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전북대학교 기계설계공학부 (Department of Mechanical Design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567 Baekje-daero, Jeonju-city, Jeollabuk-do, 54896, Republic of Korea)
  2. 삼중테크(주) (Samjung Tech Co., Ltd, A-15F, 128, Beobwon-ro, Songpa-gu, Seoul, 05854, Republic of Korea)
  3. (주)월드이엔씨 (World E&C Co., Ltd, 102, Dolseoji-gil, Jangan-myeon, Hwaseong-si, Gyeonggi-do, 18574, Korea)



흡수식 냉온수기(Absorption chiller), 유하액막 흡수기(Falling film absorber), 전열관(Heating tube), 열전달(Heat transfer)

기호설명

Ao:관외 표면적[m2]
Ccp:정압비열 [kJ//kg·K]
Di:전열관 내경
Do:전열관 외경
L:전열관 길이 [m]
m ˙ :질량유량 [kg/s]
N:전열관 개수
Q ˙ :열전달량 [W]
Re:레이놀드 수
Ref:Film 레이놀드 수
Ti.s:흡수액 입구 평균 온도 [℃]
To.s:흡수액 출구 평균 온도 [℃]
ΔTLM:대수평균온도차 [K]
U:총괄 열전달 계수 [W/m2·K]
Γ:흡수액 액막유량 [kg/ms]
μs:흡수액 점성계수 [kg/ms]
μw:물 점성계수 [kg/ms]

1. 서론

삶의 수준이 향상 되면서 냉난방기기의 설치율이 늘어남에 따라 프레온에 의한 지구온난화 및 지구환경 파괴와 급증하기 하절기 전력수요 피크를 줄이기 위해 흡수식 냉온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흡수식 냉온수기는 개발 이래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과거 COP 1.01수준의 보급형 제품을 넘어 현재에는 COP 1.2~COP 1.3 이상의 고효율 제품으로 점점 대체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일본에서는 삼중효용 흡수식 냉온수기(COP 1.6)가 개발되어 상용화 중에 있다. 연구 동향에서도 볼 수 있듯이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효율, 소형화가 주요 연구개발 과제이다. 흡수식 냉온수기는 크게 흡수기, 증발기, 재생기 및 응축기의 4개의 주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 중에서 흡수식 흡수기는 전열면적 및 용적이 제일 크기 때문에 컴팩트화를 위해서는 흡수기용 고성능 전열관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해외의 연구에서는 Kawamata et al.(1)은 외경 19 mm Thermo- excel 및 Fluted tube에 대하여 열 및 물질 전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여 평활관(bare tube)과 비교하였는데, 평활관에 비해 냉동능력이 약 40% 정도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Kunugi et al.(2)은 관 표면에 미세한 홈이 있는 흡수기 전열관에 대하여 열전달 성능을 실험하여 이를 평활관과 비교하였는데 표면 가공관은 평활관에 비해 열통과율이 약 1.6배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기존관에 대한 성능평가 및 신형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3-5) 국내에서는 Moon et al.(6)은 Bare tube와 Floral tube, Twisted Floral tube, Bumping bare tube를 각각 실험하여 액막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냉각수 변화가 증가하고, Floral tube 류의 열전달 계수가 Bare tube에 비해 40% 이상의 향상을 가져왔다고 보고하였다. Seol et al.(7)은 Bare tube와 Floral tube에 대한 열 및 물질전달 실험을 하여 Bare에 비해 Floral tube가 접수율이 2배 가량 높고, 열전달에서 40%, 물질전달에서 60% 정도의 향상된 성능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Lee et al.(8)은 기존 16 mm tube 외에 12 mm 9 mm의 소구경관으로 실험하여 15.88 mm관이 다른 관보다 냉각수 출구 온도 및 흡수기 출구 농도가 2~3정도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흡수기 전열관에 대한 이외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9-13) 하지만 근래에는 새로 개발된 전열관과 흡수기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가 적어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흡수식 냉온수기의 기기 소형화를 위해 falling film 타입 흡수기 기본 성능 특성을 파악 하고 기존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열관 2종(Floral tube, End Cross 26 tube) 외에 새로 고안된 전열관 5종(End Cross 38, End Cross 40, End Cross 26-2 V, End Dimple, NF tube)을 사용하였을 경우 산포 흡수액량에 따른 흡수기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2. 실험 장치 및 방법

2.1 실험전열관

본 연구에서는 흡수기의 기본 성능 특성은 Endcross 26 전열관을 사용하였을 경우 그 특성을 파악 하였고 그 외에 Endcross 26-2V, Endcross 38, Endcross 40, End Dimple, Floral, NF 등 총 7가지 타입의 전열관을 적용하였을 경우 열 및 열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한 전열관의 형상은 다음과 같으며 Table 1에 정리 하였다. Fig. 1은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Falling Film absorber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며 실제 실험 장치는 구성은 Fig. 2와 같다. 실험장치 구성은 크게 흡수기와 응축기 측으로 구성된다. 흡수 전열관은 2열 20줄 총 40개(상하 10 mm 좌우 5 mm 전열관 간격, 응축전열관은 2열 10줄 총 20개의 전열관(코로게이트)으로 구성된다. 장치 상단에는 흡수액을 균일 액막 형태로 제공하는 액 분배 트레이(tray)를 설치하였고, 장치 내에 흡수기 하부에 히터를 가열하여 흡수액을 재생하였다. 재생 시 발생한 증기는 응축되어 냉매탱크로 저장되고 밸브를 통해 흡수액의 농도 조절에 사용하였다. 재생된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은 장치 하단의 펌프에 의해 전열관 상부의 액분배 트레이로 공급하도록 하였다. 흡수부와 응축부 사이에는 엘리미네이터(eliminator)를 설치하여 응축기로 흡수액의 비산을 방지하였다.

Table 1. Shape of tubes for experiments

Tube

Do(mm)

L(mm)

t(mm)

Out side

In side

Endcross 26

(EC 26)

16

1,118

0.5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a1.png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a2.png

Endcross 26-2V

(EC 26-2V)

0.55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b1.png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b2.png

Endcross 38

(EC 38)

0.55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c1.png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c2.png

Endcross 40

(EC 40)

0.55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d1.png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d2.png

End Dimple

0.55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e1.png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e2.png

NF Tube

0.7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f1.png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f2.png

Floral Tube

0.55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g1.png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tb1g2.png

Fig. 1. Schematic of experimental apparatus.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fig1.png

Fig. 2. Experimental apparatus set-up.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fig2.png

흡수기의 측면에는 Sight Glass를 설치하여 흡수액의 액막 형태를 관찰 할 수 있게 하였다. 장치내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 진공펌프를 설치하였으며, 냉각수를 일정한 온도로 공급하기 위해 항온조를 설치하였다. 냉각수는 흡수기 전열관 하부에서 2열씩 20패스로 상부로 흐른다. 각각의 냉각수 양측 패스에는 4 wire RTD를 설치하여 냉각수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Fig. 2의 좌측에서 보듯이 전열관과 전열관 사이에 4 wire RTD를 설치하여 유하되는 흡수액 온도변화도 측정하였다. 흡수기 상부에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 압력계, 흡수액 공급 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질량 유량계, 본 연구에 사용된 계측기의 정보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Specification of measurement device

Classification

Maker

Model

Range

Accuracy

Electromagnetic Flowmeter

BADGER METER

RS232

1.8 up to 720 (kg/min)

0.5 m/s ±0.25%

Mass flowmeter

Coriolis

KCM3000

0.09 up to 50 (kg/min)

±0.5%

Pressure sensor

Setra

Model 730

0~100 torr

±0.5%

Date logger

Agilent Tec

34972 A

-

-

RTD

Seoan sensor

4 Wire

-50~200

±0.5%

2.2 실험 방법

실험에 사용되는 작동유체는 냉매로는 물, 흡수제는 H2O/LiBr(리튬브로마이드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작동순서는 먼저 진공펌프로 장치를 진공상태(0.86 kPa, 5~6 mmHg)로 만든 후 장치 내에 흡수액을 투입하고 장치 내 히터로 가열하여 63%의 고농도 흡수액을 만든다. 그 이후 온도 조절용 판형 열교환기와 질량유량계를 통해 장치 상단의 트레이로 흡수액을 공급한다. 공급 된 흡수액은 트레이에 의해 액막 형태로 흡수기의 전열관 위로 유하되며 흐른다. 이렇게 유하된 용액은 흡수기 전열관내의 냉각수와 열교환을 하게 되며 히터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흡수하게 된다. 흡수기 전열관 하부에서 샘플링 밸브를 이용하여 흡수액을 추출하여 굴절계로 농도 측정을 하였다. 흡수기 하단에 고인 희 용액은 장치 하부의 히터에 가열된 후 증기를 발생하고 농용액이 된 후 흡수액 펌프를 통해 재순환 하였다. 냉각수와 흡수액 유량은 펌프의 인버터로 조절된다. 흡수기 상부로 공급되는 흡수액의 농도는 질량유량계를 이용하여 밀도와 온도값 측정데이터를 농도 관계식에 적용하여 농도 값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농도 값은 직접 추출한 용액 농도와 비교하여 동일성을 파악 하였다. Table 3은 실험에 사용된 실험조건을 나타낸 것을 나타낸 것으로 7종류의 전열관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Table 3. Experimental condition

Absorber

Pressure(kpa)

0.86

LiBr

Solution

Inlet Temp(℃)

50.0

Inlet Concentration(wt%)

62.0

Ref

10~33

Cooling Water

Inlet Temp(℃)

32.0

Re

20,000

2.3 실험 결과 해석

흡수기 전열관의 총괄 열전달 계수는 식(1)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1)
U = Q ˙ A o Δ T L M

여기서 Q ˙ 는 흡수기 냉각수 열교환량, Ao는 관외 표면적, ΔTLM는 대수평균온도차이다.

흡수기에 냉각수 열교환량은 식(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2)
Q ˙ = m ˙ c w C p , c w Δ T c w

여기서 m c , w ˙ 는 냉각수 유량, Cp,cw는 냉각수 정압비열, ΔTcw는 냉각수 입, 출구 온도차이다.

관외 표면적 Ao식(3)과 같이 구할 수 있다.

(3)
A o = π D o L N

여기서 Do는 관외경 L은 전열관 유효 길이, N은 전열관 개수이다.

대수평균온도차는 식(4)와 같다.

(4)
Δ T L M = ( T s , i - T c w , o ) - ( T s , o - T c w , i ) l n [ ( T s , i - T c w , o ) / ( T s , o - T c w , i ) ]

여기서 Ts,i는 흡수액 입구 평균 온도, Ts,o는 흡수액 출구 평균 온도이다.

흡수액 액막유량(Γ)의 정의는 식(5)와 같다.

(5)
Γ = m s ˙ 2 L

여기서 m s ˙ 는 흡수액 유량이다.

흡수액측의 액막 Reynold 수(ReΓ)와 전열관 내측 냉각수의 Reynold 수(Re)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6)
R e Γ = 4 Γ μ s

(7)
R e = ρ V D i μ w

3. 결 과

3.1 Falling film 흡수기 성능 특성

Fig. 4는 흡수액 액막유량에 따른 흡수기내 흡수액 온도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온도계 측정위치는 Fig. 2의 우측에 표시하였다. 흡수기 입구 부분과 0 지점사이는 전열관이 없는 영역이며 단열 흡수(Adiabatic absorption)가 일어나는 곳으로 흡수기 내부로 H2O/LiBr 수용액이 들어가면서 포화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단열상태이므로 열전달이 일어나지 않고 압력-온도-농도(P-T-X)가 평형에 이르는 부분이 된다. 0~193 mm은 상부영역으로서 흡수기 전체영역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이 영역에서는 온도 변화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점으로 가장 높은 액막유량(Ref 29)에서는 초기 50℃에서 37.5℃까지 온도가 감소하고, 낮은 액막유량(Ref 12)에서는 50℃에서 33.9℃까지 흡수액 온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액막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액 온도 변화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흡수액 유량증가에 따라 열용량의 증가로 인해 온도 변화폭이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중간영역(193 mm에서 385 mm 영역)도 전체 영역의 약 35%를 차지한다. 하지만 상단과 달리 온도 변화폭이 크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하부 영역(385 mm에서 545 mm 영역)은 전체 영역의 30% 차지하지만 단별 흡수액의 온도 변화가 거의 없는 영역이 된다. 즉, 하부영역은 상부영역에 비하여 현열 열전달이 저조한 영역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Deng et al.(14)의 연구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Fig. 4.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bsorber according to film Reynolds number(EC 26 tube).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fig4.png
Fig. 4

Fig. 5는 흡수기 상단에서 중단 하단별 증기 흡수량 분포를 나타난다. 단별 증기 흡수량은 Fig. 4에서 측정된 온도데이터와 측정된 흡수기 압력을 이용하여 포화농도를 이용하여 위치별 증기 흡수량을 계산한 것이다. 그림에서 보듯이 증기의 흡수량은 흡수액 액막유량이 증가하면 상승하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대부분의 증기의 흡수는 상단(0~193 mm)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간영역(193 mm에서 385 mm 영역)에서는 증기 흡수량이 감소하고 하부 영역(385 mm에서 545 mm 영역)은 증기 흡수량이 매우 적은 것으로 파악 된다.

Fig. 5. Vapor absorption rate of absorber according to film Reynolds number(EC 26 tube).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fig5.png

Fig. 6은 액막유량 변화에 따른 위치별 냉각수 측 평균 온도를 Floral 전열관과 End cross 26 전열관에서 비교 한 그래프이다. Fig. 3에서 보듯이 냉각수는 하단에서 유입하고 상단으로 유출되는 역 흐름 방식이 된다. 따라서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 갈수록 냉각수의 온도는 증가하게 된다. 단별 냉각수의 온도는 각 단의 양끝 water box에 4선식 RTD를 설치하여 측정하였고 양단의 온도를 산술 평균하였다. 그림에서 보듯이 액막 Re 수가 증가함에 따라 출구의 온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용액 액막 Re 수가 증가하면 흡수액의 현열 열전달 및 증기 흡수량이 증가하여 전체 열전달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흡수기 하부에서 상부길이 방향에 따른 냉각수 온도 변화는 흡수기 상부로 갈수록 기울기가 급하게 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흡수기 상부에서 열전달이 하부보다 원활히 발생하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같은 액막 Re 수에서 냉각수 출구 온도는 EC 26 전열관이 Floral 전열관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Table 1에서 보듯이 End cross 26 전열관 내외측 가공에 따른 대류 열전달 계수 촉진이 Floral 전열관 보다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경향은 Park et al.(15)의 연구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Fig. 6. Cooling water temperature variation of absorber according to film Reynolds number(Floral tube vs EC tube 26).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fig6.png

3.2 전열관 종류별 특성 비교

Fig. 7은 전열관 종류별 흡수액 액막 레이놀드(Ref)에 따른 열전달량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 시 열량은 냉각수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흡수액 입출구 앤탈피차와 증기 흡수량을 고려한 흡수액측 열량을 비교하였을 약 5~7% 정도 차이가 났으며 이는 열손실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상기하였듯이 액막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전열관의 열전달량 값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전열관 중에서는 Floral tube가 전반적으로 낮은 열전달량을 나타내며, 20 이하의 낮은 액막 Re수 에서는 EC 26, 20 이상의 높은 액막 Re 수에서는 End Dimple tube 또는 EC 38이 높은 열전달량을 나타낸다.

Fig. 7. Variation of absorber heat transfer rate to film Reynolds number on tube types.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fig7.png

Fig. 8은 전열관 종류별 흡수액 액막 레이놀드(Ref)에 따른 총괄 열전달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열량과 유사하게 액막유량이 증가함에 총괄 열전달 계수 값도 유사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0 이하의 낮은 액막 Re 수에서는 EC 26 전열관이 높은 총괄 열전달 계수를 나타내며, 실제 흡수식 냉동기 상용기기의 운전구간인 액막 Re수 20~30 영역의 높은 액막유량에서는 EC 40 전열관이 가장 높은 총괄 열전달 계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EC 2V 전열관이 높은 총괄 열전달 계수를 나타낸다. 반면에 Floral 전열관은 열량 값과 유사하게 전반적으로 낮은 열전달 계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EC 40 전열관은 Floral 전열관 대비 평균 약 51% 높은 총괄 열전달 계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Fig. 8. Variation of absorber overall transfer coefficients to film Reynolds number on tube types.
../../Resources/sarek/KJACR.2018.30.6.266/fig8.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흡수식 냉동기용 falling film 타입 흡수기의 기본 성능 특성을 파악하였고 흡수기의 고성능화를 위하여 기존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열관 2종(Floral tube, End Cross 26 tube)외에 새로 고안된 신규 전열관 5종(End Cross 38, End Cross 40, End Cross 26-2V, End Dimple, NF tube)을 사용하였을 경우 기준 조건에서 산포 액막유량에 따른 성능을 파악하였다.

(1) Falling film 흡수기 상부에서 하부길이 방향으로 전체 영역을 상부 35%, 중앙부 35%, 하부 30%로 나뉘었을 때 유하하는 흡수액의 온도측정에 의하여 상부 영역에서 높은 열전달 및 증기 흡수 과정이 일어나며 중앙부와 하부영역 순으로 열전달 및 증기 흡수 과정이 감소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2) 흡수기 전열관 단별 냉각수측의 평균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을 경우에서도 흡수기 상부 영역에 냉각수 온도변화가 중/하부영역 보다 커 상부영역이 열전달 현상이 중/하부영역 보다 높음이 파악 되었다.

(3) 20 이하의 낮은 액막 Re 수에서는 EC 26 전열관이 높은 총괄 열전달 계수를 나타내며, 실제 흡수식 냉동기 상용기기의 운전구간인 액막 Re 수 20~30 영역의 높은 액막유량에서는 EC 40 전열관이 가장 높은 총괄 열전달 계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EC 2V 전열관이 높은 총괄 열전달 계수를 나타낸다. 반면에 Floral 전열관은 열량 값과 유사하게 전반적으로 낮은 열전달 계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EC 40 전열관은 Floral 전열관 대비 평균 약 51% 높은 총괄 열전달 계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후 기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에너지기술개발사업(20152020001240, 10060218)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Kawamata O., Otani T., Ishitulia N., Aliyanchi T., 1985,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Heat Transfer Tubes for Absorber of Absorption Refrigerator, Hitachi, No. 8, pp. 57-62Google Search
2 
Kunugi Y., Usui S., Ouchi T., Fukuda T., 1985, Heat Transger Performance of Absorber of Absorption of Absorption Refrigerating Machine, Trans. of the JAR, Vol. 2, No. 3, pp. 189-195Google Search
3 
Naoyuki I., 1988, Practical Studies on Absorbers in Japan, Refrigeration Engineering Division EBARA Coporation, pp. 1-19Google Search
4 
Isshiki N., Ogawa K., Sasaki N., Funato Y., 1991, R&D of CCS(Constant Curvature Surface) tubes for absorption heat ex-changers, Proceedings of Absorption Heat Pump Conference ‘91, Tokyo, Japan, pp. 96-101Google Search
5 
Christensen R. N., Cook F. B., Kang Y. T., 1997, Capillary Fluted Tube Mass and Heat Transf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U. S. Patent Number, 5617737Google Search
6 
Moon C. G., Choi I. S., Kim T. J., Park S. H., Yoon J. I., 1997, Experimental Study of Absorber Heat Transfer for the Development of Absorption Tubes, Transactions of the Sarek, pp. 126-131Google Search
7 
Seol W. S., Kwon O. K., Yoon J. I., 1998,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nhanced heat and mass transfer for Libr/H20 absober, Transactions of the Sarek, Vol. 10, No. 5, pp. 581-588Google Search
8 
Lee K. T., Lee H. S., Moon C. G., Kang K. C., Yoon J. I., 2004, Experimental Study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bsorber with Variations of Tube Diameters, Transactions of the KSME, pp. 328-333Google Search
9 
Yoon J. I., Oh H. K., Kashiwagi T., 1994, Characteristics of Heat and Mass Transfer for a Falling Film Type Absorber with Insert Spring Tubes, Transactions of the KSME, Vol. 19, No. 1, pp. 1501-1509Google Search
10 
Kim N. H., Jung I. K., Kim K. H., 1995, An Experimental Study on Condensation Heat Transfer of Low- Finned Tubes,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Vol. 7, No. 2, pp. 298-309Google Search
11 
Ohm K. C., Kashiwagi T., Seo J. Y., 1993, Characteristics of Absorption and Heat Transfer for Film Falling along a Vertical Inner Tube,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Vol. 6, No. 3, pp. 175-181Google Search
12 
Kim Y. H., Nam S. H., Cho H. U., Oh H. H., 2007,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the enhanced tube for the absorber in the absorption chiller, Transactions of the KSME, pp. 114-118Google Search
13 
Yoon J. I., Oh H. K., Kashiwagi T., 1995, Characteristics of Heat and Mass Transfer for a Falling Film Type Absorber with Insert Spring Tubes, Transactions of the KSME, Vol. 19, No. 36, pp. 1501-1509Google Search
14 
Deng S. M., Ma W. B., 1999, Experiment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an absorber using LiBr/H2O solution as working fluid,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22, pp. 293-301DOI
15 
Park C. W., Choa H. C., Kang Y. T., 2004, The effect of heat transfer additive and surface roughness of micro-scale hatched tubes on absorption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27, pp. 264-270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