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문
(Ki-Moon Jung)
1
김성민
(Seong-Min Kim)
1
김선창
(Seon-Chang Kim)
1†
전동순
(Dong-Soon Jeon)
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Thermal & Fluid System Group,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heonan, 31056, Korea)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Key words
삼중효용 흡수식 냉동기(Triple effect absorption chiller), 고온재생기(High temperature generator), 용액 순환비(Solution circulating ratio),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LiBr Aqueous solution), 열전달계수(Heat transfer coefficient)
기호설명
a:용액 순환비 [-]
C:농도 [%]
h:열전달계수 [kW/m2K]
i:엔탈피 [kJ/kg]
k:열전도도 [kW/mK]
L:시험부 길이 [m]
m:질량유량 [g/s]
Nu:누셀트 수 [-]
Pr:프란틀 수 [-]
Q:열량 [kW]
q":열유속 [kW/m2]
Re:레이놀즈 수 [-]
r:반지름 [m]
T:온도 [℃]
u:불확도 [-]
x:건도 [%]
하첨자
avg:평균
c:합성
G:재생
H:히터
i:관 내측
o:관 외측
s:농용액
sol:용액
t:튜브
v:증기
w:희용액, 관벽
x:표준
1. 서론
흡수식 냉동기는 대표적인 열구동 냉방 시스템으로 기존의 증기 압축식 냉동 시스템에 비하여 전기 사용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하절기 냉방수요 증가에 따른
전력부하 절감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하절기 가스 수요를 증대 시킬 수 있어 국가적인 에너지 수급정책에 적극 대응이 가능한 친환경 냉방 시스템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는 흡수식 냉동기는 주로 LiBr 수용액을 작동매체로 사용하는 이중효용 시스템이다. 국내에서는 2010년부터
고효율 기자재 인증제도 및 가스냉방 보급 활성화 정책과 맞물려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고효율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이로 인하여
현재 COP는 1.3 정도로 이중효용 흡수식 사이클의 이론적 COP의 한계 수준까지 도달한 상태이다. 이러한 한계 수준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중효용
사이클에 고온재생기와 고온 용액열교환기가 각각 하나씩 추가된 삼중효용 흡수식 냉동 사이클이 제안되었으며,
(1) 일본에서는 이미 수년 전에 NEDO의 지원 하에 COP 1.78의 300 RT급 삼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상용화 개발을 완료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적인 에너지 수급정책 및 온실가스 저감 정책에 효과적인 대응을 위하여 삼중효용 흡수식 냉동 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Lizarte와 Marcosn
(2)은 LiBr 수용액을 작동매체로 사용하는 삼중효용 흡수식 사이클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국내에서도 Park과 Jung
(3)은 삼중효용 흡수식 사이클의 다양한 흐름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역-병렬 흐름형 사이클을 제안하였다. 또한 Seo와 Jung
(4)은 역-병렬 흐름형 삼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서 용액 열교환기의 유량 분배에 관한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삼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는 다수의 수직관이 원통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소형 관류 보일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Rivera와 Xicale
(5)은 LiBr 수용액을 작동매체로 하는 태양열 구동 흡수식 냉동기용 수직 단관 재생기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Rivera et
al.
(6)은 암모니아/물(Ammonia/water) 및 암모니아/리튬 나이트레이트(Ammonia/lithium nitrate)를 작동매체로 하는 태양열 구동
수직 단관 재생기에서의 열전달계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Shi et al.
(7)은 LiBr 수용액을 작동매체로 사용하는 유하 액막식 수직관형 재생기에서 열유속의 변화에 따른 열전달 성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연구들은 모두 재생기에서의 재생온도가 100℃ 이하인 일중효용 흡수식 사이클의 작동조건에서 수행된 연구들이며, 삼중효용 사이클과 같이 고온의
작동조건에서 수행된 수직관 재생기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7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되는 삼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용 관류 보일러형 수직관식 고온재생기에 대한 운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직
단관 고온재생기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실험
2.1 실험장치 및 조건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삼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는 기존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와는 달리 관류 보일러(Once-through boiler)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Fig. 1에 관류 보일러형 수직관식 고온재생기의 개략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류 보일러형 수직관식 고온재생기에서의 작동 특성 분석을 위하여 관류형
보일러의 수직 단관 부분만을 모사하여 이를 이용한 고온재생기 특성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Fig. 2는 본 실험을 위해 제작된 실험 장치와 시험부(Test section)를 도식화 한 것이다. 실험 장치는 용액 저장 용기 (Storage tank),
예열기(Preheater)가 설치어 있는 시험부 하부 헤더(Bottom header), LiBr 수용액의 재생과정이 일어나는 시험부, 재생된 증기와
농용액이 분리되는 상부 헤더(Top header), 재생된 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Condenser) 및 응축수 저장 용기(Receiver)로
구성되어 있다. 시험부는 외경 60.5 mm 및 내경 54.5 mm의 스테인리스 강관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시험부의 길이는 1 m이다. 전체 시험부는
200 mm 간격으로 5구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구간에 동일한 열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시험부의 외벽면에 세라믹 밴드 히터(Band heater)를
부착하였다. 각 구간별 중심부에는 LiBr 수용액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16” RTD를 삽입하였으며, 각 구간의 벽면 온도 측정을 위하여 1/8”
RTD를 양측 벽면에 부착하였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once-through type high temperature generator.
Fig. 2.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setup and test section.
시험부로 공급되는 희용액 및 응축수의 질량유량 측정을 위하여 질량유량계(Mass flowmeter)를 설치하였 으며, 하부 헤더와 시험부에 공급되는
열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전력량계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질량유량, 열량 그리고 각 부분의 온도 및 압력은 데이터 기록장치(Data logger)를 이용하여
저장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 조건은 Jung 등이 수행한 200 RT급 고온재생기 최적 설계 결과
(8)를 이용하여
Table 1과 같이 선정하였다. 고온재생기 입구에서의 LiBr 수용액 농도, 온도 및 압력은 Jung 등의 최적설계 조건과 동일한 조건을 사용하였으며, 질량유량
및 공급열량은 단관의 용량(200 RT급 용량 대비 약 1.4%)에 맞추어 환산하였다.
Table 1. Experimental conditions
|
Inlet concentration
(%)
|
Inlet temperature
(℃)
|
Inlet pressure
(kPa)
|
Mass flow rate of
weak solution(g/s)
|
Heat of generation
(kW)
|
Experimental Condition
|
56.4
|
179.7
|
273.3
|
14, 20
|
1.3~4.2
|
Jung's Result(8)
|
984
|
351.4
|
실험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하였다. 저장용기에 저장된 저농도의 LiBr 수용액은 인버터에 의해 제어되는 용액펌프를 이용하여 설정된 실험 조건에
맞는 유량으로 하부 헤더로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된 희용액은 하부 헤더의 예열 히터를 이용해 입구 온도 조건을 맞추어 시험부로 유입하게 된다. 시험부
각 구간에서는 밴드 히터를 통해 동일 열량을 공급하고 각 열량 조건에서의 용액과 벽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부를 지난 LiBr 수용액은 상부 헤더에서
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되어 농용액은 다시 용액 저장 용기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부 헤더에서 분리된 증기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후 용액 저장 용기로
유입되며, 용액 저장 용기에서 응축수와 농용액이 혼합되어 농도가 묽어진 희용액은 다시 시험부로 공급되는 사이클을 형성한다. 실험 시, 모든 측정 값이
안정화되어 정상상태에 도달했을 때, 희용액 측과 농용액 측의 샘플링 실린더(Sampling cylinder)를 이용하여 용액을 추출한 후 각각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총 3회의 반복 실험을 수행하였다.
2.2 데이터 처리
삼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용 수직 단관에서의 열전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내측 열전달계수, 시험부 입·출구에서의 용액 농도차 및 용액
순환비를 계산하였다. 열전달계수 계산에 필요한 관 내측 온도 T
w,i는 시험부 각 구간에서 측정한 표면 온도 T
w,o을
식(1)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시험부 각 구간에서의 관내측 국부 열전달계수는
식(2)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식(3)을 이용하여 각 실험 조건에서의 평균 열전달계수를 산출하였다.
재생기에서 1 kg의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재생기로 유입되는 희용액의 질량유량 a kg을 용액 순환비로 정의하며
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4)에서의 증기 질량유량
은
식(5) 및
식(6)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LiBr 수용액의 농도는 샘플링 실린더에서 추출한 용액의 밀도와 온도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데이터 처리시에 사용된 모든 물성치는 상용 소프트웨어인 EES(Engineering Equation Solver) V10.121을 사용하였다.
2.3 불확도
본 연구에서는 실험 데이터 및 계산 결과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표준 불확도 및 합성표준 불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준 불확도 ux는 측정
장치의 정밀도에 대한 신뢰수준 95%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합성표준 불확도 uc는 Taylor와 Kuyatt
(9)가 제안한
식(7)의 불확도 전파(Uncertainty propagation)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Table 2에 본 연구에서 수행한 불확도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2. Uncertainty in different variables
|
Parameters
|
Uncertainty
|
Standard
uncertainty ux
|
Temperature, T(℃)
Mass flow rate of weak solution,
(kg/s)
Heat transfer rate, Q(kW)
|
0.05102
0.00017
0.01224
|
Combined standard uncertainty uc
|
Heat transfer coefficient, h(kW/m2)
Concentration, C(%)
|
0.02053
0.05295
|
3. 결과 및 고찰
Fig. 3은 시험부에서의 에너지 평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밴드히터에 투입된 열량 QH와
식(8)의 에너지 평형식으로부터 계산된 재생 열량 QG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본 실험은 에너지 평형 오차 약 ±20% 이내의 범위에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투입 열량이 증가할수록 열 손실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 3. Comparison between heat of generation and supplied heat by band heater.
Fig. 4는 희용액 질량유량이 14.2 g/s 및 20.1 g/s일 때, 열유속의 증가에 따른 증기 발생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각각의 데이터는 불확도
전파 식을 통해 산출한 불확도를 에러바(Error bar) 형태로 나타내어 그래프에 함께 표시하였다. 그림에서와 같이 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증기
발생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희용액 질량유량이 서로 다른 두 경우에도 증기 발생량은 근사한 값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기에 가해진 열량은 재생기 입․출구에서의 LiBr 수용액의 현열 변화량(
)과 증기 발생에 필요한 잠열 항(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Table 3에
식(8)의 각 항에 대한 실험값을 나타내었다.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iBr 수용액의 현열 변화량은 증기 발생에 필요한 잠열량에 비하여 약 0.3~2.7% 정도로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재생기에 투입된 열량은 LiBr 수용액의 현열 변화보다는 대부분이 증기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희용액의 질량유량이 다른 경우라도
재생열량이 유사한 경우에는 증기 발생량도 비슷한 값을 보이게 된다.
Fig. 4. The mass flow rate of vapor versus heat flux.
Table 3. The value of each term of heat of generation
14.2 g/s
|
20.1 g/s
|
QG
|
①
s · hs
|
②
w · hw
|
③
v · hv
|
|(①-②)|/③
|
QG
|
①
s · hs
|
②
w · hw
|
③
v · hv
|
|(①-②)|/③
|
1.343
1.983
2.578
3.465
4.167
|
5.511
5.513
5.554
5.632
5.629
|
5.505
5.557
5.577
5.600
5.572
|
1.337
2.026
2.600
3.433
4.110
|
0.004
0.021
0.009
0.009
0.014
|
1.508
2.034
2.680
3.485
4.229
|
7.731
7.864
7.963
8.034
8.026
|
7.760
7.857
7.925
7.943
7.950
|
1.537
2.027
2.642
3.394
4.153
|
0.019
0.003
0.015
0.027
0.018
|
Fig. 5는 열유속의 증가에 따른 용액 순환비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으로, 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용액 순환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 4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열유속이 증가하면 증기 발생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식(4)에 의하여 용액 순환비는 감소하며, 이는 열유속이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질량유량의 희용액으로도 동일한 증기량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질량유량이
14.2 g/s 및 20.1 g/s일 때 열유속이 각각 7.4~23.1 kW/m
2 및 8.3~23.4 kW/m
2인 범위 내에서 용액 순환비는 9.8~29.8 및 13.8~36.7의 범위를 갖고 있어 희용액 질량유량이 큰 경우 용액 순환비가 큰 값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각 희용액 질량유량 조건에서 증기 발생량은 유사하지만
식(4)의 용액 순환비 정의에 따라 희용액의 질량유량이 큰 경우에는 용액 순환비가 큰 값을 갖게 된다.
Fig. 5. The solution circulating ratio versus heat flux.
희용액의 질량유량이 각각 14.2 g/s 및 20.1 g/s일 때, 열유속의 증가에 따른 LiBr 수용액의 입·출구 농도차를
Fig. 6에 나타내었다. 시험부에서 열유속이 각각 7.4~23.1 kW/m
2 및 8.3~23.4 kW/m
2로 증가함에 따라 증기 발생량이 증가하여 용액의 입․출구 농도차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희용액 질량유량이 14.2 g/s 및 20.1 g/s일
때 입․출구 농도차의 평균값은 각각 2.0~6.5% 및 1.6~4.5%로 나타났으며, 열유속이 동일한 경우에는 희용액 질량유량이 적을 때 더 큰 농도차를
보였다. 이는
Fig.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희용액 질량유량이 서로 다른 경우라도 증기 발생량은 유사하므로 희용액 질량유량이 적을 때 재생기 출구에서 농용액의 농도가 더
진하게 되기 때문이다.
Fig. 6.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versus heat flux.
Fig. 7은 LiBr 수용액의 재생과정에서 시험부 길이 방향에 따른 국부 열전달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두 질량유량 조건에서 모두 시험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국부 열전달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흡수식 냉동기에서 흡수기 및 재생기에서의 열전달계수를 언급할 때에는 응축(흡수기) 및
비등(재생기)의 관점보다는 LiBr 수용액의 현열 변화과정에서의 대류열전달계수 관점으로 논한다. 수직관 또는 판형 열교환기 형태의 고온 재생기에서
LiBr 수용액의 재생과정에 대한 Nusselt 수는 Dittus-Boelter의 상관식과 유사한 형태 (f(Re
m, Pr
n))로 표현되며, 일반적으로 m
n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수직관 고온재생기에서 LiBr 수용액은 시험부 길이 방향으로 상향 유동을 함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여 Reynolds 수는 감소하고 Prandtl 수는 증가한다. 그러나 m
n의 관계에 따라 Re
m의 감소율이 Pr
n의 증가율에 비해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Nusselt 수 및 대류열전달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The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 versus the length of the test section.
Fig. 8은 열유속의 증가에 따른 평균 열전달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으로 평균 열전달계수는 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희용액 질량유량이
14.2 g/s 및 20.1 g/s인 경우 평균 열전달계수는 각각 약 1.4~2.6 kW/m
2K 및 1.2~1.5 kW/m
2K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희용액 질량유량이 14.2 g/s인 경우의 평균 열전달계수가 희용액 질량유량 20.1 g/s인 경우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약
34% 정도 큰 값을 나타내었다.
Fig. 6에서와 같이 열유속이 증가하면 농도차가 커져서 LiBr 수용액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며, 농도가 증가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이유로 열전달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Fig. 8. The averaged heat transfer coefficient versus heat flux.
Fig. 9는 Marcos et al.
(10)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Fig. 8에서 얻은 평균 열전달계수를 건도(quality, x) 변화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Marcos 등의 연구는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 재생기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의 온도 조건 보다 다소 낮은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었으며, 고온 재생기로
판형 열교환기를 사용하였다. Marcos 등의 실험결과와 본 실험결과는 열전달계수의 절대 값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건도가 증가함에 따라 열전달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건도가 증가하면 LiBr 수용액의 농도가 증가하고,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열전달계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Marcos 등의 실험결과에서 열전달계수가 더 높은 값을 보이고 있는 이유는 원관이 아닌 판형 열교환기를 사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9. The averaged heat transfer coefficient versus quality.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17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되는 삼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용 관류 보일러형 수직관식 고온재생기에 대한 운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직
단관 고온재생기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희용액 질량유량이 14.2 g/s 및 20.1 g/s일 때, 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증기 발생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희용액 질량유량이
서로 다른 두 경우에도 증기 발생량은 근사한 값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희용액 질량유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열유속이 증가하면 증기 발생량이 증가하기 용액 순환비는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질량유량이 14.2
g/s 및 20.1 g/s일 때 열유속이 각각 7.4~23.1 kW/m
2 및 8.3~23.4 kW/m
2인 범위 내에서 용액 순환비는 9.8~29.8 및 13.8~36.7의 범위를 갖고 있어 희용액 질량유량이 큰 경우 용액 순환비가 큰 값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시험부에서 용액의 입․출구 농도차는 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입․출구 농도차의 평균값은 각각 2.0~6.5% 및 1.6~4.5%를
나타내어 열유속이 동일한 경우, 희용액 질량유량이 적을 때 더 큰 농도차를 보였다.
(4) 수직 단관 내부에서 LiBr 수용액이 길이 방향으로 상향 유동을 함에 따라 증기 발생량이 증가하여 기공율(Void fraction)이 증가하기
때문에 시험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국부 열전달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부 전체 길이에 대한 평균 열전달계수는 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희용액 질량유량이 14.2 g/s 및 20.1 g/s인 경우 평균 열전달계수는 각각 약 1.4~2.6 kW/m
2K 및 1.2~1.5 kW/m
2K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희용액 질량유량이 14.2 g/s인 경우의 평균 열전달계수가 희용액 질량유량 20.1 g/s인 경우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약
34% 정도 큰 값을 나타내었다.
후 기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10060218).
References
Grossman G., Zaltash A., 2001, ABSIM-modular simulation of advanced absorption systems,
Int. J. Refrigeration, Vol. 24, No. 6, pp. 531-543
Lizarte R., Marcosn J. D., 2016, COP optimisation of a triple-effect H2O/LiBr absorption
cycle under off-design condition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99, pp. 195-205
Park J., Jeong S., 2016, Comparative simulation of triple-effect absorption chiller
cycle with various solution flow, Proceedings of the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Summer Annual Meeting
Seo H., Jeong S., 2017, Optimization of Solution Heat Exchanger Area and Flow Distribution
in a Reverse- Parallel Flow Tripple-Effect Absorption Chiller, Proceedings of SAREK
2017 Summer Annual Conference, pp. 400-403
Rivera W., Xicale A., 2001, Heat transfer coefficients in two phase flow for the water/lithium
bromide mixture used in solar absorption refregeration system,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 70, No. 3, pp. 309-320
Rivera W., Velez V., Xicale A., 2000, Heat transfer coefficients in two phase flow
for mixtures used in solar absorption refregeration systems,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 63, No. 4, pp. 401-411
Shi C., Chen Q., Jen T., Yang W., 2010,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lithium bromide
solution in falling film generator,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53, No. 15-16, pp. 3372-3376
Jung K. M., Kim S. C., Jeon D. S., 2016, Design Optimization of High Temperature Generator
for Triple Effect Absorption Chiller, Proceedings of the KSME, pp. 2172-2176
Taylor B. N., Kuyatt C. E., 1994, Guidelines for evaluating and expressing the uncertainty
of NIST measurement result, NIST Technical Note 1297
Marcos J. D., Izquierdo M., Lizarte R., Palacios E., Infante Ferreira C. A., 2009,
Experimental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s in the high temperature generator
of a double effect absorption machine for the lithium bromide/water mix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32, No. 4, pp. 627-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