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부경대학교 냉동공조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PKNU), Busan, 48513, Korea)
  2. LG전자 H & A사업본부 연구원 (Researcher, LG Electronics,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Company, Changwon, 51554, Korea)



강인한 LQG 제어기(Robust LQG controller), 오일쿨러(Oil cooler), 상태공간 모델(State space model), 칼만필터(Kalman filter), 최적제어(Optimum control)

기호설명

A, B, C:계수 행렬
$A_ {v}$:EEV 개도 지령 [$step$]
$F_ {i}$:인버터 주파수 [$Hz$]
$h$:엔탈피 [$kJ/kg$]
$J$:평가함수
$K_ {1}$:상태피드백 게인
$K_ {2}$:서보 게인
$L$:칼만필터 게인
$\dot{m}$:질량유량 [$kg/s$]
$P$:압력 [$kPa$]
$Q , R$:하중행렬(가중치 함수)
$r$:지령값, 냉매(refrigerant)
$T$:온도 [℃]
$u$:유속, 제어 입력
$x$:상태변수
$\alpha$:열전달계수 [kW/m2℃]

하첨자

$a$:주위(ambient)
$c$:응축기(condenser), 압축기(compressor)
$e$:증발기(evaporator), 전자팽창밸브(EEV)
$i$:입력, 입구, 인버터(input, in, inverter)
$m$:확대계
$o$:출구(outlet, out)
$s$:과열도(superheat)
$r$:지령값(설정값)
$w$:벽(wall)

1. 서론

냉동사이클에서 고정밀 제어 실현과 에너지 절약 성능이 뛰어난 압축기 가변속(Compressor Variable Speed : CVS) 용량 제어 방식이 널리 주목받고 있다. 냉동사이클의 CVS 제어 방식은 제어 입력과 출력이 복수인 다변수 (Multi-Input Multi-Output : MIMO) 제어 시스템이다. 또한 가변속 냉동사이클 제어에서는 사이클 고유의 비선형성과 모델의 불확실성, 그리고 열부하 변동, 조작기인 인버터의 고조파와 센서 등으로부터의 잡음(noise)이 다수 발생하므로 이들 외란 하에서도 양호한 제어 성능을 담보할 수 있는 강인성(robustness) 확보가 동시에 요구된다.

냉동시스템의 제어기 설계법은 전달함수 기반의 PID 제어법,[1,2] AI(Artificial Intelligence) 수법 중 하나인 퍼지제어법,[3,4] 상태공간 모델 기반의 최적제어법[5] 등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그 중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PID 제어기가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PID 제어기는 설계가 쉽고, 저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실현할 수 있으며, 유지와 보수도 용이하다. 다만 이 제어법은 다변수계로의 확장과 최적제어 성능을 보장하기 어려우며, 잡음과 외란 등에 대한 제어 성능 확보, 즉 제어계의 강인성 확보가 쉽지 않다. 또한 제어량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는 비간섭 제어도 어려운 점을 단점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고성능, 고정밀 가변속 냉동사이클의 제어를 위해서는 이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현대제어 이론에 기반을 둔 최적제어법의 적용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의 가변속 냉동시스템의 최적제어에 관한 연구들 대부분은 실험 결과로부터 구한 전달함수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6] 이 경우, 실제 운전 조건이 전달함수를 얻은 실험 조건과 상이하게 되므로 양호한 제어 성능을 보장하기 어렵다. 상태공간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한 제어계의 경우에도 노이즈와 같은 외란에 대한 강인성 검토가 매우 불충분하였다.[7-[9] 특히 제어량 간의 상호 간섭에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도 극복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냉동사이클에 대한 해석적인 상태 공간 모델을 기반으로 잡음 및 모델링 오차 등에 강인한 제어 성능을 갖는 LQG(Linear Quadratic Gaussian) 제어기 설계법 적용을 검토한다. 적용된 설계법은 최적제어의 한 형태로 다변수계로의 확장이 용이하고, 비간섭제어 등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제안된 LQG 제어는 가변속 냉동사이클이 포함된 오일쿨러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이 검증된다.

2. 상태공간 모델링과 LQG 제어기 설계

2.1 오일쿨러의 상태공간 모델

오일쿨러의 핵심 요소인 냉동사이클은 기본적으로 열교환기인 응축기와 증발기, 그리고 압축기와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상태공간 모델은 상태변수 $x(t)$, 출력변수 $y(t)$, 입력변수 $u(t)$를 갖는 상태방정식 식(1)과 출력방정식 식(2)로 구성된다.

(1)
$\dot{x}=A x+B u$

(2)
$y=C x$

오일쿨러의 상태방정식 모델링은 Shah, R 등의 방법을 참고하여 각 구성 요소별 동특성을 표현하는 식을 유도한다.[9] 우선, 열교환기 관내에 흐르는 유체의 열적 동특성 파악을 위해 Navier-Stokes의 지배방정식을 도입한다. 식(3)은 연속방정식, 식(4)는 에너지평형방정식, 식(5)는 열전달방정식이다.[10]

(3)
$\frac{\partial \rho}{\partial t}+\frac{\partial \rho u}{\partial z}=0$

(4)
$\frac{\partial(\rho h-P)}{\partial t}+\frac{\partial(\rho u h)}{\partial z}=A_{i} \alpha_{i}\left(T_{w}-T_{r}\right)$

(5)
$\left(C_{p} \rho V\right)_{w} \dot{T}_{w}=A_{i} \alpha_{i}\left(T_{r}-T_{w}\right)+A_{o} \alpha_{o}\left(T_{a}-T_{w}\right)$

응축기는 과열, 2상, 과냉의 세 구간으로, 증발기는 2상, 과열의 두 구간으로 구분하여 총 15개의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이 도출된다. 이 15개의 비선형 미분방정식에 대해 Taylor 1차 근사를 적용하여 선형화 한 후, 압축기와 전자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 EEV)의 동특성 모델인 식(6)식(7)을 대입하여 정리한다.

(6)
$\dot{m}_{c}=\frac{\pi}{2}\left(D^{2}-d^{2}\right) H \rho \eta F_{i} / p=K_{c} F_{i}$

(7)
$\dot{m}_{e}=\frac{A_{v}}{A_{\max }} A_{o} C_{v} \sqrt{2 \rho\left(P_{c}-P_{e}\right)}=K_{e} A_{v}$

여기서 $A _{o}$는 EEV의 오리피스 단면적[$m ^{2}$], $A _{max}$는 EEV의 최대 개도(500 step)를 각각 나타낸다. $C _{v}$는 유량계수, D는 압축기 실린더 직경[$m$], $d$는 회전 피스톤 직경[$m$], H는 실린더 높이[$m$], $\rho $는 압축기 흡입 냉매밀도[$kg/m ^{3}$], $\eta $는 압축기 체적효율, p는 구동 모터의 극수를 각각 나타낸다.[10]

응축기와 증발기의 모델에 식(6)식(7)을 병합하여 정리하면 12×12의 고차원 상태방정식 모델이 얻어진다. 제어 관점에서 모델의 차원이 너무 크면 모델의 파라미터 동정(identification)이 어렵고 이로 인해 모델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며, 상태관측기의 타당성 검증 과정 또한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어하고자 하는 출력변수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상태변수들을 소거하여 실용적인 4차원 상태방정식 모델을 식(8)과 같이 구하였다.[10]

(8)
$\left[ \begin{array}{c}{\dot{P}_{c}} \\ {\dot{h}_{c}} \\ {\dot{P}_{e}} \\ {\dot{h_{e}}}\end{array}\right]=\left[ \begin{array}{cccc}{-0.033} & {0} & {0} & {0} \\ {3.01 \times 10^{-4}} & {-0.05} & {0} & {0} \\ {0} & {0} & {-1.94} & {-4.55} \\ {0} & {0} & {-3.07} & {-7.7}\end{array}\right] \left[ \begin{array}{c}{P_{c}} \\ {h_{c}} \\ {P_{e}} \\ {h_{e}}\end{array}\right]+\left[ \begin{array}{ccc}{0.855} & {0} \\ {-0.038} & {0} \\ {0} & {-3.2 \times 10^{-4}} \\ {0} & {-0.0149}\end{array}\right] \left[ \begin{array}{c}{F_{i}} \\ {A_{v}}\end{array}\right]$

여기서, 상태변수 $P _{c}$는 응축압력, $P _{e}$는 증발압력, $h _{c}$는 응축기 출구 엔탈피, $h _{e}$는 증발기 출구 엔탈피를 각각 나타낸다. 계수 행렬 $A(4 \times 4)$, $B(4 \times 2)$는 제어대상인 냉동사이클이 포함된 오일쿨러 시스템으로부터 구해지는 파라미터 값들이고, 입력은 인버터 주파수 $F _{i}$와 전자팽창밸브의 개도(opening angle) 지령값 $A _{v}$이다.

본 연구에서 오일쿨러 시스템의 주된 제어량은 오일출구온도 $T _{o}$이고, COP가 최대인 동작점에서 운전되도록 과열도 $T _{s}$도 보조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이들 두 제어량을 갖는 출력방정식은 식(8)의 4개의 상태변수를 이용하여 식(9)와 같이 유도된다.

(9)
$\left[ \begin{array}{c}{T_{o}} \\ {T_{s}}\end{array}\right]=\left[ \begin{array}{cccc}{0} & {0.393} & {0} & {-0.393} \\ {0} & {0} & {-0.75} & {0}\end{array}\right] \left[ \begin{array}{c}{P_{c}} \\ {h_{c}} \\ {P_{e}} \\ {h_{e}}\end{array}\right]$

출력방정식 식(9)의 계수행렬 $C(2 \times 4)$는 Van-der-Waals의 기체 상태방정식인 식(10)을 도입하여 상태변수와 제어변수 간의 관계를 반영하였다.

(10)
$P=n R T /(V-n b)-a n^{2} / V^{2}$

여기서, 기체의 부피 $V$는 몰리에르 선도(Mollier chart)로부터 읽은 비체적 값과 냉매의 질량 연산을 통해 구하고, 입자수 $n$은 R-22의 분자식($CHClF _{2}$)으로부터 계산한다. 또한 $R$은 기체상수, $a$, $b$는 Van-der-Waals 상수이다.

2.2 Robust LQG 서보 제어기 설계

LQG 서보 제어계는 LQR(Linear Quadratic Regulator) 서보 제어계에 칼만필터(Kalman filter) 상태 관측기가 결합된 형태로 Fig. 1과 같다.

Fig. 1. Block diagram of LQG servo control system.
../../Resources/sarek/KJACR.2019.31.3.130/fig1.png

LQG 서보 제어기 설계는 평가함수를 최적화 하기 위한 LQR 게인인 상태피드백 게인 $K _{1}$, 지령값 추종을 위한 서보 게인 $K _{2}$와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칼만 게인 $L$을 설계하는 문제로 귀착된다. 식(1)식(2)는 잡음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식(11), 식(12)와 같이 재 정의된다.

(11)
$\dot{x}=A x+B u+w$

(12)
$y=C x+\nu$

여기서 $w(t)$는 시스템의 프로세스 잡음, $\nu (t)$는 센서 잡음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센서 잡음은 그 평균값이 0인 백색잡음(white noise)으로 가정한다. 이때, LQR 게인 $K$($K _{1}$,$K _{2}$)와 칼만 게인 $L$은 분리정리(separation theorem)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해진다.[11] LQR 제어기 설계는 제어 입력 $u(t)$와 상태변수 $x(t)$에 대하여 평가함수 식(13)을 최소화 하는 하중행렬 $Q$와 $R$을 설계하고 입력 $u(t)$를 구하는 것이다. 식(13)의 우변 첫째 항은 상태 $x(t)$에 가중치를 부가하며, 둘째 항은 입력 $u(t)$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항이다.

(13)
$J=\frac{1}{2} \int_{0}^{t}\left(x^{T} Q x+u^{T} R u\right) d \tau$

상태변수의 하중 $Q$를 증대시키면 $J$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태 $x(t)$가 작아져야 되므로 결국 속응성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입력 하중 $R$을 증대시키면 입력 $u(t)$가 작아져야 하므로 제어 입력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게 된다. 식(13)의 상첨자 T는 행렬의 전치(transposition)를 나타낸다.

한편, 출력 $y(t)$가 $t \rightarrow \infty$에서 지령값인 $r(t)$에 일치하여 정상상태에 도달한다고 해도, 입력 $u(t)$는 $t \rightarrow \infty$에서 ‘0’이 아닌 값을 가진다. 따라서 $u(t)$의 적분 누적으로 인해 식(13)의 값이 무한대가 되어 2차 평가함수인 식(13)을 최소화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정상상태($t \rightarrow \infty$)에서는 $\dot{u}(t)$가 $\lim _{t \rightarrow \infty} \dot{u}(t)=0$을 만족한다. 따라서 $v(t)=\dot{u}(t)$를 새로운 제어 입력으로 하는 확대계를 식(14)식(15)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이 확대계의 평가함수는 식(16)과 같이 표현된다.

(14)
$x_{m}(t)=A_{m} x_{m}(t)+B_{m} v(t)$

(15)
$y(t)=C_{m} x_{m}(t)$

(16)
$J_{m}=\int_{0}^{\infty}\left[\delta x_{m}^{T}(t) Q_{m} \delta x_{m}(t)+v^{T}(t) R_{m} v(t)\right] d t$

식(16)에서 $\delta x_{m}(t)$는 확대계의 정상상태 값으로부터의 변동분 $\delta x_{m}(t)=[\delta x(t) \delta u(t)]^{T}$이다. 식(16)의 $J_ {m}$을 최소로 하는 최적 레귤레이터의 해인 제어 입력 $v(t)$는 식(17), $K_ {m}$은 식(18)로부터, 그리고 $P_ {m}$은 식(19)의 Riccati 방정식의 해로서 양의 한정 값으로 구해진다.[10]

(17)
$v(t)=-K_{m} \delta x_{m}(t)$

(18)
$K_{m}=R_{m}^{-1} B_{m}^{T} P_{m}$

(19)
$A_{m}^{T} P_{m}+P_{m} A_{m}-P_{m} B_{m} R_{m}^{-1} B_{m}^{T} P_{m}+Q_{m}=0$

식(18)식(19)에서 $R_{m}(2 \times 2)$, $Q_{m}(6 \times 6)$은 설계자가 지정하는 값이며, $A_{m}(6 \times 6)$, $B_{m}(6 \times 2)$은 식(20)에서와 같이 모델로부터 정해지는 파라미터 값들이다. 또한 식(17)~식(19)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식(20)의 $Z$가 full rank여야 한다.

(20)
$A_{m}=\left[ \begin{array}{cc}{A} & {B} \\ {0} & {0}\end{array}\right], B_{m}=\left[ \begin{array}{c}{0} \\ {I_{m}}\end{array}\right], \quad C_{m}=[C \quad 0], Z=\left[ \begin{array}{c}{A \quad B} \\ {C \quad 0}\end{array}\right]$

따라서 식(19)에서 미지의 값인 $P_ {m}$이 구해지고, 이 값을 통해 식(18)에서 $K_ {m}$이, 그리고 최종적인 LQR 게인 $K\left[K_{1} \quad K_{2}\right]$는 이 $K_ {m}$에 식(20)의 $Z^{-1}$를 곱하여 $K=K_{m} Z^{-1}$로서 구해진다.

LQG 제어기는 출력변수에 포함된 모든 상태변수의 피드백을 필수로 한다. 식(8)의 상태변수들은 실제로 센서로써 검출하기 용이하지 않으므로 인가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칼만필터가 적용된 전 차원 상태관측기(full-order observer)를 설계한다. 식(21)은 칼만게인 $L$을 구하는 식으로 이때 $S$는 식(22)와 같은 Riccati 방정식의 해로써 구해진다.

(21)
$L=-S C^{T} N^{-1}$

(22)
$A S+S A^{T}-S C^{T} N^{-1} C S+W=0$

시뮬레이션 시에는 식(21), 식(22)의 센서 잡음 $N$(= $\nu (t)$)을 온도 센서인 열전대의 분해능 0.1℃를 고려하여, 프로세스 잡음 $W$(= $w(t)$)의 크기는 16bit D/A 변환기를 고려하여 정하였다.[10] 따라서 식(21)의 $A$,$C$,$N$,$W$는 이미 주어지거나 정해진 값이므로 이 식에서 $S$가, 그리고 식(20)에서 관측기 게인 $L$이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3. 시뮬레이션 결과 및 고찰

3.1 상태공간 모델의 타당성 검증

Table 1은 시뮬레이션 및 실험에 사용된 오일쿨러의 주요 구성 요소들의 사양을, Fig. 2는 시뮬레이션 및 실험에 사용된 실제 오일쿨러 제어 장치의 모식도이다.

Table 1. Specifications of the oil cooler system

Component

Note

Compressor

Rotary type, 0.86 kW, 40~90 Hz

EEV

Step motor type, 48~500 step

Condenser

Air-cooled fin and tube type

Evaporator

Bare tube coil type

Fig. 2. Conceptual diagram of control system for an oil cooler.
../../Resources/sarek/KJACR.2019.31.3.130/fig2.png

우선 제안된 상태방정식 모델의 타당성은 시뮬레이션 결과와 선행 연구의 정특성 실험 자료와의 정량적 비교,[12,13] 그리고 스텝 입력에 따른 상태변수 및 출력변수의 거동의 유사성 분석으로 검증한다.

Fig. 3Fig. 4는 제어 입력 $u$($F _{i}$, $A _{v}$)를 단위 스텝 상의 입력인 $[1 \quad 0]^{T}$, $[0 \quad 1]^{T}$로 각각 설정했을 때 상태변수 $x(t)$와 출력변수 $y(t)$의 거동을 각각 나타낸다.

Fig. 3. Behaviors of state and output variables in the case of input $[1 \quad 0]^{T}$.
../../Resources/sarek/KJACR.2019.31.3.130/fig3.png

Fig. 4. Behaviors of state and output variables in the case of input $[0 \quad 1]^{T}$.
../../Resources/sarek/KJACR.2019.31.3.130/fig4.png

이 결과들을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비교해 보면 입력에 따른 상태변수 및 출력변수의 거동 패턴이 유사하며 합리적임을 알 수 있다.[12,13] 따라서 구축한 오일쿨러의 상태공간 모델의 타당성이 확인된다.

3.2 LQG 서보 제어기와 칼만필터의 성능 검증

시뮬레이션과 실험에 사용된 LQG 제어기의 상태피드백 게인 $K_ {1}$과 서보 게인 $K_ {2}$는 식(23), 그리고 칼만 게인은 식(24)와 같다. 이때 하중행렬 $Q_ {m}$은 $Q_{m}=C_{m}^{T} C_{m}$으로 구하였고, $R_{m}(2 \times 2)$은 단위행렬로 가정하였다.

(23)
$K_{1}=\left[ \begin{array}{ccc}{-0.00773} & {-9.787} & {-1.657} & {1.142} \\ {0.00022} & {0.467} & {0.546} & {-0.351}\end{array}\right], \quad K_{2}=\left[ \begin{array}{cc}{-0.114} & {0 .993} \\ {0.993} & {0.114}\end{array}\right]$

(24)
$L=\left[ \begin{array}{ccc}{5.01 \times 10^{-8}} & {9.04 \times 10^{-6}} & {1.04 \times 10^{-6}-6.33 \times 10^{-7}} \\ {-6.41 \times 10^{-8}} & {-1.16 \times 10^{-5}} & {-4.55 \times 10^{-6}} & {2.76 \times 10^{-6}}\end{array}\right]$

Fig. 5는 LQG 제어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제어변수인 오일출구온도와 과열도의 인디셜 응답 및 대응하는 조작변수인 인버터 주파수와 EEV 스텝 지령값을 각각 나타낸다.

Fig. 5. Indicial response of the LQG control system.
../../Resources/sarek/KJACR.2019.31.3.130/fig5.png

그림에서 제어량 $T _{o}$, $T _{s}$의 응답은 잡음의 영향이 일부 나타나고 있지만 목표값 -1℃에 정확히 수렴한다.

Fig. 6Fig. 7식(16)의 하중행렬이 제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시뮬레이션에서는 입력 하중 $R _{m}$의 변동에 의한 제어 성능만을 집중 고찰하였다. 즉, 상태 하중 $Q_{m}\left(=C_{m}^{T} C_{m}\right)$의 값은 고정하고, 대각행렬 $R _{m}$($R _{m11}$, $R _{m22}$)을 기준값 1로부터 100배, 1/100배로 증·감시켰다.

Fig. 6. Indicial response of oil outlet temperature and superheat, $T _{o}$, $T _{s}$ according to change of weight function.
../../Resources/sarek/KJACR.2019.31.3.130/fig6.png

Fig. 7. Indicial response with oil outlet temperature and superheat, $T _{o}$, $T _{s}$ according to change of weight function.
../../Resources/sarek/KJACR.2019.31.3.130/fig7.png

시뮬레이션 결과 $R _{m11}$ 변화 시에는 유의할만한 제어 성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R _{m22}$의 변화 시에는 제어 성능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특히 이 값이 클수록 조작량의 크기는 작아져 오일출구온도와 과열도의 목표값으로의 수렴 속도가 느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함수인 $J _{m}$의 식(16)에 비추어 보았을 때, 이는 입력 조건을 강화한 것이므로 합리적인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칼만필터는 잡음이 포함된 동적 시스템의 상태변수를 추정하는 상태관측기이다. 식(8)식(9)의 네 가지 상태변수들은 게인 $L$의 적절한 설계를 통해 각종 외란이 인가되는 상황 하에서도 정확히 추정될 수 있음을 보인다.

Fig. 8은 칼만게인 $L$에 의한 상태변수들의 추정오차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이때 프로세스 잡음 $w(t)$(4×4)와 센서 잡음 $\nu (t)$(2×2)는 대각행렬이며, $w(t)$는 16bit D/A 변환기를 고려하여 대각 요소의 크기를 1.46 × 10-9, $\nu (t)$는 열전대의 분해능 0.1℃를 고려하여 대각 요소의 크기를 6.25 × 10-4로 각각 정하였다.

Fig. 8. Estimated error of state variables with respect to Kalman gain $L$.
../../Resources/sarek/KJACR.2019.31.3.130/fig8.png

Fig. 8에서 상태 추정오차는 최대 ±0.0007의 크기로서 거의 0에 가까운 값이다. 이를 통해 설계한 칼만필터가 상태변수를 양호하게 추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실험 결과 및 고찰

실험장치는 제 3장의 Fig. 2와 같고, 냉동사이클 구성 요소의 주요 사양은 Table 1과 같다. 공작기계를 대신한 열부하로는 전기히터(1.5 kW)를 사용하였다. 제어장치로는 PXI, 프로그램은 LabVIEW를 사용하였고, 오일출구온도와 과열도를 측정하기 위해 T-type 열전대와 PT-100을 이용하였다. 냉매는 R-22, 증발기는 오일탱크 내부에 설치된 침적형을 사용하였다. 압축기의 조작기는 “V/f = 일정” 타입의 인버터, EEV의 조작기로는 스텝모터 드라이브(IB-ESX)를 각각 사용하였다. 통합 제어장치인 PXI 시스템은 LabVIEW에 설계된 제어 로직에 따라 목표 온도 값과 제어량인 온도 정보를 피드백 받아 제어 오차를 산출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조작량을 출력한다.

제안된 Robust LQG 서보 제어계의 타당성은 크게 두 가지의 실험 즉 기동 실험과 열부하 변동 실험을 통해 검증된다. 이 두 가지의 동특성 실험을 통해 오일출구온도와 과열도가 각각의 목표값에 대하여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로 제어됨을 확인한다.

Fig. 9는 0.85 kW의 열부하를 인가한 상태에서 시스템 기동 시 제어량인 오일출구온도와 조작량인 인버터 주파수, 그리고 과열도와 그 조작량인 EEV 개도 지령의 변화를 보여준다. 그림 상의 가로 점선은 목표(설정) 값을, 세로 점선은 제어 시점을 각각 의미한다. Fig. 9에서 오일출구온도의 경우, 정상상태오차가 ±0.1℃로 정밀하게 제어됨을 보였다. 과열도 또한 목표값인 11℃에 ±1℃의 정상상태오차 범위로 수렴하는 양호한 제어 성능을 보였다.

Fig. 9. Experimental results of output and input variables of starting up.
../../Resources/sarek/KJACR.2019.31.3.130/fig9.png

Fig. 10은 110 sec 시점에서 열부하를 0.85 kW에서 1.05 kW로 스텝 상으로 증가시킨 경우의 제어량의 응답과 조작량의 변동을 각각 나타낸다. 오일출구온도와 과열도의 정상상태오차는 열부하 변동 하에서도 ±0.05℃, ±0.5℃로 각각 나타나 양호한 제어 성능을 보였다.

Fig. 10. Experimental results of output and input variables of thermal load variation.
../../Resources/sarek/KJACR.2019.31.3.130/fig10.png

입력 하중 $R _{m}$의 크기가 제어 성능에 미치는 영향도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사한 응답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LQG 제어기의 제어 성능을 기존의 PID 제어 성능과 단순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Fig. 6Fig. 7의 결과에서 보듯이 LQG 제어에서는 하중행렬의 선택에 의해 설계자가 원하는 제어 정도와 입력 에너지 사이의 상충 문제를 고려하여 제어 성능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유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LQG 제어는 외란과 잡음에 대한 강인성도 부여할 수 있다. PI 제어기를 적용한 선행 연구 결과에서 오일출구온도의 경우, 과도 특성은 LQG 제어 결과와 유사하였고, 제어 정도도 정상상태오차가 ±0.04℃로 정밀하게 제어되었다.[2] 다만, 제안한 LQG 제어기가 제어량 간의 상호 간섭이 더 적었고, 노이즈와 같은 외란에 대해 더 강인함을 보였다. 특히 비교 대상으로 삼은 이 PI 제어 실험 결과는 인가된 열부하와 운전 조건 등에서 LQG 제어 실험 조건과 동일하지 않은 상황에서 얻은 결과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된 오일쿨러의 실용적인 저차원 상태공간 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기반한 Robust LQG 서보 제어기를 설계하여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장치의 사양으로부터 해석적인 모델을 구축하고, 제어량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상태변수들을 소거하여 저차원(4×4)의 실용적인 상태방정식 모델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상태공간 모델의 타당성은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2) 설계한 LQG 제어기에 의한 제어 정도는 주된 제어량인 오일출구온도의 경우 기동 시에는 ±0.1℃, 열부하 변동 시에는 ±0.05℃의 오차 범위로 정밀하게 제어됨을 보였다. 한편 과열도의 경우는 기동 시에 ±1℃, 열부하 변동 시에 ±0.5℃의 정상상태오차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추종성을 보였다.

(3) LQG 제어기는 하중행렬의 변화에 따라 원하는 제어 정도와 제어 입력 간의 상충 문제를 조절하여 설계자가 원하는 제어 성능의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 LQG 제어기의 칼만필터는 프로세스 및 측정 잡음 하에서도 센서로 측정하기 어려운 상태변수 값들을 엄밀히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1 
Jung Y. M., Jeong S. K., Yang J. H., 2014, PI controller design of the refrigeration system based on dynamic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order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Vol. 18, No. 6, pp. 200-206DOI
2 
Kwon T. E., Jeong T. Y., Jeong S. K., 2016, Optimization of a PI controller design for an oil cooler system with a variable rotating speed compressor,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8, No. 12, pp. 502-508DOI
3 
Cao J. P., Jeong S. K., Jung Y. M., 2014, Fuzzy logic controller design with unevenly-distributed membership function or high performance chamber cooling system, Journal of Central South University of Technology, Vol. 21, No. 7, pp. 2684-2692DOI
4 
Jeong S. K., Han C. H., Li H., Wibowo W. K., 2018, Systematic design of membership functions for fuzzy logic control of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42, pp. 303-310DOI
5 
Jeong S. K., Kim S. H., 2011, Optimum controller design of a water cooler for machine tools based on the state space model,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3, No. 12, pp. 782-790DOI
6 
Lee D. B., Jeong S. K., Jung Y. M., 2014, State equation modeling and the optimum control of a variable-speed refrigeration 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6, No. 12, pp. 579-587DOI
7 
Lin J. L., Yeh T. J., 2007, Modeling,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air-conditioning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30, No. 2, pp. 202-220DOI
8 
Leonardo C. S., Christian J. L. H., Alexandre T. N., 2009, A model-driven multi-variable controller for vapour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32, No. 7, pp. 1672-1682DOI
9 
Shah R., Alleyne A. G., Bullard C. W., Rasmussen B. P., Hrnjak P. S., 2003, Dynamic modeling and control of single and multi-evaporator subcritical vapor compression systems, Part of ACRC TR-216, pp. 6-54Google Search
10 
Kwon T. E., 2017, Robust linear quadratic Gaussian control for an oil cooler based on a state space model, Thesis of Master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Google Search
11 
Laurent L., 2013, A separation principle for decentralized state-feedback optimal control, Allerton Conference on Communication, Control, Computing, pp. 528-534DOI
12 
Beak S. M., Moon C. G., Yoon J. I., Jeong S. K., Kim E. P., 2011, The characteristics of capacity control using a variable speed compressor in an industrial cool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Vol. 15, No. 2, pp. 37-41DOI
13 
Beak S. M., Moon C. G., Kim H. W., Jeong S. K., Yoon J. I., 2010, Characteristics of capacity control of variable speed water cooler with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open/close degre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4, No. 2, pp. 282-288DOI