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가천대학교 대학원 (Graduate School, Gachon University, Sungnam City, 13120, Korea)
  2. 가천대학교 설비소방공학과 (Department of HVAC & Firefighting Eng, Gachon University, Sungnam City, 13120, Korea)



음압격리병상(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 압력변동(Pressure fluctuation), 교차오염(Cross containment), 공기교환량(Air exchange volume),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

1. 서론

음압격리병상은 AIA Guideline(1)의 실간 최소 2.5 Pa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격리실의 감염성균이 외부로 나가지 못 하도록 봉쇄효과를 갖는 병실이다. 이러한 음압격리병상은 SARS, MERS, N1H1 등 고위험 감염성 질병의 환자를 격리 치료함으로써 2차 감염의 방지책으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음압격리병상은 2003년 8,098명의 감염자와 774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SARS의 발생으로부터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는데 SARS의 주된 감염 원인이 ‘근접 대인 접촉’으로 밝혀짐에 따라 환자의 기침, 재채기 등 호흡기로 인한 공기 감염기전의 방지책으로써 대두되었다.

국내에서는 2015년 MERS 발생으로 186명의 감염자와 38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KCDC(2)에서는 총 감염자의 44.1%가 입원 또는 내원 시 감염된 환자이며, 32.8%가 환자가족을 포함한 간병인, 의료진이 13.4% 라는 통계를 밝힌 바 있으며, MERS의 감염의 확산이 주로 병원 내에서 발생되었다는 사실로부터 감염방지를 위한 음압격리병상의 효율적인 운영 개선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특히, 예상치 못한 MERS의 발생으로 정부에서는 2015년 기준으로 16개 시, 도의 19개 병원을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으로 지정하여 119개의 음압병상을 운영 중에 있으며, MERS 발생 이후 정부의 확충정책에 따라 음압격리병상의 추가적인 설치가 진행되고 있다.

고위험 호흡기 감염질병의 2차 감염이 주로 병원 내에서 발생된다는 통계로부터 국내외적으로 음압격리병상의 감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Tang et al.(3)은 물탱크 실험을 통해 음압격리병상에서 힌지 문의 개폐속도 및 개방각도가 실간 기류에 영향을 미치며, 실간 온도차에 따라 일시적인 압력역전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Kalliomaki et al.(4)은 슬라이딩 문과 힌지 문에서 보행자의 유무에 따른 격리실과 전실 사이의 공기교환량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실간 교차오염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문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밝힌 바 있다. 국내에서는 Jo et al.(5)은 음압격리병실에서 슬라이딩 문의 개폐속도에 따라 격리실에서 전실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출을 확인하였으며, Park et al.(6)은 SF6 가스를 이용한 실험과 수치 해석적 방법을 통하여 음압격리병실의 급․배기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작동시와 정상 작동시 출입문이 열리는 경우에 병실에서의 오염물질의 확산현상을 밝히고 있다. 또한 Sung et al.(7)은 음압격리병실에서 SF6가스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와 의료진의 움직임이 전실, 복도, 근접실 뿐만 아니라 공용구역(Public Area)까지 확산될 수 있음을 실험적 측정을 통해 밝혔다. Choi et al.(8)은 문이 없는 두 공간에서 보행자의 이동속도 및 초기 위치, 각 실의 입자농도의 변화를 통해 보행자의 이동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불안정한 후류의 증가로 인하여 실간 공기교환량이 증가됨을 연구한 바 있다. Shih et al.(9)은 실간 압력차를 2.5 Pa과 8 Pa로 설정한 환경에서 슬라이딩 문의 개폐와 병실 내에서 보행자의 움직임에 따른 실내 공기유동의 분포, 속도, 압력, 온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의 변동을 해석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음압격리병상의 교차오염의 주요 요인을 보행자의 이동속도, 문의 종류 및 개폐속도 등으로 중점을 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한편 Adams et al.(10)은 음압격리병상의 최소 차압 기준인 2.5 Pa보다 더 큰 차압을 형성해야 격리실에서 이동하는 오염공기의 유출이 감소하며, 실간 차압이 15 Pa인 경우라도 보행자의 이동에 따라 실간 공기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연구를 진행함에 따라 기존의 실간 차압에 대한 보완점을 연구한 사례도 있다. 따라서 음압격리병상에서 교차오염의 주된 요인이 보행자의 이동속도, 문의 종류 및 개폐속도, 실간 온도차, 압력차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하여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힌지 문이 설치되어있는 음압격리병상에서 힌지 문의 개폐속도와 의료진의 이동속도에 따른 실간 압력변동 및 음압격리병실과 전실 간의 공기교환량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압격리병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교차오염의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는 힌지 문을 슬라이딩 문으로 교체함에 공간적 어려움과 비용적 문제가 있는 실정에서 음압격리병상의 효율적인 운영과 표준운영절차(SOP)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존의 선행 연구들의 경우 의료진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하거나 혹은 격리실 내에서 이동하는 한 방향성의 연구결과로 의료진의 이동방향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의료진의 이동동선을 격리실에서 전실로,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하는 양방향의 모든 경우를 해석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2. 연구방법

2.1 모델링

본 연구에서는 유동해석을 위하여 ANSYS CFX CODE(11)를 이용하여 음압격리병상과 전실의 공기유동을 해석하였다. 문의 격자구성은 Immersed Solid Methods(12)를 적용하여 문의 개폐의 해석모델로 설정하였다. 해석공간은 Fig. 1과 같이 세로 4.7 m, 가로 4.0 m, 높이 3.0 m의 크기로 격리실과 전실을 동일한 크기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배기구는 문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각 실의 왼쪽 벽의 상단에 위치하며, 급기구는 각 실별로 2개를 배치하여 의료진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의료진의 양 옆쪽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급기구와 배기구의 크기는 각 440 mm × 440 mm, 550 mm × 550 mm이며, 문의 크기는 가로 1.10 m, 세로 2.06 m, 두께 0.1 m로 하였으며 문 틈사이의 Leak area는 0.03 m2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문이 열리는 방향은 격리실에서 전실로 향한다. 의료진의 신체는 높이 1.7 m, 너비 0.8 m, 두께 0.23 m로 설정하였다.

Fig. 1. Simulation modelling.
../../Resources/sarek/KJACR.2018.30.7.310/fig1.png

2.2 격자 구성

유동해석을 위한 격자 구성은 유동해석 공간의 격자를 전체적으로 조밀하게 생성하는 방식과 해석공간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공간을 구분하여 격자를 생성하는 방식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공간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해석공간을 구분하여 격자의 밀도를 조절하였으며, 총 격자의 수는 2.4×107로 하였다.

2.3 해석 방법 및 경계 조건

본 연구에서는 해석공간을 정상유동 상태로 해석한 뒤 그 결과를 초기 값으로 설정하여 비정상유동 상태의 해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정상유동상태 해석의 조건은 100회의 해석 및 수렴조건은 Residual 범위 10-4로 설정하였으며, 난류 해석모델은 k-ε을 기준으로 하였다. 비정상유동상태 해석의 조건은 Timestep을 0.0025sec을 기준으로 Timestep 0.0025sec당 10회의 해석 및 수렴조건은 Residual 범위 10-4로 설정하였으며 난류 해석모델은 Ganesan et al.(13)의 연구결과를 참조하여 실제 실험적 결과와 일치함을 보여준 LES(Large Eddy Simulation) 난류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경계조건은 동일한 해석 모델링으로 해석된 Kim et al.(14)의 선행연구를 기준으로 본 연구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2.4 실간 공기교환량

본 연구에서 실간 공기교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Fig. 2와 같이 격리실에 「오염된 공기」라고 가정한 Smoke를 가득 채우고, 전실을 「오염되지 않은 공기」라고 가정한 Air를 가득 채운 상태에서 문의 개폐에 따른 Smoke와 Air의 교환량을 산정하였다. 이때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하는 Smoke의 양(m3)을 CmI→A라고 정의하고,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하는 Air의 양(m3)을 CmI→A라고 정의하였다.

Fig. 2. Volume of smoke and air between isolation room and anteroom.
../../Resources/sarek/KJACR.2018.30.7.310/fig2.png

2.5 해석 조건

본 연구에서는 평균적으로 문의 개폐주기가 7~10초라는 Kallionmaki et al.(4)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문이 열린 후 보행자가 통과하고 문이 완전히 닫히는 개폐주기를 6초 및 10초로 가정하였다. 또한,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의 변화와 함께 의료진이 빨리 이동할 때와 느리게 이동할 때를 가정한 의료진의 이동속도(Vb) 및 이동방향의 변화에 따른 실간 압력변동 및 공기교환량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8가지의 Case를 설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Table 1에 해석조건을 나타내었다.

Table 1. Hinged door velocity and medical staff moving velocity&direction

Case

No.

Vhd (deg/s)

Vb (m/s)

Moving Direction

1

45

1

Isolation Room → Anteroom

2

45

0.5

Isolation Room → Anteroom

3

22.5

1

Isolation Room → Anteroom

4

22.5

0.5

Isolation Room → Anteroom

5

45

1

Anteroom → Isolation Room

6

45

0.5

Anteroom → Isolation Room

7

22.5

1

Anteroom → Isolation Room

8

22.5

0.5

Anteroom → Isolation Room

3. 해석 결과

3.1 압력변동 분석

Fig. 4는 전실의 압력을 Pa, 격리실의 압력을 Pi, 격리실과 전실의 차압을 Pd(Pa-Pi)으로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에 따른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에 따른 압력변동을 나타내었다. Case 1 에서 의료진의 이동에 따른 압력변동은 의료진의 이동(1.0 sec)과 정지(2.5 sec)시에 따라 격리실에서 압력 변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격리실과 전실의 평균 기류속도를 나타낸 Fig. 3을 통해 일정했던 격리실의 체적 평균 기류속도(Vavg·I)가 의료진의 이동(1.0 sec)과 정지(2.5 sec)시에 급격하게 상승과 하강을 보임에 따른 격리실의 압력변동이라 판단된다. 이후 힌지 문이 개방되는 순간에 문의 움직임에 따른 관성력 및 와류에 의해 격리실과 전실의 차압이 설정 차압인 2.5 Pa보다 순간적으로 증가한 후 평압으로 유지되었다. 또한 의료진이 격리실을 나와 전실로 이동할 시에도 앞에서와 같이 비슷한 압력변동을 보였다. 힌지 문이 완전히 닫히는 순간에는 힌지 문의 움직임에 유도되는 공기유동으로 인해 격리실과 전실의 차압이 2.5 Pa보다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소하여 격리실의 압력이 전실의 압력보다 높게 나타나는 압력역전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문이 완전히 닫힌 후에는 설정 차압 2.5 Pa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힌지 문의 개폐에 따른 압력변동은 의료진의 이동이 없이 같은 조건에서 연구가 진행된 Kim et al.(14)의 선행연구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3. Volume average velocity between isolation room and anteroom(case 1 and case 5).
../../Resources/sarek/KJACR.2018.30.7.310/fig3.png

Fig. 4. Pressure fluctuation w.r.t. time(case 1~case 4).
../../Resources/sarek/KJACR.2018.30.7.310/fig4.png

의료진의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에 따른 압력변동을 비교하면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45 deg/s이며 의료진의 이동속도()가 각 1.0 m/s, 0.5 m/s인 Case 1과 Case 2의 경우 ⓐ와 ⓑ에서 힌지 문의 움직임에 의한 Pd가 모두 순간적으로 최대 460 Pa까지 나타났다. 반면 의료진의 이동에 따른 압력변동은 Case 1의 경우 ⓒ에서 Pd가 최대 -42 Pa, Case 2의 경우 ⓓ에서 Pd가 최대 -21 Pa로 나타남에 따라 Case 1의 압력변동이 Case 2의 압력변동보다 2배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의 이동속도(Vb)가 빨라질수록 압력변동은 커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의 이동속도(Vb)가 1.0 m/s이며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각 45 deg/s, 22.5 deg/s인 Case 1과 Case 3의 경우 Case 1의 ⓔ에서 Pd가 -14 Pa, Case 3의 ⓕ에서 Pd가 -10 Pa의 압력변동이 나타나며, 의료진의 이동속도가(Vb) 0.5 m/s이며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각 45 deg/s, 22.5 deg/s인 Case 2와 Case 4의 경우 Case 2의 ⓓ에서 Pd가 -21 Pa, Case 4의 ⓖ에서 Pd가 -7 Pa의 압력변동이 나타남에 따라 의료진의 이동속도(Vb)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느려질수록 의료진의 이동에 따른 압력변동이 감소됨을 볼 수 있다. 즉, 의료진의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는 상호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압력변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의료진의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느릴수록 실간 압력변동이 감소됨을 볼 수 있다.

Fig. 5는 의료진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에 따른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에 따른 압력 변동을 나타내고 있다. Case 5에서 의료진의 이동에 따른 압력변동을 살펴보면 의료진의 이동(1.0 sec)과 정지(1.5 sec)시에 따라 전실과 격리실에서 압력변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격리실과 전실의 평균 기류속도를 나타낸 Fig. 3을 통해 일정했던 전실의 체적 평균 기류속도(Vavg·I)가 의료진의 이동(1.0 sec)과 정지(1.5 sec)시에 급격하게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전실의 압력변동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격리실의 압력변동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5. Pressure fluctuation w.r.t. time(case 5~case 8).
../../Resources/sarek/KJACR.2018.30.7.310/fig5.png

의료진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함에 따른 압력변동을 나타낸 Fig. 5는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함에 따른 압력변동인 Fig. 4와 거의 유사함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45 deg/s이며 의료진의 이동속도(Vb)가 각 1.0 m/s, 0.5 m/s인 Case 5와 Case 6의 경우 Case 5의 ⓐ에서 Pd가 최대 -40 Pa, Case 6의 ⓑ에서 Pd가 최대 -32 Pa을 보임에 따라 의료진의 이동속도(Vb)가 빨라짐에 따라 압력변동이 커진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의료진의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동일한 조건인 Case 5와 Case 6의 압력변동이 Case 1과 Case 2보다 더 큰 압력변동을 보인다. 즉,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때보다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때에 더 큰 압력변동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 시 격리실의 압력변동만 일어나지만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 시 전실의 압력변동이 발생됨과 동시에 격리실의 압력변동이 일어남에 따라 의료진의 이동방향에 따라 실간 압력변동의 차이를 보인다고 판단된다. 또한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22.5 deg/s이며 의료진의 이동속도(Vb)가 각 1.0 m/s, 0.5 m/s인 Case 7과 Case 8의 경우 Case 7의 ⓒ에서 Pd가 최대 -27 Pa, Case 8의 ⓓ에서 Pd가 최대 -20 Pa을 보임에 따라 동일한 조건의 Case 3과 Case 4보다 큰 압력변동을 보인다. 따라서 의료진의 이동방향의 변화도 실간 압력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2 실간 공기교환량 비교 분석

Fig. 6은 힌지 문의 개폐와 의료진의 이동방향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경우 Smoke 농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때인 Case 1은 힌지 문의 개방ⓒ에 따라 문의 움직임에 유도되는 Smoke의 농도분포를 볼 수 있으며,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함ⓓ에 따라 의료진의 움직임에 따라 유도되어 Smoke가 전실로 확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문이 닫히는 과정ⓔ에서는 문의 와류에 의하여 문의 우측과 상단 부분에서 Smoke가 확산됨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의료진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때인 Case 5도 힌지 문의 개방ⓑ에 따른 문의 움직임에 따라 유도된 Smoke의 농도분포를 볼 수 있지만, 의료진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때ⓒ Case 1과 달리 의료진의 움직임에 의해 유도 되어진 Smoke 보다는 의료진의 이동에 따른 후류로 인하여 Smoke가 전실로 확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이 닫히는 과정ⓓ에서는 문의 우측과 상단 부분에서 나타나는 Smoke의 농도분포가 Case 5가 Case 1보다 더 많아짐을 볼 수 있다. 이는 의료진의 이동에 따른 후류의 발생과 문의 움직임에 따른 와류가 종합적으로 발생되어 Case 5의 Smoke 농도분포가 Case 1보다 뚜렷해진다고 판단된다.

Fig. 6. Smoke concentration distribution(case 1 and case 5).
../../Resources/sarek/KJACR.2018.30.7.310/fig6.png

음압격리병상에서 실간 공기교환량의 주요 원인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와 동일한 조건에서 문의 종류와 개폐속도에 따른 공기교환량을 해석한 Kim et al.(14)의 선행연구를 의료진의 이동이 있는 힌지 문의 개폐속도에 따른 공기교환량과 비교해보았다. 이 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으며, 오직 힌지 문의 개폐에 의하여 발생된 CmA→I와 CmI→A은 각 1.0821 m3, 0.5273 m3로 나타났다.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때인 Case 1의 경우 오직 의료진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된 CmA→I와 CmI→A은 각 0.4217 m3, 0.3032 m3이며, 의료진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때인 Case 5의 경우 CmA→I와 CmI→A이 각 0.4258 m3, 0.2958 m3로 나타남에 따라 힌지 문의 개폐에 따른 CmA→I와 CmI→A가 Case 1보다 각 156%, 74%, Case 5보다 각 154%, 78%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힌지 문의 움직임 자체가 큰 공기교환량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의료진의 이동에 따른 공기교환량이 매우 적다라는 연구결과를 낸 Tang et al.(15) 선행연구와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의료진의 이동방향의 변화에도 의료진의 이동에 따른 실간 공기교환량의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에 따라 의료진의 이동방향의 변화도 실간 공기교환량의 주요 요인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Table 2. Air exchange volume w.r.t. medical staff moving direction in hinged door

Vhd

[deg/s]

Vb

[m/s]

Moving direction

CmA→I

[ m3 ]

CmI→A

[ m3 ]

without Medical Staff Moving

45

-

-

1.0821

0.5273

Case 1

45

1

Isolation room → Anteroom

1.4948

0.8305

Case 5

45

1

Anteroom → Isolation room

1.5079

0.8231

음압격리병상에서 실간 공기교환량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Choi et al.(16)은 의료진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오염물질과 의료진의 접촉시간이 감소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이동하는 양이 감소하며, 힌지 문의 개폐속도가 빠를수록 와류의 생성이 커지게 되어 실간 공기의 순환과 혼합이 발달하여 공기교환량이 증가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편, Choi et al.(8)은 문이 없는 공간 사이에서 의료진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불안정한 후류의 생성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의 이동량이 급속하게 증가한다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 및 의료진의 이동속도(Vb)에 따른 공기교환량을 Table 3에 나타내었으며,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하는 Air를 양의 부호로,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하는 Smoke의 양을 음의 부호로 나타내었다. 이때,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시(Case 1~Case 4) 의료진의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 (Vhd)에 따른 공기교환량을 비교한 Fig. 7을 살펴보면 의료진의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빨라질수록 CmA→I은 거의 일정한 양을 보이지만 CmI→A는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는 Choi et al.(16)의 연구와 다소 상이한 결과로 Choi et al.(16)의 연구의 경우 격리실, 전실, 복도로 3개의 공간을 나누어 실간 공기교환량을 산정하였기 때문에 격리실과 전실로 2개의 공간을 나누어 실간 공기교환량을 산정한 본 해석결과와 다소 차이가 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와 비슷한 조건인 Choi et al.(8)의 연구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의료진의 이동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진의 이동에 따른 후류의 생성이 커져 실간 공기 교환량이 증가된다고 판단된다.

Table 3. Air exchange volume w.r.t. case 1~case 8

Case No.

Vhd

[deg/s]

Vb

[m/s]

Moving direction

CmA→I

[m3]

CmI→A

[m3]

1

45

1

Isolation Room → Anteroom

1.4948

-0.8305

2

45

0.5

Isolation Room → Anteroom

1.4815

-0.7744

3

22.5

1

Isolation Room → Anteroom

1.4842

-0.7495

4

22.5

0.5

Isolation Room → Anteroom

1.4784

-0.6978

5

45

1

Anteroom → Isolation Room

1.5079

-0.8231

6

45

0.5

Anteroom → Isolation Room

1.5658

-0.7801

7

22.5

1

Anteroom → Isolation Room

1.5367

-0.7878

8

22.5

0.5

Anteroom → Isolation Room

1.5000

-0.7036

Fig. 7. Air exchange volume(case 1~case 4).
../../Resources/sarek/KJACR.2018.30.7.310/fig7.png

의료진의 이동방향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시(Case 5~Case 8) 의료진의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 (Vhd)에 따른 공기교환량을 비교한 Fig. 8을 통해 의료진의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빨라질수록 은 다소 일정한 양을 보이며, 도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으나, Table 3에서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때의 보다 증가됨을 볼 수 있다. 이는 Smoke 농도분포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Fig. 7에서 의료진이 격리실로 진입 이후 문의 상단에서 의료진의 이동에 따른 후류와 힌지 문의 와류가 종합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Smoke의 농도분포 크게 확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때 보다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때 실간 교차오염이 더 크게 일어난다고 판단된다. 즉, 음압격리병상에서 의료진의 이동속도(Vb)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Vhd)가 빨라질수록 격리실의 봉쇄효과가 감소됨에 따라 이를 위한 음압격리병상의 운영방안이 필요하며, 의료진의 이동방향에 따른 실간 교차오염에 대한 효율적 운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ig. 8. Air exchange volume(case 5~case 8).
../../Resources/sarek/KJACR.2018.30.7.310/fig8.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음압격리병실에서 힌지 문의 개폐속도 및 의료진의 이동속도와 양방향 이동에 따른 음압격리병상의 압력변동 및 실간 공기교환량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때 격리실에서 압력변동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의료진의 이동과 정지에 따라 격리실의 일정했던 기류속도가 급격하게 상승과 하강을 보임에 따른 격리실의 압력변동으로 판단된다. 이후 힌지 문이 개방하는 순간에 문의 움직임에 따른 관성력 및 와류에 의해 격리실과 전실의 차압이 설정 차압인 2.5 Pa보다 순간적으로 증가한 후 평압으로 유지되었다. 마찬가지로 의료진이 격리실을 나와 전실로 이동할 때도 격리실에서 비슷한 압력변동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힌지 문이 완전히 닫히는 순간에서는 힌지 문의 움직임에 유도되는 공기유동으로 인하여 격리실과 전실의 차압이 2.5 Pa보다 순간적으로 급격히 감소하여 격리실의 압력이 전실의 압력보다 높게 나타나는 압력역전현상이 발생하며, 문이 완전히 닫힌 후에는 설정 차압 2.5 Pa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때 의료진의 이동속도 및 힌지 문의 개폐속도가 빨라질수록 실간 압력변동이 상승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힌지 문의 개폐속도가 느려질수록 동일한 의료진의 이동속도에 따른 압력변동이 크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의 이동속도와 힌지 문의 개폐속도는 상호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압력변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의료진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때 전실과 격리실에서 압력변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실의 일정했던 기류속도가 의료진의 이동과 정지에 따라 급격하게 상승과 하강을 보임으로써 전실의 압력변동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격리실의 압력변동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의료진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때 의료진의 이동속도 및 힌지 문의 개폐속도가 빨라질수록 실간 압력변동이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의료진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변동은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때 보다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때에 더 큰 압력변동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의 이동방향의 변화가 실간 압력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5) 음압격리병실에서 실간 교차오염의 주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의료진의 이동이 없는 조건에서 힌지 문의 개폐에 따른 실간 공기교환량과 의료진의 이동이 있는 조건에서 힌지 문의 개폐에 따른 실간 공기교환량을 비교해보면 의료진의 움직임만으로 발생되는 공기교환량이 힌지 문의 개폐만에 따른 공기교환량보다 작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 문의 움직임 및 와류가 실간 교차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또한 의료진의 이동방향의 변화를 주었을 때에도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힌지 문의 개폐속도 및 의료진의 이동속도에 따른 실간 공기교환량의 비교분석을 통해 힌지 문의 개폐 속도 및 의료진의 이동속도와 상관없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하는 Air의 양은 비슷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힌지 문의 개폐속도 및 의료진의 이동속도가 증가할수록 격리실에서 전실로 유동하는 Smoke의 양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힌지 문의 개폐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문의 움직임, 와류 및 의료진의 이동속도가 빨라질수록 후류가 활발하게 발생하여 실간 교차오염의 가능성을 높인다고 판단된다.

(7) 의료진의 이동방향을 전실에서 격리실로 변경하였을 때 힌지 문의 개폐속도 및 의료진의 이동속도에 따른 실간 공기교환량은 의료진이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때가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때보다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이 격리실에서 전실로 이동할 때 보다 전실에서 격리실로 이동할 때에 실간 교차오염이 더 크게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후 기

본 논문은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가교테크)과 건강증진개발원의 지원에 따른 것으로 그 지원에 감사를 드립니다.

References

1 
AIA , 2001, The Guidelin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ospital and Health Care Facilities, 2001 edition, pp. 56Google Search
2 
KCDC , 2016, Emergency Response Guidelines of MERS [4-1 Version], pp. 3-5DOI
3 
Tang J. W., Eames I., Li Y., Taha Y. A., Wilson P., Bellingan G., Ward K. N., Breuer J., 2005, Door Opening Motion Can Potentially Lead to a Transient Breakdown in Negative-Pressure Isolation Condition : The Importance of Vorticity and Buoyancy Airflow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Vol. 61, No. 4, pp. 283-286DOI
4 
Kalliomaki P., Saarinen P., Tang J. W., Koskela H., 2016, Airflow Patterns through Single Hinged and Sliding Doors in Hospital Isolation Rooms-Effect of Ventilation, Flow Differential and Passage,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107, No. 2, pp. 154-168DOI
5 
Jo S. M., Kim G. H., Sung M. K., 2016, Analysis on Comtaminant Migration from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 during Door Opening and Human Movement using CFD Simul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33, No. 10, pp. 61-68DOI
6 
Park J. Y., Sung M. K., 2015, A Study on the Contaminant Dispersion from Isolation Ward under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Energy Procedia, Vol. 78, No. 6, pp. 1239-1244DOI
7 
Sung M. K., Shin C. W., Kim H. J., Kwon S. J., 2013, The Effect of Staff Movement on The Dispersion of Airborne Infectious Contaminants in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s, CLIMA 2013, 2013-06Google Search
8 
Choi J. I., Edwards J. R., 2007, Large Eddy Simulation and Zonal Modeling of Human-Induced Contaminant Transport, Indoor Air, Vol. 18, No. 3, pp. 233-248Google Search
9 
Shih Y. C., Chiu C. C., Wang O., 2006, Dynamic Airflow Simulation within an Isolation Room,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42, No. 9, pp. 3194-3209DOI
10 
Adams N. J., Johnson D. L., Lynch R. A., 2011, The Effect of Pressure Differential and Care Provider Movement on Airborne Infectious Isolation Room Containment Effectiveness, Am J Infect Control, Vol. 39, No. 2, pp. 91-97DOI
11 
ANASYS , ANASYS CFX CODE manual ver.16.2.Google Search
12 
Mittal R., Iaccarino G., 2005, Immersed Boundary Methods, Annu. Rev. Fluid Mech., Vol. 37, pp. 239-261DOI
13 
Ganesan T., Awang M., 2015, Large Eddy Simulation (LES) for Steady-State Turbulent Flow Predictio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Switzerland, 2015.DOI
14 
Kim J. Y., Hong J. K., 2018, Numerical Study on Pressure Fluctuation and Air Exchange Volume of Door Opening and Closing Speeds in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ol. 24, No. 1, pp. 51-58DOI
15 
Tang J. W., Nicolle A., Pantelic J., Klettner C. A., Su R., Kalliomaki P., Saarinen P., Koskela H., Reijula K., Mustakallio P., Cheong D. K. W., Sekhar C., Tham K. W., 2013, Different Types of Door-Opening Motions as Contributing Factors to Containment Failures in Hospital Isolation Room, PLoS ONE, Vol. 8, No. 6, pp. 1-10DOI
16 
Choi J. I., Edwards J. R., 2011, Large Eddy Simulation of Human-Induced Contaminant Transport in Room Compartment, INDOOR AIR doi:10.1111/j.1600-0668.2011.00741.x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