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전북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2. 전북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문가 (Expert,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heonan, 31056, Korea)
  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원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heonan, 31056, Korea)
  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Chief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heonan, 31056, Korea)
  6. 전북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이중 원통다관형 열교환기(Double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축열(Thermal storage), 증발기(Evaporator),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열펌프(Heat pump)

기호설명

C:비열 [kJ/kg·℃]
G:체적유량(= m ˙ /ρ) [L/min]
Q:축열량, 방열량 [J, kJ]
Q ˙ :열전달률 [W, kW]
m ˙ :질량유량 [kg/s]
T:온도 [℃]
t:시간 [sec·min]
ρ:밀도 [kg/m3]

하첨자

b:브라인
f:최종시점
i:열교환기 입구 측
0:초기시점
j:순시 데이터 번호
m:특정구간 또는 과정에 대한 시간 평균
o:열교환기 출구 측
PCM:PCM
PCM#:PCM온도 측정위치
t:임의시점
w:폐열수

약어

IS:내부 원통부(inner shell side)
IT:내부 관부(inner tube side)
OT:outer shell side
STDEV: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1. 연구배경 및 목적

폐열은 산업공정, 발전소 등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미활용 에너지이다. 이 가운데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의 회수를 위해 열펌프시스템이 제안되거나 도입되고 있다.(1,2) 산업용 폐열은 배출량에 있어서 안정성을 갖지 못하거나 일시적으로 공급이 중단되기도 한다. 따라서 크게는 열원의 안정적인 공급, 작게는 열펌프 시스템의 비상열원으로서 운전 보완성을 갖추기 위해 축열 기능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3,4) 본 연구에서는 폐열회수 고온열펌프시스템에 있어서 갑자기 폐열 공급이 중단되는 비정상 운전에 대응하기 위해 이전에 제작한 상변화물질(PCM)이 포함된 고온 폐열 회수용 축열식 이중원통다관형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폐열 온도에 따른 기본 축열 및 방열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산업폐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생산하는 고온히트펌프(HTHP)의 축열식 증발기의 설계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2. 실험 방법

2.1 이중 원통다관형 열교환기

저자들은 원통다관형(shell and tube type) 배치를 기본 구조로 하고 여기에 축열 기능을 부여한 이중원통 다관형 열교환기(double shell and tube type heat exchanger, 이하 열교환기)를 설계한 바 있다.(5,6) 이 열교환기는 고온 열매체로부터 저온 열매체로 전달하고 남은 열을 축열 매체에 저장시켰다가 고온 열매체에서 저온 열매체로 공급하는 열에너지가 부족할 때 축열 매체로부터 저온 열매체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Fig. 1은 열교환기의 축방향 위치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 1(d)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각 열매체는 밀폐된 외부 원통부(outer shell side)에 상변화물질(PCM)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내부 관부(inner tube side, IT)에 R245fa (냉매), 내부 원통부(inner shell side, IS)에 70℃의 중온 폐열수(폐열수), 외부 관부(outer tube side, OT)에 약 90℃의 고온 폐열수(고온수)를 순환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Table 1은 본 실험에 적용하기 위한 열교환기 내부의 4종류 열매체 관련 물성 및 기준 설계값으로서 내부 원통부(IS)와 내부 관부(IT) 사이의 열전달률은 3 kW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열교환기의 기준 용량은 3 kW로 하였다.

Fig. 1. Schematic and cross-sectional views of a double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3 kW).
../../Resources/sarek/KJACR.2018.30.10.462/fig1.png

Table 1. Design Value of Heat Exchanger(material : SS304)

Inner tube

Inner shell

Outer tube

Outer shell

Fluid Name

R245fa (IT)

Heat source water 1 (IS)

Heat source water 2 (OT)

PCM (D Fluid)

Latent heat(kJ/kg)

Mass flow rate(kg/s)

Inlet temperature(℃)

Outlet temperature(℃)

167.8

0.019

35

55

-

0.15

70

65

-

0.038

90

85

198.8(7)

-

68.8(NMP)

2.2 실험장치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설계·제작된 열교환기의 축열 및 방열 기초실험으로서 내부 원통부(IS)와 외부 관부(OT)에 폐열수를 70℃ 이상의 동일온도로 공급하는 한편, 냉매 R245fa를 대신하여 에틸렌글리콜 50 mass% 수용액 (brine, 이하 브라인)을 저온 열매체로 사용하였다. Fig. 2는 실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열원을 일정한 온도로 공급하기 위한 폐열수 가열장치인 항온수조, 브라인 냉각장치인 냉동기(SJ-7.5AH; 7.5RT, 공랭식), 그리고 축열식 열교환기 및 각각의 배관계통으로 구성된다. 열교환기 내 PCM은 최대로 충전 시 54 kg(잠열량 10,677 kJ(7)) 으로 본 실험에서는 체적팽창을 고려하여 약 97%(52.2 kg)를 충전하였다. 실험은 축열과정, 축열-방열 동시 과정, 방열과정의 세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축열과정은 브라인은 정지시킨 상태에서 항온수조와 열교환기 사이에서 폐열수의 공급온도를 달리하여 열교환기 내 고상의 PCM이 전부 융해될 때까지 폐열수를 순환시켰다. 방열과정은 폐열 공급이 중단되는 비정상 운전을 가정하여 폐열수 공급을 차단한 채 열교환기 내 액상의 PCM이 전부 응고될 때까지 브라인만을 순환시켰다. 또한 축열-방열 동시과정은 축열과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폐열수를 그대로 순환시킨 채로 브라인을 순환시켜 축열 및 방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각 실험 조건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조건에 대한 각 열매체의 열교환기 내 열전달률은 각 열매체 별 열교환기 측 입구 및 출구에서의 순시 온도값과, 열교환기 입구 측에서 측정된 순시 유량을 식(1)~식(4)에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각 과정동안의 평균 열전달률은 식(5)에 의해 순시 열전달률을 합산한 값을 과정 전체시간 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열교환기는 지지대에 의해 입형으로 배치하였고 두께 50 mm의 합성 고무 단열재(nitrile- butadiene rubber)로 열손실을 줄이도록 하였다. 각 과정에서 열교환기 내 PCM에 의한 축열량 또는 방열량은 식(6)에 의해 산출하였다. 한편 PCM은 열교환기 내 밀폐공간에 위치하여 PCM의 상변화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에 PCM 영역 내 중심축에서 동일 반지름에 위치하고 각 지점이 90° 간격을 이루는 PCM층(높이 : 0.89 m)의 수직방향 4지점(하부로부터의 높이 1 : 0.5 m, 2 : 0.75 m, 3 : 1 m, 4 : 1.25 m)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온도는 K형 열전대(sheath형, 0~1,250℃에서 오차율 ±1.1℃)를, 유량은 터빈식 유량계(FTT-S-S 25A, Coriolis type, 측정범위 0.1~10 CMH)를 이용하여 Lab View®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로 PC에 저장하였다.

Fig. 2. Schematic of experimental equipment.
../../Resources/sarek/KJACR.2018.30.10.462/fig2.png

Table 2. Experimental conditions

Heat storage

Heat release

Storage-release in time

Media

Tini(℃)

Tin(℃)

G(LPM)

Tini(℃)

Tin(℃)

G(LPM)

Tini(℃)

Tin(℃)

G(LPM)

Inner tube(IT)

Brine

22±1

70, 75, 80, 85, 90±1

39±1

1.9±0.05

70, 75, 80, 85, 90±1

39±1

1.9±0.05

Inner shell(IS)

Water

70, 75, 80, 85, 90±1

9.8±0.1

70, 75, 80, 85, 90±1

9.8±0.1

Outer tube(OT)

9.8±0.1

9.8±0.1

Outer shell(PCM)

PCM

(1)
Q ˙ w , j = Q ˙ I S , j + Q ˙ O T , j

(2)
Q ˙ I S , j = ρ w G w C w ( T i - T o ) I S , j

(3)
Q ˙ O T , j = ρ w G w C w ( T i - T o ) O T , j

(4)
Q ˙ b , j = ρ b G b C b ( T i - T o ) b , j

(5)
Q ˙ A , m = 1 ( t - t 0 ) t 0 t Q ˙ A , j d t       ( A :   w ( ) ,   b ( ) )

(6)
Q P C M = ( Q ˙ w , m + Q ˙ b , m ) ( t f - t 0 )

3. 실험 결과

3.1 폐열수 온도에 따른 열교환기의 축열 특성

Table 2의 축열실험 조건에 대한 실험 결과로서 먼저 Fig. 3은 폐열수 공급온도 69.5(이하 70), 74.6(이하 75), 79.2(이하 80) 및 89.1(이하 90)℃가운데 80℃로, 유량 9.8±0.1(이하 10), 1.9±0.2(이하 2) LPM 가운데 IS와 OT에 각각 10 LPM, 즉 총 20 LPM일 때 폐열수의 열교환기 측 입출구온도 및 순시 열전달률을 나타낸다. 폐열수 공급 개시 후 약 40분 동안 각 열매체 사이에서 급격히 온도가 상승한 다음 80℃ 부근에서 안정되었다.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평균 열전달률은 초기 40분 동안에 IS 측이 4.14 kW, OT 측이 2.86 kW로 높았다가, 5시간 경과 후 양쪽 모두 0.5 kW 이하의 낮은 값으로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폐열수 공급과 함께 열교환기 내 PCM은 Fig. 3(b)로부터 초기 22℃에서 급격한 온도상승 후 상변화점(68.8℃)을 거쳐 80℃ 근처에서 평형상태에 도달하였다. PCM은 폐열수 공급에 의해 상부부터 하부로 융해가 진행(PCM1 → PCM4)할 것을 예상하였으나 OT측에 가까운 열전대(PCM3 및 PCM4)에서 융해가 빨리 시작되었다. 초기 고상인 PCM이 다시 완전히 액상으로 상변화 하는 시점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지만, PCM은 일반적으로 상변화 종료시점 근처에서 온도선의 변곡점이 발생하는데 이 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에 온도 추세선에서 하부 측정점(PCM4) 온도 곡선의 두 번째 변곡점이 가장 늦게 나타난 시점을 대략적인 상변화 종료 시각으로 가정하였다. 그 결과 PCM이 완전 융해되기까지에는 약 4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 또한 축열과정 동안 폐열수의 평균 열전달률은 IS측 1.35 kW, OT 측 1.08 kW로 나타났다. Fig. 4Table 2의 폐열수 공급 온도 조건에 대한 축열 평균 열전달률 및 축열 시간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폐열수 공급 온도의 증가에 따라 평균 열전달률은 표준편차(STEDV)와 상관계수(r2)값으로부터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폐열수 공급 온도가 70℃일 때 IS 측과 OT 측은 각각 0.27과 0.24 kW, 75℃일 때 0.87과 0.69 kW, 85℃일 때 1.98과 1.51 kW, 그리고 90℃일 때 각각 2.3과 1.81 kW의 평균 열전달률을 보였다.

Fig. 3. Time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heat transfer rate during heat storage.
../../Resources/sarek/KJACR.2018.30.10.462/fig3.png

Fig. 4. Average heat transfer rate of waste heat water and storage time during heat storage.
../../Resources/sarek/KJACR.2018.30.10.462/fig4.png

3.2 폐열수 온도에 따른 열교환기의 방열 특성

Fig. 5Fig. 3의 축열과정이 종료된 상태에서 폐열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브라인을 39±1(이하 40)℃, 2 LPM 으로 열교환기에 공급시켜 PCM으로부터 방열하였을 때의 열매체 및 PCM의 온도 및 열전달률을 나타낸 것 이다. 방열 초기에 액상인 PCM이 다시 전부 응고되는 시점은 PCM 융해 때와는 반대로 가장 늦게 하강한 곡선의 두 번째 변곡점을 상변화 종료 시점으로 하였다. 이 시점까지 브라인(IT)에 의한 평균 열전달률은 2.27kW로서, 실험 시작 직후 약 30분 동안 3 kW 이상으로 유지했던 것과 달리, 초반 10분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Table 2의 폐열수 공급 온도에 대한 브라인의 평균 열전달률은 Fig. 6과 같이 나타났으며 폐열수 공급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방열 초반에 3 kW 이상의 평균 열전달률 유지시간은 공급온도가 75℃에서 90℃로 증가함에 따라 약 5분, 20분, 43분, 1시간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70℃일 때에는 열전달률이 3 kW 이상으로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축열온도가 PCM의 상변화점에 가까운 상태로서 방열 시작 시점에 지배적인 잠열축열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진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Fig. 5. Time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heat transfer rate during heat release.
../../Resources/sarek/KJACR.2018.30.10.462/fig5.png

Fig. 6. Average heat transfer rate to waste heat temperature during heat release.
../../Resources/sarek/KJACR.2018.30.10.462/fig6.png

3.3 폐열수 온도에 따른 열교환기의 동시 축열 및 방열 특성

Fig. 7Fig. 3의 축열 완료 시점에서 폐열수를 계속 공급함과 동시에 방열실험을 실시하였을 때 각 열매체의 온도변화를 나타낸다. 즉 열교환기에 폐열수 공급(축열)을 지속시키는 동시에 브라인을 약 40℃, 2 LPM으로 공급하여 방열하였을 때의 실험 결과이다. 실험 시작 후 약 30분 동안은 과도상태로서 약간의 온도변화를 보이다가 진정되었다. 이는 IS측의 폐열수에서 브라인으로, 다시 브라인에서 PCM으로 열이 전달되는 한편, OT측의 폐열 수는 PCM이 빼앗기는 열을 보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축열 및 방열 동시운전동안 PCM측 내부온도는 모두 상변화점(68.8℃)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액상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동안 평균 열전달률은 각각 IS의 폐열수에서 5.53 kW, OT의 폐열수에서 0.41 kW, 브라인에서 4.78 kW를 보였다. 축열 및 방열 동시운전의 또 다른 결과로서 폐열수와 브라인의 평균 열전달률은 Fig. 8과 같다. 즉 폐열수의 공급 온도가 70℃일 때 각각 4.21(IS)/0.23(OT) kW와 3.09 kW(IT), 75℃일 때 4.63/0.30 kW와 3.73 kW, 85℃일 때 각각 6.15/0.50 kW와 5.08 kW, 90℃일 때 각각 6.88/0.66 kW와 5.57 kW로 나타나 폐열수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열전달률도 증가하였으며 폐열수 온도가 75℃ 이상에서 열전달률이 급격히 증가함을 보였다. 이로부터 축열과정 및 축열 방열 동시운전 과정 모두에서의 폐열수 계통에서 내측 원통(IS) 쪽이 외측 관(OT) 쪽보다 열전달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변화물질의 충전 위치 및 열매체 유로 선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판단되며, 고안된 이중 원통 다관형 열교환기의 구조적 특징으로 판단된다.

Fig. 7. Time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heat transfer rate during simultaneous heat storage and release.
../../Resources/sarek/KJACR.2018.30.10.462/fig7.png

Fig. 8. Average heat transfer rate by waste heat temperature during simultaneous heat storage and release.
../../Resources/sarek/KJACR.2018.30.10.462/fig8.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폐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저자들이 고안한 이중 원통다관형 열교환기에 냉매 R245fa 적용 시 3 kW급의 소용량 축열식 열교환기를 제작하였으며, 여기에 상변화물질을 충전하고 폐열수 및 브라인을 순환시켜 축열, 방열실험을 실시하여 열교환기의 기초 열전달 특성을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CM의 상변화점 이상에서 축열 시 폐열수의 열전달률은 폐열수의 공급온도 70~90℃에서 폐열수의 공급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2) 축열 과정 및 축열 방열 동시진행 과정 동안 폐열수에 의한 평균 열전달률은 내측 원통(IS) 쪽이 외측 관 (OT)쪽 보다 크게 나타났다.

(3) PCM이 전부 융해된 상태에서 폐열수와 브라인 동시 운전에 의한 동시 축열 및 방열과정에서 열교환기로부터 브라인은 5 kW 이상으로 유지 가능하였고, 폐열수의 온도 증가에 비례하여 폐열수의 평균 열전달률이 증가하였다.

(4) 방열시험 동안 폐열수의 축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열량이 증가하였으나, 폐열수 온도가 70℃일 때에는 브라인 측 평균 열전달률이 3 kW 미만으로 나타났다.

(5) 폐열수 온도조건에 따라 방열 시 PCM에 의한 기여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폐열수 온도가 75℃에서 90℃일 때 브라인 방열온도 40℃에 있어서 3 kW 이상의 열효율을 짧게는 5분 길게는 1시간을 유지하였다.

이상 소형 3 kW급 축열식 이중원통다관형 열교환기의 축열 및 방열실험을 통하여 폐열수의 온도에 따른 축열 및 브라인의 방열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축열식 이중원통다관형 열교환기는 폐열 공급이 중단되는 비정상 운전에서도 PCM의 축열량으로 적어도 5분 이상 사용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후 기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제조기반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생산시스템)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과제번호 : 10049090).

References

1 
Lee S. C., Jo Y. U., Nam S. C., 1997, Effect of baffle parameters on heat transfer in shell-and-tube heat exchangers,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21, No. 1, pp. 185-194DOI
2 
Kumar V., Saini S., Sharma M., Nigam K. D. P., 2006, Pressure drop and heat transfer study in tube-in-tube helical heat exchanger, Chem. Eng. Sci., Vol. 61, pp. 4403-4416DOI
3 
Park Y., Kim K., 2006, A Study on the Horizontal Ground Source Heat Pump Greenhouse Heating System with Thermal Storage Tank,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ol. 15, No. 3, pp. 194-201Google Search
4 
Oh S. H., Yun R., Cho Y., 2013, Studies on Raw-Water Source Heat Pump Equipped with Thermal Storage Tank in Water Treatment Facility,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37, No. 5, pp. 467-472DOI
5 
Lee D. G., Jeong G. M., Kang C. D., 2016, The Characteristic of Heat Storage/Release in Thermal storage type Heat Exchanger, SAREK 2016 Summer Annual Conference, pp. 1071-1075Google Search
6 
Ko H. H., Kim Y. R., Kim D. J., 2015, A development of 300 kW high temperature Heat Pumps for Steam supply Up to 120℃ for Industrial Use, KSMTE Annual Conference, pp. 44-45Google Search
7 
Hong H., Kang C., Peck J. H., 2004, Measurement Methods of Latent Heat for PCM with Low Melting Temperature in Closed Tube, International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Vol. 12, No. 4, pp. 206-213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