반비례하며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보다 4개일 때 개폐력 증가에 따른 침기량의 변화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축소된
길이의 범위가 0~1.5 mm 내에서 축소된 길이가 0.1 mm 증가할수록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 침기량은 평균적으로 약 4.1% 감소하였고 개폐력은
약 6.1% 증가하였다. 또한, 모헤어 개수가 4개일 때 침기량은 평균적으로 약 5.7% 감소하였고 개폐력은 약 9.3% 증가하였다. 틈새 길이의
범위가 5~10 mm 내에서 틈새 길이가 1 mm 증가할수록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 침기량은 평균적으로 약 24.1% 증가하였고 개폐력은 약 18.7%
감소하였다. 또한, 모헤어 개수가 4개일 때 침기량은 평균적으로 27.1% 증가하였고 개폐력은 28.2% 감소하였다. 침기량을 2.00 m
3/h·m
2, 개폐력을 50 N으로 제한하여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와 4개일 때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는 2-5-0.5, 4-5-0.5와 2-7-1.5, 4-7-1.5이다.
Table 8. Infiltration rate and opening force assuming single pane window and double pane window at 10 Pa
Case
|
Single-pane window
|
Case
|
Double-pane window
|
Infiltration rate [m3/h·m2]
|
Opening force [N]
|
Infiltration rate [m3/h·m2]
|
Opening force [N]
|
2-5-0
2-5-0.5
2-5-1.0
2-5-1.5
2-7-0
2-7-0.5
2-7-1.0
2-7-1.5
2-10-0
2-10-0.5
2-10-1.0
2-10-1.5
|
2.24
1.31
0.94
0.57
3.43
2.98
2.32
1.80
7.34
6.20
4.90
4.29
|
15.01
19.14
23.79
45.84
11.13
12.95
13.23
16.02
8.01
9.99
10.97
11.94
|
4-5-0
4-5-0.5
4-5-1.0
4-5-1.5
4-7-0
4-7-0.5
4-7-1.0
4-7-1.5
4-10-0
4-10-0.5
4-10-1.0
4-10-1.5
|
0.96
0.46
0.21
0.00
1.69
1.33
0.94
0.71
3.88
2.67
2.03
1.63
|
26.62
37.02
54.75
83.03
14.57
23.67
28.00
37.02
8.46
10.48
13.72
18.45
|
Fig. 8. Correlation of infiltration rate with opening force at 10 Pa.
본 연구에서 모헤어만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이상적인 가상 창문을 사용하였으며, 기밀성이 향상될수록 필요 개폐력이 증가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밀성 1등급, KS F 3117의 개폐력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하였다. 그러나 실제 창문의 경우, 자중 및 다른 여러 요소에
의해 본 연구의 결과보다 기밀성 1등급을 만족하는 데 필요한 개폐력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모헤어 설치 조건에 따른 창문 침기량 및 개폐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모헤어 실험 장치를 제작하여 모헤어 개수, 모헤어 틈새 길이,
축소된 모헤어 길이, 차압에 따른 침기량 실험과 개폐력 실험을 진행하고 가상의 창문으로 환산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모헤어
조건의 변화가 침기량과 개폐력에 미치는 영향을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1) 축소된 길이 범위 0~1.5 mm 내에서 축소된 길이가 0.1 mm 증가할수록 침기량은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 평균적으로 약 4.1% 감소하였고
4개일 때 약 5.7% 감소하였다. 또한, 틈새 길이 범위 5~10 mm 내에서 틈새 길이가 1 mm 증가할수록 침기량은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
평균적으로 약 24.1% 증가하였고 4개일 때 약 27.1% 증가하였다. 즉, 축소된 길이가 증가할수록 침기량이 감소하고 틈새 길이가 증가할수록 침기량이
증가하였다.
(2) 축소된 길이 범위 0~1.5 mm 내에서 축소된 길이가 0.1 mm 증가할수록 개폐력은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 평균적으로 약 6.1% 증가하였고
4개일 때 약 9.3% 증가하였다. 또한, 틈새 길이 범위 5~10 mm 내에서 틈새 길이가 1 mm 증가할수록 개폐력은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
평균적으로 약 18.7% 감소하였고 4개일 때 약 28.2% 감소하였다. 즉, 축소된 길이가 증가할수록 개폐력이 증가하며, 틈새 길이가 증가할수록
개폐력이 감소하였다.
(3) 침기량 및 개폐력의 상관관계는 반비례하며, 모헤어 개수가 2개일 때 보다 4개일 때 침기량 및 개폐력의 변화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실제 창문의 경우 본 연구의 결과보다 창호의 자중 등에 의하여 기밀성 1등급을 만족하는 데 필요한 개폐력이 증가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모헤어
방식으로는 개폐력이 낮으면서 기밀성 1등급을 만족하는 창문 제작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5) 본 연구를 통하여 미서기창에서 모헤어의 한계성을 확인하였으며, 새로운 기밀 방식 또는 다른 방식의 기밀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다만, 실제
창문이 아닌 모헤어만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가상의 창문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정량적인 결과를 실제 창문의 결과로 확인하기엔 한계가 존재하며
추후에는 실제 창호에 각 모헤어 조건을 적용하여 연구를 추가 진행하고자 한다.
후 기
본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Jang C. Y., Lee N. E., 2010, A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Air Tightness of temperable
Low-e Windows, Proceedings of SAREK, pp. 368-371
Yun Y. R., Park J. J., Kim Y. I., Chung K. S., 2016, An Experimental Study of Window
Air Tightness according to Filling Piece Shape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8, No. 2, pp. 63-68
Kwon Y. J., Lee J. H., Park J. J., Kim Y. I., Chung K. S., 2016, A Study on Air tightness
of Window Components, Proceeding of the SAREK 2016 Summer Annual Conference, pp. 70-71
Korea Standard Association , KS F 2292, The method of air tightness for windows and
doors
Park J. J., Yun Y. R., Kim Y. I., Chung K. S., 2015, Effect of Lock Operations on
Airtightness of Sliding and LS Window System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7, No. 9, pp. 449-454
Korea Standard Association , KS F 3117, Window sets
Korea Energy Agency , 2016, Efficiency management equipment operation regulatio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notification No. 2016-137) re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