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도시에너지연구단 (Center for Urban Energy Research,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02792, Korea)
  2. 아주대학교 기계공학과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jou University, Suwon, 16499, Korea)
  3. 한국교통대학교 기계공학과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ju, 27469, Korea)
  4.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Departmen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763, Korea)
  5. 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 (Departmen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Busan, 49236, Korea)



축열(Thermal storage), 판형 열교환기(Plate heat exchanger), 멤브레인 제습(Membrane dehumidification), 히트펌프(Heat pump), 지열시스템(Geothermal system), 지중열교환기(Geothermal heat exchanger), 단열(Insulation), 지역난방(District heating), 공조(Air-conditioning), 건물에너지(Building energy), 저에너지주택(Low energy house), 바닥난방(Floor heating), 환기(Ventilation), 흡수식 냉동기(Absorption chiller), 파울링(Fouling)

1. 서론

이 논문은 2017년도 한 해 동안 설비공학 국문논문집에 발표된 논문을 분석하여 설비공학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주제에 따라 건축기계설비 분야, 건축환경 분야, 냉동 분야, 열전달 분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논문집에 게재된 75편의 논문에 대한 평가와 리뷰를 통하여 설비분야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익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2. 건축기계설비

2.1 개요

건축기계설비 분야에 관련된 논문은, 에너지성능, 공조설비, 환기설비, 신재생에너지, 급배수, 그리고 기타설비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시스템 설계에서 평가에 이르기까지 총 20개의 연구가 보고되었다. 우선 에너지성능 분야에서는 2편의 논문이 보고되었으며 공동주택에서 난방용 인버터 펌프 도입과 세대별 난방방식이 에너지 절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와 엑서지에 근거한 지역난방 열요금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다음으로 공조설비와 관련해서는 3편의 논문이 보고되었으며 최근 10년간의 국내 기상데이터를 활용한 BIN 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TRNSYS에서 제어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닥난방 모델링에 관한 연구, 그리고 건물에너지 통합형 가스엔진 구동 공조시스템의 기술현황 조사 등이 있었다. 환기설비와 관련해서는 5편의 논문이 있었으며, 공동주택에서 국소 환기효율 지표와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급배기 일체형 디퓨저의 성능평가, 자연환기 성능 개선을 위한 윈드터빈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그리고 공동주택에서 세대별 균등 배기를 위한 중앙식 국소배기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서는 2편의 논문이 있었으며, 복수정을 이용한 개방형 지열시스템의 초기 투자비에 관한 연구와 2단 가열식 지열시스템의 경제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급배수와 관련해서는 천연 유기산을 이용한 배관 스케일 세정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타설비와 관련해서는 7편의 논문이 있었으며, 감쇠탱크 내에서의 유동장 해석에 관한 연구, 옥외수영장의 동절기를 위한 바닥난방에 관한 연구, 발전용 가스터빈의 연소안정성 평가, 냉동물류 창고의 에너지 소실량에 관한 연구, 에어캡을 이용한 적층 에어캡 벽 모듈과 창호부착형 에어캡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그리고 설계단계에서 적정 기계설비 공사비 산정을 위한 BIM 개선방안에 관환 연구가 보고되었다. 각 분야에서 발표된 연구의 구체적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2.2 에너지성능

공동주택의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는 열공급 방식과 함께 공급되는 열원의 온도에 큰 영향을 받으며 때에 따라서는 열원의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 이해의 상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Seo et al.(1)은 현장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버터 펌프 방식과 공급 열원의 온도가 난방에너지 절감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공동주택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유량 난방 밸브는 유량을 단속적으로 제어하여 환수온도가 높아지고 열손실 및 엑서지 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엑서지와 관련하여 Moon et al.(7)은 엑서지에 근거한 지역열원의 열요금 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엑서지 기반 요금제를 도입하게 되면 시간별, 계절별로 차등 요금적용이 가능하고 공급시설의 효율보상 등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에게 합리적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2.3 공조설비

기상데이터는 건물의 부하계산 및 공조설비 설계에 중요한 자료가 되며 냉난방 부하 및 기기의 용량 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최근 기후변화와 건물 설계기준의 변화로 인하여 관련 기상데이터의 개정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시스템의 용량은 초기 투자비용과 건물의 유지관리 에너지비용의 절감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에 Lee et al.(13)는 최근 10년간의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KS C 9306 기반 BIN 데이터를 작성하고 TAC 2.5% 초과 위험률 반영 시의 건물 냉난방 최대부하의 차이를 보고하였다. 바닥복사난방은 우리나라 주택의 대표적 난방방식이로 바닥난방의 열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이 제안되어 있다. Park et al.(14)는 기존 모델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RC(Resistancee-Capacitance) 모델과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TRNSYS 단일 템플릿 내에서 제어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닥난방 모델링 기법을 제시하였다. Park et al.(18)는 부실한 송전설비 및 부족한 전력 인프라로 인하여 전력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의 도서지역에 공급할 수 있는 가스엔지 구동 발전 및 냉난방시스템의 기술현황을 보고 하였다.

2.4 환기설비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문제와 함께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동주택의 설치된 환기설비는 실내공기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적절한 설계와 관리를 통하여 이를 달성할 수 있다. 공동주택의 환기설비와 관련해서 4편의 논문이 보고되었다. Choi and Song(2,3)은 공동주택의 기계환기와 관련하여 2편의 논문을 제출하였다. 먼저 기계환기에 따른 각 실의 국소적 환기효율을 현장에서 평가하는 방법을, 그리고 실제 운전 실험결과를 통하여 전연교환 환기시스템의 열교환 효율을 보고하였다. Lim and Chang(4)은 CFD 해석을 통하여 기존의 팬형 디퓨져와 비교하여 저자들이 개발한 급배기 일체형 디퓨저의 효율성을 보고하였다. Kwon(19)은 공동주택의 주방 혹은 화장실 등의 배기를 위한 중앙식 국소배기시스템에 있어 공용 수직덕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저항과 새대별 배기풍량을 계산하고 정풍량 댐퍼가 층별로 흡수해야할 차압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Han et al.(6)은 건물 또는 공장 등의 자연환기방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윈드터빈을 대상으로 외기풍속과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환기량을 측정하였다.

2.5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하여 Cho and Nam(5)은 농촌 표준주택을 대상으로 복수정 이용 개방형 지열 시스템의 도입 타당성을 분석하고 경유보일러 대비 13년차에 초기 투자비용의 회수가 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Shin and Kim(9)은 냉난방 지열히트펌프의 응축열을 회수하여 급탕용 부스터 지열히트펌프의 가열원으로 사용하는 2단 가열식 지열시스템의 연간 전력소비량을 분석하고 경제성 평가결과를 보고하였다.

2.6 급배수설비 및 기타설비

급배수와 관련하여 Kang et al.(16)는 기존 스케일 제거방법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천연 유기산을 이용한 배관 스케일 세정제를 제조하고 스케일 제거 성능의 평가결과를 보고하였다. 기타설비로는 원자로, 옥외수영장, 냉동물류창고 등 다양한 시설과 함께 재료 및 적정 기계설비 공사비 산정에 이르기까지 다양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선 Jung et al.(8)은 원자로의 냉각에 사용되는 감쇄탱크에서 냉각제의 체류시간과 방산선량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감쇄탱크의 설계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Cho et al.(10)은 옥외 수영장 바닥난방 시스템 설계 시 시스템의 안전성을 고려한 결빙방지 최소 기준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In et al.(11)은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연소안정성 평가를 위한 시간첨도 기법을 발전용 가스터빈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냉동물류 창고와 관련하여 Yang et al.(12)은 냉동물류 창고의 도크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환기부하에 따른 전기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고 이러한 에너지소비를 줄이기 위한 도크 설계 시 유의 사항을 제시하였다. 에어캡과 관련하여 2편의 논문이 있었으며 Kim et al.(15)은 에어캡 적층을 이용한 에어캡 벽 모듈을 그리고 Her et al.(17)은 창호부착형 에어캡 모듈을 개발하고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개발된 모듈의 성능을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Park and Kim(20)은 기존 기계설비공사 공사비 예측에 관련 문헌자료 분석을 통하여 적정 공사비 산정이 가능한 기계설비공사의 설계 단계별 BIM 정보표현 수준 (Builindg Information Level : BIL)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3. 건축환경

3.1 개관

건축환경분야 연구는 크게 실내 환경, 건물에너지 및 기타 등으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실내환경 분야에서는 커튼월의 단열 향상 및 결로 방지를 위한 통기구조 적용방안, 공동주택 결로 하자 사례를 통한 개선방안, 수평면 전일사를 이용한 창 투과 일사량 계산 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건물에너지 분야에서는 업무용 건물의 용도 및 운전 기간별 에너지 소비 특성, 병원건물의 에너지 저감을 위한 에너지성능 평가에 관한 사례, 부하예측 외기냉방에 의한 건물에너지 절약, 공동주택에서 외피단열성능기준 강화에 따른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변화, 건물 부하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의 에너지 절감 효과, 열원조건 분석 통한 흡수식 히트펌프 적용 열에너지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예측, 노후 학교건물의 창호 교체에 따른 부하분석, 국내 난방도일의 지역별 균형점온도 산정,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건물의 단기 부하 예측 모델 개발, EnergyPlus에 적용된 Simple Window Model의 한계와 개선, 건물데이터를 통한 건물에너지 절감 가능성에 대한 사례연구, 신재생에너지 단독주택 모델 냉방운전의 선형계획법 기반 운전 최적화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기타 분야는 오피스 빌딩의 한국과 중국 피난관련 법 검토에 따른 개선, 운전자 졸음 시 냉풍 자극이 뇌파 및 심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사무소 건축물의 건축기계설비 배관 부속자재 요율 산출, 유닛형 경량철골 천정시스템 개발, 도파관 배열에 의한 국부저항계수 산정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3.2 실내 환경

실내 환경 분야에서는 커튼월의 통기구조, 공동주택 결로 하자 사례, 창 투과 일사량 계산 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Lee(21)는 커튼월의 함습으로 인한 단열성능 저하, 결로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커튼월의 중공층 통기를 통해 벽체 내 수분을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통기구조의 개선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커튼월 공법을 유지하면서 중공층 상하부에 개구부를 설치하여 중공층 내부의 환기가 가능한 통기성 커튼월의 실물실험을 통하여 통기성 커튼월과 비통기성 커튼월의 단열 및 결로방지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통기성 커튼월의 중공층 내 공기 유동 경로가 되는 중공층 폭과 개구부 크기에 따른 중공층 내 환기특성 분석을 통해 커튼월의 통기구조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통기성 커튼월이 중공층 내 기류속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면 비통기성 커튼월과 단열성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결로방지 성능은 향상된다고 보고하였다.

Oh et al.(25)은 2015년 국토교통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 접수된 민원 중 하자로 판정된 결로 하자사례를 중심으로 국내 공동주택 결로하자 사례를 분석/공유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발생 원인별 분석 결과 벽체의 경우 자재나 설계상의 오류로 인한 결로하자 발생보다는 시공상의 문제점으로 인한 세부 원인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특히, 단열성능이 저하 되거나 열교에 의해 발생한 결로하자 발생이 가장 많았으며, 현장에서 단열재 설치나 틈새 시공 불량, 우레탄 충진 미흡과 같은 시공기술상의 문제점도 결로 하자를 발생시키는 주원인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Jeon et al.(29)은 수평면 전일사량을 이용하여 창을 통해 투과되는 일사량을 구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수평면 전일사량으로부터 기존의 직산분리 모델을 활용하여 기상 상태에 따른 산란 일사량을 계산한 후 이를 통해 방위별 창을 통한 일사 투과량을 근사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TMY2 기상데이터와 건물 상세 모델을 이용하여 투과 일사량 계산을 실시하여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에너지양을 계산했을 때 CVRMSE는 25%, MBE는 10%로 나타나 ASHRAE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3.3 건물에너지

건물에너지 분야에서는 건물의 에너지 소비 특성, 병원건물의 에너지성능 평가, 부하예측 외기냉방,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외단열 시공의 에너지 절감, 열에너지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예측, 노후 학교건물의 부하분석, 난방도일의 지역별 균형점온도 산정, 건물의 단기 부하 예측 모델, EnergyPlus에 적용된 Simple Window Model의 분석, 건물에너지 절감 사례연구,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단독주택 냉방운전의 운전 최적화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Park et al.(39)은 중소형 업무용 건물을 대상으로 에너지 용도별 소비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업무용빌딩 8개소의 건물에서 계측된 상세 에너지 계측자료를 활용하여 에너지 소비 용도별로 구분하여 난방, 냉방, 급탕, 조명, 환기, 전기기기, 승강, 급수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에너지 용도별 소비량을 단위면적당 원단위 형태로 산출하였다. 심야시간(0시∼4시)의 에너지 소비특성 분석결과 주간 업무시간대비 40~ 60% 가량이 소비되는 것으로 나타나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심야시간대 전력이용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Cho et al.(22)은 병원건물을 대상으로 HVAC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패턴 및 특성을 분석하고 HVAC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따른 에너지 소비 영향분석이 가능한 평가/예측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손쉽게 시스템에너지를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중대규모 병원 건물의 사례분석을 통해 HVAC 시스템의 에너지 특성 및 성능을 분석하고 구성 시스템 및 분야별 에너지 영향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Kim et al.(23)은 건물 운영자의 경험이나 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으로 운전될 수 있는 부하예측에 의한 외기냉방 제어방법을 제안하였다. 건물자동화시스템과 연동하는 부하예측 외기냉방은 쾌적성 유지를 위해 실내온도를 고려하여 익일에 대해 예측된 외기상태 정보와 냉방부하 정보를 이용하여 부하를 제거하는 동시에 실내온도가 쾌적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외기를 도입하는 방법이다. 외기냉방 가능시간을 분석한 결과, 환절기인 4, 5, 6, 9, 10월에 집중되어 외기냉방이 가능하며, 최근 5년 동안의 외기냉방 가능시간은 지역에 상관없이 연중 10% 이상으로 나타났다.

Cho et al.(26)은 2015년에 개정된 절약설계기준과 친주설계기준의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 적용에 따른 난방에너지소요량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에 따른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의 변화를 ECO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절약설계기준의 외피열관류율 기준 뿐만 아니라 기계 분야와 전기 분야의 세부적인 정량적 기준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Park et al.(27)은 공동주택에 외단열 시공 시 외단열의 벽체 열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냉난방부하 계산프로그램인 RTS-SAREK와 EnergyPlus를 사용하여 외단열 공법의 축열성능, 열류 시간지연(Time-lag) 및 냉난방부하 및 에너지 절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벽체 열류의 차이를 열관류율만을 적용하는 RTS-SAREK은 내단열과 외단열 시공에 따른 벽체의 축열, 열류 시간지연을 냉난방부하해석에 사용할 수 없으나 벽체의 열류해석을 위한 다양한 해석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는EnergyPlus는 가능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타워형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외단열 시공 시 내단열 시공에 비해 연간 냉/난방부하는 4.3%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량은 약 13.6%의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Na et al.(31)은 열에너지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커뮤니티의 실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열에너지 공급과 수요패턴을 분석하여 열에너지 네트워크 구성안을 제시하고 그 구성안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평가하였다. 사용 중인 흡수식 냉온수기를 흡수식 히트펌프로 대체하여 난방열을 중앙공급하는 열에너지 네트워크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흡수식 히트펌프의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정적 시뮬레이션 결과 열원 및 부하 조건에 따른 LNG 소비량은 65~72% 범위 내에서 절감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Lee et al.(34)은 노후 학교건물에 대한 외피 단열성능 강화에 따른 실내 온열환경 및 냉난방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창호 교체를 통해 창의 단열성능 강화, 창의 SHGC 값을 변경하는 등 노후 학교건물의 창호 개선에 따른 실내 온열환경 변화, 냉난방부하 변동을 파악하였다. 노후 학교건물의 창호 교체 시 내부 발열 수준, 열관류율과 SHGC값을 동시에 검토하여 연간 냉난방부하의 합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창호 선택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Park et al.(35)은 국내 기후특성과 공동주택 건물의 열적성능을 반영한 난방도일을 산출하는 기준이 되는 균형점온도를 산출하였다. CIBSE, ASHRAE 및 ISO 13790을 참고하여 국내에서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균형점온도 산정과 이에 따른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각 단계별 정의되어야 하는 입력데이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균형점 온도 산출방법을 바탕으로 국내 중부, 남부, 제주 지방의 산출된 균형점온도는 서울의 경우, 15.0℃, 부산은 15.38℃, 제주는 16.60℃이며 이는 국내 현재 기준처럼 통용되고 있는 18.3℃보다는 모두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Jeon et al.(36)은 과거 데이터가 충분치 않은 상황을 가정해 최소 측정 데이터와 기상 예보 등을 이용하여 쉽게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날 시간대별 건물 열 부하를 예측하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건물의 단기 부하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ASHRAE Guideline, DOE M&V Guidelines, IPMVP에서 제시한 건물에너지 성능 검증 지침을 사용하여 예측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Kim et al.(37)은 EnergyPlus에 적용된 Simple Window Model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Full Spectral Method(FSM), Average Spectral Method(ASM), Simple Window Model(SWM) 모델의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기존의 모델의 오차요인을 제거한 Modified Simple Window Model(MSWM)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창호 모델과 기존의 모델 사이의 오차를 비교하기 위해 동적 부하해석 과정을 구현하였고, 설정한 존모델의 부하를 도출하여 Energy Plus 결과값과 비교하였다. SWM의 오차원인은 모든 창을 하나의 층인 equivalent layer로 고려하는 SWM의 가정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제안된 창호 모델은 실내온도와 창호 내표면 온도를 비교한 결과 SWM보다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Cho et al.(38)은 도시단위의 거시적인 관점에서부터 미시적 건물에너지 절감방안을 제시하고자 다변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단계별 건물데이터를 조합하고, 조합된 데이터를 도시부터 단일건물까지 적용대상별로 분석하였다. 데이터를 목적에 따라 각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건물에너지 사용 절감을 위한 유의미한 데이터의 활용방안의 적용대상별 사례를 제시하였다.

Shin et al.(40)은 선형계획법에 의한 최적운전 계획 알고리즘을 에너지플러스 기반의 단독주택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를 정량화하였다. 제안한 최적화 알고리즘의 정량평가를 위하여 에너지플러스 기반 단독주택 모델에 GenOpt의 global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조합한 모델과 결과를 비교하였다. 선형계획법에 의한 최적운전 계획 알고리즘은 비용면에서는 global optimization과 유사하였으나 냉방 부하를 제외한 나머지 설비의 운전계획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비용 최소화 또는 전력소비 최소화 등의 비용함수설정과 그에 따른 운전계획 수립 등을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3.4 기타

앞 절에서 언급한 실내 환경, 건물에너지 분야의 연구 외에 피난관련 법 검토, 운전자 졸음 시 뇌파 및 심전도 반응 분석, 사무소 건축물의 배관 부속자재 요율 산출, 경량철골 천정시스템, 도파관 배열에 의한 국부저항계수 산정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Lee et al.(24)은 국민안전처 및 국가화재정보센터 자료를 참조하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 동안의 국내 화재발생 현황을 조사하여 오피스 빌딩의 수평 및 수직 피난, 피난안전구역 피난에 관한 국내 법을 중국법과 비교하였다. 또한 복도폭, 특별피난계단 전실 면적과 피난안전구역을 대상으로 피난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재실자의 이동시간을 분석하였다. 국내의 경우 재실자수에 따라 복도 폭과 전실 면적을 별도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Kim et al.(28)은 냉풍에 따른 감성 반응을 실험을 통해 생리변화를 분석하여 졸음운전의 원인이 되는 CO2 농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시키고 실내 냉풍장치를 사용하여 운전자의 안면부로 송풍 시 콜드드래프트 효과로 인한 운전자의 졸음 및 각성 상태를 뇌파와 심전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ark(30)은 2010년도 이후 설계된 15개소의 사무소 건축물을 대상으로 배관공사의 공종별(기계실배관공사, 공조배관공사, 급수급탕배관공사, 오배수통기배관공사, 가스배관공사) 접합류 및 지지류의 부속자재 요율을 산출하였다. 스테인레스관의 요율은 접합방식 및 공종별로 산출이 필요하나 PVC 배관의 경우 부속자재 요율의 차이가 작아서 접합방식별로 요율을 산출이 필요하지 않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사무소 건축물의 공종별, 스테인레스관의 접합방식별 관 접합류 및 지지류의 요율을 제시하였다.

Kim et al.(32)은 높은 인건비 비율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결정되는 천정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 천정공사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모듈화의 개념의 유닛형의 경량철골 천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내 환경, 시공성, 경제성, 미관측면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성능을 검토를 통하여 향후 적용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조명배선 등에서 자재비가 감소하고, 전 공정에서 인건비가 감소하는 등 기존대비 20% 원가가 절감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Pang et al.(33)은 건축설비공사의 관통부에 설치되는 전자기파 차폐물에 대한 형상특성을 파악하고 공조 시스템에 설치되는 도파관 배열 인근의 유체거동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덕트를 중심으로 다양한 단위 형상의 도파관 배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제 유체가 이동하는 조건하에서 반송동력의 산정에 필요한 국부저항계수를 산출하여 동일한 EMP 차폐성능을 갖는 경우 육각형 도파관이 각형에 비해 약 15% 낮다고 보고하였다.

4. 냉동

4.1 개관

2017년 냉동분야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크게 냉동사이클, 대체 냉동/에너지 시스템 및 시스템 제어의 3개 분야로 분류하여 각 논문의 내용을 아래에 간략히 정리하였다.

4.2 냉동사이클

Yoon et al.(41)은 제2종 흡수식 히트펌프에서 온수의 공급방식과 용액열교환기의 유용도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용액열교환기의 유용도를 증가시켜 성적계수를 개선할 수 있으며 특정 유용도 조건에서 온수 공급방식은 재생기에서 증발기로 흐르는 순흐름 방식보다 증발기에서 재생기로 흐르는 역흐름 방식이 증기발생량 측면에서 유리함을 보고하였다.

Choi et al.(43)은 계절성능지표를 신규 도입하여 개정한 유럽규격(EN14825)은 기준으로 유럽형 히트펌프의 계절성능 향상을 위한 운전변수 최적화를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압축기운전 주파수를 최적화하여 17%, 팬속도 최적화를 통해 2%의 냉방계절성능 개선이 가능하며 사이클 최적화의 초점은 응축압력의 변화율에 맞춰져야한다고 보고하였다.

Kim and No(44)는 고압식 스크롤압축기의 스러스트 오일 그루브 설치 방식이 압축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치해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 사이의 스러스트면의 윤활을 위해 고정스크롤 외주부 스러스트면에 원형 오일 그루브의 설치를 제안하였고 최적설계를 통해 3.6%의 성능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Son et al.(46)은 FTVI(Flash Tank Vapor Injection) 방식의 히트펌프의 성능을 측정하고 비인젝션 방식 히트펌프와 비교하여 성능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외기온도 -10℃ 조건에서 난방능력은 비인젝션 방식에 비해 15%, COP는 2.8% 개선되었고 35℃ 조건에서 냉방능력은 11% 개선, EER은 동등하였으며 인젝션방식은 외기온도가 감소하여 압축비가 큰 경우에 특별히 난방능력과 COP를 개선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Yoon(49)은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에 추가한 제3재생기에 제1재생기에 유입하는 흡수용액을 분지하여 공급하고 제2재생기 발생증기의 응축열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성능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여 기존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COP와 비교하여 약 22%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예측하였다.

Lee et al.(50)은 제2종 흡수식 히트펌프의 냉매열교환기 구성에 있어서 냉매와 용액 또는 폐온수의 열교환과 바이패스 지점이 히트펌프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시스템과 비교하여 냉매열교환기에 용액을 바이패스 시킨 경우 COP가 감소하지만 폐온수 바이패스의 경우에는 최적 바이패스 비율이 존재하고 스팀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Kim(51)은 R-410A 냉동시스템의 입형 리시버 내 액냉매의 수위와 유량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수행한 결과 리시버 내 과냉보존율은 수위에 반비례하고 유량에 비례하며 리시버의 형상(세장비)에 달라짐을 보고하였다.

Kim and Kim(53)은 가정용 빌트인 제빙기의 최적화를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한 결과 20 kg/day 용량 제빙기의 최적 냉매량은 200 g, 시간당 제빙량은 1.27 kg, COP는 0.31이며 노즐 개선을 통해 제빙량을 10%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빙가시화를 통해 아이스 컵 내에서 균일한 두께로 얼음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Lim et al.(47)은 지표수를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표수열교환기가 히트펌프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700 m2의 인공연못에 지표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치하고 하절기(2016년 8월) 냉방성능을 측정, 분석한 결과 연못의 열용량이 작아 외기 온도가 지표수 열교환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쳤으며 히트펌프 COP는 5.71, 전체 시스템 COP는 2.99를 보고하였다.

4.3 대체 냉동/에너지 시스템

Jung and Park(42)은 멤브레인(중공사막형) 제습시스템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실험결과를 기초로 하여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였다. 건구온도 30℃, 습도 80% 조건에서 멤브레인 내외부의 압력차에 따라 제습량은 0.167~0.396 kg/h의 범위에서 측정되었으며 기존시스템(냉각식)과 비교하여 현열부하는 동일하나 잠열부하량은 약 39% 절감되어 총에너지소비량은 약 8.5%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Prah and Yoon(48)은 CO2-hydrate를 이용한 냉열에너지의 저장 및 순환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배관 내에서 CO2-hydrate의 생성 및 유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 수용액의 밀도와 온도를 제어하여 최대 34%의 질량비로 CO2-hydrate 슬러리를 생성하고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슬러리 생성을 촉진할 수 있었으며 수송에 필요한 소비동력은 초임계상태 수송에 비해 1/7 수준임을 보고하였다.

Ha et al.(52)은 화학축열 시스템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제올라이트-물 축열시스템을 제작하고 그 성능특성을 측정, 분석한 결과 Zeolite 13x가 넓은 온도 범위(50~180℃)에서 축열성능이 우수하고 저장밀도도 높지만 효율이 낮으므로 축열조의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열저장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Hong et al.(54)은 신재생에너지 기기로 인정받을 수 있는 히트펌프의 최소 성능에 대한 논의를 통해 새로운 성능기준을 제시하였다. 히트펌프가 생산하는 총열량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 사업에서 가정한 바와 같은 고정값(73%)이 아니라 ‘1-1.8/COPH’로 정의할 수 있는 난방 COP (COPH)의 함수로서 고성능 히트펌프의 사용에 따라 증가하는 값이므로 올바른 정의를 사용함으로써 설치 의무화사업에서 고성능 히트펌프의 사용을 권장해야 한다고 하였다.

4.4 시스템 제어

Jeon(45)은 공랭식 히트펌프의 증발기코일 전면에 한 쌍의 광센서를 설치하여 제상(defrosting) 제어에 사용하는 방안의 실용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광센서는 서리의 높이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여 정확한 제상제어가 가능하며 시간제상방식에 비해 순 난방시간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Kang et al.(55)은 유기물 잠열 축열재와 칠러를 결합하여 제작한 축열식 칠러시스템의 기본 성능을 측정하고 축열조와 칠러 모델을 개발, 시뮬레이션 하여 시스템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4가지 제어방식(축열조우선, 칠러우선, 구간제어, 동적계획) 중 구간제어 및 동적제어방식이 유사한 전력 요금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기존 방식에 비해 경제적임을 확인하였다.

5. 열전달 및 열교환기

5.1 개관

열전달 및 열교환기 분야에서는 일반적인 열전달 현상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열전달 촉진을 위한 비등 및 응축에 관한 열전달 해석, 그리고 각종 산업용 열교환기 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5.2 열전달 일반

열전달 일반에 관련된 연구는 9편이 출간되었다.

Son et al.(58)은 바닥공조시스템 디퓨저의 성층화 모델에 대한 CFD 결과를 발표하였다.

Lee and Yun(61,62)은 수송조건 매 포집 이산화탄소의 전달물성에 대해 점성과 열전도 계수 예측 결과를 보고하였다.

산업배열 및 부산물을 활용한 1톤급 바이오수소 생산 시뮬레이터에 대한 동적 열설계에 대한 결과가 Kim et al.(64)에 의해 보고되었다. 또한 Lee and Hwang(66)은 예혼합 버너의 연소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분포판 및 염공변화를 변화시키며 그 특성을 발표하였다.

Lee and Ahn(68)은 경사가 있는 확대 채널 통로내의 열전달 현상을 연구하여 열전달 향상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Lee and Cheong(71)은 혼합날개가 장착된 연료집합체 내부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해 전산유체역학 소프트웨어 적용성에 관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또한 Lee and Cheong(75)은 부력항 고려 필요성에 대해 비상노심냉각계통 주입에 따른 저온관 및 강수관에서 단상 열성층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Kim et al.(74)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엇갈림 휜에 대한 열유동 모델링을 수행하고 횐 형상 최적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5.3 비등 및 응축

Jeon et al.(63)은 관직경 및 표면 과냉도에 따라 R1234ze(E)와 R1233zd(E) 냉매에 대해 수평 평활관에서의 막응축 열전달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Kim and Jeong(73)은 질소이온이 조사된 알루미늄 표면에 대해 표면에너지 변화 및 증기 응축현상에 대한 관찰결과를 보고하였다.

5.4 산업용 열교환기

Kang et al.(56)은 열 교환 소자 형상의 수치해석을 통해 판형 전열 교환기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Park et al.(57)은 다중열원 열회수형 유동층 열교환기의 전열성능에 대한 실험결과를 발표하였다. 열교환소자에 대한 다른 연구로서 골심지의 흡습제 함침에 따른 종이 재질 판형 전열교환 소자에 대한 연구도 Kim(59)에 의해 발표되었다.

Kim and Choi(60)는 핀-관 열교환기가 외기 온도 변화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는데, 열교환기의 공기측 열전달 계수와 마찰계수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Kim(65)은 통신 함체 냉각용 열교환 소자에 대해 알루미늄과 플라스틱 재질에 따른 성능 비교를 수행하였다. 열교환기 성능에 대한 연구로서 Heo et al.(67)은 해수 파울링이 판형열교환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Choi et al.(69)은 단일채널 내에 이산화 탄소 가열과정이 임계영역에 다다랐을 때 열유동 특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Ahn et al.(70)은 냉각공기 유속측정에 기반하여 철도차량용 공기 압축기의 열교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Kim et al.(72)은 철도차량용 공기압축기의 열교환기에 대한 최적 설계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6. 결 론

2017년 설비공학 논문집에 발표된 논문을 건축기계설비, 건축환경, 냉동, 열전달 등 4개 분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축기계설비 분야에서는 총 20편의 연구가 보고되었으며 분야 별로 살펴보면 에너지성능과 관련해서는 공동주택에서의 난방설비와 지역난방 열요금 제도의 개선방안, 공조설비 분야에서는 BIN 기상데이터와 바닥복사난방, 그리고 가스엔진구동 건물에너지 통합시스템에 관환 연구가 진행되었다. 환기설비와 관련해서는 공동주택 환기시스템의 환기효율, 전연교환효율, 일체형 디퓨저와 공용 수직덕트, 그리고 자연 환기를 위한 윈드터빈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서는 지열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급배수와 관련해서는 쳔연 유기산 세정제에 관한 보고가 있었다. 기타설비로는 원자로, 옥외수영장, 냉동물류창고 등 다양한 시설과 함께 재료 및 적정 기계설비 공사비 산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2) 건축환경의 실내 환경 분야에서는 커튼월의 단열 향상 및 결로 방지를 위한 통기구조 적용방안, 공동주택 결로 하자 사례를 통한 개선방안, 수평면 전일사를 이용한 창 투과 일사량 계산 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건물에너지 분야에서는 업무용 건물의 용도 및 운전 기간별 에너지 소비 특성, 병원건물의 에너지 저감을 위한 에너지성능 평가에 관한 사례, 부하예측 외기냉방에 의한 건물에너지 절약, 공동주택에서 외피단열성능기준 강화에 따른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변화, 건물 부하계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의 에너지 절감 효과, 열원조건 분석 통한 흡수식 히트펌프 적용 열에너지 네트워크의 에너지 절감 예측, 노후 학교건물의 창호 교체에 따른 부하분석, 국내 난방도일의 지역별 균형점온도 산정,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건물의 단기 부하 예측 모델 개발, EnergyPlus에 적용된 Simple Window Model의 한계와 개선, 건물데이터를 통한 건물에너지 절감 가능성에 대한 사례연구, 신재생에너지 단독주택 모델 냉방운전의 선형계획법 기반 운전 최적화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추가적으로 오피스 빌딩의 한국과 중국 피난관련 법 검토에 따른 개선, 운전자 졸음 시 냉풍 자극이 뇌파 및 심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사무소 건축물의 건축기계설비 배관 부속자재 요율 산출, 유닛형 경량철골 천정시스템 개발, 도파관 배열에 의한 국부저항계수 산정 등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3) 냉동사이클 분야에서는 제2종 흡수식 히트펌프 및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성능 개선, 압축식 히트펌프의 계절성능 최적화, 입형 리시버가 히트펌프 성능에 미치는 영향, 가정용 빌트인 제빙기의 성능 최적화, 지표수 열원 히트펌프의 성능특성 등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고 대체냉동/에너지시스템 분야에서는 멤브레인 제습 시스템의 성능특성, CO2-hydrate를 이용한 냉열에너지 순환시스템, Zeolite 13x을 이용한 화학축열 시스템, 신재생 에너지 기기로서 히트펌프에 대한 새로운 성능기준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시스템 제어분야에서는 광센서를 이용한 제상제어 시스템, 유기물 축열-칠러 시스템의 최적 제어법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4) 열전달 일반분야에서는 바닥공조시스템 디퓨저의 성층화 모델에 대한 CFD결과, 수송조건 매 포집 이산화탄소의 전달물성에 대해 점성과 열전도 계수 예측, 산업배열 및 부산물을 활용한 1톤급 바이오수소 생산 시뮬레이터에 대한 동적 열설계, 예혼합 버너의 분포판 및 염공변화에 따른 특성, 경사가 있는 확대 채널 통로내의 열전달 현상, 혼합날개가 장착된 연료집합체 내부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해 전산유체역학 소프트웨어 적용성에 관한 지침, 부력항 고려 필요성에 대해 비상노심냉각계통 주입에 따른 저온관 및 강수관에서 단상 열성층에 대한 수치해석,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엇갈림 휜에 대한 열유동 모델링 및 횐 형상 최적 설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비등 및 응축분야에서는 관직경 및 표면 과냉도에 따라 R1234ze(E)와 R1233zd(E) 냉매에 대해 수평 평활관에서의 막응축 열전달에 대한 영향, 질소이온이 조사된 알루미늄 표면에 대해 표면에너지 변화 및 증기 응축현상에 대한 관찰결과가 보고되었다. 산업용 열교환기 분야에서는 열 교환 소자 형상의 수치해석을 통해 판형 전열 교환기의 성능평가, 다중열원 열회수형 유동층 열교환기의 전열성능, 골심지의 흡습제 함침에 따른 종이 재질 판형 전열교환 소자에 대한 연구, 단일채널 내에 이산화 탄소 가열과정이 임계영역에 다다랐을 때 열유동 특성, 철도차량용 공기압축기의 열교환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References

1 
Seo J. A., Shin Y., Kim Y. K., Lee T. W., 2017, A Study on Improved Operation of Apartment Heating System in a Machine Roo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 pp. 38-42DOI
2 
Y., Song D., 2017, Analysis of the Local Air-Change Effectiveness by Field Measuremen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2, pp. 63-67DOI
3 
Choi Y., Song D., 2017, An Evaluation on Energy Recovery Performance of the Ventilation System in Multi-Residential Building by Field Measuremen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2, pp. 68-73DOI
4 
Lim S. Y., Chang H. J., 2017,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Ventilation and Thermal Environment for a Combined Type Diffuser in a Residential Spac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2, pp. 74-81DOI
5 
Cho J. H., Nam Y., 2017, Analysis of the Initial Cost Payback Period on the Open-loop Geothermal System Using Two Well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3, pp. 119-126DOI
6 
Han D. H., Kim Y. S., Chung H., Jeong H., Choi S. H., 201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entilation Characteristics of a Wind-Turbine Natural Ventilator According to the Outdoor-Wind Velocity and the Indoor/ Outdoor-Temperature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4, pp. 175-184DOI
7 
Moon J., Yoo H., Lee J. H., Moon S., 2017, Suggestion for a New Exergy-Based Heat-Tariff Assessment for a District-Heating 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4, pp. 202-211DOI
8 
Jung M., Seo K., Kim S., 2017, A Study of Residence Time Calculation Methods in Decay Tank Design,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5, pp. 220-230DOI
9 
Shin J. S., Kim S. H., 2017, An Economic Analysis of a Secondary Waste Heat Recovery Geothermal Heating 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5, pp. 249-258DOI
10 
Cho J., Woo K., Kim J. H., 2017, Evaluation of Floor Heating Performance and Design Criteria for Operating an Outdoor Swimming Pool During Winter : A Case Study,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6, pp. 289-296DOI
11 
In B. G., Song W. J., Cha D. J., 2017, Combustion Stability for Utility Gas Turbines : Development of a Real-Time Assessment Softwar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6, pp. 306-315DOI
12 
Yang S., Kim Y., Hur J., Kim T., 2017, Analysis of Amount of Energy Loss for a Dock System in the Cold Distribution Center,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8, pp. 419-428DOI
13 
Lee K. S., Kim Y. J., Min K. C., Lee E. J., Kang E. C., 2017, Heating and Cooling Load Evaluation Study with TAC Based BIN Data,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9, pp. 463-471DOI
14 
Park S., Jang Y. S., Kim E. J., 2017, Simple Modeling of Floor Heating Systems based on Optimal Parameter Setting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9, pp. 472-481DOI
15 
Kim K. S., Seo J. H., Kim Y. S., Lee H. W., 2017, Development of Aircap Wall Module through the Lamination of Aircap,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0, pp. 504-514DOI
16 
Kang H. S., Yang W. S., Kim Y. I., Kim S. H., Choi D. H., 2017,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Pipe Scale Cleaner using Natural Organic Acid,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0, pp. 530-537DOI
17 
Her J. U., Seo J. H., Kim Y. S., Lee H. W., 2017, Development of the Aircap Module Attached to the Window Through Roll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1, pp. 559-569DOI
18 
Park B., Jeong Y., Shin H., Cho J., 2017, Integrated Building Energy Supply System: An Overview of Technical Trends for Gas Engine Driven Combined Heat and Power 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1, pp. 612-620DOI
19 
Kwon Y. I., 2017, Control Method to Ensure Uniform Exhaust Function by Household of Apartment Hous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2, pp. 628-637DOI
20 
Park B. S., Kim S. H., 2017, A Proposal of BIL for Reasonable Cost Estimation of Mechanical Contracts and Construction in Design Phase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2, pp. 663-672DOI
21 
Lee S., 2017, Application of Ventilated Cavity for Enhancing Insulation and Preventing Condensation of Curtain-wall 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 pp. 21-28DOI
22 
Cho J., Moon J., Kang H., 2017, Energy Performance Analysis for Energy Saving Potentials of a Hospital Building : A Case Study Methodology Based on Annual Energy Demand Profile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 pp. 29-37DOI
23 
Kim T. H., Yoo S. Y., Kim M. H., 2017, A Study on Building Energy Saving using Outdoor Air Cooling by Load Prediction,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2, pp. 43-50DOI
24 
Lee B. H., Lee K. H., 2017, A Study on Improvement According to Korea and China Evacuation Laws in Office Build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2, pp. 51-56DOI
25 
Oh S. M., Park S. H., Joung K. S., 2017,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Condensation Defect Examples in Apartment Build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2, pp. 82-88DOI
26 
Cho Y. U., Park S. H., Joung K. S., 2017, A Study on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Changes by Enhance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 Standards in Apartment House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2, pp. 89-95DOI
27 
Park J., Myeong J., Song D., 2017, Analysis of the Energy Saving Effect for the Ex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by Building Load Calculation Method,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3, pp. 97-104DOI
28 
Kim M., Kim D., Park J., Kum J., 2017, The Effect of Cold Air Stimulation on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cardiogram during the Driver’s Drowsines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3, pp. 134-141DOI
29 
Jeon B. K., Lee S. E., Kim E. J., 2017, Calculation Method for the Transmitted Solar Irradiance Using the Total Horizontal Irradianc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4, pp. 159-166DOI
30 
Park Y., 2017, Calculation of the Attached-Piping-Material Rate for the Building Mechanical-Service System in Office Building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4, pp. 185-194DOI
31 
Na S. I., Lee Y. S., Baik Y. J., Lee G., 2017, A Study on the Energy Reduction of a Heating Network Through the Application of an Absorption Heat Pump,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5, pp. 239-248DOI
32 
Kim H., Bae S., 2017,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Modular, Lightweight Steel Ceiling 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5, pp. 269-277DOI
33 
Pang S. K., Chae Y. T., 2017, Evaluation of Local Loss Coefficients for Different Waveguide-Below-Cutoff (WBC) Arrays of Electromagnetic Pulse (EMP) Shied in Building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7, pp. 366-372DOI
34 
Lee Y. J., Kim J. W., Song D. S., 2017, Analysis of Heating and Cooling Load Profile According to the Window Retrofit in an Old School Build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9, pp. 455-462DOI
35 
Park S. M., Song D. S., 2017, A Study on Generating Process of Regional Balance Point Temperature for Heating Degree-day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9, pp. 482-495DOI
36 
Jeon B. K., Kim E. J., 2017, Short-Term Load Predic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0, pp. 497-503DOI
37 
Kim T. H., Ko S. H., 2017, A Study on the Limitation and Improvement of Simple Window Model applied to EnergyPlu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0, pp. 515-529DOI
38 
Cho S. Y., Leigh S. B., 2017, A Study of the Possibility of Building Energy Saving through the Building Data : A Case Study of Macro to Micro Building Energy Analysi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1, pp. 580-591DOI
39 
Park B. H., Kim S. H., 2017, A Study on th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for Use and Operation Period in Office Building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1, pp. 605-611DOI
40 
Shin Y., Kim E. J., Lee K. H., 2017, Optimal Cooling Operation of a Single Family House Model Equipped with Renewable Energy Facility by Linear Programm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2, pp. 638-644DOI
41 
Yoon J. S., Kwon O. K., Cha D. A., Bae K. J., Kim I. G., Park C. W., 2017, Effects of Operation Conditions on the Performance of Type Ⅱ LiBr-H2O Absorption Heat Pump,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 pp. 7-14DOI
42 
Jung Y. H., Park S. R., 2017, Prediction of Latent Heat Load Reduction Effect of the Dehumidifying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Membran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 pp. 15-20DOI
43 
Choi S., Lee S. H., Kim S., Kim Y., 201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easonal Energy Efficiency Ratio(SEER) of a Heat Pump by Optimizing Operating Parameters under Partial Load,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3, pp. 111-118DOI
44 
Kim H. J., No Y. J., 2017, Optimal Design of Thrust Surface Oil Groove of a High Side Scroll Compressor,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3, pp. 127-133DOI
45 
Jeon C., 2017, A Study of the Defrosting Control in the Application of Photoelectric Sensor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4, pp. 167-174DOI
46 
Son K., Kim D., Choi S., Kim Y., 2017,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Gas Injection Heat Pump with a Flash Tank,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6, pp. 297-305DOI
47 
Lim H. J., Kong H. J., Sohn B., 2017, Cooling Performance of Geothermal Heat Pump Using Surface Water Heat Exchanger,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6, pp. 316-326DOI
48 
Prah B., Yun R., 2017, Development of Formation and Transportation Techniques for CO2-Hydrate Slurry,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7, pp. 341-349DOI
49 
Yun S. K., 2017,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Cycle by Combining Double-Effect with Single-Effect Absorption Chiller System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7, pp. 360-365DOI
50 
Lee C. H., Yoon J. S., Kim I. G., Kwon O. K., Cha D. A., Bae K. J., Kim M. S., Park C. W., 2017,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ype Ⅱ LiBr-H2O Absorption Heat Pump in Accordance with the Refrigerant Heat Exchanger Configuration,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7, pp. 373-384DOI
51 
Kim N. H., 2017, Effect of Liquid Level and Mass Flow Rate on Subcooling of Vertical Refrigeration Receiver Having a Large Aspect Ratio,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7, pp. 385-389DOI
52 
Ha S., Park J., Lee S., Kim K. H., 2017, Experimental Study on Zeolite 13x for Thermochemical Heat Storag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8, pp. 429-436DOI
53 
Kim N. H., Kim H. J., 2017, Optimization of Spray Nozzle, R-404A Charge Amount and Visualization of Ice Formation in a Residential Built-in Ice Maker,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8, pp. 437-445DOI
54 
Hong H., Choi J., Im S. Y., 2017, Renewable Energy Production by Heat Pump as Renewable Energy Equipmen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0, pp. 551-557DOI
55 
Kang B. H., Kim D. J., Lee C. S., Chang Y. S., 2017, A Performance Analysis on a Chiller with Latent Thermal Storage According to Various Control Method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1, pp. 592-604DOI
56 
Kang I. S., Ahn T. K., Park J. C., 2017, A Performance Evaluation of Plate Type Enthalpy Exchanger through CFD Analysis of Element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 pp. 1-6DOI
57 
Park S. I., Ko C. B., Lee Y. S., 2017, An Experimental Study on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for Heat Recovery from Multi-Heat Source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2, pp. 57-62DOI
58 
Son J. E., Yu B. H., Pang S. K., Lee K. H., 2017, Prediction of Stratification Model for Diffusers in Underfloor Air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CFD,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3, pp. 105-110DOI
59 
Kim N. H., 2017,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Paper Enthalpy Exchange Element by Impregnation of the Spacer,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3, pp. 142-147DOI
60 
Kim N. H., Cho H., 201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Air Temperature on the Air-Side Heat-Transfer Coefficient and the Friction Factor of a Fin-and-Tube Heat Exchanger,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4, pp. 149-158DOI
61 
Lee W. J., Yun R., 2017, Prediction of Transport Properties for Transportation of Captured CO2. 1. Viscosity,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4, pp. 195-201DOI
62 
Lee W. J., Yun R., 2017, Prediction of Transport Properties for Transporting Captured CO2. 2. Thermal Conductivity,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5, pp. 213-219DOI
63 
Jeon D. S., Ko J. W., Kim S. C., 2017, Effects of Tube Diameter and Surface Sub-Cooling Temperature on R1234ze(E) and R1233zd(E) Film Condens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Smooth Horizontal Laboratory Tube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5, pp. 231-238DOI
64 
Kim H., Kim S., Ahn J., 2017, Dynamic thermal Design of a 1-ton Class Bio-Hydrogen Production System Simulator Using Industrial Waste Heat and by-Product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5, pp. 259-268DOI
65 
Kim N. H., 2017, Aluminum and Plastic Heat Exchange Element : A Performance Comparison for Cooling of Telecommunication Cabine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6, pp. 279-288DOI
66 
Lee P. H., Hwang S. S., 년도,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ylindrical Premixed Burner using Different Baffle Plate and Flame Hole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7, pp. 350-359DOI
67 
Heo J., Lee D. W., Kim M. H., Baik W., Yun R., 2017, Study on Effects of Seawater Fouling on a Plate-Frame Heat Exchanger,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8, pp. 391-400DOI
68 
Lee M. S., Ahn S. W., 2017, Heat Transfer Enhancement in a Divergent Passage with 30° Inclined Rib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8, pp. 401-407DOI
69 
Choi H., Shin J. H., Chio J. S., Woon S. H., 2017, Experimental Studies on Thermal-Fluidic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During Heating Process in the Near-Critical Region for Single Channel,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8, pp. 408-418DOI
70 
Ahn J., Kim M. S., Jang S., 2017, Heat Transfer Analysis of a Heat Exchanger for an Air-Compressor of a Railway Vehicle Based on Cooling Air Flow Measuremen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9, pp. 447-454DOI
71 
Lee G. H., Cheong A. J., 2017, Numerical Analysis of Flow Distribution inside a Fuel Assembly with Split-type Mixing Vanes for the Development of Regulatory Guideline on the Applicability of CFD Softwar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0, pp. 538-550DOI
72 
Kim M. S., Chung J. D., Jang S., Ahn J., 2017, Numerical Analysis for Optimal Design of Heat Exchanger in Air Compressor for Railroad Vehicl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1, pp. 570-579DOI
73 
Kim K., Jeong J. H., 2017, Observation of Surface Energy Variations and Condensate Behaviors on Nitrogen Ion Implanted Aluminum Surface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2, pp. 621-627DOI
74 
Kim C., Lee K. S., Yeo M. S., 2017, Thermal and Flow Modeling and Fin Structure Optimization of an Electrical Device with a Staggered Fin,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2, pp. 645-653DOI
75 
Lee G. H., Cheong A. J., 2017, Numerical Analysis of Single Phase Thermal Stratification in both Cold Legs and Downcomer by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 Injection : A Study on the Necessity to Consider Buoyancy Force Ter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2, pp. 654-662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