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아주대학교 기계공학과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jou University, Suwon, 16499, Korea)



차량 통합 열관리 시스템(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차량 연비(Fuel economy), 냉각계 모델링(Cooling system modeling), 전기식 서모스탯(Electric thermostat)

기호설명

W ˙ :단위 시간당 일률 [kW]
Q ˙ :단위 시간당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열량 [kW]
M, m:매질의 질량 [kg]
C:비열 [kJ/kg]
IMEP:도시평균유효압력 [bar]
T:온도 [℃]
U:내부 에너지 [kJ]
QHV:연료의 저위 발열량 [kJ/kg]
ηc:엔진의 연소 효율 [%]
NTU:전달단위수(Number of transfer unit : NTU ≡ UA/Cmin ) [-]
Nespd:엔진 회전수 [RPM]
VSPD:차량 주행속도 [km/h]
LT/S:서모스탯의 개도량 [mm]
ε:유용도(Effectiveness) [-]

하첨자

acc:Accessory
amb:Ambient
ATF:Automatic Transmission Fluid
ATFWC:Automatic Transmission Fluid Warmer/Cooler
ATFL:Low Temperature Automatic Transmission Fluid (inlet)
ATFH:High Temperature Automatic Transmission Fluid (outlet)
EGgen:Engine Generation
Coolant:Coolant
eng:Engine
espd:Engine Speed
HTW:High Temperature Water(Engine Outlet Coolant)
rad:Radiator
shaft:Crank Shaft
vspd:Vehicle Speed

1. 연구배경 및 목적

환경오염과 석유자원의 고갈로 인해 연비 및 배기가스 규제는 계속 강화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자동차 업계에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새로운 동력 시스템을 개발함과 동시에, 기존의 내연기관 시스템의 개선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연비 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책 중 하나로 최근 각광받는 기술 중에, 내연기관에서 제어가 가능한 냉각 시스템을 이용해 냉각계의 불필요한 냉각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연비를 향상시키기는 차량 열관리 시스템(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이하 VTMS)이 있다.

그러나 실제 차량은 다수의 냉각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냉각계를 제외하더라도 차량의 연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양하며, 이 각각의 요소들의 영향력을 단순히 연비 인증 모드 실험만으로 분석하는데 큰 어려움을 갖는다. 실제로 차량 냉각계의 요소들의 개선을 통해 연비에 미치는 효과는 약 1% 수준에 불과한데, 연비 인증모드의 정밀도는 시험 조건에 따라 최대 5% 수준의 오차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1,2)

이러한 이유로 차량 냉각계 시스템의 개선을 통한 연비효과를 효과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모드실험뿐만 아니라, 냉각계 단품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비효과를 검증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량 냉각계를 시뮬레이션 하여 실제 냉각수 및 엔진 오일, 변속기 오일의 온도 거동을 모사하며, 실차를 이용하여 모드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검증하여 효과적으로 VTMS의 연비기여도를 분석하는 방안의 기초를 수립하고자 한다.

2. 냉각계 모델링을 위한 이론적 수식화

본 연구에서는 대상차량으로 국내 중형 세단 중에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2.0리터 가솔린 차량으로 205마력, 6속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을 이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차량은 입구제어 방식으로 냉각수를 제어하며, 기계식 서모스탯과 기계식 냉각수 펌프를 가지고 있다.

Fig. 1은 실험에 사용한 차량의 냉각계 회로 및 각 센서의 위치를 간략하게 도식화 한 그림이다. 차량 냉각 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구성 요소들의 특성 및 기여도에 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론적 수식화를 통해 모델링에 필요한 인자 도출 및 영향도 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냉각계 요소별 모델은 크게 3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카테고리는 엔진의 마찰에 영향을 주는 엔진오일, 변속기 마찰에 영향을 주는 변속기 오일, 각각의 윤활유 온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냉각수 모델로 나눌 수 있다.

Fig. 1. Schematic of Cooling System.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1.png

2.1 엔진 오일

엔진 윤활유의 온도는 연료가 폭발하여 발생하는 엔진 내부의 발생 열과 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와의 열교환, 그리고 엔진 블록에 의해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결정된다. 열역학 1법칙에 의해 내부 에너지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d U E G o i l d t = W ˙ E G g e n - Q ˙ C o o l a n t - Q ˙ a m b i e n t

W ˙ EGgen은 연료에 의한 엔진 내부의 열발생을 나타낸 것이며 Q ˙ Coolant은 냉각수에 의해 열교환 되는 열량, Q ˙ ambient는 외부 공기와 엔진 블록에 의해 열교환 되는 열량을 나타낸다.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서 일부만이 동력으로 전달되며, 나머지 에너지는 연소 과정에서 열손실, 배기유동, 엔진블록의 온도 상승 등으로 소모된다. 이를 수식화 하면 다음과 같다.

(2)
η c m f ˙ Q H V = M e n g C e n g d T e n g d t + W s h a f t ˙ + Q ˙ e x h a u s t + W ˙ l o s s + W ˙ a c c + Q o i l ˙

이때, QHV, ηc, W ˙ shaft, Q ˙ exhaust, Q ˙ loss, W ˙ acc, Q ˙ oil는 각각 연료의 발열량, 연소 효율, 크랭크축으로 전달된 출력, 배기 유동에 의한 손실에너지, 기관 부속품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동력, 엔진 오일로 빠져나간 열량이다. 이를 배기 유동으로 나가는 에너지를 공기의 엔탈피 차이, 라디에이터와 변속기 오일에서 냉각수로 전달되는 에너지, 엔진오일과의 열교환 등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3)
( C M ) E G d T E G o i l d t = ( W ˙ E G , i n - W ˙ E G , o u t ) - ϵ E G ( C m ˙ ) E G o i l ( T E G o i l - T H T W ) - ( h A ) E G ( T E G o i l - T a m b )

(CM)EG는 엔진 블록의 질량을 의미하며, 엔진 오일과 냉각수를 제외한 엔진 전체의 열용량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엔진의 발생 열량은 연료 분사량에 관계가 있으므로 IMEP에 비례한 관계로 가정할 수 있다.(3) 따라서 엔진 오일 변화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T E G o i l = K E G g e n · T I M E P - ϵ E G ( C m ˙ ) E G o i l ( T E G o i l - T H T W ) - C ' · V S P D N ( T E G o i l - T a m b ) ( C M ) E G d t

2.2 변속기 오일

변속기 오일(Automatic Transmission Fluid, 이하 ATF)은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인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가 장착되지 않았다고 가정할 경우 변속기 오일에 대한 열평형 방정식이 성립된다. 따라서 먼저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할 경우 모델링의 설계 및 검증이 용이하다. 만약 유용도-NTU 방법을 이용하여 냉각계를 모델링하면 아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5)
T A T F L , o u t = T A T F L , i n + ϵ m ˙ A T F H m i n m ˙ A T F H m a x ( T A T F H , i n - T A T F L , i n )

이때,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는 다량의 냉각수 관로 내부에 변속기 오일이 흐르는 구조로, 냉각수 유량은 변속기 오일의 유량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4) 열용량비 Cr = Cmin/Cmax = 0 을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대향유동에 해당하는 열교환기인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모사가 가능하다.

(6)
ϵ = 1 - e x p [ - N T U ( 1 - C r ) ] 1 - C r e x p [ - N T U ( 1 - C r ) ] = 1 - e x p [ - N T U ( 1 - C r ) ]

이 경우 변속기 오일의 유량은 변속기의 오일펌프가 엔진에 물려있으므로 엔진속도에 비례하여 유량이 발생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변속기로부터 변속기 오일 쿨러의 고온부로 오일이 유입되므로, 이 모든 것을 종합하면 아래와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7)
T A T F L , o u t = T e n g , o u t + ( 1 - e x p [ - N T U ] ) m ˙ A T F H , m a x m ˙ e g H × N e s p d ( T m i s s i o n - T r a d , o u t )

변속기 오일은 워머/쿨러가 장착된 냉각수와 열교환에 의한 열량, 내부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량, 변속기 블록과 외부 공기유동에 의한 냉각양 등의 영향을 받는다. 이를 엔진 오일 온도 모델과 유사하게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8)
( C M ) T M d T T M o i l d t = ( W ˙ T M , i n - W ˙ T M , o u t ) + ϵ A T F W C ( C T M o i l m ˙ T M o i l ) × ( T H T W , i n - T T M o i l , i n ) - ( h A ) T M ( T T M o i l - T a m b )

(CM)TM은 엔진과 마찬가지로 변속기 오일과 변속기 블록을 포함한 값으로 변속기 전체의 열용량이라 할 수 있다. εATFWC는 변속기 오일이 냉각수와 워머/쿨러내에서 열교환을 할 때 열전달에 대한 유용도로 단품 실험을 통해 모델 계수를 결정한다. (hA)TM(TTMoil-Tamb)는 엔진오일과 마찬가지로 공기의 열전달 계수와 변속기 블록과 외부공기의 열교환 면적, 그리고 온도차이를 나타낸다. 이 때 공기의 열전달 계수는 누셀 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때 유동방향에 따른 판의 길이 L과 열전달계수 k를 알고 있다면, 레이놀즈 수와 프란틀 수에 따른 관계식으로 정리할 수 있고 이는 유속에 대한 값으로 간략화 할 수 있다.(5)

(9)
N U u = h L k = C · R e N · P r M     C ' · V S P D N ,   R e = μ V d ρ

따라서 이를 종합해 간략화 하면 다음과 같이 변속기 오일의 온도변화를 모델링 할 수 있다.

(10)
T T M o i l = K T M g e n · V S P D · I M E P + ϵ A T F ( C m ˙ ) T M o i l ( T H T W , i n - T T M o i l , i n ) - C ' · V S P D N ( T T M o i l - T a m b ) ( C M ) T M d t

2.3 냉각수

냉각수는 냉각에 가장 지배적인 요소로 많은 영향인자들을 가지고 있다. 냉각수는 엔진의 웜업을 위한 서모스탯부터 냉각시 공기와 냉각수의 열교환을 위한 라디에이터, 엔진에서 일어나는 냉각수와 엔진오일의 열교환,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에서 일어나는 변속기 오일에 의한 열교환, 난방 시 실내공기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히터코어 등의 요소가 존재한다. 이러한 냉각수에 관계된 요소들은 단품에 대한 모델링을 먼저 수행해야한다.

서모스탯은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차가운 냉각수가 엔진으로 공급되는 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서모스탯은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내부의 왁스가 정해진 온도에서 녹으며 라디에이터 측 통로가 열려 냉각수가 순환되게 된다. 일단 서모스탯이 열리게 되면 유량은 냉각수 펌프에 의해 유량이 결정되며, 냉각수 펌프는 엔진과 연결되어있으므로 엔진 회전수와 유량은 비례한다.

(11)
m ˙ r a d H = m ˙ r a d H , m a x N e n g N e n g , m a x L T / S L T / S , m a x

여기서 m ˙ radH,max, Neng,max, LT/S, LT/S,max는 각각 라디에이터 측 최대 유량, 엔진 최대 회전수, 서모스탯의 개도량, 서모스탯의 최대 개도량이다.

라디에이터는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와 마찬가지로 열교환기로서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라디에이터에는 엔진에서 가열된 고온의 냉각수가 라디에이터의 고온 측으로 유입되며, 라디에이터에서는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고온의 냉각수를 저온의 냉각수로 만든다.

(12)
T r a d H , o u t = T r a d H , i n - ϵ · c p , a i r m ˙ r a d L c p , w a t e r m ˙ r a d H ( T r a d H , i n - T r a d L , i n )

이때, 라디에이터는 직교 유동배열을 갖는 열교환기로 가정할 수 있으며 이때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3)
ϵ = 1 - e x p [ ( 1 C r ) ( N T U ) 0 . 22 e x p [ - C r ( N T U ) 0 . 78 ] - 1 ]

결과적으로 주어진 식들을 조합하면 라디에이터 출구 온도를 구할 수 있다.

(14)
T r a d H , o u t = T e n g - ( 1 - e x p [ ( 1 C r ) ( N T U ) 0 . 22 e x p [ - C r ( N T U ) 0 . 78 ] - 1 ] ) × c p , a i r m ˙ r a d L c p , w a t e r m ˙ r a d H ( T e n g - T r a d L , i n )

각 단품에 대한 모델들을 수립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해 엔진 출구 냉각수 온도를 기준으로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냉각수 온도는 크게 엔진 내부 연소에너지에 의해 얻는 열량, 엔진오일에 의해 열교환되는 열량, 라디에이터에 의해 냉각되는 열량, 엔진 블록 내부의 냉각수와 외부 공기 유동에 의해 냉각되는 열량,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에 의해 교환되는 열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5)
d U H T W d t = Q ˙ E G g e n + Q ˙ E G o i l - Q ˙ a i r - Q ˙ r a d - Q ˙ A T F

이러한 종합 모델을 위에서 계산한 각 단품에 대한 모델링 식을 적용하여 전개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16)
( C M ) H T W d T H T W d t = K E G · I M E P + ϵ E G ( C E G o i l m ˙ E G o i l ) ( T E G o i l - T H T W ) - ϵ R a d ( C a i r m ˙ a i r ) ( T H T W - T a i r ) - ( h A ) H T W ( T H T W - T a m b ) - ϵ A T F W C ( C T M o i l m ˙ T M o i l ) ( T H T W - T T M o i l )

위 식에서 각부에 흐르는 유량의 경우 서모스탯에 의한 개도 조건 및 엔진속도에 의한 냉각수 펌프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므로 이를 반영하며,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의 유용도, 각부의 외부 공기에 의한 열전달 계수와 교환 면적, 엔진 연소에너지의 냉각수로의 열전달율 등은 실차 시험을 통한 모델계수 튜닝을 통해 구하였으며,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종합 모델의 식을 얻을 수 있다.

(17)
T H T W = K E G · I M E P + ϵ E G ( C m ˙ ) E G o i l ( T E G o i l - T H T W ) - ϵ R a d ( C m ˙ ) a i r ( T H T W - T a i r ) - C ' V S P D N · C F f a n ( T H T W - T a m b ) - ϵ A T F W C ( C m ˙ ) T M o i l ( T H T W - T T M o i l ) ( C M ) E G d t

3. 단품시험 및 모델계수 선정

앞선 연구로 구한 냉각계 모델의 모델 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단품실험을 필요로 한다. 본 실험에서는 냉각계 단품실험의 대상을 냉각계 계통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Table 1. Target of VTMS Modeling

Sub System

Parts

Specification

Coolant Circuit

Thermostats

Heat Valve

Radiator

Heat Exchanger Cross Flow

Engine Oil Circuit

Engine Oil

Heat Generation

Transmission Oil Circuit

ATF warmer/cooler

Heat Exchanger, Counter Flow

이에 대해 각 구성요소에 대한 특성파악을 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단품실험을 수행하였다.

3.1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는 냉각계에서 가장 큰 영향을 차지하는 인자인 만큼, 보다 정확한 열교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래의 Fig. 2와 같이 리그시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Fig. 2. Radiator rig test device.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2.png

실험 장치는 열교환 이론인 유용도-NTU법에 기반하여 매개변수로 냉각수와 공기의 유량, 입구온도를 사용하여 그에 따른 출구 온도 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시험에서 측정한 냉각수와 냉각풍의 유량과 온도를 기반으로 유용도 ε(Effectiveness)를 도출하여 라디에이터의 열교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차량에서 라디에이터 단품실험 효과를 검증하여 구성한 단품시험장치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단품 실험 시 실제 차량에서의 냉각수 거동의 모사와 워터펌프 등 다른 장치에 의한 효과를 고려하여 센서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라디에이터의 유용도는 각부의 유량과 온도를 통해 계측할 수 있으며,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8)
ϵ = m c o o l a n t ˙ c p , c o o l a n t ( T c o o l a n t , i n - T c o o l a n t , o u t ) m a i r ˙ c p , a i r ( T c o o l a n t , i n - T a i r , i n ) = q ˙ r a d q ˙ m a x

실험은 냉각수의 조건에 따라 온도에 독립적인 조건으로 유량을 결정해야 하므로 서모스탯을 제거한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냉각수 유량과 부하를 고정하기 위해 워터펌프는 별도로 제어를 하였으며, 외기의 온도 또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제어하였다.

Fig. 3은 실험을 통해 계측한 라디에이터의 유용도를 나타낸 맵으로, 이러한 유용도 맵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과 운전 조건에 따라 라디에이터에서 냉각수가 냉각되는 양을 계산할 수 있다.

Fig. 3. Radiator Effectiveness test result.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3.png

3.2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는 엔진오일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켜 변속기 오일의 점성으로 인한 구동계의 마찰 측면의 이득을 보며, 과도하게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의 경우도 라디에이터와 마찬가지로 열교환 이론인 유용도-NTU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유량과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실제로 효과적인 구동과 연비개선에 기여하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실차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무부하 조건에서 엔진속도를 각각 아이들, 1,500 rpm, 2,000 rpm, 2,800 rpm 조건에서 유지시켜주면서, 냉각수 온도와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냉각수 유량은 부하에 따라 넓은 범위로 나타나기에 모드 실험에서 실제로 측정된 냉각수 유량 범위를 기점으로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Fig. 4와 같이 냉각수 유량에 따른 유용도의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변속기 워머/쿨러 전후단의 냉각수와 변속기 오일의 온도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

Fig. 4. ATF Warmer/Cooler Effectiveness test result.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4.png

3.3 엔진 발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는 주요 원인은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열전달이다. 하지만 실차에서 발열량을 측정하기에는 여러 가지 제약조건이 있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Fig. 5와 같이 엔진동력계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엔진동력계 실험은 다양한 운전 조건에 따른 엔진의 발열이 냉각수로 전열되는 열량을 계산하기 위해 실험되었으며, 운전조건을 변화시켜가며 엔진을 통과하기 전의 냉각수의 열량과 엔진을 통과한 후의 냉각수의 열량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Fig. 5. Engine dynamometer test for engine heat generation.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5.png

냉각수에 전해지는 열전달량은 엔진에 공급되는 에너지의 양과 동력으로 전달되는 에너지, 그리고 손실되는 에너지와 관계있으므로 부하조건과 엔진속도에 밀접한 영향을 받으며, 이는 다시 말해 BMEP(Brake Mean Effective Pressure)와 연관성을 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물리적인 수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6) 본 실험에서는 BMEP 대비 엔진 냉각수가 얻은 열량을 발열량 맵으로 작성하여 계산하였다.

Fig. 6은 실험 결과를 요약한 것으로 부하 조건에 따른 엔진 발열을 나타낸 맵으로 엔진 운전조건에 따른 엔진 발열의 냉각수로의 전열량을 도식화 한 것이다.

Fig. 6. Engine Heat Generation map.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6.png

3.4 서모스탯

기계식 서모스탯의 왁스 온도에 따른 양정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리그 실험 장치를 구성하였다. 일정한 열량을 가해주기 위해 실험용 핫플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양정 변화 측정을 위해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장비를 사용하였다. 핫플레이트로 일정한 온도를 오랜 시간동안 유지 시켜주면서 정상상태를 만들어 주었으며, 이러한 정상 상태에서 서모스탯의 감온부와 주변유체의 온도를 일치시켜준 상태에서 온도에 따른 양정변화를 계산하였다.

Fig. 7은 실험 결과를 요약한 것으로 서모스탯의 왁스 온도에 따른 서모스탯의 양정변화를 표시한 것이다. 왁스 온도는 주변의 냉각수 온도를 따라가며, 서모스탯은 히스테리시스를 지니고 있으므로 온도가 상승하는 조건에서의 온도에 따른 양정과 온도가 하강하는 조건에서의 온도에 따른 양정은 서로 차이를 보인다.

Fig. 7. Thermostat lift vs. wax temperature.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7.png

4. 시스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앞선 실험을 통해 도출된 냉각계 모델과 모델 계수를 이용하여 냉각계 전체를 수식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링에는 Mathworks社의 Matlab/Simulink를 사용하였으며, 모델의 수식화에 사용하였던 요소인 냉각수 회로, 엔진 오일 회로, 변속기 오일 회로에 대한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아래의 Fig. 8은 전체 냉각계 모델의 연산을 위한 과정을 도식화 한 것으로 크게 세 가지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파트에서는 실제 차량의 부품을 거친 후 변화하게 될 냉각수, 엔진오일, 변속기 오일 등의 온도와 유량을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모델링은 Closed-loop system을 따르므로 각부의 정확한 온도와 유량 예측이 필수적이다.

Fig. 8. Schematic of VTMS on Matlab/Simulink.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8.png

Fig. 8의 도식과 같이, 냉각수 모델은 라디에이터, 엔진 발열,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등 여러 부품들의 영향으로 인해 변화한 냉각수의 온도와 유량을 예측하여 엔진 블록, 엔진오일 열교환기, 변속기 오일 열교환기 등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엔진오일 모델의 경우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엔진에서 발생한 열량이 엔진 오일 자체의 온도 상승과 냉각수와의 열교환, 그리고 엔진 바디 자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양을 계산하며, 변속기 오일 모델의 경우 변속기의 마찰로 인한 발열, 그리고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계산한다. 각각의 냉각계 모델링의 상세한 연산 방식과 특성은 아래와 같다.

4.1 냉각수 모델

냉각수 모델은 엔진 속도와 엔진의 부하조건에 해당하는 BMEP를 이용하여 계산한 발열량이 냉각수로 전달된 후 진행되는 온도 상승 및 냉각을 모사한 모델이다.

모델에 포함된 요소는 엔진의 발열로 인한 냉각수의 열전달량, 라디에이터 및 바이패스에 의한 열전달, 공기와 대류 및 복사열교환에 의한 냉각, 엔진오일과 열교환에 의한 냉각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발열부와 냉각부에서 계산한 열에너지를 하나로 취합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4.2 엔진 오일 모델

엔진에서 발생한 열량은 냉각수의 온도 상승뿐만 아니라 엔진오일의 온도 상승에도 영향을 끼친다. 엔진에서 발생한 에너지 중 일부가 엔진오일의 온도 상승에 기여했다는 가정 하에 엔진 발열 부분을 구할 수 있다.(7)

엔진 오일 모델은 이러한 엔진오일의 열전달로 인한 열량 변화를 계산하는 것으로, 여기서 연산된 발열량은 앞서 설명한 냉각수의 전열량으로 계산되어 영향을 미친다. 엔진오일은 또한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잃어버리는 에너지가 있으므로 그 부분은 엔진오일 관점에서는 냉각으로 잃어버리는 열에너지로 가정할 수 있다. 엔진오일과 엔진블록과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도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이 부분 또한 구성에 포함하였다. 엔진 오일의 비열비는 온도에 의해 바뀌는 함수이므로 실시간으로 엔진온도를 통해 계산하였다.

4.3 변속기 오일 모델

변속기 오일 모델은 변속기 마찰에 의한 발열, 토크컨버터 손실에 의한 발열, 변속기 오일펌프의 마찰에 의한 발열, 공기와 열 교환에 의한 냉각,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에 의한 열교환으로 구성된 모델로, 각각의 요소에서 계산된 열량 변화량을 총합하여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종합적으로 계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변속기 오일의 온도는 얻은 열량들의 총합을 현재 변속기 오일 유량으로 나누어 온도 변화량을 계산하게 되며, 변속기 오일의 유량은 일반적으로 변속기 오일펌프의 출력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엔진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엔진 속도에 비례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계산된 변속기 오일 워머/쿨러의 열량 변화량은 냉각수의 온도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위의 시뮬레이션 서브시스템 개략도와 같이 냉각수 온도 변화량과 변속기 오일 온도의 변화량 두 가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5.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위에서 구성한 모델링을 바탕으로 냉각수, 엔진오일,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한 결과를 실제 차량 실험에서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실제 차량의 주행조건은 인증연비를 측정하는 도심모드(FTP-75)와 고속모드(Highway)를 사용하였으며, 도심모드 중 웜업 조건에 따라 온도 거동 및 연비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8) Phase 1, 2 조건(Fig. 9)과 완전히 웝업이 된 Phase 3(Fig. 10), 그리고 고속모드 조건(Fig. 11)을 모두 본문에 제시하였다. 도심모드는 차량을 25℃의 항온실에서 12시간 휴지시킨 후 시험을 수행하며 고속모드는 웜업된 상태에서 수행하였다.(9)

시뮬레이션은 차량 시험에서와 마찬가지로 도심모드는 냉각계 초기 온도를 25℃로 설정하고 수행하였으며 고속모드는 서모스탯 설정 값인 90℃를 초기온도로 설정하고 수행하였다.

Fig. 9~Fig. 11의 실제 차량을 통한 실험 결과와의 비교에서 볼 수 있듯, 시뮬레이션 결과는 실측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판단할 수 있었다. 이를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통해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Fig. 9. Temperature comparison between Simulation Predicted and Measured on FTP-75 Phase 1, 2.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9.png

Fig. 10. Temperature comparison between Simulation Predicted and Measured on FTP-75 Phase 3.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10.png

Fig. 11. Temperature comparison between Simulation Predicted and Measured on Highway.
../../Resources/sarek/KJACR.2018.30.9.413/fig11.png

회귀분석 결과 결정계수 R2값을 시뮬레이션 결과가 실측 결과를 비교하여 계산하면 0.9978로, 시뮬레이션의 결과가 실제 차량의 온도 거동을 상당히 잘 추종함을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온도 모델링에서 오차가 가장 큰 부분은 최대 ±5℃수준이며, 센서 측정상의 오차와 반응성을 고려해볼 때 시뮬레이션의 모델이 적합함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모델은 실험을 반복하여 다수의 데이터를 통해 세부적인 보정을 반복하면 모델의 정확도는 더욱 향상될 것이다.

6.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차량 냉각계 시스템의 개선을 통한 연비효과를 효과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차량 냉각계를 시뮬레이션 하여 실제 냉각수 및 엔진 오일, 변속기 오일의 온도 거동을 모사하며, 실차를 이용하여 모드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검증하여 효과적으로 VTMS의 연비기여도를 분석하는 방안의 기초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량의 냉각계에 대한 각부의 이론적 수식화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모델링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설계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2) 냉각계 모델의 계수를 구하여 차량의 냉각계 각 부의 온도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통합된 수식을 정립하였다.

(3) 구성한 모델링을 바탕으로 냉각수, 엔진오일, 변속기 오일의 온도 서브시스템을 시뮬레이션으로 제작하여 각부의 온도 거동을 예측하였으며, 실제 조건과 비교하였다. 실제 조건과 비교 결과 결정계수 R2 값은 0.9978로 상관관계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며, 각 요소별 온도의 오차는 최대 ±5℃ 수준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냉각계 거동 예측이 가능함을 판단하였다.

후 기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 및 WC300 과제의 일환으로 인지컨트롤스 (주)의 지원 하에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Wi H. S., Park J. I., Lee J. H., Park K. S., 2011, A Study on Error of F/E on FTP-75 Driving Cycle due to Difference of Driving Pattern, Proceeding of KSAE Spring Annual Conference, pp. 187-189Google Search
2 
Kim S. W., Lim J. H., Kim K. H., 2017, A Study about Impact of Driving Quality on Fuel Economy of a Conventional Passenger Car, KSAE/149-01, pp. 397-407Google Search
3 
Heywood J. B., 1988,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ndamentals, pp. 78-90Google Search
4 
Jeong H. S., Oh S. H., Yi J. S., Lim J. S., 2009, Development of the Oil Consumption Rate Test Method and Measurement Data Analysi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IKSFC/Journal of Drive and Control, Vol. 6, No. 1, pp. 50-56Google Search
5 
Kim J. Y., Park M. H., Choi Y. H., Kim D. K., Chung T. S., Park M. S., 2010, Automatic Transmission Warmer For Better Fuel Consumption, KSAE10-A0117Google Search
6 
Ryu T. Y., Shin S. Y., Lee E. H., Choi J. K., 1995, A Study On the Heat Rejection to Coolant in a Gasoline Engine, KSAE Conference, pp. 7-16Google Search
7 
Park S. J., 2011, A Comprehensive Thermal Management System Model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University of Michigan, pp. 31Google Search
8 
Lee Y. G., Wi H. S., Park J. I., Lee J. W., 2008, Study of cause analysis about fuel economy difference between Phase 1 and Phase 3 on the FRP-75 mode, KSAE08-A0035Google Search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2015, Notices on energy efficiency of automobiles, test methods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fuel consumption rate, MLTM criteria 2015-221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